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231U -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 Google Patents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231U
KR20220001231U KR2020200004257U KR20200004257U KR20220001231U KR 20220001231 U KR20220001231 U KR 20220001231U KR 2020200004257 U KR2020200004257 U KR 2020200004257U KR 20200004257 U KR20200004257 U KR 20200004257U KR 20220001231 U KR20220001231 U KR 20220001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suction
exhaust
panel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381Y1 (ko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임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열 filed Critical 임채열
Priority to KR2020200004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38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2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provided with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양측 기둥부에 구비된 흡착패드의 진공 흡착 해제를 위한 스윙 작동 방식의 흡착 해제 밸브를 구비하여, 패널에 대한 진공 흡착 후 흡착 해제 밸브를 통한 흡착패드 내부로의 급기를 통해 진공 흡착 해제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DOUBLE SUCKER FOR PANEL TRANSFER}
본 고안은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양측 기둥부에 구비된 흡착패드의 진공 흡착 해제를 위한 스윙 작동 방식의 흡착 해제 밸브를 구비하여, 패널에 대한 진공 흡착 후 흡착 해제 밸브를 통한 흡착패드 내부로의 급기를 통해 진공 흡착 해제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 관한 것이다.
각종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대형 패널은 제조 공정에서 조립 및 검사 등을 위한 다양한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들 공정들 사이에서 안전하게 이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형 패널의 이송에는 통상적으로 진공 흡착기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진공 흡착기는 패널의 한쪽 측면 전체에 걸쳐서 행과 열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포인트형 홀더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렇게 복수개의 포인트형 홀더가 배열되어 있으면 홀더 각각에 진공을 위한 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진공 흡착기 자체의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자동화 설비의 패널 이송용으로는 적합할지 모르나, 작업자가 패널을 직접 들고 이송할 때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공개특허 제10-2012-0035298호 등과 같은 더블 서커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더블 서커는 봉 형상의 본체 양 측단에 각각 흡착부재가 구비되며, 각 흡착부재에 진공 발생 및 진공 해제를 위한 조작레버가 구비되어, 조작 레버를 양측으로 회동 조작함에 따라 흡착부재에 구비된 흡착구의 밑면을 형상 변위시켜 진공 흡착 및 진공 흡착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종래의 진공 흡착기와 다르게 별도의 진공 발생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 무게 또한 가벼워 작업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장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더블 서커는 흡착구의 형상 변위를 통해서만 진공 흡착 및 진공 흡착 해제가 이루어지는 바,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구를 원상 복귀시켜 진공 흡착을 해제할 때 흡착구 내부의 진공 압력으로 인해 조작레버를 해제 위치로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구 내부로 급기가 이루어져야 진공 흡착 해제가 쉬운데, 종래의 더블 서커는 급기를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진공 흡착 해제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패널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양측 기둥부에 구비된 흡착패드의 진공 흡착 해제를 위한 스윙 작동 방식의 흡착 해제 밸브를 구비하여, 패널에 대한 진공 흡착 후 흡착 해제 밸브를 통한 흡착패드 내부로의 급기를 통해 진공 흡착 해제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는,
내부 바닥면에 급배기공이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를 구비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단에서 각각 바디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급배기공과 연통되는 급배기홀을 구비한 양측 기둥부;
상기 양측 기둥부 각각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고 각 기둥부의 급배기홀과 연통되는 흡착부를 갖는 흡착패드;
상기 장착부의 외면을 형성하며 축공을 구비한 밸브캡; 및
상기 축공에 끼워져 둘레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내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급배기공을 개폐하는 기밀부, 상기 축공에서 상기 로드부가 직립하게 하며 상기 기밀부를 상기 급배기공에 밀착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흡착 해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는,
상기 밸브캡은 상기 축공 둘레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되 일측면이 개구되면서 상기 로드부가 수용되는 젖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서,
상기 기밀부는 제1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장착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양측 기둥부의 급배기홀이 서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배기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급배기로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1개의 흡착 해제 밸브로 양측의 흡착 패드를 동시에 진공 해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는,
본체에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된 흡착 해제 밸브로 각 흡착패드의 흡착부에 급기가 이루어지므로 패널 이송 후 진공 흡착 해제를 보다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진공 흡착 밸브가 일방향으로만 젖힘 가능하여, 작업자가 실수로 진공 흡착을 해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진공 흡착 밸브의 기밀부가 자력으로 급배기공에 밀착되기 때문에 진공 흡착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어, 이송 중 패널이 흡착패드에서 떨어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며,
2개의 흡착패드에 대해 하나의 진공 흡착 밸브로 진공 흡착 해제가 가능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샘플 사진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샘플 사진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공 흡착 밸브의 샘플 사진도..
