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54U - 수영 연습 기구 - Google Patents

수영 연습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54U
KR20220002354U KR2020210000924U KR20210000924U KR20220002354U KR 20220002354 U KR20220002354 U KR 20220002354U KR 2020210000924 U KR2020210000924 U KR 2020210000924U KR 20210000924 U KR20210000924 U KR 20210000924U KR 20220002354 U KR20220002354 U KR 20220002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mming
support
support means
body suppor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639Y1 (ko
Inventor
유솔희
조형민
Original Assignee
유솔희
조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솔희, 조형민 filed Critical 유솔희
Priority to KR2020210000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63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6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0Swimming instruction apparatus for use withou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0Swim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밖에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하는 수영 연습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센터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밑에서 받치기 위한 서포트수단; 및 상기 서포트수단 위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수단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영 연습 기구{Apparatus For Training Swimming}
본 고안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밖에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하는 수영 연습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 연습은 물속에서 이루어진다. 수영 연습을 위한 기구로는 물에 부상하는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수영강사로부터 자세 등을 교정받는 과정을 통해 수영을 배우게 된다. 그러나 물속에서 하는 수영 연습은 물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당사자에게는 고통이 될 수 있다.
한편 수영에는 일반적으로 4종류의 공식적인 영법이 있으며, 그 외에 비공식적으로 생존수영이라 불리는 영법도 있다. 이것은 해상 조난시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구조되기 까지 바다에서 버티기 위한 영법이다. 생존수영법을 미리 습득하게 되면 위급 상황시에도 목숨을 부지하기에 유리하다. 생존수영법의 기본은 물속에서 편안하게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체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영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의 기구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1726호가 그러한데, 이는 수영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ICT 수영보조기구를 제시한다. 이 종래기술은 수중에 부유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수중에 부유하는 중공의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자세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1042호 역시 수영 보조기구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신체의 양측에 위치되어 수중에서 일정한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구체와, 착용자의 신체 상단부에 고정하도록 일정 길이의 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구체와 연결되는 상단 고정밴드가 구비된 것이다. 이는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착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듯 종래의 수영 보조기구는 수중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밖에서도 수영 연습을 할 수 있다면 수영복을 갈아입지 않고서도 수영 연습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0172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104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물밖에서 수영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영 연습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속에서의 공포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생존수영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수영 연습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센터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밑에서 받치기 위한 서포트수단; 및 상기 서포트수단 위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수단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안전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수단은 일측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대와,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체지지대와 상체 지지대는 브이(V)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체지지대와 상체지지대 사이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에 사용자의 둔부가 닿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수단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포트수단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스토퍼수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밖에서 수영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영 연습 기구가 제공된다. 교습자와 피교습자가 동시에 물밖에서 일상복을 입고서도 수영 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여러모로 편리한 수영 연습 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물속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사용자도 수영법, 특히 생존수영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수영 연습 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영 연습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영 연습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영 연습 기구의 사용상태 사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영 연습 기구는 물밖에서 사용하는 수영 연습 기구로서 물속에서 신체가 느끼는 상태를 물밖에서 연출하는 작용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이를 위한 수영 연습 기구는 지면(E)에 놓이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신체를 지지하는 서포트수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이동성을 위해 바퀴(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는 고정성을 위하여 푸터(40, footer)를 가지고 있다. 푸터(4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직각으로 나사결합하는 나사봉(41)과, 나사봉(41)의 상단에 설치되는 조정핸들(42)과, 나사봉(41)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면(E)에 선택적으로 닿게 되는 받침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푸터(4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한쪽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13)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받침대(13)에는 지면(E)에 수평을 이루는 센터축(P)이 설치된다. 서포트수단이 센터축(P)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받침대(13) 상에 설치된다.
서포트수단은 교습자의 신체를 밑에서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시소와 같이 화살표(K) 방향으로 유동되게 설치된다.
안전바(12)가 서포트수단 위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서포트수단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안전바(12)에는 수영 연습 기구를 이동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이동핸들(12a)이 설치된다.
서포트수단은 일측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대(21)와,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22)를 포함한다(도 2 참조). 이들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는 브이(V)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의 각 상단에는 신체에 통증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쿠션체(30,31)가 설치된다. 쿠션체(30,31)는 봉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 사이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20)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서포트수단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시트(20)는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는 등받이 없는 의자 형태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먼저 시트(20)에 앉은 다음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에 몸을 눕히면 된다. 시트(2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시트(20)가 수평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시트(20)는 사용자가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에 올라갈 때나 내려올 때 이용되기도 하지만 사용시 안전을 위해서도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시트(20)는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이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둔부가 연습 과정에서 시트(20)의 상면에 닿거나 시트(20)를 어느 정도 힘 이상으로 누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신호는 경광등(12b)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수단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감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평감지부는 서포트수단이 수평선(HL)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녹색, 황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되는 경광등(12b)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을 잘 유지하고 있다면 경광등(12b)은 녹색으로 점등되고 그렇지 못한 경우는 적색으로 점등된다.
사용자가 서포트수단, 특히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에 위에 누운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애쓰는 과정이 수영 연습을 수행하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 위에서 능숙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면 물속에서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스토퍼수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은 안전을 위한 조치이다. 다양한 방식으로 서포트수단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체지지대(21) 및 상체지지대(22)가 받침대(13) 위에서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만 시소운동하도록 받침대(13), 하체지지대(21) 및 상체지지대(22)를 구조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체지지대(21) 및 상체지지대(22)가 너무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면 수평을 잡기가 너무 어렵다. 따라서 수평을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댐퍼가 더 설치된다.
댐퍼는 상단은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코일스프링(32,33)과, 코일스프링(32,33)의 내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코일스프링(32,33)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봉(321)을 포함한다. 가이드봉(321)의 상단은 하체지지대(21)와 상체지지대(22)에 연결되고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뚫린 구멍에 끼워진다.
코일스프링(32,33)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 위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3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링(34)에 지지된다. 코일스프링의 강도에 따라 수평유지의 난이도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 따라서 코일스프링(32,33)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바퀴
12 : 안전바 12a : 이동핸들
12b : 경광등 13 : 받침대
20 : 시트 21 : 하체지지대
22 : 상체지지대 30,31 : 쿠션체
32,33 : 코일스프링 34 : 지지링
321 : 가이드봉 322 : : 브래킷
P : 센터축

