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266A -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266A
KR20220002266A KR1020217029944A KR20217029944A KR20220002266A KR 20220002266 A KR20220002266 A KR 20220002266A KR 1020217029944 A KR1020217029944 A KR 1020217029944A KR 20217029944 A KR20217029944 A KR 20217029944A KR 20220002266 A KR20220002266 A KR 2022000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pport
shaft
bloc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나카무라
유타 나가야
미츠루 시마모토
다카유키 오키무라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7992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8217B2/ja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convertible for varying the gear-ratio, e.g. for selecting one of several shafts as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a carrier with pins guiding at least one orbital gear with circular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2Lateral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16H2057/0222Lateral adjustment
    • F16H2057/0224Lateral adjustment using eccentric b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16H2057/0335Series transmissions of modular design, e.g. providing for different transmission ratios or powe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한 상기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본 발명은,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4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086552호 및 2019년 7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12799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산업용 로봇이나 공작 기계 등에 있어서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감속기가 사용된다. 감속기에서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에, 양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가 개재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감속기는, 출력 회전체나 케이싱 등의 지지 블록에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간 기어는, 마찬가지로 출력 회전체나 케이싱 등의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에 맞물려 있다. 입력 기어의 회전은, 출력 기어와 입력 기어의 잇수비에 따른 속도비로 감속되어 출력 기어에 전달된다.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은, 중간 기어의 치면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양 치면과 맞물리는 위치에 있어서, 지지 블록의 보유 지지 구멍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231530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감속기에서는, 감속비를 변경하는 등의 목적으로 입력 기어를 잇수가 상이한 다른 입력 기어로 교환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구동원의 출력축에 새로운 입력 기어를 설치하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치면의 거리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중간 기어의 치면을 새로운 입력 기어의 치면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는,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이 경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이 고정되는 출력 회전체나 케이싱 등의 지지 블록을, 보유 지지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다른 부재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출력 기어를 잇수가 상이한 부재로 교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지지 블록의 교환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감속기에서는, 입력 기어나 출력 기어를 잇수가 상이한 부재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대규모의 부품 교환이 필요해져, 부품 비용이 급등해 버린다.
본 발명은,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는 감속기, 및 그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변속비의 변경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는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그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한 상기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기어 치 변경 기구에 의해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구성에서는,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위치 변경 기구는,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을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지지 블록에 대한 보유 지지 부재의 조립 방향이나, 보유 지지 부재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당해 보유 지지 부재 상의 기준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 축의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회전 위치를 변경 가능한 회전 위치 변경부를 갖고, 상기 기어 위치 변경 기구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회전 위치 변경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회전 위치 변경부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의 기준 위치 주위의 회전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가 지지 블록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가 변경된다. 본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 부재의 회전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중간 기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기준 위치를 축심으로 한 원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을 갖고, 상기 회전 위치 변경부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보유 지지 구멍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보유 지지 부재의 축심 주위의 회전 각도를 적절하게 바꾸고, 그 상태에서 보유 지지 부재를 지지 블록의 보유 지지 구멍에 끼워 맞춘다.
상기 지지 축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이 보유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성 부품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을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당해 보유 지지 부재의 축심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을 갖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 블록의 상기 보유 지지 구멍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회전 위치를 변경 가능한 회전 위치 변경부를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보유 지지 부재의 회전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을 지지 블록의 보유 지지 구멍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지지 블록 상에 있어서의 중간 기어의 위치가 변경된다. 본 구성에서는, 지지 블록의 보유 지지 구멍에 대한 보유 지지 부재의 회전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축 위치 변경부에 의해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한다. 본 구성에서는,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지지 축을 끼워 맞춤 가능한 복수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을 갖고, 상기 축 위치 변경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에 의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지지 블록 상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최적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에 지지 축을 끼워 맞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구동 장치는, 회전 구동원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회전 블록을 구비한 구동 장치이며, 상기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한 상기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기어 기구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와, 잇수가 상이한 상기 제3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축 위치 변경부에 의해, 잇수가 상이한 상기 제3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3 기어와 제2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제1 기어와 제3 기어의 변속비의 변경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축 위치 변경부가, 삽입된 상기 지지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 블록에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 구멍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원주를 따라 복수의 상기 지지 구멍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제2 기어의 축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지지 구멍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 구멍을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원주를 따라 복수 배치함과 함께 상기 원주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대향면에 교호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와 잇수가 상이한 상기 제3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는 기어 기구와, 상기 기어 기구에 접속되는 감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구멍을 복수 배치하는 상기 원주는,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원주의 반경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와 일치할 수 있다.
상술한 감속기와 구동 장치는,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감속기나 구동 장치를 채용한 경우에는,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어 기구와 감속기와 구동 장치는,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변속비의 변경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기어 기구, 감속기나 구동 장치를 채용한 경우에는,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3의 V-V선을 대략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3의 V-V선을 대략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5의 일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도 6의 일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감속기의 내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기어 기구, 감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기어 기구, 감속기의 도 10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축 위치 변경부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기어 기구, 감속기의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통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용접이나 부품 조립 등을 행할 때에 사용되는 구동 장치(1)의 사시도이다.
구동 장치(1)는, 바닥면(F)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11)과, 베이스 블록(1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감속기(10)와, 감속기(10)에 동력을 출력하는 회전 구동원인 모터(2)와, 베이스 블록(11)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보유 지지 장치(12)와, 감속기(10)와 보유 지지 장치(12)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지지된 회전 블록(13)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2)는, 감속기(10)의 입력측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10)는, 모터(2)의 회전을 감속하고, 그 회전을 회전 블록(13)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전달한다. 보유 지지 장치(12)는, 회전 블록(13)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 블록(13)은, 감속기(10)를 통해 모터(2)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수평 방향을 대략 따르는 축선 o1 주위로 회전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회전 블록(13)은, 축선 o1 주위로 복수의 워크 지지면(13a)을 갖는다. 각 워크 지지면(13a)에는, 작업 대상인 워크(W)가 설치된다. 워크 지지면(13a)에 설치된 워크(W)는, 모터(2)에 의한 회전 블록(13)의 회전에 의해, 작업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작업 위치에는, 예를 들어 용접 로봇 등의 작업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감속기(10)를 출력측(회전 블록(13)이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감속기(1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대략 따르는 감속기(1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후술하는 중앙 기어(30)나 크랭크축 기어(31), 중간 기어(32) 등은 단면으로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5에서는, 후술하는 보유 지지 부재(40)나 설치 베이스(38)가 함께 기재되어 있다.
감속기(10)는, 하단이 베이스 블록(11)(도 1 참조)의 일단측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14)과, 고정 블록(14)에 일체로 결합된 제1 캐리어 블록(15A) 및 제2 캐리어 블록(15B)과,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의 외주측에 베어링(1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외통(17)과,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3개)의 크랭크축(18)과, 각 크랭크축(18)의 2개의 편심부(18a, 18b)와 함께 선회하는 제1 선회 기어(19A) 및 제2 선회 기어(19B)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기(10)는, 출력부의 회전 중심 축선 c1이 구동 장치(1)의 축선 o1과 합치하도록 베이스 블록(11)에 설치된다.
