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73A -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73A
KR20220001873A KR1020200080332A KR20200080332A KR20220001873A KR 20220001873 A KR20220001873 A KR 20220001873A KR 1020200080332 A KR1020200080332 A KR 1020200080332A KR 20200080332 A KR20200080332 A KR 20200080332A KR 20220001873 A KR20220001873 A KR 2022000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source
source data
electric toothbrus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현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08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73A/ko
Priority to JP2022600169U priority patent/JP3244187U/ja
Priority to PCT/KR2021/000871 priority patent/WO2022004982A1/ko
Priority to CN202180046052.0A priority patent/CN115734766A/zh
Publication of KR2022000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동 칫솔 장치에 있어서, 칫솔모;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고,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ELECTRIC TOOTHBRUSH FOR OUTPUTTING MELODY BY VIVRA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칫솔의 제품 동작시에 발생하는 진동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전동 칫솔의 진동 소음을 줄이기 위한 기술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음파 전동 칫솔의 경우 진동 소음을 70dB이하, 회전형 전동 칫솔의 경우 진동 소음을 80~90dB 이하로 관리하고 있을 만큼 진동 소음은 전동 칫솔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칫솔의 진동을 이용하여 음향을 출력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칫솔의 경우, 멜로디나 음악을 출력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여야 하였으며, 나아가 물을 많이 접하는 제품의 특성상 방수를 위한 부가적인 구조가 필요하여, 복잡도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으면서,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 개개인의 선호에 맞는 멜로디를 제공하며 동시에 양치 기능을 수행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칫솔모와,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고,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칫솔모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 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칫솔모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진동 발생부는 복수 개의 칫솔모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복수 개의 칫솔모에 개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원 데이터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이고, 프로세서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칫솔모는 제1 칫솔모 및 제2 칫솔모를 포함하고, 진동 발생부는 제1 칫솔모에 대응하는 제1 진동 발생부 및 제2 칫솔모에 대응하는 제2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제1 칫솔모에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제2 칫솔모에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부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방지 부재를 더 포할할 수 있다.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 또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sampling), 양자화(quantization) 및 부호화(encoding)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PWM 파형의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진동 데이터는 외부 기기에서 음원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PWM 파형 신호일 수 있다.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진동 발생부의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복수의 진동 발생부의 개별적인 동작으로 복수의 칫솔모에 개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의 동작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양치질을 하면서 동시에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전동 칫솔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은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도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으로 양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실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표본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양자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부호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인 PWM파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칫솔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칫솔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 전동 칫솔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할 때, 실제 사용 모습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 시스템은 전동 칫솔(100)과 외부 기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칫솔일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은 외부 기기(2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과 연동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진동 데이터를 전동 칫솔(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로부터 진동 데이터 생성 신호를 수신하고,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성한 진동 데이터를 전동 칫솔(1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노래 소리, 목소리 등과 같은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특히, 음원 데이터를 전동 칫솔(100)에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진동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동 칫솔(100)은 양치 모드, 멜로디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멜로디 모드란, 전동 칫솔(100)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칫솔모의 진동 주파수 또는 진동 세기 등을 변경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양치 모드란, 사용자의 구강이 청결해지도록 진동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은 양치 모드를 제공하면서 멜로디 모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기, 이동 단말기, PC,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과 통신이 가능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전동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 이동 단말기, PC, 노트북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고, 외부 기기(200)는 다양한 전자 기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동 칫솔(100)과 외부 기기(200)는 무선 연결되어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은 메모리(110), 통신부(130), 진동 발생부(150), 전원부(170) 및 프로세서(19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칫솔(10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란 목소리, 노래 소리 등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란, 후술하는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를 구동하기 위해 음원 데이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진동 데이터는 진동 주파수, 진동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데이터는 후술하는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통신부(130)는 후술하는 외부 기기(200)의 통신부(2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은 저전력 블루투스 규격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외부 기기(200)의 통신부(2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기기(200)의 통신부(210)로부터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에는 통신부(13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통신부(130) 및 외부기기(200) 없이, 전동 칫솔(100)만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즉, 전동 칫솔(100)이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연동된 외부 기기(200)와의 상호 작용없이 전동 칫솔(100)에 구비된 조작 버튼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의 조작만으로 멜로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50)는 프로세서(190)의 진동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 신호에 의해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50)는 자석, 코일, 지지부, 탄성부,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50)에서 출력한 진동은 진동 전달 부재를 통해 후술할 칫솔모(103, 도 4 참고)에 전달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는 샤프트와 같이 진동 발생부(150)에서 발생한 진동을 칫솔모(103, 도 4 참고)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진동 발생부(150)는, 칫솔모에 진동을 전달하여 양치질 효과를 내는 구성이면서, 동시에 입안에서 멜로디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전동 칫솔(100)을 입 안에 넣고 양치질을 할때는 멜로디가 입 안에서 울려서 더 선명하고 큰 소리가 난다.