도 5는 본 고안 젓힘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바닥면에 급배기공(11)이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12)를 구비한 바디부(10);
상기 바디부(10)의 양 측단에서 각각 바디부(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급배기공(11)과 연통되는 급배기홀(21)을 구비한 양측 기둥부(20);
상기 양측 기둥부(20) 각각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고 각 기둥부(20)의 급배기홀(21)과 연통되는 흡착부(31)를 갖는 흡착패드(30);
상기 장착부(12)의 외면을 형성하며 축공(41)을 구비한 밸브캡(40);
상기 축공(41)에 끼워져 둘레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50), 상기 로드부(50)의 내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급배기공(11)을 개폐하는 기밀부(51), 상기 축공(41)에서 상기 로드부(50)가 직립하게 하며 상기 기밀부(51)를 상기 급배기공(11)에 밀착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53)를 구비한 흡착 해제 밸브(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각 흡착패드(30)와 연결된 급배기공(11) 각각에 흡착 해제 밸브(V)가 구비되어 흡착패드(30)에 대한 진공 흡착 해제를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제1 실시예와,
하나의 흡착 해제 밸브(V)로 2개의 흡착패드(30)를 동시에 진공 흡착 해제할 수 있는 제2 실시예가 있는데,
먼저 도 1, 도 3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10)의 양 측단에는 바디부(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급배기공(1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 급배기공(11)은 바디부(10)의 양 측단에 결합된 기둥부(20)의 급배기홀(21)과 상하로 직결되게 연결되어 있다.
각 급배기공(11)은 바디부(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부(12)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이때 각 급배기공(11)은 장착부(12)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구조의 돌출부(11a)로 연결되어, 돌출부(11a)의 외주면에 오링(13)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둥부(20)는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바디부(10)에 볼트 결합되며, 이때 기둥부(20)의 나사부와 바디부(10)의 나사공 사이에는 별도의 패킹(22)이 장착된다.
상기 흡착패드(30)는 고무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테두리에서 중앙을 향해 상향 경사진 형태의 돔형 흡착부(31)를 가지며, 흡착부(31)의 상면 중앙에 상기 급배기홀(21)이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흡착패드(30)는 상면에서 상기 급배기홀(21)을 중심으로 방사상 구조로 돌출된 지지돌기(32)가 구비되어, 지지돌기(32)들 사이에 공기 소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캡(40)은 상기 장착부(12)의 개구부를 덮도록 바디부(10)에 볼트 결합되며, 급배기공(11) 상부에 상기 축공(4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50)는 상기 축공(41)을 기준으로, 하측단에 상기 기밀부(51)가 결합되어 있고, 상측단에 젖힘부(52)가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53)(압축스프링)가 상기 기밀부(51)와 밸브캡(40)의 저면 사이에서 상기 로드부(50)에 외삽되어, 상기 기밀부(51)가 밸브캡(40) 하부로 탄성 지지된 상태로 로드부(50)가 축공(41) 상에서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기밀부(51)는 급배기공(11)의 직경보다 넓은 면적의 넓은 면적의 원판 형태로써, 상기 로드부(5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53)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오링(13)에 접촉하여 상기 급배기공(11)이 폐쇄되고, 상기 로드부(50)가 스윙 동작 형태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기밀부(51)의 일부가 상기 오링(13)과 이격되면서 상기 급배기공(11)이 개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바디부(10) 중단을 잡고 흡착패드(30)를 패널의 일면에 밀착되게 누르면, 흡착패드(30)가 넓게 펴지면서 흡착부(31) 내의 공기가 상기 급배기홀(21)을 통해 상기 급배기공(11)으로 배기되는데, 이때 급배기공(11)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상기 기밀부(51)가 오링(13)에서 이격되면서 배기된 후 기밀부(51)가 급배기공(11)을 폐쇄시켜, 흡착부(31)가 진공 상태가 되면서 흡착패드(30)가 패널에 진공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 해제 밸브(V)의 젖힘부(52)를 젖히면 상기 기밀부(51)가 오링(13)에서 들리면서 상기 급배기공(11)을 통해 상기 급배기홀(21)을 거쳐 상기 흡착부(31) 내부로 공기가 급기됨에 따라 흡착패드(30)의 진공 흡착이 해제되어 패널이 분리되며,
흡착 해제 밸브(V)의 젖힘부(52)에서 손을 떼면, 상기 탄성체(53)의 탄성력으로 상기 로드부(50)가 직립됨에 따라 상기 급배기공(11)이 상기 기밀부(51)에 의해 자동으로 다시 폐쇄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캡(40)은 상기 축공(41) 둘레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되 일측면이 개구되면서 상기 로드부(50)가 수용되는 젖힘 가이드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젖힘 가이드부(42)는 상기 로드부(50)의 상단부(보다 엄밀하게는 젖힘부(52))가 수용되는 반원형 홈 형상으로써, 상기 젖힘 가이드부(42)가 상기 젖힘부(52)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착 해제 밸브(V)는 상기 젖힘 가이드부(42)의 개구부(42a) 상으로만 젖힘 가능해짐에 따라, 흡착 해제 밸브(V)의 젖힘 방향을 일방향으로만 제한함으로써, 의도치 않게 흡착 해제 밸브(V)가 젖혀지면서 진공 흡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기밀부(51)는 제1 자석(5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장착부(1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 자석(54)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25)을 포함한다.
