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37A -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37A
KR20220002637A KR1020217039332A KR20217039332A KR20220002637A KR 20220002637 A KR20220002637 A KR 20220002637A KR 1020217039332 A KR1020217039332 A KR 1020217039332A KR 20217039332 A KR20217039332 A KR 20217039332A KR 20220002637 A KR20220002637 A KR 2022000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electronic device
laser
laser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609B1 (ko
Inventor
씨앙난 류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Abstract

전자 장치(100) 및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5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3);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4);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본 출원은 상업적인 전자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5월 31일 중국지식재산권국에 제출하고, 특허 출원번호가 201910470396.9인 특허 출원의 우선권 및 권익을 청구하고, 참조로서 본 발명에 통합된다.
종래의 레이저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레이저 프로젝터는 통상적으로 휴대폰의 전면 쉘에 설치되고, 레이저 프로젝터는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전면 사용 상태에서만 사용된다. 예를 들면, 레이저 프로젝터는 전면 심도 이미지 획득의 사용 상태에서만 사용됨으로, 휴대폰의 사용자가 레이저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면이 비교적 적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레이저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형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 상기 제2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자 장치는 하우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이저 프로젝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의 형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크다.
본 출원의 추가 측면 및 우점은 하기의 설명 부분에서 제공되고, 일부는 하기의 설명에서 더 분명해지거나,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해 이해된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추가 측면 및 이점은 아래의 도면과 결합하여 실시 방식에 대한 설명에서 더 분명해지거나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1 내지 도4는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5는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6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레이저 프로젝터의 레이저 광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7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8 내지 도13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14는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15는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시스템 아키텍처 개략도이다.
도16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17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원리 개략도이다.
도18 내지 도21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도22는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원리 개략도이다.
도23은 본 출원 일부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 개략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서 나타나고,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번호는 항상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 및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고, 본 출원의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적용되고,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및 레이저 프로젝터(14)를 포함하고,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12)은 회전 가능하게 제1 하우징(111)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1)이 접이 형태(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전개 형태(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있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제1 면(113)에 위치하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하우징(11)의 제1 면(113)과 반대되는 제2 면(114)에 설치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5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4; 를 포함한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포함하고, 홀 센서 어셈블리(16)는 제1 센서(161) 및 제2 센서(162)를 포함하고, 제1 센서(161)는 제2 하우징(112)과 가까운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2 센서(162)는 제1 하우징(111)과 가까운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센서(161)에 대응된다.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홀 센서 어셈블리(16)의 홀 값을 결정하는 단계0711;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712; 및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하우징(1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713; 를 포함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중력 센서(17)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중력 센서(17)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중력 센서(17)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중력 센서(17)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01414;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5; 및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6; 를 포함한다.
도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선택 버튼(18)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태 선택 버튼(18)을 통해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1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제2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보다 작고; 및/또는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141)을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에 의해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은 제2 모드에서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보다 적다.
도2 및 도1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1)의 제2 면(114)에 설치된 이미지 수집기(15)를 더 포함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고, 제어 방법은,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165;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166;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167; 를 더 포함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 방식은 전자 장치(100)를 더 제공한다.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레이저 프로젝터(14) 및 프로세서(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112)은 회전 가능하게 제1 하우징(111)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1)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제1 면(113)에 위치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하우징(111)의 제1 면(113)과 반대되는 제2 면(114)에 설치되어 있다. 프로세서(20)는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를 투사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데 사용된다.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크다.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더 포함한다. 홀 센서 어셈블리(16)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한다. 제1 센서는 제2 하우징(112)과 가까운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된다. 제2 센서는 제1 하우징(111)과 가까운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센서(161)에 대응된다.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더 사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의 홀 값을 획득하는데 더 사용되고;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중력 센서(17)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프로세서(20)는 중력 센서(17)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더 사용된다.
도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프로세서(20)는 중력 센서(17)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는데 더 사용되고;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상태 선택 버튼(18)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프로세서(20)는 상태 선택 버튼(18)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1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제2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보다 작고; 및/또는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141)를 포함하고; 제1 모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에 의해 점등되는 점광원(141)의 수량은 제2 모드에서 점등되는 점광원(141)의 수량보다 적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레이저 광원(140)을 포함하고, 레이저 광원(140)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141)를 포함하고; 복수의 점광원(141)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발광 어레이(142)를 형성하고; 복수의 발광 어레이(142)는 환상으로 배열된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발광 어레이(142)의 턴온 방식은,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발광 어레이(142)일수록 먼저 턴온하는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수집기(15) 및 프로세서(20)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하우징(111)의 제2 면(114)에 설치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는데 사용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20)는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수집기(15)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되고,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의 중심 연결선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중심 연결선에 수직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는 하우징(11) 외부에 노출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제2 하우징(112)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을 포함하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123)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11)은 본체(115) 및 돌출부(116)를 포함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과 돌출부(116)는 각각 본체(115)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돌출부(116)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본체(115)의 일단에 위치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돌출부(116)에 설치되고; 돌출부(116)는 본체(115)로부터 멀리 떨어진 돌출부 표면(117)을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돌출부 표면(117)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123)은 동일한 평면에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출원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및 레이저 프로젝터(14)를 포함하고,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12)은 회전 가능하게 제1 하우징(111)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전개 형태(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있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제1 면(113)에 위치하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하우징(11)의 제1 면(113)과 반대되는 제2 면(114)에 설치되어 있고; 도5를 참조하면,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5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도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54;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20)를 더 포함하고, 단계051는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단계052, 단계053 및 단계054는 모두 레이저 프로젝터(14)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는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 와치, 인바디 밴드, 스마트 헬멧, 스마트 안경 등), 가상 현실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전자 장치(100)가 휴대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전자 장치(100)의 형식은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은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112)은 회전 가능하게 제1 하우징(111)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한다.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의 제1 면(113) 및 제2 하우징(112)의 제1 면(113)은 하우징(11)의 동일 측에 있고, 제1 하우징(111)의 제2 면(114) 및 제2 하우징(112)의 제2 면(114)은 하우징(11)의 동일 측에 있다.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적층 설치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제1 면(11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서로 연결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을 포함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은 제1 하우징(111)의 제1 면(113)에 설치되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제2 하우징(112)의 제1 면(113)에 설치된다. 본 실시 방식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의 너비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의 너비보다 크고, 물론,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의 너비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의 너비와 같을 수도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제2 하우징(112)의 회전에 따라 벤딩될 수 있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은 각각 하우징(11)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하우징(11)의 동일 측에 위치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제1 면(113) 면적의 85% 및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85%, 86%, 87%, 88%, 89%, 90%, 91%, 92%, 93%, 95% 심지어 100%에 도달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영상은 문자,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등 정보일 수 있다.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하우징(111)의 제2 면(114)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위치한다. 하우징(11)이 접이 형상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하우징(11) 외부에 노출된다. 즉,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하우징(112)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수집기(15)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이미지 수집기(15)는 제2 면(114)에 설치되고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위치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의 중심 연결선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중심 연결선에 수직된다(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음). 물론, 기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의 중심 연결선은 제1 하우징(111)와 제2 하우징(112)의 중심 연결선에 평행될 수 있다.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이미지 수집기(15)와 협력하여 사용되어 측정할 물체의 심도 정보를 획득하고, 3D모델링, 3D이미지 생성, 거리 측정 등에 사용된다.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는 브라켓에 장착된 후, 브라켓, 레이저 프로젝터(14) 및 이미지 수집기(15)를 함께 제1 하우징(111)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는 제1 사용 상태 및 제2 사용 상태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해,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의 방향은 반대된다. 여기서, 제1 사용 상태는 전면 사용 상태일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전면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과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를 향하고, 이때, 사용자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이 디스플레이한 내용을 볼 수 있고,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사용하여 사용자 측으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레이저 프로젝터(14)(및 이미지 수집기(15))를 사용하여 얼굴 인식, 홍채 인식 등을 할 수 있다. 제2 사용 상태는 후면 사용 상태일 수 있고, 전자 장치(100)가 후면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과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와 반대되고,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은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를 향하고, 이때,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이 디스플레이한 내용을 볼 수 있고,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으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레이저 프로젝터(14)(및 이미지 수집기(15))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반대되는 전자 장치(100) 일측의 측정할 물체의 심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은 사용자를 향한다.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과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모두 사용자를 향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사용자와 반대되는 하우징(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이때,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과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이 디스플레이한 내용을 동시에 볼 수 있고, 사용자는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으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다. 즉,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후면 레이저 프로젝터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전자 장치(100)는 후면 사용 상태(제2 사용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는 모드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모드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전면 사용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되고, 제2 모드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후면 사용 상태에 있는 것에 대응되며, 제2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1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제2 모드에서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보다 작을 수 있어, 제2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가 제1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크도록 하고, 이때,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2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투사 거리)는 제1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투사거리)보다 크다. 동시에, 후면 사용 상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후면 거리 범위는, 전면 사용 상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전면 거리 범위보다 크다. 예를 들면,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전면 거리 범위가 25cm 이내에 있으나,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후면 거리 범위는 25cm보다 크고(25cm 내의 거리 범위의 정확도는 아주 낮음); 또는, 전면 거리 범위와 후면 거리 범위는 약간의 중첩이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전면 거리 범위가 25cm 내에 있으나,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협력하여 검출할 수 있는 후면 거리 범위는 20cm보다 크다.