칫솔모에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석, 코일, 지지대로 구성되는 전자석 방식이 있고, 모터로 구동하는 모터방식이 있는데, 멜로디를 내기 위해서는 주파수 조정이 정밀해야하므로 전자석 방식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진동 발생부(150)가 전자석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진동 발생부(150)는 칫솔모(103, 도4 참고)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칫솔모(103, 도4 참고)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50)는 제1 진동 발생부(150-1), 제2 진동 발생부(1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전동 칫솔(100)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전동 칫솔(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칫솔모(103, 도 4 참고)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진동 발생부(15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진동 발생부(150-1, 15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데이터가 다채널 음원 데이터인 경우, 프로세서(190)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동 발생부(150-1, 150-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채널이 2개인 경우, 즉, 음원 데이터가 스테레오 음원인 경우, 프로세서(190)는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진동 발생부(150-1)을 제어하고, 우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진동 발생부(150-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여 다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의 진동 주파수 또는 진동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프로세서(19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부(230), 메모리(250), 음성 인식부(270), 프로세서(29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외부 기기(200) 또는 전동 칫솔(100)에 저장된 멜로디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 등 전동 칫솔(100)에서의 음향 출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미러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전동 칫솔(100)의 통신부(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은 저전력 블루투스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270)는 외부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270)는 마이크일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외부 기기(200)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90)는 음성 인식부(270)를 통해 인식한 외부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음성 인식부(270)를 통해 인식한 외부 음성을 디지털 신호인 진동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90)는 변환된 진동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메모리(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90)는 통신부(230)를 통해 음원 데이터 또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전동 칫솔(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외에, 프로세서(29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실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동 칫솔(100)은 본체(101) 및 칫솔모(103)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에는 도 2에서 설명된 메모리(110), 진동 발생부(150), 전원부(170), 프로세서(190), 사용자 입력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부(1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전동 칫솔(100)의 사용자 입력부(140)가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입력부(140)는 작동 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가 도 4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전동 칫솔(100)은 사용자 입력부(140)에 전원 버튼 아이콘(1007)과 전동 칫솔에서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을 사용자 입력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전원 버튼 아이콘(1007)은 전동 칫솔(1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전동 칫솔에서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이란, 전동 칫솔의 메모리(110)에 아이콘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할 때에 칫솔모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음악들을 의미할 수 있다.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은, 댄스 음악 아이콘(1001), 발라드 음악 아이콘(1002), 동요 음악 아이콘(1003), 사용자 지정 1 음악 아이콘(1004), 사용자 지정 2 음악 아이콘(1005), 사용자 지정 3 음악 아이콘(100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1, 2, 3 아이콘(1004, 1005, 1006)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있는 경우, 이를 저장하고 있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40)에서 원하는 멜로디를 선택하면, 전동 칫솔(100)의 본체(101)에 구비된 진동 발생부(150)의 진동이 칫솔모(103)로 전해지면서 해당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멜로디를 들으면서 양치를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전동 칫솔의 경우, 진동 발생부(150)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소로 인식되어 이러한 진동 소음을 줄이는 방식으로 진동 소음을 관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은 진동 발생부(150)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리를 음계에 매칭시켜 칫솔모로 음향을 출력하는 멜로디 모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직접 선택하여, 사용자 맞춤형 멜로디 모드로 동작하는 전동 칫솔(100)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을 설명하기에 앞서, 멜로디를 구성할 수 있는 각 음계들은 표준 주파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4옥타브 도'는 261hz의 주파수를 갖고, '4옥타브 레'는 293hz의 주파수를 갖고, '4옥타브 미'는 329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이 진동 주파수를 258hz로 출력하는 경우 '4옥타브 도' 음과 유사한 음을 낼 수 있고, 진동 주파수를 300hz로 출력하는 경우 '4옥타브 레' 음과 유사한 음을 낼 수 있으며, 진동 주파수를 333hz로 출력하는 경우 '4옥타브 미' 음과 유사한 음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칫솔(100)의 진동 주파수를 258hz에서 300hz, 333hz로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 '도, 레, 미' 음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과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를 통해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동 칫솔(100)의 칫솔모를 통해 진동 데이터를 기초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S501).