상기 기밀부(51)는 하측면이 개구된 금속 하우징(51a)에 상기 제1 자석(54)이 내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10)의 하측면에는 오목 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자석(25)이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 해제 밸브(V)의 기밀부(51)는 상기 제1, 제2 자석(25)의 인력 작용으로 상기 급배기공(11)이 상시 밀착되게 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50)의 직립 상태가 더욱 안전하게 유지됨은 물론, 상기 급배기공(11)의 폐쇄 상태를 더욱 기밀하게 유지시켜, 진공 흡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실시예에 상기 제2 자석(25)이 장착된 것만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에도 제2 자석(25)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링 형상의 제2 자석(25)이 장착부(12)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10)는 상기 양측 기둥부(20)의 급배기홀(21)이 서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배기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12)가 상기 급배기로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12)에 장착된 1개의 흡착 해제 밸브(V)로 양측의 흡착 패드를 동시에 진공 해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양측 급배기홀(21)의 상단에 급배기로(16)가 'ㄷ'자형으로 연결되게 바디부(10)의 길이방향으로 바디부(1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급배기로(16) 상부로 상기 급배기공(11)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지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양측 흡착패드(30)가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1개의 흡착 해제 밸브(V)를 젖히면 급배기공(11)과 급배기로(16)를 통해 양측 급배기홀(21)로 급기가 이루어져 2개의 흡착패드(30)에 대한 동시 흡착 해제가 가능해진다.
미설명 도면 부호 14는 바디부(10)와 별개로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손잡이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젖힘 가이드부(42)로 상기 흡착 해제 밸브(V)의 젖힘을 방지하나, 젓힘부가 젖힘 가이드부(42)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 시 흡착 해제 밸브(V)가 실수로 젖혀지면서 진공 흡착이 해제될 위험성을 아예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은 돌기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 해제 밸브(V)의 젖힘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젖힘 방지수단을 도입하였다.
본 고안의 젖힘 방지수단은,
상기 젖힘 가이드부(42)의 내측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한돌기(43),
상기 젖힘부(52)에서 상하로 승강하게 결합하되, 하강 시 상기 젖힘 가이드부(42) 내부로 수용되어 젖힘 가이드부(42)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되는 잠금 버튼(55),
상기 젖힘부(52)에서 상기 잠금 버튼(55)의 양측 외부로 출몰하게 결합하되, 상기 잠금 버튼(55)의 하강 시 젖힘부(52)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제한돌기(43)에 걸리는 걸림돌기(56)를 포함한다.
