KR20220002641U - 유동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동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41U
KR20220002641U KR2020210002943U KR20210002943U KR20220002641U KR 20220002641 U KR20220002641 U KR 20220002641U KR 2020210002943 U KR2020210002943 U KR 2020210002943U KR 20210002943 U KR20210002943 U KR 20210002943U KR 20220002641 U KR20220002641 U KR 20220002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uiding
housing
electrodes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546Y1 (ko
Inventor
린 시엔-창
창 춘-웨이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동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부동형 커넥터에는 하우징 하나, 복수의 제 1 전극, 복수의 잠금 부재, 복수의 제 2 전극과 부동 부재가 들어있다. 상기 잠금 부재들은 제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다. 각각의 잠금 부재에는 고정부 하나, 탄성부 하나, 그리고 가이딩 부 하나가 있다. 탄성부는 고정부와 가이딩 부를 연결한다. 가이딩 부에는 또한 캔틸레버 하나와 U형 가이딩 부재 하나가 있다. 캔틸레버의 자유단은 U형 가이딩 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들은 제 1 전극들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부동 부재는 하우징을 결합하며, 제 2 본체 하나, 복수의 전극 홈 및 복수의 잠금 홈이 있다. 이러한 잠금 홈들은 상기 잠금 부재들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상기 잠금 부재들이 잠금 홈들에 삽입되어 제 1 전극들이 제 2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하고, 또한 상기 가이딩 부들은 잠금 홈들에 들어가서 하우징이 부동 부재에 잠금 고정되게 한다.

Description

유동형 커넥터{FLOATING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 기술 영역에 속하는 유동형 커넥터를 제시한다.
전통적으로 커넥터는 수형 부품과 암형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완성된다. 이 연결 과정에서는 반드시 수형 부품과 암형 부품을 정확하게 조준하여 연결하는 것, 빠른 조립 속도 유지, 조립 시 손상율을 감소하는 것, 연결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 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연결 과정에서 금속 재질과 비 금속 재질의 상이한 재질이 접촉함으로 인해 경도가 비교적 낮은 비금속 재질, 특히 잠금 부분이 쉽게 파괴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 또는 전통적인 커넥터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동형 커넥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하우징, 제 1 전극, 잠금 부재, 제 2 전극, 그리고 부동 부재가 들어있어 부동 조립을 달성할 수 있는 부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부동형 커넥터에 근거하여 잠금 부재와 부동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제공해서 연결 및 분리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 부동형 커넥터에 근거하여 캔틸레버와 U형 가이딩 부재를 지닌 가이딩 부를 제공해서 하우징 혹은 부동 부재가 파괴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 부동형 커넥터에 근거하여 잠금 부재가 잠금 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한 각도로 이동하는 디자인을 제공해서 잠금 부재가 잠금 홈에 순조롭게 삽입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부동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부동형 커넥터에는 하우징, 복수의 제 1 전극, 복수의 잠금 부재, 복수의 제 2 전극, 그리고 부동 부재가 들어있다. 하우징에는 제 1 본체 하나와 복수의 오프닝이 있다. 제 1 본체는 거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오프닝은 하우징에 설치되어 거치 공간과 하우징의 외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 1 전극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며, 제 1 전극은 상기 오프닝을 통해서 거치 공간 밖으로 나온다. 상기 잠금 부재는 각각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된다. 잠금 부재에는 고정부 하나, 탄성부 하나, 그리고 가이딩 부 하나가 있다. 탄성부는 고정부와 가이딩 부를 연결한다. 고정부의 일부분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며, 고정부의 나머지 일부분은 탄성부와 제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다. 가이딩 부에는 또한 캔틸레버 하나와 U형 가이딩 부재가 있다. 캔틸레버의 자유단은 U형 가이딩 부재를 형성한다. 캔틸레버와 U형 가이딩 부재는 제 1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 2 전극은 제 1 전극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부동 부재는 하우징을 결합한다. 부동 부재에는 제 2 본체 하나, 복수의 전극 홈, 그리고 복수의 잠금 홈이 있다. 잠금 홈에는 제 2 전극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 홈은 잠금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각각의 잠금 홈은 스냅 잠금 블록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 부재는 잠금 홈에 삽입되어 제 1 전극이 제 2 전극을 연결하게 하며, 상기 가이딩 부는 잠금 홈으로 들어가 하우징을 부동 부재에 고정시킨다.
기존의 커넥터들과 비교해서, 본 고안이 제시하는 유동형 커넥터는 수형 부품과 암형 부품이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하는 사람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전기적 연결을 진행할 수 있게 하며, 조립 과정에서는 금속 재질의 잠금 부재가 비금속 재질의 부동 부재를 고착시키는 것을 통해 부동 부재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유동형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앞에서 본 도이다.