고정 블록(14)은, 중앙에 원형의 관통 구멍(25)을 갖는 구멍이 뚫린 원판상의 베이스 플랜지(14a)(도 3 참조)와, 베이스 플랜지(14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14b)(도 2 참조)를 갖는다. 고정 블록(14)은, 다리부(14b)의 하단이 볼트 체결 등에 의해 베이스 블록(11)에 고정된다. 베이스 플랜지(14a)의 두께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에는, 구멍이 뚫린 원판상의 제1 캐리어 블록(15A)이 겹쳐지고, 당해 제1 캐리어 블록(15A)이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베이스 플랜지(14a)와 반대측의 단부면에는, 제2 캐리어 블록(15B)이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2 캐리어 블록(15B)은, 구멍이 뚫린 원판상의 기판부(15Ba)와, 당해 기판부(15Ba)의 단부면으로부터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지지 기둥부를 갖는다. 제2 캐리어 블록(15B)은, 지지 기둥부의 단부면이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단부면에 맞닿아, 각 지지 기둥부가 제1 캐리어 블록(15A)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의 기판부(15Ba) 사이에는, 축 방향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이 간극에는,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에는, 제2 캐리어 블록(15B)의 각 지지 기둥부가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릴리프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구멍은, 각 지지 기둥부가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선회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지 기둥부에 대해 충분히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17)은, 제1 캐리어 블록(15A)의 외주면과, 제2 캐리어 블록(15B)의 기판부(15Ba)의 외주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외통(17)의 축 방향의 양단부는,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의 기판부(15Ba)에 베어링(1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통(17)의 축 방향의 중앙 영역(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영역)의 내주면에는, 회전 중심 축선 c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핀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 홈에는, 대략 원기둥상의 내치 핀(2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외통(17)의 내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내치 핀(20)은,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각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다.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는, 외통(17)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각 외주면에는, 외통(17)의 내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내치 핀(20)과 맞물림 상태로 접촉하는 외치(19Aa, 19B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각 외주면에 형성된 외치(19Aa, 19Ba)의 잇수는, 내치 핀(20)의 수보다 약간 적게(예를 들어, 1개 적게)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크랭크축(18)은,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의 회전 중심 축선 c1을 중심으로 한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8)은, 베어링(22)을 통해 제1 캐리어 블록(15A)과 제2 캐리어 블록(1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8)의 편심부(18a, 18b)는,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를 각각 관통하고 있다. 각 편심부(18a, 18b)는,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에 각각 형성된 지지 구멍(21)에 편심부 베어링(2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크랭크축(18)의 2개의 편심부(18a, 18b)는, 크랭크축(18)의 축선 주위로 위상이 180° 어긋나도록 편심되어 있다.
복수의 크랭크축(18)이 외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축(18)의 편심부(18a, 18b)가 소정의 반경으로 동일 방향으로 선회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가 동일한 반경으로 동일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때,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각 외치(19Aa, 19Ba)가, 외통(17)의 내주에 보유 지지된 복수의 내치 핀(20)과 맞물리도록 접촉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에서는, 외통(17)측의 내치 핀(20)의 수가,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각 외치(19Aa, 19Ba)의 잇수보다 약간 많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가 1선회하는 동안에, 외통(17)이 소정의 피치만큼 선회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크랭크축(18)의 회전은 크게 감속되어 외통(17)의 회전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크랭크축(18)의 편심부(18a)와 편심부(18b)가 축심 주위로 180° 어긋나도록 편심되어 있으므로, 제1 선회 기어(19A)와 제2 선회 기어(19B)의 선회 위상은 180° 어긋나게 된다.
외통(17)의 베이스 플랜지(14a)와 반대측의 축 방향의 단부에는, 구멍이 뚫린 원판상의 출력 플레이트(26)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 플레이트(26)는, 제2 캐리어 블록(15B)의 단부를 비접촉 상태로 덮고, 축 방향 외측의 단부면에는, 워크 보유 지지용의 회전 블록(13)(도 1 참조)이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 플레이트(26)의 내주부에는, 제2 캐리어 블록(15B), 제2 선회 기어(19B), 제1 선회 기어(19A), 제1 캐리어 블록(15A), 베이스 플랜지(14a)의 각내주부를 비접촉 상태로 관통하는 통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통부(27)는, 출력 플레이트(26)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감속기(10)는, 모터(2)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에 연결되는 입력 기어(33)와, 베이스 플랜지(14a)와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와,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맞물려 입력 기어(33)의 회전을 중앙 기어(30)에 전달하는 중간 기어(32)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기어(30)는, 입력 기어(33)보다 대경이며, 또한 입력 기어의 잇수보다 잇수가 많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2)에 의한 입력 기어(33)의 회전은,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되고, 그 상태에서 중앙 기어(30)에 전달된다.
입력 기어(33)는, 베이스 플랜지(14a)의 관통 구멍(25)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에지부에, 베어링(3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 기어(33)의 회전 중심축 c4는, 감속기(10)의 출력측의 회전 중심 축선 c1과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중앙 기어(30)는, 베이스 플랜지(14a)와 제1 캐리어 블록(15A)에 걸친 축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기어(30)의 축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외치(30a)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기어(30)의 축 방향의 일단부측은, 베이스 플랜지(14a)의 관통 구멍(25)의 내주면에 베어링(35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중앙 기어(30)의 축 방향의 타단부측은,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내주면에 베어링(35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중앙 기어(30)는, 회전 중심 축선 c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베이스 플랜지(14a)측의 단부에는, 전술한 복수(3개)의 크랭크축(18)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3개)의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28)는, 제1 캐리어 블록(15A)의 내주면측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각 크랭크축(18)의 베이스 플랜지(14a)측의 단부에는, 크랭크축(18)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크랭크축 기어(31)가 설치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8)에 설치된 크랭크축 기어(31)는, 대응하는 오목부(28)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 기어(31)는 외치(31a)를 갖는다. 각 크랭크축 기어(31)의 외치(31a)는, 중앙 기어(30)의 외치(30a)의 축 방향의 타단부 부근 영역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입력 기어(33)로부터 중간 기어(32)를 통해 중앙 기어(30)에 입력된 회전은, 크랭크축 기어(31)를 통해 각 크랭크축(18)에 전달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에서는,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의한 전단의 감속부와, 크랭크축(18), 제1, 제2 선회 기어(19A, 19B), 외통(17) 등에 의한 후단의 감속부에 의해 감속이 행해진다.
