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179A -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 Google Patents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179A
KR20190048179A KR1020170142786A KR20170142786A KR20190048179A KR 20190048179 A KR20190048179 A KR 20190048179A KR 1020170142786 A KR1020170142786 A KR 1020170142786A KR 20170142786 A KR20170142786 A KR 20170142786A KR 20190048179 A KR20190048179 A KR 2019004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ignal
vibration signal
morse c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공
Original Assignee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광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광주전자 filed Critical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179A/ko
Publication of KR2019004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는,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의 시간적 길이에 따라 모스부호로 변환한 진동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모스부호 변환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진동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A BACK OF CHAIR USING SOUND BODILY SENSED VIBRATION MODULE}
본 발명은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음향신호를 스피커모듈을 통해 소리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음향신호를 모스부호의 장진동신호 및 단진동신호로 전환하여 진동모듈을 진동함으로써 신체에 작용하여 마사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피로도 풀어줄 수 있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터나 솔레노이드 구조물의 동작을 이용해서 진동을 주는 리듬 의자를 사용하여 흥을 돋우는 추세였다.
그러나 기구적으로 조립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모터나 솔레노이드로 동작할 때에는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소리에 비해 진동의 반응속도가 느려서 체감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375호(2012.03.07.)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5236호(2013.11.21.)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향신호에 따르는 진동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사용자의 체감력을 올릴 수 있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음향 신호를 모스부호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모스부호의 장단에 따라 진동모듈이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주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는,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의 시간적 길이에 따라 모스부호로 변환한 진동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모스부호 변환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진동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신호는, 단진동신호(·) 및 장진동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스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진동신호(―)의 진동시간은 상기 단진동신호(·)의 진동시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모스부호 변환모듈은, 상기 단진동신호(·) 및 상기 장진동신호(―)의 배열을 달리하여 상기 진동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모스 부호가 포함되는 제어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스부호 변환모듈은, 상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모스부호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음향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MP3디코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향신호에 따르는 진동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사용자의 체감력을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음향신호를 모스부호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모스부호의 장단에 따라 진동모듈이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주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모스부호의 장단에 따라 진동모듈을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시각 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테이블에 따라 현재시각을 모스 부호로 변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100)는 사용자에게 음향 및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 쿠션(10)에 설치되며 스위치패널(12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패널(120)은 사용자의 모드 또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리모컨 형태일 수도 있다.
등받이(12)의 내부에는 오디오 출력부(170) 및 제어부(140)가 삽입설치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위치패널(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서 오디오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세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100)는 모스부호를 이용하여 진동 주기를 조절하며 표시부(110), 스위치패널(120), 입력부(130), 제어부(140), 오디오 믹서(150), 디지털 앰프(160), 오디오 출력부(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40) 및 전원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40)의 신호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재생중인 곡의 가수, 제목, 가사, 선택된 진동모드, 현재시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스위치패널(120)은 제어부(140) 및 전원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 패널(120)에는 선택 될 수 있는 입력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선택버튼, 볼륨증감버튼, 진동증감버튼, 탐색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버튼은 진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을 누를 때 마다 진동모드가 바뀌게 된다. 예컨대, 진동모드1, 진동모드2, 진동모드3은 각각 (···---), (·-·-·-), (---···)의 모스부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륨증감버튼은 스피커모듈(172)의 출력되는 소리의 고저를 조절하며, 상기 진동증감버튼은 진동모듈(174)의 진동세기를 조절하고, 탐색버튼으로 재생되는 곡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위치 패널(120)은 시간 단위를 설정하기 위한 단위 설정 버튼과, 해당하는 단위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설정 버튼과, 타이머의 카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작 버튼과, 작동중인 진동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제어부(140) 및 전원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USB단자(132) 및 무선통신 수신모듈(174)을 포함할 수 있다.
USB단자(132)에는 메모리스틱 및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이 접속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 수신모듈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등 스마트 기기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10), 스위치패널(120), 입력부(130), 오디오 믹서(150), 디지털 앰프(160), 오디오 출력부(170) 및 전원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며, MP3디코더(142) 및 모스부호 변환모듈(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표시부(110)에 재생중인 곡의 가수, 제목, 가사, 선택된 진동모드, 현재시각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표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위치패널(12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하여 진동의자(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MP3디코더(142)는 입력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디코딩(또는 음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믹서(150)에 제공한다.
모스부호 변환모듈(144)는 입력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들의 길이에 따라 단진동신호(·) 및 장진동신호(―)로 변환 및 배열하여 제2디지털앰프(16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진동신호(·) 및 장진동신호(―)는 진동시간의 시간적 길이에 따라 나눠지며, 장진동신호(―)의 진동 시간은 단진동신호(·)의 진동 시간의 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모스부호 변환모듈(144)은 내장되어 있는 제어테이블(20)을 이용하여 현재시각 등 다양한 정보를 모스부호의 장진동신호(―) 및 단진동신호(·)를 이용한 진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믹서(150)는 MP3디코더(142) 및 제1디지털앰프(1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MP3디코더(142)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들 중 여러 종류의 음향 신호들만을 수신 및 필터링하여 하나의 프로그램 음으로 혼합하여 제1디지털앰프(162)로 출력한다.
디지털 앰프(160)는 제어부(140), 오디오 믹서(150), 오디오 출력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필터링하여 증폭한다. 디지털 앰프(160)는 제1디지털앰프(162) 및 제2디지털앰프(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지털앰프(162)는 오디오믹서(15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부(170)의 스피커모듈(172)로 출력할 수 있다.
제2디지털앰프(164)는 모스부호 변환모듈(144)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진동신호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부(170)의 진동모듈(174)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제어부(140), 디지털앰프(160) 및 전원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지털 앰프(160)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 및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음악 및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70)는 스피커모듈(172) 및 진동모듈(17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모듈(172)은 제1디지털앰프(162)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모듈(174)은 제2디지털앰프(164)로부터 입력된 진동신호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제어테이블에 따라 현재시각을 모스 부호로 변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모스부호를 해석할 때는 모스부호의 규칙에 따라서 해석되어야 하며, 모스부호를 해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미리 보스부호 해석법을 알고 있다고 전제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테이블(20)은 숫자 등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모스 부호가 매칭되어 있다. 모스부호는 단점(dot)와 장점(dash: 단점 3개의 길이)과의 조합으로 문자나 기호를 나타내는 전신부호(electric telegraphy)이다. 모스 부호는 1832년 미국의 Samuel F. B. Morse에 의해서 전신용으로 발명되었고, 현재에도 선박 등에서 간이 무선전신용이나 잠수함의 테이블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현재시각 “12:00”에 해당하는 모스부호 문장은 “·- - - - ··- - - - - - - - - - - - - “이다. 모스부호 변환모듈(144)은 “·- - - - ··- - - - - - - - - - - - - “를 진동신호로 생성하여 출력하게 함으로써 의자에 앉아있는 사용자는 촉각으로 현재시각이 12:00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진동의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30)가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모스부호 변환모듈(144)로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0).
다음으로, 모스부호 변환모듈(144)이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길이에 따라 모스부호로 변환한 진동신호를 제2디지털앰프(164)로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1).
다음으로, 제2디지털앰프(164)가 상기 진동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한 증폭진동신호를 생성하여 진동모듈(174)로 출력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2). 이때, 상기 증폭진동신호는 단진동신호(·) 및 장진동신호(―)의 배열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모듈(174)이 상기 증폭진동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3).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는 음향신호에 따르는 진동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사용자의 체감력을 올릴 수 있고, 음향신호를 모스부호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모스부호의 장단에 따라 진동모듈이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주기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모스부호의 장단에 따라 진동모듈을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시각 등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등받이 20: 제어테이블
100: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110: 표시부 120: 스위치 패널
130: 입력부 132: USB단자
134: 무선통신 수신모듈 140: 제어부
142: MP3디코더 144: 모스부호 변환모듈
150: 오디오 믹서 160: 디지털앰프
162: 제1디지털앰프 164: 제2디지털앰프
170: 오디오출력부 172: 스피커모듈
174: 진동모듈

