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55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558B1
KR100400558B1 KR10-2001-0071917A KR20010071917A KR100400558B1 KR 100400558 B1 KR100400558 B1 KR 100400558B1 KR 20010071917 A KR20010071917 A KR 20010071917A KR 100400558 B1 KR100400558 B1 KR 10040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ound wave
sound
wave data
w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276A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5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식, 수면, 정신력집중에 도움을 주는 음파를 발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의 음파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에 적합하게 배합한 음파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 중에서 해당 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읽어내어 디지털 펄스 스트림형태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디지털 펄스 스트림을 외부로 출력하는데 적당한 수준으로 증폭처리한 음향 출력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ACOUSTIC WAVE GENERATION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본 발명은 휴식, 수면, 정신력집중에 도움을 주는 음파를 발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는 기분이 들게 하는 휴식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수면을 유도하거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파를 제공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향 발생 기술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N 카운터(11A),(11B)의 레지스터에 원하는 값을 기록해 두면, 그 M/N 카운터(11A),(11B)가 입력되는 기준주파수(예: 307.5KHz)의 신호(F_ref)를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요구된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M/N 카운터(11A),(11B)의 출력신호와 상기 기준주파수의 신호(F_ref)가 앤드게이트(AD11),(AD12),(AD13)에 의해 앤드조합된 후 오아게이트(OR11)에 의해 오아조합되어 싱글톤(single tone) 또는 DTMF(DTMF: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형태의 디지털 펄스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도 1과 같은 링거 발생회로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펄스 스트림은 도 2와 같은 부스터(21)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음향 출력부(2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단순히 전화가 걸려온 것을 알리기 위한 여러 형태의 부저음이나 음악을 출력할 수 있을 뿐 사용자의 생활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단순히 전자기기라는 인식을 불식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적절히 조합하여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는 기분이 들게 하는 휴식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수면을 유도하거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음향 발생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부스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파 발생방법이 적용되는 음파 발생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파 발생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키패드 32 : 마이크로프로세서
32A : 음향 발생부 33 : 메모리
34 : 부스터 35 : 음향 출력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은, 특정의 음파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에 적합하게 배합한 음파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 중에서 해당 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읽어내어 디지털 펄스 스트림형태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디지털 펄스 스트림을 외부로 출력하는데 적당한 수준으로 증폭처리한 음향 출력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파 발생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음파발생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를 출력하는 키패드(31)와; 상기 키패드(31)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후술 할 메모리(33)로부터 해당 휴식모드 또는 수면모드 또는 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읽어내어 그에 상응되는 음향을 생성하는마이크로프로세서(MSM)(32)와; 안락한 휴식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적당한 음파데이터, 수면을 유도하는데 적당한 음파데이터,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음파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3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32)의 음향 발생부(32A)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펄스 스트림을 외부로 출력하는데 적당한 수준으로 증폭하는 부스터(34)와; 상기 부스터(34)에서 출력되는 베이스 밴드의 음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35)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적 의미에서의 소리에 대한 연구는 1930년대 중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과학자들은 뇌의 전기적 신호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규칙적인 소리의 자극에 동화되려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영국의 신경학자인 그레이 월터 박사는 소리가 뇌파에 작용하여 깊은 신체적 이완과 활기 있는 정신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유도시켜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인간의 두뇌는 외부의 감각기관으로부터 수용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전류를 발산하게 되는데, 이를 뇌파라 한다. 그 뇌파의 유형은 주파수에 따라 알파( alpha )파, 베타( beta )파, 세타( theta )파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에서 알파파(812 Hz)와 세타파(47Hz)는 저주파로서 기억력, 창의력, 학습능력 발휘와 관련이 깊은 뇌파이고, 흥분하거나 긴장될 때와 같이 각성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주로 베타파(1330Hz)가 나오게 되며, 수면시에는 델타파(13Hz)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에 적합하게 배합한 음파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재생 출력하도록 한 것으로, 이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프로세서(32)는 음파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에 적합하게 배합된 음파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해 둔다.(S1,S2)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31)를 조작하여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 중 임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2)가 그 입력 키이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33)에 저장된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 중에서 해당 음파데이터를 읽어내어 내부의 음향 발생부(32A)에 전달한다.(S3-S7)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부(32A)는 입력된 해당 모드의 음파데이터를 디지털 펄스 스트림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고, 이렇게 출력되는 디지털 펄스 스트림이 부스터(34)에 의해 외부로 출력하는데 적당한 수준으로 증폭처리된 후 이어폰과 같은 음향 출력부(3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S8-S1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모드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적절히 조합한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모드의 음파데이터를 재생 출력 함으로써, 각종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는 기분이 들게 하는 휴식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수면을 유도하거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알파파, 세타파, 델타파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에 적합하게 배합하여 음파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 중에서 해당 음파데이터를 읽어내어 디지털 펄스 스트림형태로 변환하는 제2과정과; 디지털 펄스 스트림을 일정 수준으로 증폭처리한 음향 출력부측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휴식모드, 수면모드, 정신집중모드의 음파데이터는 특정의 음파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는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KR10-2001-0071917A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KR10040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17A KR100400558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17A KR100400558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76A KR20030041276A (ko) 2003-05-27
KR100400558B1 true KR100400558B1 (ko) 2003-10-08

Family

ID=2957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917A KR100400558B1 (ko) 2001-11-19 2001-11-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58A (ko) * 2002-08-23 2004-02-27 주식회사 게임빌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뇌파 조절 모듈
KR100828150B1 (ko) * 2006-08-18 2008-05-08 강만희 온라인 뇌파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76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0113B (zh) 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6885876B2 (en) Mobile phone featuring audio-modulated vibrotactile module
CN110245254A (zh) 汽车氛围灯的控制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6839446B2 (en) Hearing aid with sound replay capability
JP2002156975A (ja) 音生成装置及び方法
CN107205193A (zh) 一种播放控制方法、耳机及智能设备
KR1004005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파 발생방법
JPH0556499A (ja) デイジタル補聴器
JP20211772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20137553A1 (en) Distinctive ringing for mobile devices using digitized user recorded audio message
KR200263482Y1 (ko) 휴대용 스트레스 이완기
KR20024285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
KR100798956B1 (ko) 통화모드에서의 사용자 감정 조절을 위한 음파 제어 방법및 장치
TW201023609A (en) Brain wave simulating apparatus
JPH1145095A (ja) 音響装置
JP3408465B2 (ja) 携帯端末装置
JPH1051516A (ja) 呼出し音生成装置
JPH1188211A (ja) 携帯無線装置及びその着信音作成方法
JP2006047640A (ja) 情報伝達装置、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
KR200164224Y1 (ko) 말하는 스피커
JPH09106260A (ja) 音声出力装置
KR20040061788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모닝콜 방법
KR100667965B1 (ko) 이동형 통신 단말기
Passos Transformation of whispering voice to pseudo-real voice for unvoiced telephony and communication aid for voice-handicapped persons
JPH01262578A (ja) 語学練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