또한, 베이스 플랜지(14a)의 제1 캐리어 블록(15A) 부근의 단부에는, 입력 기어(33)의 외치(33a) 부분과 중간 기어(32)를 수용하는 오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랜지(14a)의 오목부(36)의 저면(제1 캐리어 블록(15A)의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중간 기어(32)를 지지하기 위한 설치 베이스(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36)의 일부는, 베이스 플랜지(14a)의 중앙의 관통 구멍(25)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오목부(36) 내에 배치된 중간 기어(32)는, 오목부(36)의 직경 방향 내측의 개방부를 통해 중앙 기어(30)의 외치(30a)와 맞물려 있다.
중간 기어(32)는, 원기둥상의 지지 축(3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축(39)은, 당해 지지 축(39)보다 외경이 크고, 축 길이가 짧은 원기둥상의 보유 지지 부재(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축(39)은,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 축(39)은,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에 대해 편심되어(직경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지 축(39)의 축심 c3은,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와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심 c2의 위치가 보유 지지 부재(40) 상의 기준 위치가 되고, 보유 지지 부재(40) 상의 지지 축(39)에 이어지는 부분(40a)이 지지 축(39)의 보유 지지부로 되어 있다. 지지 축(39)의 보유 지지부는, 기준 위치인 축심 c2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36)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 베이스(38)에는,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이 끼워 맞춤 고정되는 원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보유 지지 구멍(41)에 대한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 주위의 회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베이스 플랜지(14a)(베이스 블록(11)) 상에 있어서의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은, 예를 들어 감속기(10)의 감속비를 바꾸기 위해 입력 기어(33)의 잇수와 외경을 변경할 때 등에,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설치 베이스(38)는 고정 블록(14)이나 제1 캐리어 블록(15A)과 함께, 입력 기어(33), 중앙 기어(30)(출력 기어), 중간 기어(32)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베이스(38)의 보유 지지 구멍(41)과, 보유 지지 구멍(41)에 끼워 맞추어지는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이 회전 위치 변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입력 기어(33)의 잇수와 외경을 변경한 경우, 입력 기어(33)의 외치(33a)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의 외치(30a)의 치면간의 거리가 변화되기 때문에, 종전의 지지 축(39)의 위치에서는, 중간 기어(32)를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지지 축(39)의 위치를 적정하게 변경함으로써, 중간 기어(32)를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 6은, 입력 기어(33)를 보다 소경의 기어로 교환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감속기(10)의 도 5와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입력 기어(33(A))와 중앙 기어(30)의 치면 사이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L1에 대해,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의 축심 c3이 크게 이격되어 있다. 이때, 지지 축(39)의 축심 c3은,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에 대해, 직선 L1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도 6의 예와 같이, 입력 기어(33(B))의 외경이 작아지면, 입력 기어(33(B))와 중앙 기어(30)의 치면간의 거리가 넓어져, 도 5에 도시하는 지지 축(39)의 위치에서는, 중간 기어(32)를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할 수 없다. 이 경우, 보유 지지 부재(40)를 보유 지지 구멍(41)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보유 지지 부재(40)를 축심 c2 주위로 180° 회전시켜 다시 보유 지지 구멍(41)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지지 축(39)의 축심 c3은, 보유 지지 부재(40)의 축심 c2에 대해 입력 기어(33(B))와 중앙 기어(30)의 치면 사이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L1에 가장 근접하는 측으로 편심된다. 이 결과, 중간 기어(32)를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B))에 확실하게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 상의 축심 c2(기준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보유 지지부(지지 축과 이어지는 부분(40a))와, 회전 위치 변경부인 보유 지지 구멍(41) 및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이 기어 위치 변경 기구(축 위치 변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는,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40)와, 지지 블록인 설치 베이스(38)가 중간 기어(32)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입력 기어(33)를 잇수와 외경이 상이한 다른 기어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기어 위치 변경 기구에 의해 중간 기어(3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블록(14) 등의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를 채용한 경우에는,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는 보유 지지 부재(40) 상의 기준 위치(축심 c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 축(39)의 보유 지지부(지지 축(39)에 이어지는 부분(40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40)와 지지 블록인 설치 베이스(38) 사이에는, 보유 지지 부재(40)의 회전 위치를 변경 가능한 회전 위치 변경부(보유 지지 부재(40)와 보유 지지 구멍(41)의 끼워 맞춤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를 채용한 경우에는, 보유 지지 부재(40)의 회전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중간 기어(32)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보유 지지 부재(40)가 원기둥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지지 블록인 설치 베이스(38)에, 보유 지지 부재(40)가 끼워 맞추어지는 보유 지지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과 설치 베이스(38)의 보유 지지 구멍(41)에 의해 회전 위치 변경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유 지지 구멍(41)에 보유 지지 부재(40)를 끼워 맞출 때, 보유 지지 부재(40)의 회전 각도를 바꾸는 것만으로, 중간 기어(32)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40)가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보유 지지 부재(40)의 외주면은 원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등의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0)에서는,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이 보유 지지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성 부품의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단, 지지 축(39)을 보유 지지 부재(40)와 별체 부품으로서 형성하고, 지지 축(39)을 보유 지지 부재(40)에 대해 압입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40)가 설치 베이스(38)의 보유 지지 구멍(4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력 기어(33)를 외경이 상이한 부재로 교환할 때, 보유 지지 부재(40)를 180° 회전시켜, 다시 보유 지지 구멍(41)에 끼워 맞춤 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이에 비해, 도 5, 도 6에 도시하는 설치 베이스(38)를, 베이스 플랜지(14a)(지지 블록)에 대해 축심 c3의 주위로 180° 회전시킨 상태에서 설치되는 구조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설치 베이스(38)의 도면 중 좌우의 체결 고정부(50)를 좌우 대칭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유 지지 부재(40)는, 설치 베이스(38)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 베이스(38)는 보유 지지 부재(40)와 일체 구조로 해도 된다. 이 변형예의 경우, 설치 베이스(38)는 지지 블록의 일부가 아닌, 지지 축(39)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의 일부가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감속기(110)의 도 5의 일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감속기(110)의 도 6의 일부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10)는, 보유 지지 부재(40A)와 설치 베이스(38A)의 끼워 맞춤부의 구조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보유 지지 부재(40A)는, 원기둥상의 외주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모따기부(40Aa)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모따기부(40Aa)는, 보유 지지 부재(40A)의 축심 c3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 베이스(38A)에는, 보유 지지 부재(40A)의 외주 형상과 합치하는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설치 베이스(38A)의 보유 지지 구멍(41A)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평면(41Aa)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평면 Aa는, 보유 지지 부재(40A)가 설치 베이스(38A)의 보유 지지 구멍(41A)에 끼워 맞추어질 때, 보유 지지 부재(40A)측의 2개의 모따기부(40Aa)가 맞닿는다. 