도 2c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옆에서 본 도이다.
도 2d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뒤에서 본 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옆에서 본 도이다.
도 3c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동 부재, 제 2 전극 및 제 1 전극의 조합을 보여 주는 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유동 부재와 제 2 전극을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5b는 도 2의 유동 부재와 제 2 전극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유동형 커넥터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유동형 커넥터의 A-A' 횡단면을 보여 주는 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능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제시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하나' 또는 '한 개'로 유닛, 부품, 구성 부재 등을 묘사한다. 이는 단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고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박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함뿐이다. 따라서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묘사는 한 개 또는 최소한 한 개로, 그리고 단수 역시 동시에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는 …이 있다', '포함한다', '들어있다' 또는 기타 유사한 용어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포함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중요한 부재가 들어있는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는 본 설명서에 열거된 부재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았으나 상기 부품, 구조물, 제품 혹은 장치에 통상적으로 있는 고유한 기타 부재 역시 포함된다. 분명하게 별도의 뜻을 제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또는'이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다.
도 1을 참고한다. 이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의 유동형 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다. 도 1에서, 부동형 커넥터(10)에는 하우징(12) 하나, 제 1 전극(14), 잠금 부재(16), 제 2 전극(18), 그리고 부동 부재(20)가 있다. 여기서는 부동형 커넥터(10)가 두 개의 대응하는 측에 각각 두 개의 제 2 전극(18)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각각 두 개의 하우징(12)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부동형 커넥터(10)는 한 측, 양측, 심지어 여러 측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한 측 연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대응하는 측의 연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응 측 연결은 되풀이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부동형 커넥터(10)는 덮개(2)로 양측의 부동 부재(20)를 감싸서 부동 부재(20)가 덮개(2)를 통해서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상세히 보여 주는 도 2a 내지 도 2d를 같이 참고한다. 도 2a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고, 도 2b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앞에서 본 도이며, 도 2c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옆에서 본 도이고, 도 2d는 도 1의 하우징, 제 1 전극 및 잠금 부재를 뒤에서 본 도이다.
하우징(12)에는 제 1 본체(121)와 오프닝(122)이 있다. 제 1 본체(121)는 거치 공간(SP)을 형성한다.
오프닝(122)은 하우징(12)의 제 1 본체(121)에 설치되어 거치 공간(SP)과 하우징(12)의 외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오프닝(122)의 수량이 여러 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수량에는 제한이 없다.
제 1 전극(14)은 거치 공간(SP)에 설치되며, 제 1 전극(14)은 오프닝(122)을 통해서 거치 공간(SP) 밖으로 나온다. 제 1 전극(14)의 수량은 오프닝(122)의 수량과 같거나 적을 수 있다. 제 1 전극(14)은 신호 또는 전력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큰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폐열이 누적될 수 있으며, 이 때 오프닝(122)을 통해서, 특히 설치되지 않은 제 1 전극(14)의 오프닝(122)을 통해서 방열할 수 있다.
잠금 부재(16)는 하우징(12)의 양측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잠금 부재(16)의 수량이 두 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고안 도 2의 잠금 부재를 상세히 보여 주는 도 3a 내지 도 3b를 참고한다. 도 3a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옆에서 본 도이며, 도 3c는 도 2의 잠금 부재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잠금 부재(16)에는 또한 고정부(162) 하나, 탄성부(164) 하나, 그리고 가이딩 부(166) 하나가 있다. 탄성부(164)는 고정부(162)와 가이딩 부(166)를 연결한다. 고정부(162)의 일부분은 거치 공간(SP)에 설치된다. 고정부(162)의 나머지 일부분은 탄성부(164)와 제각기 하우징(12) 외부에 노출된다.
가이딩 부(166)에는 또한 캔틸레버(1662) 하나와 U형 가이딩 부재(1664) 하나가 있다. 캔틸레버(1662)의 자유단은 U형 가이딩 부재(1664)를 형성한다. 캔틸레버(1662)와 U형 가이딩 부재(1664)는 제 1 각도(θ를 이룬다. 제 1 각도(θ의 범위는 1도에서 5도 사이일 수 있다.
캔틸레버(1662)와 U형 가이딩 부재(1664)의 가장자리는 각각 가이딩 구조(16622),(166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가이딩 구조(16622), (16642)는 가이딩 각 혹은 경사면이며, 캔틸레버(1662)(혹은 U형 가이딩 부재(1664))는 순조롭게 나중에 설명하는 잠금 홈(206)에 슬라이딩 해 들어가거나 캔틸레버(1662)(혹은 U형 가이딩 부재(1664))가 잠금 홈(206)과 형성한 제 1 가이딩 경사면(2010)의 작용으로 잠금 홈(206)에 슬라이딩 해 들어간다.