본 출원의 전자 장치(100) 및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과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각각 하우징(11)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의 일측을 향해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 상태(전면 사용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제2 사용 상태(후면 사용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후면 구조형 광으로 사용될 수 있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2 사용 상태(후면 사용 상태)에서 투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제1 사용 상태(전면 사용 상태)에서 투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보다 큼으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동시에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장면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전자 장치(100)에 2개의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설치하여 각각 제1 사용 상태와 제2 사용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없고, 전자 장치(100)의 원가가 절감된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레이저 광원(140)을 포함하고, 레이저 광원(140)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141)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각 점광원(141)은 모두 독립적으로 온오프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에 의해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은 제2 모드에서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보다 적고, 이때, 각 점광원(141)이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같을 수 있음으로, 제2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크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2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도 제1 모드에서 투사한 레이저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보다 크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복수의 점광원(141)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발광 어레이(142)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각 발광 어레이(142)의 복수의 점광원(141)은 동시에 온오프할 수 있고, 이때 각 발광 어레이(142)의 복수의 점광원(141)의 파워는 같을 수 있다. 기타 실시 방식에서, 각 발광 어레이(142)의 복수의 점광원(141)도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 방식에서, 복수의 발광 어레이(142)는 환상으로 배열된다. 환상으로 배열된 발광 어레이(142)의 점광원(141)이 방출한 레이저는 더 넓은 시야를 커버할수 있고, 이로하여, 더 많은 측정할 물체의 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환상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투사 거리의 증대에 따라, 발광 어레이(142)의 턴온 방식은,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발광 어레이(142)일수록 먼저 턴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6에 결합하면, 발광 어레이(142)의 총수는 6개이고, 6개의 발광 어레이(142)는 5개의 환상 서브 어레이(143) 및 1개의 사각형 서브 어레이(144)를 포함하고,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방향에 따라, 5개의 환상 서브 어레이(143)가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순차적으로 배열된 5개의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번호는 A, B, C, D 및 E이다. 본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측을 향할 경우 번호가 A 및 B인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점광원(141)를 턴온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과 반대되는 일측에 있을 경우 번호가 A, B 및 C인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점광원(141)을 턴온하고, 또는 번호가 A, B, C 및 D인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점광원(141)을 턴온하며, 또는 번호가 A, B, C, D 및 E인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점광원(141)을 턴온하고, 또는 번호가 A, B, C, D 및 E인 환상 서브 어레이(143)의 점광원(141) 및 사각형 서브 어레이(144)의 점광원(141)을 턴온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제1 모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에 의해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이 제2 모드에서 턴온되는 점광원(141)의 수량보다 작음으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전면 사용 상태(제1 사용 상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후면 사용 상태(제2 사용 상태)에서 투사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작다.
이로하여, 레이저 프로젝터(14)의 회절 광학 소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회절 능력은 제한된 것이다. 즉, 레이저 광원(140)이 방출한 일부 레이저는 회절되지 않고 직접 사출되고, 직접 사출된 레이저는 회절 광학 소자의 회절 감쇠 작용을 거치지 않는다. 그러나 직접 사출한 레이저의 에너지가 비교적 크므로, 사용자의 눈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측을 향할 경우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한다. 즉,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투사 거리가 비교적 작을 경우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환상 서브 어레이(143)를 먼저 턴온하여, 레이저 광원(140)이 투사한 레이저가 회절 광학 소자의 회절 감쇠 작용을 거치지 않고 직접 사용자의 눈으로 투사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음으로,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측과 반대될 경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한다. 즉, 레이저 프로젝터(14)는 투사 거리가 비교적 클 경우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환상 서브 어레이(143)와 레이저 광원(140)의 중심과 가까운 환상 서브 어레이(143)를 동시에 턴온함으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투사한 레이저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증대한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포함하고, 홀 센서 어셈블리(16)는 제1 센서(161) 및 제2 센서(162)를 포함하고, 제1 센서(161)는 제2 하우징(112)과 가까운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2 센서(162)는 제1 하우징(111)과 가까운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센서(161)에 대응되고; 상기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방법은,
홀 센서 어셈블리(16)의 홀 값을 결정하는 단계0711;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712;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하우징(1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713;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7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7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74;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0711, 단계0712 및 단계0713은 상술한 단계051의 서브 단계일 수 있고, 단계07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73와 상술한 단계053는 거의 같으며, 단계07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20)는 단계0711, 단계0712 및 단계0713을 구현하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의 홀 값을 획득하는데 더 사용되고,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하우징(1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제1 센서(161)는 홀 센서(161)일 수 있고, 제2 센서(162)는 자석(162)일 수 있다. 여기서, 홀 센서(161)는 가우스미터 또는 수자 홀 센서일 수 있고, 홀 값은 가우스 값이다. 홀 센서(161)는 제2 하우징(112)과 가까운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되고, 자석(162)은 제1 하우징(111)과 가까운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홀 센서(161)에 대응된다. 도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자석(162)의 N극은 홀 센서(161)와 가까운 자석(162)의 일단에 위치하고, 자석(162)의 S극은 홀 센서(161)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석(162)의 일단에 위치한다. 도8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적층 설치되고, 자석(162)과 홀 센서(161)도 적층 설치된다. 물론, 도9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적층 설치되고, 자석(162)과 홀 센서(161)는 서로 엇갈릴 수도 있고, 홀 센서(161)는 자석(162)의 S극 일측에 위치한다. 자석(162)의 S극이 홀 센서(161)와 가까울 수록, 홀 센서(161)가 위치한 자기장은 강하고,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크고 플러스 값이며; 자석(162)의 N극이 홀 센서(161)와 가까울 수록,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은 작고, 마이너스 값이다.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홀 센서(161)의 홀 값이 -90이고, 제1 미리 설정된 값 -85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홀 센서(161)의 홀 값이 40이고, 제2 미리 설정된 값 35보다 클 경우,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물론, 제1 미리 설정된 값과 제2 미리 설정된 값의 크기는 자석(162)의 특성, 홀 센서(161)와 자석(162) 사이의 거리 등 요소와 관련되고; 자석(162)의 특성은 자석(162)의 재료, 형상 및 크기 등을 포함하고; 홀 센서(161)와 자석(162) 사이의 거리가 작을 수록,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절대치)이 크다.