따라서, 보유 지지 부재(40A)는, 축심 c2의 주위로 180° 어긋난 2개의 회전 위치에서만, 보유 지지 구멍(41A)에 끼워 맞추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110)는, 축심 c2의 주위로 180° 어긋난 2개의 회전 위치에서만 보유 지지 부재(40A)를 보유 지지 구멍(41A)에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보유 지지 부재(40A)의 회전 위치를 2개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잇수와 외경이 상이한 2종류의 입력 기어(33)에 대해, 중간 기어(32)의 치면을 정확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감속기(210)의 베이스 플랜지(14a)(고정 블록(14))의 내측 단부면(제1 캐리어 블록과 대향하는 단부면)을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외경과 잇수가 상이한 2종류의 입력 기어(33(A), 33(B))와, 중간 기어(32)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가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210)는, 베이스 플랜지(14a)의 내측 단부면에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239)을 끼워 맞춤 가능한 복수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의 형성 위치는, 지지 축(239)에 지지된 중간 기어(32)의 치면이, 사용하는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에 맞물리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은 2개이지만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축(239)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지지 축(239)은 단순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복수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은,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239)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외경이 큰 한쪽의 입력 기어(33(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력 기어(33(A))와 중앙 기어(30)의 치면 사이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L1로부터 먼 측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에 지지 축(239)을 끼워 맞춤 상태로 고정한다. 이 상태로부터 입력 기어(33(A))를 외경이 작은 다른 쪽의 입력 기어(33(B))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지지 축(239)을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입력 기어(33(B))와 중앙 기어(30)의 치면 사이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L1에 근접하는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B)에 지지 축(239)을 끼워 맞춤 상태로 고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210)의 경우, 입력 기어(33)의 교환 시에는,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베이스 플랜지(14a) 상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최적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45A, 45B)에 중간 기어(32)의 지지 축(39)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정 블록(14) 등의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의 감속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210)를 채용한 경우에도,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입력 기어(33)와 중앙 기어(30)(출력 기어)의 변속비를 변경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입력 기어를 잇수와 외경이 상이한 다른 기어로 교환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출력 기어(예를 들어, 중앙 기어)를 잇수와 외경이 상이한 다른 기어로 교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기어와 출력 기어의 양쪽을 상이한 다른 기어로 교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기어와 입력 기어가 고정 블록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중간 기어나 입력 기어는, 제1 캐리어 블록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어 기구, 감속기의 제4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어 기구, 감속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XI-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301은 감속기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감속기(301)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기구(320)를 통해 모터(회전 구동원)(310)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부(출력부)(330)에 전달하고, 감속부(330)의 출력 축선 T0의 주위의 회전력으로서 소정의 감속비로 출력한다.
또한, 출력 축선 T0을 따른 방향을 상하 방향(연직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는, 예를 들어 턴테이블의 테이블 구동에 적용될 수 있다.
감속기(301)에 있어서, 기어 기구(320)와 감속부(330)는 케이싱(302)에 수납된다. 모터(310)는 케이싱(302)의 외부에 설치된다. 모터(310)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축선(입력 축선) T10을 따른 구동축(310a)을 구동한다. 구동축(310a)에는, 동축이 되는 입력 축선을 갖는 입력축(311)이 설치된다. 입력축(311)은, 케이싱(3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 기구(320)는, 입력축(311)에 연동된다. 감속부(330)는 기어 기구(320)로부터 입력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를 출력한다.
모터(310)와 기어 기구(320)는, 출력 축선 T0을 따른 방향으로 보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기어 기구(320)와 감속부(330)는 출력 축선 T0을 따른 방향으로 보아,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모터(310)와 감속부(330)는 출력 축선 T0을 따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거의 겹쳐 있다. 기어 기구(320)는, 출력 축선 T0을 따른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모터(310)와 감속부(330)에 대해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 하측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기어 기구(320)는, 센터 축선 T2를 회전 축선으로 하는 센터 기어(제3 기어)(322)와, 센터 기어(322)와 맞물리는 아이들러 기어(제2 기어)(323)와, 아이들러 기어(323)와 맞물려 모터(310)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축(311)으로부터 입력되는 인풋 기어(제1 기어)(321)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기어(322)와, 아이들러 기어(323)와, 인풋 기어(321)는, 모두 평기어로 되어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배치된다.
아이들러 기어(323)의 아이들러 축선 T3과, 인풋 기어(321)의 인풋 축선 T1과, 센터 기어(322)의 센터 축선 T2은, 모두 출력 축선 T0과 평행하다. 센터 기어(322)의 센터 축선 T2은, 출력 축선 T0과 일치하고 있다.
센터 기어(322)는 센터 축선 T2를 회전 중심으로 한다. 아이들러 기어(323)는 아이들러 축선 T3을 회전 중심으로 한다. 인풋 기어(321)는 인풋 축선 T1을 회전 중심으로 한다.
케이싱(302)은, 베이스부(302a)와 제1 블록(302b)과 제2 블록(302c)을 갖는다.
베이스부(302a)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출력 축선 T0에 직교하는 수평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베이스부(302a)는, 감속기(301)의 하면을 따라 배치된다. 베이스부(302a)의 상면에는, 출력 축선 T0을 따른 방향으로 보아, 기어 기구(320)를 수용하는 제1 블록(302b)과, 감속부(330)를 수용하는 통형의 제2 블록(302c)이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부(302a)는, 적어도 인풋 기어(321), 센터 기어(322), 아이들러 기어(323)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블록(302b)과 제2 블록(302c)은, 배열된 상태에서 각각 베이스부(302a)의 상면에 결합된다. 제1 블록(302b)과 제2 블록(302c)은, 베이스부(302a)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제1 블록(302b)과 베이스부(302a)는 서로 감속기(301)의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형의 제2 블록(302c)은, 그 중심 축선이 출력 축선 T0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블록(302c)에는, 제1 블록(302b)이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블록(302c)의 상단은, 감속기(301)의 상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2 블록(302c)은 볼트(302j) 등에 의해 베이스부(302a)의 상면에 체결된다. 제2 블록(302c)과 베이스부(302a)는 서로 감속기(301)의 내부를 밀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302a)는, 판상의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1 베이스부(302a1)보다 작은 윤곽을 갖는 판상의 제2 베이스부(302a2)를 갖는다. 제1 베이스부(302a1)는, 제1 블록(302b)과 제2 블록(302c)의 양쪽을 설치 가능한 윤곽을 갖는다. 제2 베이스부(302a2)는, 제1 블록(302b)에 대응하는 윤곽을 갖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302b)에 대응하는 영역에 일체적으로 제1 베이스부(302a1)에 끼워 넣어진다.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는 서로 감속기(301)의 내부 공간(328b)을 밀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베이스부(302a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302a2)를 끼워 넣기 가능하도록 제2 베이스부(302a2)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베이스부(302a2)는, 감속기(301)의 하면에 노출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상하 방향에서 제1 블록(302b)과 반대가 되는 위치에 제2 베이스부(302a2)가 일체로 결합된다.
제1 블록(302b)은, 제1 베이스부(302a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블록측부(302b1)와, 제1 블록측부(302b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블록판(302b2)을 갖는다.
