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60A -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1160A KR20220001160A KR1020200079134A KR20200079134A KR20220001160A KR 20220001160 A KR20220001160 A KR 20220001160A KR 1020200079134 A KR1020200079134 A KR 1020200079134A KR 20200079134 A KR20200079134 A KR 20200079134A KR 20220001160 A KR20220001160 A KR 202200011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tower
- fixing
- support
- main body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보강장치지지체가 구비되되 보강장치지지체가 송전철탑주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대한 보강성 및 견고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으며 지면에 대해 높게 설치되는 송전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강풍이 불거나 외력이 송전철탑에 작용하더라도 송전철탑이 쓰러지거나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직접 연결되어 송전철탑주체부를 보강 지지하기 때문에 송전철탑주체부는 물론 송전철탑주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송전철탑에 대한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공급을 위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철탑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주체부를 견고하게 보강하는 것에 의해 송전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멀리 있는 공장이나 일반 가정 등으로 수송하는 과정을 송전이라 하며, 송전을 위해 사용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트러스 구조의 탑시설물을 송전철탑이라 한다.
또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송전선로는 매우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송전철탑은 철재를 이용해 견고한 탑을 만들어서 안전하게 시공되어야 하며, 대개 송전철탑은 보통 강철로 만들어지고 격자브레이스(cross braces)에 의해 연결된 4개 이상의 레그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송전철탑은 보통 80에서 105피트의 높이로 시공되기 때문에 송전선로의 무게와 바람으로 인한 굽힘과 과도한 흔들림을 견딜 수 있는 적절한 횡방향 강도를 가지도록 제작하고는 있으나, 강풍이나 외부충격 또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쉽게 붕괴될 수 있는 구조적강도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송전철탑을 보강하기 위해 송전철탑의 하부에 구비되는 송전철탑주체부가 연결되도록 콘크리트 보강체를 별도 시공하여 송전철탑에 대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와 같이 콘크리트 보강체를 시공할 경우 현장에서 송전철탑의 둘레지면을 굴착한 후 거푸집 및 철근을 조립 시공한 다음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콘트리트 보강체를 시공함에 따라 시공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이에 따른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송전철탑을 보강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일예로, 등록실용 20-0419865호인 고압전기 철탑 기초부의 보강틀 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기초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된 고압전기 철탑에 있어서,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보강틀을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보강틀은 사각형의 고압전기 철탑의 하부측 둘레면에 밀착되는 사각형상의 상부체결틀과, 상기 상부체결틀의 모서리 내면에 상단이 각각 결합되고 하단은 사각형의 하부체결틀에 크로스 결합된 크로스바의 상면에 지지 결합되어 상기 고압전기 철탑의 외곽 다리부와 다수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기역자형 체결접합빔과, 상기 사각형의 하부체결틀의 하면에 상단이 각각 결합되고 하단은 뾰족한 형상으로 연약 지반 기초부에 각각 매설되는 다수의 기초보강파일과, 상기 사각형의 상부체결틀과 하부체결틀의 꼭지점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고압전기 철탑의 외곽 다리부를 기역자형 체결접합빔으로 다수의 체결부재로 견고하게 결합하고, 연약 지반에는 다수의 기초보강파일을 박아 고정함으로써 고압전기 철탑이 설치되는 연약 지반에서 침하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910436호인 특고압 송전선로의 철탑 안정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철탑의 하단지주를 고정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된 콘크리트블럭들 사이 정중앙에 일정깊이 형성된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에 매입 설치되는 설치박스와 상기 설치박스에 내장되는 작동모터와 상기 작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치결합되어 작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설치홈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되는 견인롤블럭과 상기 견인롤블럭에 내장된 다수의 견인롤과 일단은 상기 하단지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롤에 감긴 다음 다시 인출되어 다른쪽 하단지주에 결속되는 견인와이어를 포함하는 특고압 송전선로의 철탑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박스의 개방된 상면은 박스커버로 나사체결되어 밀폐되고 상기 박스커버에는 견인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와이어통과공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설치박스의 내부 4면 중심에는 슬라이딩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롤블럭의 중심에는 스크류체결홀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와 치결합되며 상기 견인롤블럭의 하단 4변 중심에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블럭이 돌출되고 상기 견인롤블럭의 내부는 4면에서 일정반경의 롤설치홈이 일정깊이 파여 있어 상기 견인롤이 내장되는 형태로 축고정되는데 상기 견인롤의 축 일단은 롤설치홈의 내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며 타단은 롤설치홈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설치홈커버 상에 회전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견인롤의 외주면에는 와이어견인홈이 나선상으로 2-3피치 