본 출원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100) 및 제어 방법은 홀 센서 어셈블리(16)를 통해 하우징(11)의 형태를 결정함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하우징(11)의 형태를 선택하지 않아도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제1 센서(161)는 제2 하우징(112)과 가까운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되며, 제2 센서(162)는 제1 하우징(111)과 가까운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센서(161)에 대응되고, 제2 하우징(112)이 제1 하우징(111)에 대해 회전할 경우, 홀 센서 어셈블리(16)가 수집한 홀 값의 변화는 비교적 큼으로, 프로세서(20)는 홀 센서 어셈블리(16)가 수집한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홀 센서 어셈블리(16)가 하우징(11)의 형태를 정확히 결정하도록 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기타 실시 방식에서, 제1 센서(161)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하우징(111)의 일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2 센서(162)는 제1 하우징(1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하우징(112)의 일단에 설치되고 제1 센서(161)에 대응된다. 도10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자석(162)의 N극은 홀 센서(161)와 가까운 자석(162)의 일단에 위치하고, 자석(162)의 S극은 홀 센서(161)로부터 멀리 떨어진 자석(162)의 일단에 위치하며, 이때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은 비교적 작다. 도11을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적층 설치되고, 자석(162)과 홀 센서(161)도 적층 설치된다. 물론, 도1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은 적층 설치되고, 자석(162)과 홀 센서(161)는 서로 엇갈릴 수도 있고, 홀 센서(161)는 자석(162)의 S극 일측에 위치한다. 자석(162)의 S극이 홀 센서(161)와 가까울 수록, 홀 센서(161)가 위치한 자기장은 강하고,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크고 플러스 값이며; 자석(162)의 N극이 홀 센서(161)와 가까울 수록,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은 작고 마이너스 값(또는 0)이다.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홀 센서(161)의 홀 값이 0이고, 제1 미리 설정된 값인 5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홀 센서(161)가 수집한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홀 센서(161)의 홀 값이 40이고, 제2 미리 설정된 값인 35보다 클 경우,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13 및 도1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중력 센서(17)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중력 센서(17)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방법은,
홀 센서 어셈블리(16)의 홀 값을 결정하는 단계01411;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하우징(111)이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2;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하우징(111)이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3;
중력 센서(17)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01414;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5;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01416;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4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4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44;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01411과 상술한 단계0711은 거의 같고, 단계01412와 상술한 단계0712는 거의 같고, 단계01413과 상술한 단계0713은 거의 같으며, 단계01414, 단계01415 및 단계01416은 상술한 단계051의 서브 단계일 수 있고, 단계0142과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14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14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중력 센서(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로세서(20)는 중력 센서(17)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20)는 단계01414, 단계01415 및 단계01416을 구현하는데 더 사용된다. 즉, 프로세서(20)는 중력 센서(17)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고,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데 더 사용된다.
본 실시 방식에서, 중력 센서(17)는 제2 하우징(112)에 설치되고, 중력 센서(17)는 3축 가속도 센서(16)를 포함한다. 도13을 참조하면, 도13은 3축 가속도 센서(17)가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원리 개략도이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y축 및 z축은 모두 제2 하우징(112)의 위치에 대한 것이고, 통상적으로 y축의 방향은 제2 하우징(112)의 위로 방향이고, x축의 방향은 제2 하우징(112)이 오른쪽 방향이고, z축의 방향은 제2 하우징(112)의 제1 면(113)에 수직되는 바깥쪽 방향이다. z축의 수치(가속도 값)은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의 방향에 대응된다.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휴대폰)를 사용하는 각도로 관찰하고, 전자 장치(100)를 테이블에 평평하게 놓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을 위로 향하도록 할 경우, x축의 수치를 기본값 0으로 하고, y축의 수치를 기본값 0으로 하고, z축의 수치를 기본값 9.81m/s2로 하고; 전자 장치(100)를 아래로 향하도록 테이블에 놓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을 아래로 향하도록 할 경우, x축의 수치를 기본값 0으로 하고, y축의 수치를 기본값 0으로 하고, z축의 수치를 -9.81m/s2로 하고; 전자 장치(100)를 왼쪽으로 기울일 경우, x축의 수치는 플러스 값이고; 전자 장치(100)를 오른쪽으로 기울일 경우, x축의 수치는 마이너스 값이고; 전자 장치(100)를 위로 기울일 경우, y축의 수치는 마이너스 값이고; 전자 장치(100)를 아래로 기울일 경우, y축의 수치는 플러스 값이다.
본 실시 방식에서,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프로세서(20)가 획득한 중력 센서(17)의 z축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중력 센서(17)의 z축 수치가 6m/s2이고, 제1 미리 설정된 값인 3m/s2보다 클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쪽을 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때, 프로세서(20)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20)가 획득한 중력 센서(17)의 z축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예를 들면, 프로세서(20)가 획득한 중력 센서(17)의 z축 수치가 -6m/s2이고, 제2 미리 설정된 값인 -3m/s2보다 작을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이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쪽을 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때, 프로세서(20)는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출원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100) 및 제어 방법은 중력 센서(17)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함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선택하지 않아도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사용하여 대응되는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킨다.
도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선택 버튼(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태 선택 버튼(18)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상태 선택 버튼(18)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태 선택 버튼(18)은 물리적 버튼일 수 있고 제1 상태 버튼(181) 및 제2 상태 버튼(182)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프로세서(20)가 제1 상태 버튼(181)이 트리거링되었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프로세서(20)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측을 향한 것으로 결정하고; 프로세서(20)가 제2 상태 버튼(182)이 트리거링되었음을 검출하였을 경우, 프로세서(20)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2) 측과 반대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기타 실시 방식에서, 상태 선택 버튼(18)은 가상 버튼일 수 있고, 상태 선택 버튼(18)은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선택 버튼(18)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이 디스플레이한 상태 전환 버튼일 수 있다.
본 출원 실시 방식의 전자 장치(100) 및 제어 방법은 상태 선택 버튼(18)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함으로,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수요되는 사용 상태를 정확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가시광선 카메라(40)를 더 포함하고, 가시광선 카메라(40)는 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를 포함하고, 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는 모두 제1 하우징(111)에 장착되고, 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있는 면에 위치한다. 메인 카메라(41)는 광각 카메라일 수 있고, 광각 카메라는 운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고, 비교적 낮은 셔터 속도는 이미지 촬영의 선명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광각 카메라의 시야 범위는 크고, 광 범위한 장면을 커버할 수 있고, 전경을 강조하고 원근 대비를 돌출히 할 수 있다. 보조 카메라(42)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고, 망원 카메라의 망원 렌즈는, 더욱 먼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카메라(41)는 컬러 카메라이고, 보조 카메라(42)는 흑백 카메라이다. 당해 카메라는 여러 개일 수 있고, 3개 또는 4개 또는 더 많을 수 있다. 본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 보조 카메라(42), 메인 카메라(41) 및 이미지 수집기(15)는 순차적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 보조 카메라(42), 메인 카메라(41) 및 이미지 수집기(15)의 중심 연결선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중심 연결선에 수직된다. 기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 보조 카메라(42), 메인 카메라(41) 및 이미지 수집기(15)의 중심 연결선은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의 중심 연결선에 평행될 수도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122)은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12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1)은 본체(115) 및 돌출부(116)를 포함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121) 및 돌출부(116)는 각각 본체(115)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고,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돌출부(116)는 제2 하우징(1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본체(115)의 일단에 위치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돌출부(116)에 설치되고; 돌출부(116)는 본체(115)로부터 멀리 떨어진 돌출부 표면(117)을 포함하고,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돌출부 표면(117)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123)은 동일한 평면에 있다. 이로하여,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전자 장치(100)의 외관은 더 아름답다.
도1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는 레이저 광원(140) 및 제1 구동부(147)를 포함하고, 제1 구동부(147)는 레이저 광원(140)을 구동하여 측정할 물체에 레이저를 투사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는 모두 프로세서(20)와 연결된다. 프로세서(20)는 레이저 프로젝터(14)에 이네이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제1 구동부(147)에 이네이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수집기(15)는 I2C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20)와 연결한다.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외부로 레이저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 레이저룰 방출할 수 있고, 레이저가 장면의 물체에 도달한 후 반사되고, 반사된 레이저는 이미지 수집기(15)에 의해 수신되며, 프로세서(20)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레이저 및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신한 레이저에 따라 물체의 심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는 비행 시간(Time of flight, TOF) 거리 측정법으로 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는 구조광 거리 측정 원리로 심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는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구조광 거리 측정 원리로 심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때,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적외선 레이저 송신기이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적외선 카메라이다.