제1 블록측부(302b1)는, 판상의 제1 베이스부(302a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블록판(302b2)은, 제1 블록측부(302b1)의 내부를 폐색하도록 결합된다. 제1 블록판(302b2)은, 제1 베이스부(302a1) 및 제2 베이스부(302a2)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블록판(302b2)은, 감속기(301)의 상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블록(302b)에는, 기어 기구(320)에 모터(31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311)의 선단이 관통하고 있다. 입력축(311)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모터(310)는 구동축(310a)을 갖는다. 모터(310)는 제1 블록측부(302b1)의 측부에 고정된다. 구동축(310a)의 선단은, 케이싱(302)을 관통하는 입력축(311)이 된다.
입력축(311)의 외측 단부면에는, 모터(310)의 구동축(310a)이 끼워 넣어지는 압입 구멍(311a)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310)는 제1 블록(302b)에 설치된 모터 지지 부재(326)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310)의 구동축(310a)은, 그 구동 축선 T10이 수평 방향(베이스부(302a)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하여, 입력축(311)의 압입 구멍(311a)에 삽입되어 있다. 모터(310)는 베이스부(302a)의 상측 외면보다 약간 상측(제1 블록(302b)측)에 위치하고 있다.
입력축(311)의 선단부에는 구동측 기어(311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 기어(311b)는, 입력축(31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원판상의 부위의 외측 단부에 이(齒)가 형성된 구성이다. 구동측 기어(311b)에는, 종동측 기어(311c)가 맞물린다. 구동측 기어(311b) 및 종동측 기어(311c)는 베벨 기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측 기어(311b) 및 종동측 기어(311c)는, 베벨 기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측 기어(311b)의 구동 축선 T10과 종동측 기어(311c)의 인풋 축(321a)의 인풋 축선 T1이 교차하는 위치 관계이며, 또한 구동측 기어(311b)로부터 종동측 기어(311c)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되면 된다. 종동측 기어(311c)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풋 축(321a)을 회전축으로 한다. 종동측 기어(311c)는 인풋 축(321a)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2 블록(302c)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인풋 축(321a)은, 종동측 기어(311c)의 회전 축선과 동심상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인풋 축(321a)은, 인풋 축선 T1이 입력축(311)의 구동 축선 T10에 대해 직교하는 자세로, 후술하는 베어링(321g)에 지지되어 있다. 즉, 인풋 축(321a)은 케이싱(30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축(311)의 구동 축선 T10이 감속기(301)의 상면과 평행하고, 인풋 축(321a)의 인풋 축선 T1은, 감속기(301)의 상면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또한, 인풋 축(321a)의 인풋 축선 T1과 입력축(311)의 구동 축선 T10은,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평행 이외의 위치 관계이면 된다. 예를 들어, 입력축(311)의 구동 축선 T10이 수평 위치보다도 모터(310)측이 하강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기운 구성이 가능하다.
종동측 기어(311c)는, 인풋 축(321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원판상의 부위의 외측 단부에 이가 형성된 구성이다. 종동측 기어(311c)의 외측 단부는, 제1 블록(302b)에 형성된 확경부(328d1) 내에 들어가 있다. 확경부(328d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측부(302b1)에 형성된 내부 공간(328d)의 상단 위치가 되어, 제1 블록판(302b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상하 방향의 중간 정도에 내부 공간(328b)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328b)은, 출력 축선 T0에 직교하는 수평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 구멍(328a) 및 관통 구멍(328d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28a) 및 관통 구멍(328d2)은, 모두 내부 공간(328b)에 연통된다.
관통 구멍(328a)은, 출력 축선 T0을 중심선으로 하여 배치되고, 통형의 제2 블록(302c)과 동심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 구멍(328a)은, 내부 공간(328b)으로부터 감속기(301)의 하면의 외부로 관통된다.
관통 구멍(328d2)은, 인풋 기어(32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28d2)은, 내부 공간(328b)으로부터, 후술하는 제1 블록(302b)의 내부 공간(328d)에 연통되어 있다.
내부 공간(328b)에는, 기어 기구(320)의 인풋 기어(제1 기어)(321)와 아이들러 기어(제2 기어)(323)와 센터 기어(제3 기어)(322)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수용된다. 내부 공간(328b)은, 인풋 축(지지 축)(321a)과 동심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아이들러 축(지지 축)(323a)과 동심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센터 기어(322)와 동심이 되는 형상에 대응한 부분을 연속시킨 평면 윤곽 형상을 갖는다.
내부 공간(328b)에 있어서는, 기어 기구(320)로서, 인풋 기어(321)가 모터(31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입력축(311)에 연결된다. 아이들러 기어(323)가, 내부 공간(328b)의 내부에 있어서 인풋 기어(321)와 맞물려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센터 기어(322)가 내부 공간(328b)의 내부에 위치하고 아이들러 기어(323)와 맞물려 인풋 기어(321)의 회전이 전달된다.
센터 기어(322)는, 인풋 기어(321)보다 대경이며, 또한 인풋 기어(321)의 잇수보다 잇수가 많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10)에 의한 인풋 기어(321)의 회전은,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되어, 그 상태에서 센터 기어(322)에 전달된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내부 공간(328b)에 있어서의 인풋 기어(321)와 아이들러 기어(323)에 대향하는 하측 위치에 개구(328b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28b1)는, 제2 베이스부(302a2)가 하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폐색되어 있다. 제2 베이스부(302a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328b)의 도중까지 삽입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내부 공간(328b)의 하향이 되는 개구(328b1)의 에지부에, 단차를 갖고 확경된 확경부(328b2)가 형성된다. 확경부(328b2)에는, 제2 베이스부(302a2)의 주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302a2a)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확경부(328b2)와 플랜지부(302a2a)의 면이 서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베이스부(302a1)에 대한 제2 베이스부(302a2)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확경부(328b2)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1 베이스부(302a1)의 윤곽이 되는 단부까지 형성되어도 된다. 개구(328b1)에 있어서의 주위에는, 플랜지부(302a2a)보다 상측이 되는 위치에 O링 등의 밀폐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제2 베이스부(302a2)에는, 내부 공간(328b)의 내측이 되는 면에 단면 원형이며 바닥이 있는 지지 구멍(321f)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321f)에는 베어링(321g)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321g)은, 지지 구멍(321f)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21g)은, 인풋 축(321a)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인풋 축(321a)은 출력 축선 T0을 따른 상하 방향의 인풋 축선 T1을 갖는다. 인풋 축(321a)의 하단부는, 지지 구멍(321f)에 삽입되어 있다. 인풋 축(321a)에는, 하단부에 근접하여 인풋 기어(321)가 설치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 위치 변경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2 베이스부(302a2)에는, 내부 공간(328b)의 내측이 되는 면에 단면 원형이며 바닥이 있는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351C, 351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내부 공간(328b)의 내측이 되는 면에 단면 원형이며 바닥이 있는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B, 351D, 351F)이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302a)가 아이들러 기어(323)의 축 방향에 대향하여 아이들러 기어(323)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를 갖는다. 또한, 제1 베이스부(32a1)와 제2 베이스부(302a2)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이 형성된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은, 잇수가 상이한 인풋 기어(321)에 대응하여 아이들러 기어(323)의 아이들러 축(지지 축)(323a)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350)가 된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은 모두 내부 공간(328b)에 대해 개구되어 있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은 모두 인풋 기어(321)의 회전 중심인 인풋 축선 T1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원주(R50)를 따라 배치된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은, 원주(R50) 상에서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에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은, 원주(R50) 상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 중 어느 1개소에는, 원기둥상의 아이들러 축(323a)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 중, 아이들러 축(323a)이 삽입된 1개소는, 아이들러 축(32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이들러 축(323a)에는 아이들러 기어(323)가 접속된다.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으로부터, 아이들러 축(323a)의 삽입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아이들러 기어(3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아이들러 축(323a)은 출력 축선 T0을 따른 상하 방향의 아이들러 축선 T3을 갖는다.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과 지지 구멍(321f)은, 출력 축선 T0을 따른 방향으로 본 평면 내에서, 모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으로부터, 아이들러 축(323a)의 삽입 위치를 선택해도, 인풋 기어(321)와 아이들러 기어(323)의 회전 중심끼리의 거리는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는, 아이들러 기어(323)의 아이들러 축(323a)이,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 중,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B)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원기둥상의 아이들러 축(323a)의 선단부가, 지지 구멍(351B)에 삽입되어 있다. 아이들러 축(323a)에는 아이들러 기어(323)가 접속된다.