상기 제한돌기(43)는 개구부(42a)를 형성하는 젖힘 가이드부(42)의 양 단부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제한돌기(43)들 사이에 걸림홈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 버튼(55)은 스프링으로 상향 돌출되게 탄성 지지되며, 원터치 방식으로 잠금 버튼(55)을 한번 누르면 하강한 상태가 유지되고, 잠금 버튼(55)을 다시 누르면 상승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잠금 버튼(55)의 원터치 작동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잠금 버튼(55)은 하측단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가압볼록부(55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56)는 잠금 버튼(55)의 하부에서 양측 걸림홈을 향해 인출입 작동하는 것으로, 각 걸림돌기(56)는 인장스프링 등을 통해 인입 상태가 강제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56)는 내측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압경사면(56a)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볼록부(55a)의 양측면에 각 걸림돌기(56)의 가압경사면(56a)이 접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젖힘 방지수단은, 상기 잠금 버튼(55)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부가 젖힘 가이드부(42) 상부로 노출되게 돌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시에만 흡착 해제 밸브(V)를 젖혀서 진공 흡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흡착 상태에서, 상기 잠금 버튼(55)을 누르면 잠금 버튼(55)이 젖힘 가이드부(42) 내부로 수용되면서 양측의 걸림돌기(56)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인출된 걸림돌기(56)가 상기 제한돌기(43)로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흡착 해제 밸브(V)가 개구부(42a)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흡착 해제 밸브(V)가 젖힘 가이드부(42) 내부로 완전하게 수용되어 있어 실수로 잠금 버튼(55)이 다시 눌려서 흡착 해제 밸브(V)의 잠김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부 20 : 기둥부
30 : 흡착 패드 40 : 밸브캡
50 : 로드부 V : 흡착 해제 밸브

Claims (4)

  1. 내부 바닥면에 급배기공이 연결되어 있는 장착부를 구비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 측단에서 각각 바디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급배기공과 연통되는 급배기홀을 구비한 양측 기둥부;
    상기 양측 기둥부 각각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고 각 기둥부의 급배기홀과 연통되는 흡착부를 갖는 흡착패드;
    상기 장착부의 외면을 형성하며 축공을 구비한 밸브캡; 및
    상기 축공에 끼워져 둘레방향으로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내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급배기공을 개폐하는 기밀부, 상기 축공에서 상기 로드부가 직립하게 하며 상기 기밀부를 상기 급배기공에 밀착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흡착 해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더블 서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캡은 상기 축공 둘레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연결되되 일측면이 개구되면서 상기 로드부가 수용되는 젖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더블 서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제1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장착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더블 서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양측 기둥부의 급배기홀이 서로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급배기로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가 상기 급배기로의 소정 위치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1개의 흡착 해제 밸브로 양측의 흡착 패드를 동시에 진공 해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용 더블 서커.
KR2020200004257U 2020-11-24 2020-11-24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KR200496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7U KR200496381Y1 (ko) 2020-11-24 2020-11-24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257U KR200496381Y1 (ko) 2020-11-24 2020-11-24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31U true KR20220001231U (ko) 2022-05-31
KR200496381Y1 KR200496381Y1 (ko) 2023-01-17

Family

ID=8176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257U KR200496381Y1 (ko) 2020-11-24 2020-11-24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38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476A (ja) * 1995-12-21 1997-07-08 Central Glass Co Ltd 吸着治具
KR20120012102A (ko) * 2010-07-30 2012-02-09 (주) 케이피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KR20170130006A (ko) * 2016-05-17 2017-1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4476A (ja) * 1995-12-21 1997-07-08 Central Glass Co Ltd 吸着治具
KR20120012102A (ko) * 2010-07-30 2012-02-09 (주) 케이피 패널 이송용 진공흡착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진공흡착기
KR20170130006A (ko) * 2016-05-17 2017-1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381Y1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748B2 (en) Vacuum container
TWI521390B (zh) 經照明輸入裝置、鍵盤及用於製造透光鍵帽之方法
TW504576B (en) Device holding apparatus
JP2004338784A5 (ko)
KR101820722B1 (ko) 평패널용 진공 흡착 장치
JPWO2005101484A1 (ja) 基板収納容器の雰囲気置換ポート接続装置
JP2014527410A (ja) ガラススライドを精密かつ容易に組み立て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KR100525853B1 (ko) 볼 흡착 헤드
JP2016096256A (ja) 基板保持装置
KR20220001231U (ko) 패널 이송용 더블 서커
US20110284594A1 (en) Continuous dispensing spray actuator
US7167160B2 (en) Dual mode input device
JPWO2007116527A1 (ja) Foupオープナのfoupドア位置決め装置
TW202138910A (zh) 具有通過基底板的保持特徵的光罩盒
KR101845536B1 (ko) 휴대용 우산꽂이
CN107701871B (zh) 一种具有单向阀的吸附式支撑装置
KR102470013B1 (ko)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200379566Y1 (ko) 진공컵 밸브
JP4770382B2 (ja) 液体移送装置
US11473345B2 (en) Vehicle hood locking mechanism
CN209262587U (zh) 吸附式支撑装置
KR200463781Y1 (ko) 공압식 흡착피커
KR100581760B1 (ko) 레귤레이터
TW201608668A (zh) 承載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