프로세서(190)는 멜로디로 출력할 대상인 음원 데이터를 결정하는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멜로디로 출력할 대상인 음원 데이터를 결정하는 입력을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3).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505).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통해 자세히 후술한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507).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507).
먼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표본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양자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중 하나인 부호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데이터인 PWM파형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프로세서(190)는 음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S101). 프로세서(19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90)는 이외 다양한 방식으로 음원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음원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란, 도 7과 같이 연속적인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는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를 구동하기 위해, 진동 발생부(150)의 구동 신호, 즉,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도 6으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90)는 입력 받은 음원 데이터에 대해 표본화(Sampling)를 수행할 수 있다(S103). 표본화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의 진폭 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산출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도 8과 같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의 진폭 값(S(t))을 일정한 시간 간격(T)으로 추출하는 표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90)는 표본화를 거친 음원에 대해 양자화(Quntization)을 수행할 수 있다(S105). 양자화란, 표본화 된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도 9와 같이 표본화 된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하는 양자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90)는 양자화 과정을 거친 신호를 부호화(Encoding)할 수 있다(S107). 부호화는, 양자화 과정을 거쳐 정수로 변환된 신호를 0과 1의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도 10과 같이 양자화 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즉, 이진수로 변환하는 부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S103, S105, S107 단계는 PCM(Pulse Code Modulation)과정으로, 아날로그 신호인 음원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9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PWM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S109). 프로세서(190)는 아날로그 신호인 음원을 디지털 신호인 PWM 파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
PWM 파형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PWM 파형은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의 진동수와 진동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WM 파형은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WM 파형의 주기(Period)는 진동수(Frequency)와 반비례할 수 있으므로 PWM 파형의 주기가 변경되면 전동 칫솔(100)의 진동수가 변경될 수 있고, PWM 파형의 듀티(Duty)와 진폭(Amplitude)이 변경되면 전동 칫솔(100)의 진동 세기가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도 11과 같이, PWM 파형의 듀티(duty cycle)와 진폭(amplitude)을 조절하여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PWM 파형의 주기(Period)를 조절하여 진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90)는 생성된 PWM 파형, 즉, 진동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11). 프로세서(190)는 진동 데이터를 진동 발생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0)는 진동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개시의 전동 칫솔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추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전동 칫솔(100)로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전동 칫솔(100)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칫솔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를 결정하고(S1201), 대상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3). 단계 S1201, S1203은 상술한 단계 S501, S503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 칫솔(100)의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기기(200)로 음원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209).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로부터 음원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전동 칫솔(100)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211).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는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외부 기기(200)의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은 통신부(130)를 통해 대상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4).
전동 칫솔(100)의 프로세서(190)는 수신한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S1205),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1207).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들(단계 S1205, S1207)은 도 5에서 상술한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들(단계 S505, S507)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개시의 전동 칫솔(100)은 외부 기기(20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한 후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통해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 생성 과정이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칫솔이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동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를 결정하고(S1301), 대상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03). 단계 S1301, S1303은 상술한 단계 S501, S503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기기(200)로 진동 데이터 생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304).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로부터 진동 데이터 생성 신호를 수신하면,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305).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는 도 6의 S101, S103, S105, S107, S109 단계, 즉, 음원 데이터를 입력 받아, 표준화(Sampling), 양자화(Quantization), 부호화(Encoding), PWM 파형 생성 단계를 거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는 생성된 진동 데이터를 전동 칫솔(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06).
전동 칫솔(100)은 외부 기기(200)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307).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기기(200)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면,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S1308).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전동 칫솔(100)의 프로세서(190)는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는 자석(155), 코일(151),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부(150)의 코일(151)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코일(151)과 자석(155) 사이에는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지지부(153)는 자석(155)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자석(155)이 진동할 때, 자석(155)의 진동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석(155)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진동 전달 부재(143)는 진동 발생부(150)의 진동을 칫솔모(103)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은 진동 발생부(150)의 일측에 연결되는 탄성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141)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부(15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전동 칫솔(100)의 진동 발생부(150)는 도 15와 같이 케이스(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7)는 자석(155) 및 코일(151)을 이격을 두고 감싸는 부재로, 진동 발생부(150)에 빈 공간을 만들어 진동(즉, 소리)을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100)은 진동 발생부(150) 및 칫솔모(103)를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경우, 전동 칫솔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동 칫솔(100)은 대상 음원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S1601).