제1 블록측부(302b1)의 지지 구멍(321f)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328d)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328d)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하단은 관통 구멍(328d2)을 통해 내부 공간(328b)과 연통되어 있다.
내부 공간(328d)은, 관통 구멍(328d2)에 대응하여 단면 원형이 된다. 내부 공간(328d)의 상단은, 제1 블록판(302b2)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내부 공간(328d)의 내측이 되는 제1 블록판(302b2)의 하면 위치에는, 단면 원형이며 바닥이 있는 지지 구멍(321h)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321h)에는 베어링(321g)이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321g)은 지지 구멍(321h)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21g)은 인풋 축(321a)을 지지한다. 인풋 축(321a)의 상단부는, 지지 구멍(321h)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블록(302b)에 있어서, 내부 공간(328d)의 상단에는 확경부(328d1)가 형성되어 있다. 확경부(328d1)에는, 베어링(321g)의 하측이 되는 위치에 종동측 기어(311c)가 수납되어 있다. 제1 블록판(302b2)의 하단은, 내부 공간(328d)의 상단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제1 블록판(302b2)에 있어서의 상단의 주위에는, 플랜지부(302b2a)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플랜지부(302b2a)는, 제1 블록측부(302b1)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고, 이에 의해 제1 블록측부(302b1)에 대한 제1 블록판(302b2)의 상하 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동시에, 제1 블록측부(302b1)와 제1 블록판(302b2)이 밀착되어, 내부 공간(328d)을 밀폐하고 있다. 제1 블록판(302b2)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302b2a)보다 하측에서 제1 블록측부(302b1)에 삽입된 위치에 O링 등의 밀폐 수단(밀폐 구조, 밀폐 부재)을 마련할 수도 있다.
제1 블록(302b)에 있어서, 내부 공간(328d)의 하단 부근의 위치에는, 인풋 축(321a)의 축 방향의 중앙 위치를 지지하는 베어링(321g)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321g)은 제1 블록측부(302b1)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328d)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내부 공간(328d)의 하단 위치가 되는 제1 블록측부(302b1)의 하단에는, 관통 구멍(328d2)의 주위가 되는 위치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조(302b4)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302b4)는, 관통 구멍(328d2)에 삽입되어 있고, 제1 블록측부(302b1)와 제1 베이스부(302a1)의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제1 블록(302b)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 확경부(328d1)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328d)의 위치 및 그 하측 위치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328d4)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328d4)은, 인풋 축(321a)으로부터 모터(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관통 구멍(328d4)의 내부에는, 구동측 기어(311b)가 수납된다. 관통 구멍(328d4)의 외측에는, 입력축(311)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에 입력축 지지부(325)가 제1 블록측부(302b1)에 연속해서 형성된다. 입력축 지지부(325)는 입력축(311)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형이 되고, 그 내측에는 베어링(324)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324)은 입력축(3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입력축 지지부(325)의 모터(310)에 근접하는 외측에는, 모터 지지 부재(326)가 고정되어 있다. 입력축 지지부(325)의 내부는, 관통 구멍(328d4)에 대응한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입력축 지지부(325) 및 제1 블록측부(302b1)은, 입력축(311) 및 구동측 기어(311b)를 수납하여 외부에 대해 밀폐되어 있다.
제1 베이스부(302a1)에는, 센터 기어(322)에 대향하는 내부 공간(328b)의 상측에 개구(328b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28b3)는, 제2 블록(302c) 및 감속부(330)에 의해 폐색된다. 개구(328b3)는, 출력 축선 T0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블록(302c) 및 센터 기어(322)와 동심이 되는 평면 윤곽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 공간(328b)에 있어서는, 센터 기어(322)가, 통체(3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통체(334)는, 내부 공간(328b)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통체(334)는, 출력 축선 T0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다. 통체(334)는, 감속기(30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통체(334)의 하단은, 관통 구멍(328a)에 끼워 넣어져 있다. 통체(334)의 하단과 관통 구멍(328a)의 내면 사이에는 시일 부재(334b)가 마련되어도 된다. 통체(334)의 상단에는, 감속부(330)의 상면에 노출되는 플랜지부(33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34a)는 감속기(301)의 상면에 대해 하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통체(334)는 개구(328b3)의 거의 중심에 배치된다.
센터 기어(322)에는, 동축이 되는 기어(32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322d)는 센터 기어(322)보다 작은 잇수를 갖고, 소경으로 된다. 센터 기어(322)와 기어(322d)는 일체적으로 통체(334)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기어(322d)는 센터 기어(32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기어(322d)는, 센터 기어(322)보다 감속부(33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기어(322d)는 감속부(330)에의 입력측이 된다. 기어(322d)는 개구(328b3)의 내부에 수용된다. 센터 기어(322)의 하단은, 베어링(334c)을 통해 관통 구멍(328a)의 부근의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센터 기어(322)의 상단은, 베어링(334c)를 통해 감속부(3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감속부(330)는, 제1 베이스부(302a1)에 고정되는 통형의 제2 블록(302c)에 수납된다. 감속부(330)는, 예를 들어 편심 요동형의 감속 기구여도 된다. 감속부(330)는 제2 블록(302c)의 내측에 배치되는 캐리어(333)와, 센터 기어(32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전달축(331)을 갖는다.