형성되며 상기 견인롤블럭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롤설치홈과 연통되게 와이어유도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강풍에 의해서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 송전선의 장력 변화에도 대응하여 안전한 특고압 송전선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전자의 경우,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의 하부 송전철탑주체부가 아닌 송전철탑의 하부구조와 보강틀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대한 보강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틀의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보강틀의 하부를 지면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송전철탑의 하부 둘레부로부터 확장하여 지면을 파낸 후 보강틀의 하부를 매설해야 함에 따라 시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시공시간의 지연은 물론 시공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역시,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의 하부 송전철탑주체부가 아닌 송전철탑의 하부구조와 와이어에 의해 설치박스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실질적으로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대한 보강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면에 매설되는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연결 시공되어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를 견고하게 보강하여 송전철탑에 대한 지지성과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는,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에 각각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를 따라 각각 연결되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를 지지하는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는 각각, 송전철탑주체부의 둘레면에 각각 밀착되고 앙카체결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핀결합구멍이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을 갖는 복수개 브라켓과; 상기 복수개 브라켓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 내측으로 각각 인입되고 상기 제1핀결합구멍과 대응되는 제1핀연결구멍이 구비되되 상기 송전철탑주체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면과 상기 제1연결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연결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연장되고 제2핀연결구멍이 구비되는 제2연결면을 갖는 복수개 고정체연결구와; 상기 복수개 브라켓의 결합면에 구비된 제1핀결합구멍과 고정체연결구의 제1연결면에 구비된 제1핀연결구멍을 핀결합고정하는 복수개 브라켓연결핀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는 각각, 복수개 고정체연결구의 제2연결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2핀연결구멍과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의 제2연결면이 각각 인입된 후 상기 제2핀연결구멍과 제2결합구멍을 연결고정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가 각각 연결 고정되고 복수개 체결구멍이 각각 구비되며 일자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 고정지지구와; 상기 복수개 고정지지구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구멍과 대응 체결되어 상기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를 서로 연결 고정하되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 'ㄱ'자형 고정연결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보강장치지지체가 구비되되 보강장치지지체가 송전철탑주체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대한 보강성 및 견고한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율성을 얻을 수 있으며 지면에 대해 높게 설치되는 송전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강풍이 불거나 외력이 송전철탑에 작용하더라도 송전철탑이 쓰러지거나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주체부에 직접 연결되어 송전철탑주체부를 보강 지지하기 때문에 송전철탑주체부는 물론 송전철탑주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송전철탑에 대한 견고성 및 지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시공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시공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보강장치지지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시공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구성요부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의 보강장치지지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둘레면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에 각각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둘레부를 따라 각각 연결되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를 지지하는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 및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4개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4개의 송전철탑주체부(1)를 연결하는 4개의 보강장치지지체(300)에 의해 송전철탑주체부(1)가 견고하게 보강됨에 따라 송전철탑주체부(1)에 의해 지지되는 송전철탑 역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와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 및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를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시공작업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간단한 연결작업에 의해 송전철탑주체부(1)에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보강장치지지체(300)에 의한 송전철탑주체부(1)를 견고하게 보강지지할 수 있어 