단계 S1601은 상술한 단계 S50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가 다채널 음원 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02).
다채널 음원 데이터란, 청취자가 공간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 음원 데이터의 채널을 복수 개로 나누어 신호를 전송하는 음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채널 음원 데이터는 스테레오 타입의 음원 데이터, 5.1채널 음원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가 다채널 음원 데이터가 아닌 경우, 도 5에서 상술한 단계 S503부터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대상 음원 데이터가 다채널 음원 데이터인 경우,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603).
채널 진동 데이터란, 다 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이 2개인 음원 데이터의 경우, 채널 진동 데이터는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와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 채널 진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605).
프로세서(190)는 상술한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S505를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적용하여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고,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S1605는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의 프로세서(29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0)는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가 존재하거나, 채널 진동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1607).
도 17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진동 발생부(150)는 제1 진동 발생부(150-1)와 제2 진동 발생부(1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칫솔의 본체(101) 내부에는 일측에 제1 진동 발생부(150-1)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제2 진동 발생부(150-2)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진동 발생부(150-1, 150-2)는 진동 전달 부재(143)를 통해 제1 칫솔모(103-1), 제2 칫솔모(103-2)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음원 데이터가 다채널 음원 데이터인 경우,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진동 발생부(15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90)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진동 발생부(150-1)를 제어하고,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진동 발생부(15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진동 발생부(150-1)에 대응하는 제1 칫솔모(103-1)와 제2 진동 발생부(150-2)에 대응하는 제2 칫솔모(103-2)는 개별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그 결과, 본 개시의 전동 칫솔(100)은 다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여 진동을 출력함으로써, 칫솔모(103)의 진동으로 다채널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칫솔모(103)와 진동 발생부(150)를 2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전동 칫솔(100)이 진동 발생부(150)를 복수 개로 구비하는 경우, 각 진동 발생부(150)는 케이스(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케이스(157)는 자석(155) 및 코일(151)을 이격을 두고 감싸는 부재로, 진동 발생부(150)에 빈 공간을 만들어 진동(즉, 소리)을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전동 칫솔이 진동 발생부 및 칫솔모를 복수 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전동 칫솔(100)이 진동 발생부(150) 및 칫솔모(103)를 복수개 구비하는 모습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칫솔(100)은 제1 진동 발생부(150-1)와 제2 진동 발생부(150-2) 사이에 충돌 방지 부재(145)를 구비할 수 있다.
충돌 방지 부재(145)는 고무, 탄성체, 스프링 등 충격을 흡수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충돌 방지 부재(145)는 제1 진동 발생부(150-1)와 제2 진동 발생부(150-2)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제1 진동 발생부(150-1)의 진동이 제2 진동 발생부(150-2)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혹은 반대로 제2 진동 발생부(150-2)의 진동이 제1 진동 발생부(150-1)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충돌 방지 부재(145)는 제1 진동 발생부(150-1)와 제2 진동 발생부(150-2)의 물리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 칫솔이 복수 개의 칫솔모를 구비할 때, 실제 사용 모습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상술한 것처럼, 전동 칫솔(100)은 복수개의 칫솔모(103-1, 10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칫솔모(103-1, 103-2) 각각은 각각의 칫솔모(103-1, 103-2)에 연결된 진동 발생부 의해 독립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1과 같이 스테레오 타입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 양치를 하는 경우 도 22와 같이 음악을 들으며 양치를 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과 연동된 외부 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외부 기기(200)는 전동 칫솔(100)에서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1010)을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할 수 있다.