캐리어(333)는, 제2 블록(302c)에 대해 출력 축선 T0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블록(302c)과 캐리어(333)의 상대적인 회전은, 제2 블록(302c)의 내주와 캐리어(333)의 외주 사이에 마련된 베어링(336)에 의해 허용되어 있다. 캐리어(333)는, 감속부(330)의 상면에 노출된다. 캐리어(333)는 감속부(330)의 출력측이 된다. 감속부(330)의 하단은, 개구(328b3)에 대향하고 있다. 캐리어(333)의 중앙부에는 통체(334)가 관통한다. 캐리어(333)의 축선은, 통체(334)의 축선인 출력 축선 T0과 일치하고 있다. 통체(334)는, 예를 들어 캐리어(333)에 고정되어도 된다.
전달축(331)은, 센터 기어(322)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감속부(330)의 입력측이 된다. 전달축(331)은, 출력 축선 T0에 평행한 방향을 축으로 하여, 캐리어(33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감속부(330)는, 전달축(331)의 회전에 기초하여 전달축(331)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제2 블록(302c) 및 캐리어(333)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전달축(331)에는, 기어(322d)와 맞물리는 전달 기어(332)가 마련되어 있다. 전달 기어(332)는 평기어이다. 전달 기어(332)는, 센터 기어(32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는, 평탄한 감속기 설치면에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캐리어(333)의 상면에 턴테이블 등이 적재되어도 된다. 이 경우, 턴테이블은 체결 볼트 등에 의해 캐리어(33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 감속기(301)에서는, 모터(310)가 구동되면, 구동축(310a)이 회전하고, 구동축(310a)과 동축으로 일체가 된 입력축(311)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입력축(311)에 마련된 구동측 기어(311b)와 맞물리는 종동측 기어(311c)가 구동되어, 기어 기구(320)의 인풋 축(321a)이 인풋 축선 T1의 주위로 회전한다. 인풋 축(321a)이 회전하면, 인풋 축(321a)에 결합된 인풋 기어(321)는 인풋 축선 T1의 주위로 회전한다. 인풋 기어(321)의 회전에 의해, 인풋 기어(321)와 맞물린 아이들러 기어(323)가 아이들러 축(323a)의 주위로 회전한다. 아이들러 기어(323)가 회전하면, 아이들러 기어(323)와 맞물린 센터 기어(322)가 출력 축선 T0의 주위로 회전한다. 센터 기어(322)가 회전하면, 센터 기어(322)와 일체가 된 동축이 되는 기어(322d)가 회전한다. 이에 의해, 기어(322d)와 맞물린 전달 기어(332)가 회전하고, 전달 기어(332)와 일체가 된 전달축(331)이 회전한다. 전달축(331)의 회전에 의해, 감속부(330)의 외통이 되는 제2 블록(302c)과 캐리어(333)가 전달축(331)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이 회전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에서는, 복수 종류의 인풋 기어(321)를 선택함과 함께, 축 위치 변경부(350)에 의해 아이들러 기어(323)의 설치 위치를 대응시킴으로써, 상이한 변속비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2, 도 13에는, 축 위치 변경부(350)로서, 6개소의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351A 내지 351F)이 도시되고, 그 중, 지지 구멍(351A)에 아이들러 기어(323)의 아이들러 축(323a)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 구멍(351F)은, 인풋 축선 T1을 따른 방향으로 보아, 아이들러 축선 T3이, 인풋 축선 T1과 센터 축선 T2를 연결하는 직선 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지지 구멍(351A 내지 351E)은, 인풋 축선 T1을 따른 방향으로 보아, 인풋 축선 T1과 센터 축선 T2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커지도록, 먼 순서로 지지 구멍(351E), 지지 구멍(351D), 지지 구멍(351C), 지지 구멍(351B), 지지 구멍(351A)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지지 구멍(351A)은,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 중에서, 인풋 축선 T1과 센터 축선 T2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가장 이격된다.
여기서, 인풋 기어(321(A))는,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에 있어서, 가장 큰 외경과 잇수를 갖는다. 이 경우, 아이들러 기어(323)는, 아이들러 축(323a)이 지지 구멍(351A)에 삽입되어 있다. 아이들러 기어(323)는, 지지 구멍(351A)을 사용하여 베이스부(302a)의 제1 베이스부(302a1)에 설치된다.
이에 비해, 도 12, 도 13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풋 기어(321(A))보다 외경과 잇수가 작은 인풋 기어(321(D))를 적응하는 경우에는, 아이들러 기어(323)는 아이들러 축(323a)이 지지 구멍(351D)에 삽입되어 있다. 아이들러 기어(323)는, 지지 구멍(351D)을 사용하여 베이스부(302a)의 제2 베이스부(302a2)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아이들러 기어(323)를 베이스부(302a)에 설치함으로써, 상이한 외경과 잇수를 갖는 인풋 기어(321)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에 있어서, 상이한 외경과 잇수를 갖는 인풋 기어(321)로 교환할 때에는, 인풋 기어(321)와 센터 기어(322) 사이의 치면간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축 위치 변경부(350)로서 베이스부(302a)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최적의 장소에 아이들러 기어(323)의 아이들러 축(323a)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부(302a) 등의 지지 블록을 교환하는 일 없이, 인풋 기어(321)와 센터 기어(322)의 감속비를 변경함과 함께, 변경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를 채용한 경우에는, 대규모의 부품 교환을 요하는 일 없이, 인풋 기어(321)와 센터 기어(322)의 변속비의 변경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이, 원주(R50)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상이한 외경과 잇수를 갖는 인풋 기어(321(A) 내지 (F))에 대해, 아이들러 기어(323)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인풋 기어(321)와 센터 기어(322)의 변속비의 변경 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급등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이, 원주(R50) 상에서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에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의 편측에만 복수의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이 배치된 경우에 비해, 변속비의 미세한 변동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변속비의 미세한 변동에 대응한 경우라도,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인접하는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의 거리를 충분한 강도를 갖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으로서 6개소 배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 구멍(351A 내지 351F)을 제1 베이스부(302a1)와 제2 베이스부(302a2)에 교호로 배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 위치 변경부(350)로서는, 설정되는 인풋 기어(321)와 센터 기어(322)의 변속비에 따라서 적절하게 그 배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기(301)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상에 적재되는 구성으로서, 감속기(301)를 턴테이블의 구동에 사용하였지만, 이 구성 및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감속기(301)는, 수평 이외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면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감속부(330)에 있어서, 출력측은 캐리어(333)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캐리어(333)와 통형의 제2 블록(302c) 중 어느 것이 출력측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어 기구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감속기(301)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기계나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1: 구동 장치
2: 모터(회전 구동원)
10, 110, 210, 301: 감속기
13: 회전 블록
14: 고정 블록(지지 블록)
15A: 제1 캐리어 블록(지지 블록)
30: 중앙 기어(출력 기어)
32: 중간 기어
33: 입력 기어
38, 38A: 설치 베이스(지지 블록)
39, 239: 지지 축
40, 40A: 보유 지지 부재
40a: 지지 축에 이어지는 부분(보유 지지부)
41: 보유 지지 구멍
45A, 45B: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
c2: 축심
302a1: 제1 베이스부(지지 블록)
302a2: 제2 베이스부(지지 블록)
320: 기어 기구
321: 인풋 기어(제1 기어)
321a: 인풋 축(지지 축)
322: 센터 기어(제3 기어)
322a: 센터 축(지지 축)
323: 아이들러 기어(제2 기어)
323a: 아이들러 축(지지 축)
350: 축 위치 변경부
351A 내지 351F: 지지 구멍(지지 구멍부)

Claims (15)

  1.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한 상기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
    를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위치 변경 기구는,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을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당해 보유 지지 부재 상의 기준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 축의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회전 위치를 변경 가능한 회전 위치 변경부를 갖고,
    상기 기어 위치 변경 기구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보유 지지부와, 상기 회전 위치 변경부를 갖는,
    감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기준 위치를 축심으로 하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을 갖고,
    상기 회전 위치 변경부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보유 지지 구멍을 갖는,
    감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축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감속기.