이미지 수집기(15)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협력하여 사용될 경우, 일 예시에서, 이미지 수집기(15)는 스트로브 신호(strobe 신호)를 통해 레이저 프로젝터(14)의 투사 타이밍을 제어하고, 여기서, strobe 신호는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타이밍에 따라 생성된 것이고, strobe 신호는 고레벨과 저레벨이 교대로 있는 전기 신호로 간주될 수 있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strobe가 지시하는 레이저 투사 타이밍으로 레이저를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 명령을 송신하여 레이저 프로젝터(14) 및 이미지 수집기(15)를 턴온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 및 이미지 수집기(15)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미지 수집기(15)가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strobe 신호를 통해 스위칭 장치(30)를 제어하고, strobe 신호가 고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1 구동부(147)에 제1 펄스 신호(pwn1)를 송신하고, 제1 구동부(147)는 제1 펄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140)이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도록 구동하고, strobe 신호가 저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1 펄스 신호를 제1 구동부(147)에 전송하는 것을 중지하고, 레이저 광원(140)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는다. 또는, strobe 신호가 저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1 구동부(147)에 제1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제1 구동부(147)는 제1 펄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140)이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도록 구동하고, strobe 신호가 고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1 펄스 신호를 제1 구동부(147)에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고, 레이저 광원(140)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이미지 수집기(15)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협력할 경우 strobe 신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때,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이미지 수집기(15)에 송신하는 동시에 레이저 투사 명령을 제1 구동부(147)에 송신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기 시작하고, 제1 구동부(147)는 레이저 투사 명령을 수신하였을 경우 레이저 광원(140)이 레이저를 투사하도록 구동한다.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레이저는 반점이 있는 레이저 패턴을 형성하여 장면의 측정할 물체에 투사한다. 이미지 수집기(15)는 측정할 물체가 반사한 레이저 패턴을 수집하여 스펙클 이미지를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를 통해 스펙클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한다. 이미지 수집기(15)가 각 프레임의 스펙클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할 때마다, 프로세서(20)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0)는 스펙클 이미지 및 프로세서(20)에 미리 저장된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할 수 있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가시광선 카메라(40)도 I2C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20)와 연결된다. 즉, 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는 모두 I2C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20)와 연결된다. 이로하여 가시광선 카메라(40)는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즉, 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는 모두 가시광선 이미지를 각각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는 협력하여 가시광선 이미지를 함께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즉, 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는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시광선 카메라(40)(메인 카메라(41) 및/또는 보조 카메라(42))가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할 때마다, 프로세서(20)는 하나의 데이트 스트림을 수신한다. 가시광선 카메라(40)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시광선 이미지만을 획득하고 싶을 경우,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가시광선 카메라(40)(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에 이미지 수집 명령을 송신하여 가시광선 카메라(40)를 턴온하여 작동되게 한다. 가시광선 카메라(40)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장면의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20)에 가시광선 이미지를 송신한다. 가시광선 카메라(40)(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 중 임의 하나, 또는 메인 카메라(41)와 보조 카메라(42)가 함께)는 레이저 프로젝터(14) 및 이미지 수집기(15)와 협력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가시광선 이미지와 심도 이미지를 통해 3D이미지를 획득하고 싶을 때,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의 작동 주파수가 같을 경우,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는 sync 신호를 통해 하드웨어 동기화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기(15)에 이미지 수집 명령을 송신한다. 이미지 수집기(15)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strobe 신호를 통해 스위칭 장치(30)가 제1 구동부(147)에 제1 펄스 신호(pwn1)를 송신하도록 제어하여, 제1 구동부(147)가 제1 펄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140)이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구동하고; 동시에,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 사이는 sync 신호를 통해 동기화되고, 당해 sync 신호는 가시광선 카메라(40)가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도13 및 도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1)의 제1 면(113)에 설치된 투광 조명등(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조명등(50)은 장면에 균일한 표면광을 방출할 수 있고, 투광 조명등(50)은 투광 광원(51) 및 제2 구동부(52)를 포함하고, 제2 구동부(52)는 투광 광원(51)이 균일한 표면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투광 조명등(50)이 송신한 광은 적외선 또는 기타 불가시광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투광 조명등(50)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투광 조명등(50)이 방출한 광의 형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광 조명등(50)은 프로세서(2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0)는 투광 조명등(50)을 구동하는데 이네이블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제2 구동부(52)에 이네이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투광 조명등(50)은 이미지 수집기(15)와 협력하여 작동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이미지 수집기(15)와 투광 조명등(50)이 협력하여 사용될 경우, 일 예시에서, 이미지 수집기(15)는 스트로브 신호(strobe 신호, 당해 strobe 신호와 이미지 수집기(15)가 레이저 프로젝터(14)를 제어하는 strobe 신호는 2개의 독립적인 strobe 신호임)를 통해 투광 조명등(50)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고, strobe 신호는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타이밍에 따라 생성된 것이고, strobe 신호는 고레벨과 저레벨이 교대로 있는 전기 신호로 간주될 수 있고, 투광 조명등(50)은 strobe 신호가 지시하는 적외선 방출 타이밍에 따라 적외선을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기(15)에 이미지 수집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이미지 수집기(15)가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strobe 신호를 통해 스위칭 장치(30)를 제어하고, strobe 신호가 고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2 구동부(52)에 제2 펄스 신호(pwn2)를 송신하고, 제2 구동부(52)는 제2 펄스 신호에 따라 투광 광원(51)이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제어하고, strobe가 저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2 펄스 신호를 제2 구동부(52)에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고, 투광 광원(51)은 적외선을 방출하지 않는다. 또는, strobe 신호가 저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2 구동부(52)에 제2 펄스 신호를 송신하고, 제2 구동부(52)는 제2 펄스 신호에 따라 투광 광원(51)이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제어하고, strobe 신호가 고레벨일 경우, 스위칭 장치(30)는 제2 펄스 신호를 제2 구동부(52)에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고, 투광 광원(51)은 적외선을 방출하지 않는다. 투광 조명등(50)이 적외선을 방출할 경우, 이미지 수집기(15)는 장면의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형성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외선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한다. 이미지 수집기(15)가 각 프레임의 적외선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할 때마다, 프로세서(20)는 1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당해 적외선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홍채 인식, 얼굴 인식 등에 사용된다.
도2 및 도1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하우징(111)의 제2 면(114)에 설치된 이미지 수집기(15)를 더 포함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또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고, 제어 방법은,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165 ;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166;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167; 를 포함한다.