잠금 부재(16)에는 또한 연결 부재(168)가 있다. 연결 부재(168)는 탄성부(164)와 가이딩 부(166)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168)와 탄성부(164)는 제 2 각도(θ를 이루며, 연결 부재(168)와 탄성부(164)는 제 3 각도(θ를 이룬다. 여기서 제 3 각도(θ는 제 2 각도(θ와 같거나 작다. 제 3 각도(θ가 제 2 각도(θ보다 작은 상황에서, 잠금 부재(16)의 캔틸레버(1662)와 잠금 부재(16)가 잠금 홈(206)에 삽입되는 방향은 제 1 각도(θ 차이가 난다. 즉 도 3c을 예로 든다.
도 4를 같이 참고한다. 이는 도 1의 유동 부재, 제 2 전극 및 제 1 전극의 조합을 보여 주는 도이다. 그리고 도 1의 부동 부재 및 제 2 전극을 상세히 보여 주는 도 5a 및 도 5b를 같이 참고한다. 도 5a는 도 2의 유동 부재와 제 2 전극을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도이며, 도 5b는 도 2의 유동 부재와 제 2 전극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다.
도 4 및 도 5a에서, 제 2 전극(18)은 제 1 전극(14)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 때 제 2 전극(18)의 수량은 제 1 전극(14)의 수량과 같다.
부동 부재(20)는 하우징(12)을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부동 부재(20)에는 제 2 본체(202), 전극 홈(204), 그리고 잠금 홈(206)이 있다. 여기서는 전극 홈(204) 및 잠금 홈(206)은 제 2 본체(202)의 같은 측에 형성되어 하우징(12)을 결합하는 데 사용되고 전극 홈(204)의 수량은 다섯 개, 잠금 홈(206)은 두 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극 홈(204)은 잠금 홈(206)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전극 홈(204)은 제 2 전극(18)을 설치하고 잠금 홈(206)은 잠금 부재(16)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잠금 홈(206)은 잠금 부재(16)(특히 U형 가이딩 부재(1664))를 잠금 홈(206)에 편리하게 스냅 고정시켜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스냅 고정 블록(208)을 형성하며, 이는 잠금 홈(206)을 향해 연장 돌출한다.
상기 잠금 홈(206)이 제 1 가이딩 경사면(2010)을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전극 홈(204)도 제 2 가이딩 경사면(2012)을 형성할 수 있어 제 1 전극(14)이 제 2 가이딩 경사면(2012)을 통해 제 2 전극(18)에 가이딩 되어 제 1 전극(14)이 제 2 전극(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도 5b에서, 부동 부재(20)가 두 개 있을 경우, 절연체4를 통해서 두 개의 부동 부재(20)를 격리시킬 수 있다.
본 고안 도 1의 부동형 커넥터를 보여 주는 도 6a 및 도 6b를 같이 참고한다. 도 6a는 도 1의 유동형 커넥터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유동형 커넥터의 A-A' 횡단면을 보여 주는 도이다.
도 6b에서, 잠금 부재(16)의 가이딩 부(166)가 잠금 홈(206)에 삽입된 후, 제 1 전극(14)이 제 2 전극(18)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2)과 부동 부재(20)가 U형 가이딩 부재(1664)를 스냅 고정 블록(208)에 위치를 제한시키는 것을 통해 하우징(12)이 부동 부재(20)에 잠금 고정되게 한다.
상기 실시예로 본 고안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이가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주의할 점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것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을 준거로 해야 할 것이다.