전동 칫솔(100)에서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1010)이란, 외부 기기의 메모리(250) 또는 전동 칫솔의 메모리(110)에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1010)에 대응하는 PWM 형태의 진동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할 때에 음원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음악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출력할 수 있는 음악 아이콘(1010)은, 댄스 음악 아이콘(1001), 발라드 음악 아이콘(1002), 동요 음악 아이콘(1003), 사용자 지정 1 음악 아이콘(1004), 사용자 지정 2 음악 아이콘(1005), 사용자 지정 3 음악 아이콘(100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지정 1, 2, 3 아이콘(1004, 1005, 1006)은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로 변환한 경우, 이를 저장하고 있는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전동 칫솔(100)과 연동된 외부 기기(200)는 음원 데이터를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도 23과 같이, 데이터 변환 중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멜로디의 음원을 변환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동 칫솔 및 외부 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동 칫솔 103: 칫솔모
103-1: 제1 칫솔모 103-2: 제2 칫솔모
150: 진동 발생부 150-1: 제1 칫솔모
150-1: 제1 진동 발생부 150-2: 제2 진동 발생부

Claims (14)

  1. 전동 칫솔에 있어서,
    칫솔모;
    상기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칫솔모에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칫솔모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칫솔모에 개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 칫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전동 칫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는
    제1 칫솔모 및 제2 칫솔모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제1 칫솔모에 대응하는 제1 진동 발생부 및 제2 칫솔모에 대응하는 제2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좌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칫솔모에 상기 좌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우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칫솔모에 상기 우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 칫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부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칫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동 칫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동 칫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sampling), 양자화(quantization) 및 부호화(encoding)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PWM 파형의 진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동 칫솔.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 칫솔.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 데이터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PWM 파형 신호인, 전동 칫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칫솔모에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동 칫솔.
  12. 전동 칫솔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다채널 음원 데이터의 각 채널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채널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진동 발생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부의 개별적인 동작으로 복수의 칫솔모에 개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의 동작 방법.
  14. 전동 칫솔의 동작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원 데이터 또는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진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발생부의 동작으로 칫솔모에 대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00080332A 2020-06-30 2020-06-30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1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32A KR20220001873A (ko) 2020-06-30 2020-06-30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2600169U JP3244187U (ja) 2020-06-30 2021-01-22 振動によりメロディを出力する電動歯ブラシ及びその動作方法
PCT/KR2021/000871 WO2022004982A1 (ko) 2020-06-30 2021-01-22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2180046052.0A CN115734766A (zh) 2020-06-30 2021-01-22 通过振动而输出旋律的电动牙刷及其动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32A KR20220001873A (ko) 2020-06-30 2020-06-30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73A true KR20220001873A (ko) 2022-01-06

Family

ID=7931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332A KR20220001873A (ko) 2020-06-30 2020-06-30 진동으로 멜로디를 출력하는 전동 칫솔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44187U (ko)
KR (1) KR20220001873A (ko)
CN (1) CN115734766A (ko)
WO (1) WO20220049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131A (en) * 1989-12-29 1992-11-24 Staar Development Co., S.A. Teeth cleaning apparatus
KR101264008B1 (ko) * 2008-05-07 2013-05-1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상호작용 칫솔 및 제거가능한 오디오 출력 모듈
KR20110031604A (ko) * 2009-09-21 2011-03-29 이동원 골전도(骨傳導) 뮤직 칫솔
KR20120069887A (ko) * 2010-12-21 2012-06-29 한승룡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 수 있는 장치
KR102028464B1 (ko) * 2013-09-05 2019-10-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진동자, 음파 진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칫솔
JP6152604B1 (ja) * 2016-09-23 2017-06-28 山田 明 複数の可動ブラシ束を個別に運動させる電動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4982A1 (ko) 2022-01-06
JP3244187U (ja) 2023-10-17
CN115734766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5722B (zh) 交互式牙刷
CN102014696B (zh) 交互式牙刷和可移除式音频输出模块
US20110287806A1 (en) Motion-based tune composition on a mobile device
JPH11220518A (ja) 携帯電話機
JP6946257B2 (ja) ブラシ及び交換部材
JP6784320B2 (ja) 再生システム
WO2020021995A1 (ja) ブラシ、ブラシ用の交換部材、及びブラシの使用方法
CN114598969A (zh) 一种数字扬声器音量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3244187U (ja) 振動によりメロディを出力する電動歯ブラシ及びその動作方法
CN116831769B (zh) 口腔护理设备的输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100443A (zh) 提高音乐电动牙刷刷牙舒适度与音乐听觉效果的方法及牙刷
JP3113563U (ja) 携帯リズム体感器具
CN103976554A (zh) 交互式牙刷和可移除式音频输出模块
CN215817830U (zh) 一种具有发音功能的电机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101240887B1 (ko) Mp3플레이어를 구비한 펜
KR1020905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음악 재생 시스템
CN220778472U (zh) 音频电动牙刷
JP3845412B2 (ja) 音声体感システム
JP2002041094A (ja) 音楽出力装置及び振動出力装置
KR20190048179A (ko)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JP2004222859A (ja) 音声発声機能付き杖
CN113749303A (zh) 电子烟设备及发声方法
CN111081204A (zh) 电子乐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介质
CN117939362A (zh) 音频输出方法及装置、音频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