시공성은 물론 시공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보강장치지지체(300)의 설치높이를 달리하여 관공서의 별도 산림 허가 없이도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는 각각, 송전철탑주체부(1)의 둘레면에 각각 밀착되고 앙카체결구멍(111)이 각각 구비되는 밀착면(112)과 상기 밀착면(112)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핀결합구멍(113)이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114)을 갖는 복수개 브라켓(110)과, 상기 복수개 브라켓(110)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114) 내측으로 각각 인입되고 상기 제1핀결합구멍(113)과 대응되는 제1핀연결구멍(121)이 구비되되 상기 송전철탑주체부(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면(122)과 상기 제1연결면(122)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연결면(12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연장되고 제2핀연결구멍(123)이 구비되는 제2연결면(124)을 갖는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와, 상기 복수개 브라켓(110)의 결합면(114)에 구비된 제1핀결합구멍(113)과 고정체연결구(120)의 제1연결면(122)에 구비된 제1핀연결구멍(121)을 핀결합고정하는 복수개 브라켓연결핀(13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강장치브라켓체(100)는, 복수개 브라켓(110)을 각각 송전철탑주체부(1)의 둘레면에 밀착시킨 후 앙카체결구멍(111)을 이용하여 앙카결합하여 송전철탑주체부(1)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송전철탑주체부(1)에 고정된 복수개 브라켓(110)에 각각 고정체연결구(120)의 제1연결면(122)을 끼운 다음, 브라켓연결핀(130)을 제1핀결합구멍(113)과 제1핀연결구멍(121)에 끼워 복수개 브라켓(110) 각각에 고정체연결구(12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는 각각,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의 제2연결면(124)에 각각 구비되는 제2핀연결구멍(123)과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211)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의 제2연결면(124)이 각각 인입된 후 상기 제2핀연결구멍(123)과 제2결합구멍(211)을 연결고정하는 고정핀(212)에 의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가 각각 연결 고정되고 복수개 체결구멍(213)이 각각 구비되며 일자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와, 상기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구멍(213)과 볼트에 의해 대응 체결되어 상기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210)를 서로 연결 고정하되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 'ㄱ'자형 고정연결구(2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보강장치고정체(200)는, 일자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가 'ㄱ'자형 고정연결구(220)에 의해 상면과 하면이 연결되어 구비됨에 따라 보강장치고정체(200)에 대한 내구성 및 견고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 고정지지구(2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지지구(210)에는 지지체연결구(2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연결구(230)는, 상기 고정지지구(210)에 밀착되어 볼팅결합되는 연결구고정면(231)과, 상기 연결구고정면(231)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핀구멍(232)을 갖는 지지체연결면(23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는 각각, 상기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도록 일측면에 지지체브라켓(310)을 갖는 지지프레임체(320)과, 상기 지지프레임체(320)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 중량체(3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체브라켓(310)을 지지프레임체(320)의 일측면에 구비한 이유는, 보강장치고정체(200)에 연결되는 보강장치지지체(300)가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보강장치지지체(300)가 구비됨에 따라 보강장치지지체(300)의 높이를 지면에 매설되는 송전철탑주체부(1)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프레임체(320)는,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프레임(321) 및 하부프레임(322)과,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측면을 연결하여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 지지프레임(323)과,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하면을 연결하고 복수개 중량체(330)가 각각 안착되고 안착되는 중량체(330)가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 안착프레임(32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체브라켓(310)은,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일측면에 용접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311)와, 상기 브라켓고정부(311)로부터 돌출 연장되고 상기 지지체연결면(233)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체연결면(233)의 핀구멍(232)과 핀결합 고정되는 브라켓결합부(312)와, 상기 브라켓고정부(311)와 브라켓결합부(312)를 연결 보강하는 보강부(3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지체브라켓(310)이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일측면에 용접고정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브라켓(310)에 의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장치고정체(200)에 대해 측방향으로 보강장치지지체(3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전철탑주체부(1)가 매설된 지면에 대한 굴착 깊이를 산림 허가가 필요치 않는 깊이로 굴착한 후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보강지지체(300)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시간의 단축을 물론 시공비용의 절감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보강장치지지체(300)가 펼쳐진 확개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송전철탑에 대한 지지성 및 