Claims (5)

  1. 입력된 디지털 음향신호의 시간적 길이에 따라 모스부호로 변환한 진동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모스부호 변환모듈을 구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진동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진동신호에 따라서 진동하는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신호는,
    단진동신호(·) 및 장진동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스부호를 포함하되,
    상기 장진동신호의 진동시간은 상기 단진동신호의 진동시간보다 긴,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스부호 변환모듈은,
    상기 단진동신호(·) 및 상기 장진동신호(―)의 배열을 달리하여 상기 진동신호를 생성하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모스부호가 포함되는 제어테이블이 저장되며,
    상기 모스부호 변환모듈은, 상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모스부호로 변환하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음향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MP3디코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구비하는,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KR1020170142786A 2017-10-30 2017-10-30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KR20190048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86A KR20190048179A (ko) 2017-10-30 2017-10-30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86A KR20190048179A (ko) 2017-10-30 2017-10-30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79A true KR20190048179A (ko) 2019-05-09

Family

ID=6654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786A KR20190048179A (ko) 2017-10-30 2017-10-30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17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75Y1 (ko) 2012-03-07 2012-12-3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음향효과를 이용한 진동의자
KR101485236B1 (ko) 2010-06-29 2015-01-2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236B1 (ko) 2010-06-29 2015-01-2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4375Y1 (ko) 2012-03-07 2012-12-3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음향효과를 이용한 진동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92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haptic signal to a haptic transducer
CN104423589B (zh) 用于变换触觉信号的方法和系统
KR101902421B1 (ko) 클릭 느낌을 시뮬레이션하는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는 터치 감지 디바이스
US10926293B2 (en) Vibration provision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vibration according to frequency change and vibration provision method therefor
US20110064235A1 (en) Microphon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14003592A (ja) 骨伝導振動子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及び装置
EP1930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cess an audio user interface and audio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27144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90048179A (ko) 체감음향 진동모듈을 이용한 등받이
KR101259111B1 (ko) 진동 패턴 생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진동 패턴 생성 및 전송방법
JP417101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デバイス
JPH11196497A (ja) 振動による情報伝達装置
CN215601469U (zh) 耳机装置
KR102006629B1 (ko) 인터넷 뉴스 듣기가 가능한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KR101865449B1 (ko) 백색소음 출력시스템 및 백색소음 출력방법
JP2008232526A (ja)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JP6456513B2 (ja) 体感制御装置
JP3244187U (ja) 振動によりメロディを出力する電動歯ブラシ及びその動作方法
JP2006108872A (ja) パネルスピーカ付携帯電話機およびパネルスピーカ付携帯電話機による通信方法
KR1004005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KR101257808B1 (ko) 정보기기의 다중 신호 기능 운용방법
KR20024285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
JP2006246287A (ja) 遠隔制御装置
JP6655412B2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ならびに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