  6.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을 보유 지지함과 함께, 상기 지지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당해 보유 지지 부재의 축심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을 갖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 블록의 상기 보유 지지 구멍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회전 위치를 변경 가능한 회전 위치 변경부를 구성하는, 감속기.
  7.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
    를 구비하고 있는, 감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지지 축을 끼워 맞춤 가능한 복수의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을 갖고,
    상기 축 위치 변경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 축 끼워 맞춤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감속기.
  9. 회전 구동원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부에 연결된 회전 블록을 구비한 구동 장치이며,
    상기 감속기는,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입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는 출력 기어와,
    상기 입력 기어와 상기 출력 기어에 대한 상기 중간 기어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기어 위치 변경 기구
    를 구비하고 있는, 구동 장치.
  10.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와,
    잇수가 상이한 상기 제3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
    를 구비하는, 기어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 위치 변경부가, 삽입된 상기 지지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 블록에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지지 구멍부를 갖는,
    기어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원주를 따라 복수의 상기 지지 구멍부를 갖는,
    기어 기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이 상기 제2 기어의 축 방향에 대향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지지 구멍부를 갖는,
    기어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원주를 따라 배치함과 함께 상기 원주 상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기 대향면과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기 대향면에 교호로 배치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 구멍부를 갖는,
    기어 기구.
  15. 지지 블록과 상기 지지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는 제3 기어와 잇수가 상이한 상기 제3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의 지지 축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축 위치 변경부를 구비하는 기어 기구와,
    상기 기어 기구에 접속되는 감속부
    를 구비하는, 감속기.
KR1020217029944A 2019-04-26 2020-03-25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KR20220002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6552 2019-04-26
JPJP-P-2019-086552 2019-04-26
JPJP-P-2019-127992 2019-07-09
JP2019127992A JP7398217B2 (ja) 2019-04-26 2019-07-09 歯車機構、減速機、および、その減速機を用いる駆動装置
PCT/JP2020/013285 WO2020217831A1 (ja) 2019-04-26 2020-03-25 歯車機構、減速機、および、減速機を用いる駆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266A true KR20220002266A (ko) 2022-01-06

Family

ID=7294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944A KR20220002266A (ko) 2019-04-26 2020-03-25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52220B2 (ko)
EP (1) EP3961062A4 (ko)
KR (1) KR20220002266A (ko)
WO (1) WO2020217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4083A (ja) * 2021-06-25 2023-01-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及び、回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530A (ja) 1992-02-20 1993-09-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98944A (en) * 1927-10-17 1929-11-28 Bosch Robert Improvements in toothed gearing
US2436746A (en) 1943-07-12 1948-02-24 Charles W Drought Selective gear reduction units
US2444734A (en) * 1944-09-14 1948-07-06 Us Navy Backlash eliminator for planetary gears
US2860015A (en) * 1957-04-08 1958-11-11 Doity Cranes Ltd Adjustable mountings for shafts, axles, and other elements
JPS5231530B1 (ko) 1971-05-04 1977-08-16
US4147071A (en) * 1978-02-01 1979-04-03 Trw Inc. Low backlash gear reduction assembly
JPS5943791A (ja) * 1982-09-03 1984-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巻上機
US4532822A (en) 1982-09-24 1985-08-06 Godlewski Edward S Shaft and gear adjuster
JPH0429063Y2 (ko) * 1987-05-16 1992-07-15
JP3046488B2 (ja) * 1994-03-23 2000-05-2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プリンタ
JP4755357B2 (ja) 2001-04-18 2011-08-2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
JP2003120316A (ja) * 2001-10-15 2003-04-23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動力伝達装置
US20040083839A1 (en) 2002-11-04 2004-05-06 Hahn Terry Luke Simple bicycle drive shaft transmission
WO2009119737A1 (ja) 2008-03-28 2009-10-0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装置
CN201401487Y (zh) 2009-04-02 2010-02-10 李茂江 一种双变速杆变速箱
JP2019086552A (ja) 2017-11-01 2019-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88681B2 (ja) 2018-01-24 2022-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成形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1530A (ja) 1992-02-20 1993-09-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7831A1 (ja) 2020-10-29
US11852220B2 (en) 2023-12-26
US20220163096A1 (en) 2022-05-26
EP3961062A1 (en) 2022-03-02
EP3961062A4 (en)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0399B2 (ja) 減速装置
JP5231530B2 (ja) 歯車装置
EP2127804A1 (en) Indexing device for machine tools
KR20220002266A (ko) 기어 기구,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KR101110047B1 (ko)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KR101418926B1 (ko) 기어모터 및 기어모터용의 어댑터
KR102362479B1 (ko) 기어 장치
JP7398217B2 (ja) 歯車機構、減速機、および、その減速機を用いる駆動装置
US20230366465A1 (en) Sealing device
JP2015171292A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150087451A (ko) 하모닉 감속기용 플렉시블 스플라인 및 그 제조장치
TWI845650B (zh) 齒輪機構、減速機、及使用減速機之驅動裝置
KR200468990Y1 (ko) 감속기의 유성기어 캐리어
KR102609817B1 (ko) 턴테이블용 감속기
KR20190113381A (ko) 공작 기계용 인덱스 테이블
KR20220002267A (ko) 감속기, 및 감속기를 사용하는 구동 장치
JP2002307212A (ja) ターレット旋盤のターレットヘッド駆動装置
KR101925805B1 (ko) 밀링 공구대의 드라이빙 장치
US11378162B2 (en) Speed reducer
JP2006192550A (ja) 刃物台
JP2022101123A (ja) 工作機械
US2023034104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peed reducer, speed reducer, and rotating device
CN210013017U (zh) 洗衣机传动装置
JP7423064B2 (ja) 減速機
CN210013019U (zh) 洗衣机传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