2 덮개
10 유동형 커넥터
12 하우징
121 제 1 본체
122 개구
14 제 1 전극
16 잠금 부재
162 고정부
164 탄성부
166 가이딩 부
1662 캔틸레버
16622, 16642 가이딩 구조
1664 U형 가이딩 부재
168 연결 부재
18 제 2 전극
20 유동 부재
202 제 2 본체
204 전극 홈
206 잠금 홈
2010 제 1 가이딩 경사면
206 잠금 홈
208 스냅 잠금 블록
SP 거치 공간
θ1 제 1 각도
θ2 제 2 각도
θ3 제 3 각도

Claims (5)

  1. 하우징, 복수의 제 1 전극, 복수의 잠금 부재, 복수의 제 2 전극, 그리고 부동 부재가 들어있으며,
    하우징에는 제 1 본체와 복수의 오프닝이 있고, 제 1 본체는 거치 공간을 형성하며, 오프닝은 하우징에 설치되어 거치 공간과 하우징의 외부를 연결하며,
    복수의 제 1 전극들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고, 제 1 전극들은 상기 오프닝을 통해서 거치 공간 밖으로 나오며,
    복수의 잠금 부재들은 제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되고, 각각의 잠금 부재에는 고정부, 탄성부 및 가이딩 부가 있으며, 탄성부는 고정부와 가이딩 부를 연결하고, 고정부의 일부분은 거치 공간에 설치되며, 고정부의 나머지 일부분은 탄성부와 제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며, 가이딩 부에는 또한 캔틸레버와 U형 가이딩 부재가 있고 캔틸레버의 자유단은 U형 가이딩 부재를 형성하며, 캔틸레버와 U형 가이딩 부재는 제 1 각도를 이루며,
    복수의 제 2 전극들은 제 1 전극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그리고
    부동 부재는 하우징을 결합하고, 부동 부재에는 제 2 본체, 복수의 전극 홈 및 복수의 잠금 홈이 있으며, 잠금 홈에는 제 2 전극이 설치되고, 잠금 홈들은 잠금 부재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잠금 부재들은 잠금 홈들에 삽입되어 제 1 전극들이 제 2 전극들을 연결하게 하며, 상기 가이딩 부들 잠금 홈들로 들어가 하우징을 부동 부재에 고정시키는 부동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의 캔틸레버는 잠금 부재들이 잠금 홈에 삽입되는 방향과 제 1 각도의 차이가 나는 부동형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캔틸레버와 각각의U형 가이딩 부재의 가장자리는 제각기 가이딩 구조를 형성하면, 가이딩 구조는 가이딩 각이거나 경사면인 부동형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에는 또한 복수의 연결 부재들이 있으며, 연결 부재는 탄성부 및 가이딩 부와 연결하고, 연결 부재는 탄성부와 제 2 각도를 이루고 또한 연결 부재와 탄성부는 제 3 각도를 이루며, 제 2 각도는 제 3 각도보다 작자 않은 부동형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잠금 홈에는 또한 스냅 고정 블록이 있어 상기 U형 가이딩 부재를 스냅 고정시키는 부동형 커넥터.
KR2020210002943U 2021-04-27 2021-09-28 부동형 커넥터 KR2004975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204746U TWM622361U (zh) 2021-04-27 2021-04-27 浮動連接器
TW110204746 202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41U true KR20220002641U (ko) 2022-11-03
KR200497546Y1 KR200497546Y1 (ko) 2023-12-11

Family

ID=7881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943U KR200497546Y1 (ko) 2021-04-27 2021-09-28 부동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5261U (ko)
KR (1) KR200497546Y1 (ko)
CN (1) CN216981014U (ko)
TW (1) TWM622361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501A (ja) * 2010-09-17 2012-04-2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KR20200045412A (ko)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00002214U (ko) * 2019-03-27 2020-10-08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JP3228255U (ja) * 2020-02-24 2020-10-15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ー
KR20210000672U (ko) * 2019-09-10 2021-03-19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8255B2 (ja) * 1999-01-08 2001-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アンブル信号発生器、及びユニークワード検出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4501A (ja) * 2010-09-17 2012-04-2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KR20200045412A (ko) * 2018-10-22 2020-05-0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200002214U (ko) * 2019-03-27 2020-10-08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로팅 커넥터
KR20210000672U (ko) * 2019-09-10 2021-03-19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커넥터
JP3228255U (ja) * 2020-02-24 2020-10-15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35261U (ja) 2021-12-09
CN216981014U (zh) 2022-07-15
TWM622361U (zh) 2022-01-21
KR200497546Y1 (ko)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7854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8025874A1 (ja) コネクタ
US78459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WO2018025873A1 (ja) コネクタ
JP4494441B2 (ja) 電気コネクタ
CN110911900B (zh) 连接器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9171972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806529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JP6462634B2 (ja) コネクタ
JP600635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TWI508393B (zh) Connectors and electronic machines
CN212323275U (zh) 浮动连接器
US2015005683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081873A (ja) コネクタ及び複合コネクタ
TWI424806B (zh) 用於電氣連接器模組組合之屏蔽元件
JP2004296769A (ja) 伝送基板及びこれとコネクタとを接続して成るコネクタ組立体
JP2004273270A (ja) 電気コネクタ
US6976887B2 (en) Lever-fitting connector assembly
JP4603501B2 (ja) コネクタ
KR20220002641U (ko) 유동형 커넥터
JP2019160489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031739B2 (en) Protective plug for connector
JP474867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