즉,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16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6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6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64;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165 ;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166;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167;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0161과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16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16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16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다. 이미지 수집기(15)는 단계0165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20)는 단계0166 및 단계0167을 구현하는데 더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수집기(15)는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20)는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데 사용되고,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수집기(15)와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작동 주파수가부동(즉, 제2 작동 주파수가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큼)할 경우, 심도 이미지를 획득해야 하며, 예를 들면, 잠금 해제, 결제, 복호화, 3D 모델링 등 사용 장면이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기(15)와 제1 구동부(147)에 동시에 심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송신한다. 제1 구동부(147)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레이저 광원(140)을 구동하여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적외선 레이저를 방출하도록 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제2 작동 주파수로 장면의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수집하여 수집 이미지를 획득한다. 예를 들면,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방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점선은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타이밍 및 수집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고, 쇄선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획득한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도17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선, 점선 및 쇄선이고, 여기서, 제2 작동 주파수는 제1 작동 주파수의 2배이다. 도17의 실선과 점선 부분을 참조하면, 이미지 수집기(15)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경우 먼저 환경의 적외선(이하 "환경 적외선"이라고 함)을 수신하여 제N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1 이미지이고, 배경 이미지라고도 함)를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환경 적외선 및 레이저 프로젝터(14)에서 송신한 적외선 레이저를 수신하여 제N+1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2 이미지이고, 간섭 스펙클 이미지라고도 함)을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1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고; 그 다음 이미지 수집기(15)는 다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경우 환경 적외선을 수집하여 제N +2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1 이미지라고 함)를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 +2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는 등, 이미지 수집기(15)는 교대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기(15)에 심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수집 명령을 송신한다. 이미지 수집기(15)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strobe 신호를 통해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구동부(147)에 제1 펄스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제1 구동부(147)는 제1 펄스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140)을 제어하여 제1 작동 주파수로 레이저를 투사(즉,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제1 작동 주파수로 레이저를 투사함)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미지 수집기(15)는 제2 작동 주파수로 장면의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수집하여 수집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방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점선은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타이밍 및 수집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고, 쇄선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획득한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도17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선, 점선 및 쇄선이고, 여기서, 제2 작동 주파수는 제1 작동 주파수의 2배이다. 도17의 실선과 점선 부분을 참조하면, 이미지 수집기(15)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경우 먼저 환경 적외선을 수신하여 제N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1 이미지이고, 배경 이미지라고도 함)를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고; 그 다음 이미지 수집기(15)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환경 적외선 및 레이저 프로젝터(14)에서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를 수신하여 제N+1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2 이미지이고, 간섭 스펙클 이미지라고도 함)을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1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고; 그 다음 이미지 수집기(15)는 다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경우 환경 적외선을 수집하여 제N +2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이때는 제1 이미지라고 함)를 획득하고,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N +2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는 등, 이미지 수집기(15)는 교대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이미지 수집기(15)는 수집 이미지를 프로세서(20)에 송신하는 동시에 수집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수집기(15)는 먼저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다음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당해 순서에 따라 교대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작동 주파수와 제1 작동 주파수 사이의 배수 관계는 예시적인 것일 뿐, 기타 실시예에서, 제2 작동 주파수와 제1 작동 주파수 사이의 배수 관계는 3배, 4배, 5배 및 6배 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신된 수집 이미지에 대해 구별하고, 수집 이미지가 제1 이미지인지 제2 이미지인지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제1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제2 이미지를 수신한 후,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경우 수집한 것이므로, 제1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선은 환경 적외선만을 포함하고, 제2 이미지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수집한 것이므로, 제2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선은 환경 적외선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를 동시에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0)는 제1 이미지에 따라 제2 이미지에서 환경 적외선에 의해 형성된 수집 이미지 부분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 적외선 레이저만으로 형성된 수집 이미지(즉, 적외선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스펙클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로하여, 환경광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와 파장이 동일한 적외선(예를 들면, 940nm를 포함한 환경 적외선)을 포함하고,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할 경우, 당해 부분의 적외선도 이미지 수집기(1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장면의 광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신한 광선에서 환경 적외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수집 이미지의 레이저 스펙클 포인트가 현저하지 않게 됨으로, 심도 이미지의 계산에 영향준다.
본 출원의 제어 방법은 레이저 프로젝터(14)와 이미지 수집기(15)가 부동한 작동 주파수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환경 적외선만으로 형성된 제1 이미지 및 환경 적외선과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 제2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고, 제1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2 이미지에서 환경 적외선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 부분을 제거하여, 레이저 스펙클 포인트를 구별할 수 있으며,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만으로 형성된 수집 이미지를 사용하여 심도 이미지를 계산할 수 있고, 레이저 스펙클 매칭은 영향받지 않고, 심도 정보에 부분 또는 전부의 손실이 나타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 심도 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도2 및 도1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18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8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8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84;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185;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는 단계01861;
이미지 유형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8162;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187; 를 포함한다.
도2 및 도19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19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9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9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194;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195;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 따라 수집 시간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작동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19611;
작동 상태에 따라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는 단계019612;
이미지 유형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1962;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197;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0181와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18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18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18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고, 단계0185와 상술한 단계0165는 거의 같고, 단계01861과 단계01862는 상술한 단계0166의 서브 단계일 수 있으며, 단계0187과 상술한 단계0167은 거의 같고; 단계0191과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19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으며, 단계019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고, 단계019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고, 단계0195와 상술한 단계0165는 거의 같으며, 단계019611과 단계019612는 상술한 단계01861의 서브 단계일 수 있고, 단계01962와 상술한 단계01862는 거의 같고, 단계0197과 상술한 단계0167은 거의 같다. 단계01861, 단계01862, 단계019611, 단계019612 및 단계01962는 모두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있다. 즉,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고, 이미지 유형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는데 사용되고, 구체적으로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 따라 수집 시간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작동 상태를 결정하고, 작동 상태에 따라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기(15)에서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stream_type)을 추가하여, 후속 처리에서 이미지 유형에 따라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데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간,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기(15)에서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먼저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을 획득하고,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 따라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의 작동 상태가 레이저 투사인지 레이저 미투사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를 추가한다. 여기서,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이미지 수집기(15)가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시작 시간, 종결 시간, 시작 시간과 종결 시간 사이의 어느 하나의 시간 등일 수 있다. 이로하여,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당해 프레임 수집 이미지 획득 기간의 작동 상태(레이저 투사 또는 레이저 미투사)사이가 대응되고, 수집 이미지의 유형을 정확하게 구별하도록 구현한다. 일 예시에서, 이미지 유형 stream_type의 구조는 표1에 도시된 바와 같다.
stream_type
stream light
0 0 0
0 0 1
표1에서 stream이 0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은 적외선 및/또는 적외선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임을 나타낸다. light가 00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은 임의의 기기가 적외선 및/또는 적외선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는 상황(환경 적외선만 있음)에서 획득한 것임을 나타내고, 프로세서(20)는 수집 이미지에 000의 이미지 유형을 추가할 수 있어, 당해 수집 이미지를 제1 이미지로 식별한다. light가 01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적외선 레이저를 투사한 상황(환경 적외선도 있고, 적외선 레이저도 있음)에서 획득된 것임을 나타낸다. 프로세서(20)는 수집 이미지에 001의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여, 당해 수집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식별한다. 프로세서(20)는 후속으로 stream_type에 따라 수집 이미지의 이미지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도2 및 도2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20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0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0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04;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205;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206;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제3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2071 -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음 - ; 및
제3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2072;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0201과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20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20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20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고, 단계0205와 상술한 단계0165는 거의 같고, 단계0206과 상술한 단계0166은 거의 같으며, 단계02071과 단계02072는 상술한 단계0167의 서브 단계일 수도 있다. 단계02071 및 단계02072는 모두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제3 이미지를 계산하고, 제3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데 더 사용되고, 여기서,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다.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20)는 먼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구별하고, 수집 시간에 따라 임의 프레임의 제2 이미지 및 당해 임의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프레임의 제1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여기서 당해 특정 프레임의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당해 임의 프레임의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은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다. 그 다음, 프로세서(20)는 당해 특정 프레임의 제1 이미지 및 당해 임의 프레임의 제2 이미지에 따라 제3 이미지를 계산하고, 제3 이미지는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방출한 적외선 레이저만으로 형성된 수집 이미지이고, 실제 스펙클 이미지라고도 부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의 복수의 픽셀 포인트와 제2 이미지의 복수의 픽셀 포인트는 일대일 대응되고, 제1 이미지가 P1이고, 제2 이미지가 P2이며, 제3 이미지가 P3일 경우, 프로세서(20)는 제2 이미지의 픽셀 포인트 P2i, j의 픽셀 값에서 제1 이미지의 픽셀 포인트P1i, j의 픽셀 값을 감하여 제3 이미지의 픽셀 포인트P3i, j의 픽셀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즉, P3i, j=P2i, j-P1i, j, i∈N+, j∈N+이다. 그 다음, 프로세서(20)는 제3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이미지의 프레임 수,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 및 심도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모두 같다. 이로하여,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이 비교적 작으므로, 제1 이미지의 환경 적외선의 강도와 제2 이미지의 환경 적외선의 강도는 더 접근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계산해 낸 제3 이미지의 정확도는 더 높고, 환경 적외선이 심도 이미지의 획득에 대한 영양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제3 이미지 및 심도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할 수 있어, 수집 이미지를 처리한 후 획득한 각 데이터 스트림을 구별하는데 유리하다. 표2에 도시된 바와 같다.