Claims (6)

  1. 지면에 놓이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대;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센터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신체를 밑에서 받치기 위한 서포트수단; 및
    상기 서포트수단 위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수단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안전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수단은 일측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대와,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체지지대와 상체 지지대는 브이(V)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대와 상체지지대 사이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수단이 수평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수단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스토퍼수단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사용자의 둔부가 닿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연습 기구.
KR2020210000924U 2021-03-25 2021-03-25 수영 연습 기구 KR200497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24U KR200497639Y1 (ko) 2021-03-25 2021-03-25 수영 연습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24U KR200497639Y1 (ko) 2021-03-25 2021-03-25 수영 연습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54U true KR20220002354U (ko) 2022-10-05
KR200497639Y1 KR200497639Y1 (ko) 2024-01-15

Family

ID=8359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24U KR200497639Y1 (ko) 2021-03-25 2021-03-25 수영 연습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63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26A (ko) 2000-10-16 2001-01-05 신지원 마노장식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안품
US20030100410A1 (en) * 2001-11-26 2003-05-29 Yu-Ming Chu Waist trimmer
KR20130024128A (ko) * 2011-08-30 2013-03-08 김용욱 다기능 운동기구
KR20130136699A (ko) * 2012-06-05 2013-12-13 곽춘성 수영 동작 구현 운동기구
KR200471042Y1 (ko) 2012-06-08 2014-02-04 지남진 수영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726A (ko) 2000-10-16 2001-01-05 신지원 마노장식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안품
US20030100410A1 (en) * 2001-11-26 2003-05-29 Yu-Ming Chu Waist trimmer
KR20130024128A (ko) * 2011-08-30 2013-03-08 김용욱 다기능 운동기구
KR20130136699A (ko) * 2012-06-05 2013-12-13 곽춘성 수영 동작 구현 운동기구
KR200471042Y1 (ko) 2012-06-08 2014-02-04 지남진 수영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639Y1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745B2 (en) Dynamic pendula stool
ES2292798T3 (es) Aparato/asiento para entrenamiento.
US20130017937A1 (en) Training device for balance, agility and proprioception exercises
US10099758B2 (en) Raft for viewing underwater objects
JP6999953B2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102116336B1 (ko)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JP2017522979A (ja) 運動機器
KR20220002354U (ko) 수영 연습 기구
US6213832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 for maintaining human body in partially-submerged horizontal position
US11052282B2 (en) Neckbalance
US20060166175A1 (en) Device for teaching swimming
US8795014B2 (en) Workout raft
US20220096912A1 (en) Swim Trainer
KR200429350Y1 (ko) 수영 보조장치
CN204797108U (zh) 一种新型学生座椅
ES2574621B1 (es) Máquina deportiva para cuello y de rehabilitación cervical
US20130178341A1 (en) Swimming Support Structure
KR102612542B1 (ko) 수영 동작 학습 시스템
JP3239264U (ja) 水泳教習具
RU67458U1 (ru)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плаванию на спине
KR102545200B1 (ko) 가변장착봉을 포함하는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CN101869754A (zh) 休闲式双人坐蹬训练器
US20220323828A1 (en) Water skills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220266089A1 (en) Aquatic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Aquatic Exercising for Improving Mobility
WO2023195428A1 (ja) トレーニング方法、教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