stream_type
stream light
0 1 1
1 X X
표2의 stream가 0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이 적외선 및/또는 적외선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임을 나타내고, stream이 1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이 심도 이미지임을 나타낸다. light가 11일 경우, 배경 제거 처리를 나타내고, 배경 제거 처리는 수집 이미지에서 환경 적외선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고, 프로세서(20)는 배경 제거 처리 후의 데이터 스트림에 011의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여, 당해 데이터 스트림을 제3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Light가 XX일 경우, X는 값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프로세서(20)는 심도 계산 후 획득한 데이터 스트림에 1XX의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여, 당해 데이터 스트림을 심도 이미지로 식별한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심도 이미지 계산에 참여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에서,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 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 후에 위치할 수도 있고,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1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을 경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는 인접 프레임의 이미지일 수 있고, 비인접 프레임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작동 주파수가 제1 작동 주파수의 2배일 경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인접 프레임 이미지이고; 제2 작동 주파수와 제1 작동 주파수 사이의 배수가 2배보다 클 경우, 예를 들면, 제2 작동 주파수가 제1 작동 주파수의 3배일 경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은 인접 프레임 이미지일 수 있고, 비인접 프레임 이미지(이때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사이에는 일 프레임의 제1 이미지가 있음)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심도 이미지 계산에 참여한 제1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복수의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작동 주파수가 제1 작동 주파수의 3배일 경우, 인접한 2개 프레임의 제1 이미지 및 당해 2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와 인접한 1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3 이미지를 계산한다. 이때, 프로세서(20)는 먼저 2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대해 융합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 프레임의 제1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 포인트의 픽셀 값을 더하고 평균치를 획득하여 융합 처리된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융합 처리된 제1 이미지와 당해 인접한 1개 프레임의 제2 이미지를 사용하여 제3 이미지를 계산한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복수의 프레임의 제3 이미지를 계산할 수 있고, 도17의 제(N+1)-N 프레임의 제3 이미지, 제(N+3)-(N+2) 프레임의 제3 이미지, 제(N+5)-(N+4)프레임의 제3 이미지 등과 같고, 복수의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대응하여 복수의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물론, 기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1개 프레임의 제3 이미지만을 계산할 수도 있고, 1개 프레임의 제3 이미지에 대응하여 1개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응용 장면의 안전 등급에 따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응용 장면의 안전 등급이 비교적 높을 경우, 예를 들면, 결제 등 안전 등급이 비교적 높은 응용 장면에 있어서,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비교적 많아야 하고, 이때 복수의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와 사용자의 심도 템플릿이 매칭되어야 결제 동작을 할 수 있어, 결제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응용 장면의 안전 등급이 비교적 낮을 경우, 예를 들면, 심도 정보를 기반으로 초상 포토샵을 하는 응용 장면에 있어서,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비교적 적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프레임일 수 있고, 이때 1개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를 이용하면 초상 포토샵을 할 수 있다. 이로하여 프로세서(20)의 계상량 및 파워 소모를 감소시키고, 이미지 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2 및 도2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제3작동 주파수로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0218 - 제3작동 주파수는 제2 작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작음 - ;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와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수집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0219; 및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 및 수집 이미지의 이미지 유형에 따라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0220; 를 더 포함한다.
즉, 제어 방법은,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211;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12;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13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14;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215;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216;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217;
제3작동 주파수로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0218 - 제3작동 주파수는 제2 작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작음 - ;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와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수집 시간을 추가하는 단계0219; 및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 및 수집 이미지의 이미지 유형에 따라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0220;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0211과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212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213과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214와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고, 단계0215와 상술한 단계0165는 거의 같고, 단계0216과 상술한 단계0166은 거의 같으며, 단계0217과 상술한 단계0167은 거의 같다. 단계0218은 가시광선 카메라(40)(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 중 임의 하나, 또는 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가 함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0219와 단계0220은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가시광선 카메라(40)는 제3작동 주파수로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제3 작동 주파수는 제2 작동 주파수보다 크거나 작다.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와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수집 시간을 추가하고,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 및 수집 이미지의 이미지 유형에 따라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응용 장면에서, 예를 들면, 장면의 물체에 대해 3D모델링을 하는 응용 장면에서, 이미지 수집기(15)로 장면의 물체의 심도 정보를 획득하고, 가시광선 카메라(40)로 장면의 물체의 색채 정보를 획득해야, 3D모델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기(15)를 턴온하여 심도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시에 가시광선 카메라(40)를 턴온하여 가시광선 이미지를 획득해야 한다.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가 같은 작동 주파수를 구비할 경우, 즉,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가 모두 제2 작동 주파수로 작동할 경우,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 명령을 이미지 수집기(15)로 송신할 수 있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이미지 수집 명령을 수신한 후,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는 sync 신호를 통해 동기화되고, 당해 sync 신호는 가시광선 카메라(40)가 턴온되어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제어하여,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의 하드웨어 동기화를 구현한다. 이때, 수집 이미지의 프레임 수와 가시광선 이미지의 프레임 수는 일치하고,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와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는 일대일 대응된다.
그러나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의 작동 주파수가 부동할 경우, 즉, 이미지 수집기(15)는 제2 작동 주파수로 작동하고, 가시광선 카메라(40)는 제2 작동 주파수와 같지 않는 제3 작동 주파수로 작동할 경우,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는 하드웨어 동기화를 구현할 수 없다. 이때, 프로세서(20)는 소프트웨어 동기화 방식을 통해 이미지 수집기(15)와 가시광선 카메라(40)의 동기화를 구현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기(15)와 연결된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 명령을 이미지 수집기(15)로 송신하는 동시에, 가시광선 카메라(40)와 연결된 I2C 버스를 통해 이미지 수집 명령을 가시광선 카메라(40)로 송신한다.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하고, 각 프레임 수집 이미지에 수집 시간을 추가한다. 또한,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에 수집 시간을 추가한다. 여기서,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이미지 수집기(15)가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집하는 시작 시간, 종결 시간, 시작 시간과 종결 시간 사이의 임의 시간 등일 수 있고;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가시광선 카메라(40)가 각 프레임의 가시광선 이미지를 수집하는 시작 시간, 종결 시간, 시작 시간과 종결 시간 사이의 임의 시간 등일 수 있다. 후속 심도 이미지와 가시광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추가 처리(예를 들면 3D모델링, 심도 정보로 초상 포토샵 등 처리를 함)할 경우, 프로세서(20)는 먼저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 및 수집 이미지의 유형을 기반으로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동기화는 결정된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 차이값보다 작은 것을 가리키고,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 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 후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프로세서(20)는 결정된 제2 이미지에 따라 제1 이미지를 선택하고, 제2 이미지, 제1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20)는 심도 이미지와 결정된 가시광선 이미지를 기반으로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에 수집시간를 추가할 수도 있고, 가시광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과 심도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 따라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 및 심도 이미지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프레임 동기화된 가시광선 이미지 및 심도 이미지에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각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의 수집 시간은 당해 프레임의 심도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이다.
도2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수집 이미지는 적외선 이미지를 더 포함하고, 적외선 이미지는 이미지 수집기(15)가 투광 조명등(50)이 방출한 적외선을 수집하여 획득한 이미지이다. 프로세서(20)는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할 경우, 적외선 이미지에도 이미지 유형을 추가한다. 일 예시에서, 적외선 이미지의 이미지 유형은 표3에 도시된 바와 같다.
stream_type
stream light
0 1 0
표3의 stream이 0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은 적외선 및/또는 적외선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임을 나타낸다. Llght가 10일 경우, 이때의 데이터 스트림은 투광 조명등(50)이 적외선을 투사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은 상황에서 획득한 것임을 나타낸다. 프로세서(20)가 수집 이미지에 010의 이미지 유형을 추가할 경우, 당해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식별한다.
일부 응용 장면에서, 예를 들면 동시에 심도 이미지와 심도 템플릿의 매칭 및 적외선 이미지와 적외선 템플릿의 매칭을 기반으로 인증해야 하는 응용 장면에서, 이미지 수집기(15)는 투광 조명등(50) 및 레이저 프로젝터(14)와 협력하여 사용해야 하고, 이미지 수집기(15)는 시분할 방식으로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적외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은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방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2점 쇄선은 투광 조명등(50)이 적외선을 방출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점선은 이미지 수집기(15)가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타이밍 및 수집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며, 쇄선은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따라 획득한 제3 이미지의 프레임 수를 나타내고, 도22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선, 2점 쇄선, 점선 및 쇄선이고, 여기서, 제2 작동 주파수는 제1 작동 주파수의 3배이고, 제2 작동 주파수는 제4 작동 주파수의 3배이다. 프로세서(20)는 I2C 버스를 통해 투광 조명등(50)의 작동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이미지 수집기(15)에서 각 프레임의 수집 이미지를 수신할 때마다, 먼저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을 획득하고,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 따라 수집 이미지의 수집 시간에서 투광 조명등(50)의 작동 상태가 적외선 방출인지 적외선 미방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수집 이미지에 이미지 유형을 추가한다. 프로세서(20)는 후속으로 적외선 이미지의 수집 시간 및 제2 이미지의 수집 시간을 기반으로 수집 시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보다 작은 적외선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프로세서(20)는 적외선 이미지 및 심도 이미지를 결정해낼 수 있고, 당해 적외선 이미지 및 당해 심도 이미지를 사용하여 인증한다.
도2 및 도2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장면의 광도 및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0231;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형이 야외 장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0232; 및
그러할 경우,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233; 을 더 포함한다.
즉, 제어 방법은,
장면의 광도 및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0231;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형이 야외 장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0232;
그러할 경우, 하우징(11)의 형태 및 전자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0233;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34;
하우징(11)이 접이 형태에 있고 전자 장치(100)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35 - 제2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는 제1 모드에서 송신한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하우징(11)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14)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0236;
이미지 수집기(15)는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0237;
수집 이미지에서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레이저 프로젝터(14)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0238; 및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0239; 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0233과 상술한 단계051은 거의 같고, 단계0234와 상술한 단계052는 거의 같고, 단계0235와 상술한 단계053은 거의 같으며, 단계0236과 상술한 단계054는 거의 같고, 단계0237과 상술한 단계0165는 거의 같고, 단계0238과 상술한 단계0166은 거의 같으며, 단계0239와 상술한 단계0167은 거의 같다. 단계0231과 단계0232는 모두 프로세서(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는 장면의 광도 및 유형을 획득하고,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형이 야외 장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레이저 프로젝터(14)는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크고 유형이 야외 장면일 경우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장면의 광도는 이미지 수집기(15)가 획득한 수집 이미지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40)(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중 임의 하나, 또는메인 카메라(41) 및 보조 카메라(42)가 함께)가 획득한 가시광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장면의 광도는 광 센서로 직접 검출할 수 있고, 프로세서(20)는 광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판독하여 장면의 광도를 획득한다. 장면의 유형은 이미지 수집기(15)가 획득한 수집 이미지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40)가 획득한 가시광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집 이미지 또는 가시광선 카메라(40)가 획득한 가시광선 이미지 중의 물체를 분석하여 장면의 유형이 야외 장면인지 실내 장면인지를 판단하고; 장면의 유형은 지리 위치에 따라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글로벌 위성 측위 시스템이 장명에 대한 위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측위 결과에 따라 장면의 유형을 추가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측위 결과가 어느 오피스 빌딩일 경우, 장면이 실내 장면임을 설명하고; 측위 장면이 어느 공원일 경우, 장면이 야외 장면임을 설명하고; 측위 장면이 어느 거리일 경우, 장면이 야외 장면임을 설명한다.
이로하여, 장면의 광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예를 들면,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큼), 수집 이미지에서 환경 적외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반점 인식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클 수 있고, 이때 환경 적외선의 간섭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장면의 광도가 비교적 낮을 경우, 수집 이미지에서 환경 적외선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적고, 반점 인식에 대한 영향이 비교적 작을 수 있어, 무시해도 되고, 이때 이미지 수집기(15)와 레이저 프로젝터(14)는 같은 작동 주파수로 작동될 수 있고, 프로세서(20)는 직접 이미지 수집기(15)가 획득한 수집 이미지(즉, 제2 이미지)와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또한, 장면의 광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실내 조명 광선이 비교적 강하여 야기된 것일 수 있고, 조명 광선에 적외선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반점의 인식에 비교적 큰 영향을 생성하지 않고, 이때 이미지 수집기(15)와 레이저 프로젝터(14)는 같은 작동 주파수로 작동하고, 프로세서(20)는 직접 이미지 수집기(15)가 획득한 수집 이미지(즉, 제2 이미지)와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이로하여, 이미지 수집기(15)의 작동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이미지 수집기(15)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킨다.
물론, 일부 실시 방식에서, 제어 방법은 장면의 광도만을 기반으로 단계0233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는 장면의 광도만을 획득하고, 장면의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레이저 프로젝터(14)는 광도가 광도 역치보다 클 경우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레이저를 투사한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각 데이터 스트림에 상태 정보(status)를 추가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표4에 도시된 바와 같다.
stream_type status
stream light valid
0 0 0 0
0 0 1 0
0 1 0 0
0 1 1 1
1 X X 1
1 X X 0
상태 정보(status)가0일 경우, 당해 데이터 스트림이 배경 제거 처리를 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상태 정보(status)가 1일 경우, 당해 데이터 스트림이 배경 제거 처리를 하였음을 나타낸다. 표4의 0000는 제1 이미지를 나타내고; 0010는 제2 이미지를 나타내고; 0100은 투광 조명등(50)이 턴온할 경우 이미지 수집기(15)가 획득한 적외선 이미지를 나타내며; 0111은 제3 이미지를 나타내고; 1XX1은 배경 제거 처리를 한 심도 이미지를 나타내고; 1XX0은 배경 제거 처리를 하지 않은 심도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로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상태 정보를 추가하여 프로세서(20)가 각 데이터 스트림이 배경 제거 처리를 하였는지 여부를 구별하는데 편리하다.
일부 실시 방식에서, 프로세서(20)는 제1 저장 영역, 제2 저장 영역 및 논리 감산 회로를 포함하고, 논리 감산 회로는 제1 저장 영역 및 제2 저장 영역과 모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저장 영역은 제1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제2 저장 영역은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논리 감산 회로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처리하여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논리 감산 회로는 제1 저장 영역에서 제1 이미지를 판독하고, 제2 저장 영역에서 제2 이미지를 판독하고,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에 대해 감산 처리를 수행하여 제3 이미지를 획득한다. 논리 감산 회로는 프로세서(20)의 심도 계산 모듈(예를 들면, 전문적으로 심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집접 회로 ASIC 등)과 더 연결되고, 논리 감산 회로는 제3 이미지를 심도 계산 모듈에 송신하고, 심도 계산 모듈이 제3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 방식", "일부 실시 방식", "예시적 실시 방식", "일 예시",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와 함께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모두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순되지 않는 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시, 및 부동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구성을 결합 또는 조합할 수 있다.
흐름도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타 방식으로 설명된 임의 과정 또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특정 논리 기능 또는 과정의 단계의 수행 가능한 명령의 코드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포함함을 나타내고,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의 범위는 기타 구현을 포함하고, 여기서는 나타낸 바 또는 토론된 순서에 따르지 않아도 되고, 언급된 기능에 따라 기본 동시의 방식 또는 반대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고, 이는 본 출원 실시예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을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방식은 예시적인 것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 방식에 대해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레이저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하우징의 형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 상기 제2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큼 - ;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홀 센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에 대응되고;
    상기 하우징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홀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홀 센서 어셈블리의 홀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중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중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력 센서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선택 버튼을 통해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보다 작고; 및/또는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상기 제1 모드에서 턴온하는 상기 점광원의 수량은 상기 제2 모드에서 턴온하는 상기 점광원의 수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수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이미지 수집기가 상기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큰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수집 이미지에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하우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레이저 프로젝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 또는 전개 형태에 있도록 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우징의 형태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제2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송신한 상기 레이저의 에너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홀 센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운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센서에 대응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홀 센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홀 센서 어셈블리의 홀 값을 획득하고;
    상기 홀 값이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전개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홀 값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중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중력 센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중력 센서의 z축의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z축의 수치가 제1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z축의 수치가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사용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선택 버튼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는 파워보다 작고; 및/또는,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상기 제1 모드에서 턴온하는 상기 점광원의 수량은 상기 제2 모드에서 턴온하는 상기 점광원의 수량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레이저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광원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점광원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발광 어레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발광 어레이는 환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어레이의 턴온 방식은, 상기 레이저 광원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발광 어레이일수록 먼저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미지 수집기 및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수집기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레이저를 투사할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제1 작동 주파수로 장면에 상기 레이저를 투사하고;
    상기 이미지 수집기는 제2 작동 주파수로 수집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작동 주파수는 상기 제1 작동 주파수보다 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집 이미지에서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레이저를 투사하지 않을 때 수집한 제1 이미지 및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가 레이저를 투사할 때 수집한 제2 이미지를 구별하고;
    상기 제1 이미지, 상기 제2 이미지 및 참조 이미지에 따라 심도 이미지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이미지 수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와 상기 이미지 수집기의 중심 연결선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중심 연결선에 수직되고;
    상기 하우징이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와 상기 이미지 수집기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설치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본체 및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상기 돌출부는 각각 본체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이 전개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 프로젝터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돌출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이 형태에 있을 경우, 상기 돌출부 표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17039332A 2019-05-31 2020-04-23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599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70396.9A CN110213413B (zh) 2019-05-31 2019-05-31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201910470396.9 2019-05-31
PCT/CN2020/086459 WO2020238506A1 (zh) 2019-05-31 2020-04-23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7A true KR20220002637A (ko) 2022-01-06
KR102599609B1 KR102599609B1 (ko) 2023-11-06

Family

ID=6778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332A KR102599609B1 (ko) 2019-05-31 2020-04-23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8434B2 (ko)
EP (1) EP3968616A4 (ko)
JP (1) JP7376618B2 (ko)
KR (1) KR102599609B1 (ko)
CN (1) CN110213413B (ko)
WO (1) WO2020238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9660B (zh) * 2019-05-31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0213413B (zh) 2019-05-31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2565521B (zh) * 2019-09-26 2023-03-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126111B (zh) * 2019-12-30 2024-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飞行时间模组和电子设备
USD977996S1 (en) * 2020-12-18 2023-02-14 Research Products Corporatio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ler
USD977343S1 (en) * 2021-03-09 2023-02-07 Research Products Corporatio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ler
CN114428534B (zh) * 2022-01-12 2023-11-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546A (ko) * 2005-03-30 2008-01-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회전식 카메라 장치를 갖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CN107743156A (zh) * 2017-09-29 2018-02-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94451A (zh) * 2018-03-12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9167855A (zh) * 2018-09-18 2019-01-08 杭州禾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折叠屏的智能移动装置
CN208522805U (zh) * 2018-07-02 2019-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CN109391713A (zh) * 2018-12-20 2019-02-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0765A (ja) * 2001-08-16 2003-02-28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US7443657B2 (en) * 2004-07-21 2008-10-28 Motorola Inc Dual position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JP2006245799A (ja) * 2005-03-01 2006-09-14 Nec Saitama Ltd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おける警報出力制御方法及び警報出力制御プログラム
WO2007056110A2 (en) * 2005-11-02 2007-05-18 Microvision, Inc. Image projector with selectable display modes
WO2008036092A1 (en) * 2006-09-21 2008-03-27 Thomson Licensing A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odel acquisition
US20080172197A1 (en) * 2007-01-11 2008-07-17 Motorola, Inc. Single laser multi-color projection display with quantum dot screen
US20100091178A1 (en) * 2008-10-14 2010-04-15 Marko Eromaki Imaging device housing
KR101526998B1 (ko) * 2008-10-16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EP2178276B1 (en) * 2008-10-20 2014-07-30 LG Electronics Inc. Adaptation of recorded or shown image according to the orientation of a mobile terminal
JP5383276B2 (ja) * 2009-02-25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00309391A1 (en) * 2009-06-03 2010-12-09 Honeywood Technologies, Llc Multi-source projection-type display
JP5944093B2 (ja) * 2009-06-26 2016-07-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922625B2 (en) * 2009-11-19 2014-12-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GB0921461D0 (en) * 2009-12-08 2010-01-20 Qinetiq Ltd Range based sensing
US8264599B2 (en) * 2010-05-17 2012-09-11 Sunrex Technology Corp. Laptop with pivotal camera and micro-projector and screen as a replacement of display
US9097966B2 (en) * 2010-11-26 2015-08-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CN103197744A (zh) * 2013-05-02 2013-07-10 李增兴 无边框的电子装置
KR102131827B1 (ko) * 2013-12-03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5922639B2 (ja) * 2013-12-07 2016-05-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折り畳み式の電子機器、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方法
US20150347833A1 (en) * 2014-06-03 2015-12-03 Mark Ries Robinson Noncontact Biometrics with Small Footprint
CN107429998B (zh) * 2015-03-30 2018-10-02 富士胶片株式会社 距离图像获取装置以及距离图像获取方法
KR20170032761A (ko) * 2015-09-15 201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313657B2 (en) * 2015-12-25 2019-06-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epth map generation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KR102501142B1 (ko) * 2015-12-31 2023-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0955921B2 (en) * 2016-08-23 2021-03-2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optical user input modes and localized haptic respons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KR20180104970A (ko) * 2017-03-1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7172290B (zh) * 2017-06-02 2021-01-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控制方法和装置
CN107660097B (zh) * 2017-08-23 2020-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组件及电子装置
CN107331314A (zh) * 2017-08-23 2017-1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07613196A (zh) 2017-09-05 2018-0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自拍方法及其装置、电子设备
CN107896274B (zh) * 2017-10-27 2020-08-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红外发射器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677709B (zh) * 2018-01-09 2019-11-2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組件
CN108376251B (zh) * 2018-02-27 2020-04-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终端、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8227361B (zh) * 2018-03-12 2020-05-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8509867B (zh) * 2018-03-12 2020-06-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8333860B (zh) * 2018-03-12 2020-01-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108683795A (zh) * 2018-03-30 2018-10-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366148A (zh) 2018-05-25 2018-08-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装置
CN109066288A (zh) * 2018-05-30 2018-12-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激光投射器的控制系统、终端和激光投射器的控制方法
CN208424468U (zh) * 2018-07-13 2019-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327575B (zh) * 2018-11-16 2020-0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9327576B (zh) * 2018-11-16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9451105A (zh) * 2018-11-16 2019-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10213413B (zh) * 2019-05-31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2019674B (zh) * 2019-05-31 2021-10-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2019660B (zh) * 2019-05-31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US11496664B2 (en) * 2020-11-19 2022-11-0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modifying voice coil motor drive signals in response to influencing magnectic fields from device operating condi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546A (ko) * 2005-03-30 2008-01-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회전식 카메라 장치를 갖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CN107743156A (zh) * 2017-09-29 2018-02-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594451A (zh) * 2018-03-12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深度相机和电子装置
CN208522805U (zh) * 2018-07-02 2019-0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CN109167855A (zh) * 2018-09-18 2019-01-08 杭州禾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柔性折叠屏的智能移动装置
CN109391713A (zh) * 2018-12-20 2019-02-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6618B2 (ja) 2023-11-08
EP3968616A1 (en) 2022-03-16
US11838434B2 (en) 2023-12-05
CN110213413A (zh) 2019-09-06
US20220086268A1 (en) 2022-03-17
EP3968616A4 (en) 2022-06-29
CN110213413B (zh) 2021-05-14
WO2020238506A1 (zh) 2020-12-03
KR102599609B1 (ko) 2023-11-06
JP2022535520A (ja)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609B1 (ko)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23088304A1 (zh) 一种投影设备和投影区域修正方法
JP6186599B1 (ja) 投影装置
US8681255B2 (en) Integrated low power depth camera and projection device
US11210051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086266A1 (e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9043139A (ja) 位置検出装置
CN112204961B (zh) 从动态视觉传感器立体对和脉冲散斑图案投射器进行半密集深度估计
CN114830030A (zh) 捕获并生成全景三维图像的系统和方法
US11947045B2 (en)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447998B2 (en) Power efficient long range depth sensing
US20220067951A1 (en) Method for Acquiring Imag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6185420A2 (en) Special environment projection system
CN117608146A (zh) 一种rgb-ir 3d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