견고성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지형에 따라 복수개 송전철탑의 위치를 동일선상으로 설치하지 않게 되어 송전철탑에 의해 지지되는 송전선로의 틀어짐 각도에 의한 편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송전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안착프레임(324)은 상부프레임(321)측으로 절곡되는 절곡형으로 구비된 것으로, 이는 안착프레임(324)에 안착되는 복수개 중량체(33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지지프레임체(320)로부터 중량체(330)가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개 중량체(330)가 지지프레임체(320)의 안착프레임(324)에 각각 안착되어 구비됨에 따라 중량체(330)의 무거운 하중이 지면측으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가 매설되는 지면에 대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는 물론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에 의해 하단이 연결 지지되는 송전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 중량체(330)가 지지프레임체(320)에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보강장치브라켓체
110 : 브라켓
111 : 앙카체결구멍 112 : 밀착면
113 : 제1핀결합구멍 114 : 결합면
120 : 고정체연결구 121 : 제1핀연결구멍
122 : 제1연결면 123 : 제2핀연결구멍
124 : 제2연결면 130 : 브라켓연결핀
200 : 보강장치고정체 210 : 고정지지구
211 : 제2결합구멍 212 : 고정핀
213 : 체결구멍 220 : 고정연결구
230 : 지지체연결구 231 : 연결구고정면
232 : 핀구멍 233 : 지지체연결면
300 : 보강장치지지체 310 : 지지체브라켓
311 : 브라켓고정부 312 : 브라켓결합부
313 : 보강부 320 : 지지프레임체
321 : 상부프레임 322 : 하부프레임
323 : 지지프레임 324 : 안착프레임
330 : 중량체
111 : 앙카체결구멍 112 : 밀착면
113 : 제1핀결합구멍 114 : 결합면
120 : 고정체연결구 121 : 제1핀연결구멍
122 : 제1연결면 123 : 제2핀연결구멍
124 : 제2연결면 130 : 브라켓연결핀
200 : 보강장치고정체 210 : 고정지지구
211 : 제2결합구멍 212 : 고정핀
213 : 체결구멍 220 : 고정연결구
230 : 지지체연결구 231 : 연결구고정면
232 : 핀구멍 233 : 지지체연결면
300 : 보강장치지지체 310 : 지지체브라켓
311 : 브라켓고정부 312 : 브라켓결합부
313 : 보강부 320 : 지지프레임체
321 : 상부프레임 322 : 하부프레임
323 : 지지프레임 324 : 안착프레임
330 : 중량체
Claims (3)
-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둘레면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와;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에 각각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둘레부를 따라 각각 연결되어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를 지지하는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브라켓체(100)는 각각,
송전철탑주체부(1)의 둘레면에 각각 밀착되고 앙카체결구멍(111)이 각각 구비되는 밀착면(112)과 상기 밀착면(112)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1핀결합구멍(113)이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114)을 갖는 복수개 브라켓(110)과;
상기 복수개 브라켓(110)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면(114) 내측으로 각각 인입되고 상기 제1핀결합구멍(113)과 대응되는 제1핀연결구멍(121)이 구비되되 상기 송전철탑주체부(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연결면(122)과 상기 제1연결면(122)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연결면(12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연장되고 제2핀연결구멍(123)이 구비되는 제2연결면(124)을 갖는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와;
상기 복수개 브라켓(110)의 결합면(114)에 구비된 제1핀결합구멍(113)과 고정체연결구(120)의 제1연결면(122)에 구비된 제1핀연결구멍(121)을 핀결합고정하는 복수개 브라켓연결핀(13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는 각각,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의 제2연결면(124)에 각각 구비되는 제2핀연결구멍(123)과 대응되는 제2결합구멍(211)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의 제2연결면(124)이 각각 인입된 후 상기 제2핀연결구멍(123)과 제2결합구멍(211)을 연결고정하는 고정핀(212)에 의해 상기 복수개 고정체연결구(120)가 각각 연결 고정되고 복수개 체결구멍(213)이 각각 구비되며 일자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와;
상기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 체결구멍(213)과 볼트에 의해 대응 체결되어 상기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210)를 서로 연결 고정하되 일자형 복수개 고정지지구(210)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개 'ㄱ'자형 고정연결구(2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고정체(200)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개 고정지지구(2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지지구(210)에는 지지체연결구(230)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 보강장치지지체(300)는 각각,
상기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도록 일측면에 지지체브라켓(310)을 갖는 지지프레임체(320)과;
상기 지지프레임체(320)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 중량체(3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연결구(230)는,
상기 고정지지구(210)에 밀착되어 볼팅결합되는 연결구고정면(231)과;
상기 연결구고정면(231)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핀구멍(232)을 갖는 지지체연결면(233)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체(320)은,
복수개 송전철탑주체부(1)의 외측 둘레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프레임(321) 및 하부프레임(322)과;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측면을 연결하여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 지지프레임(323)과;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하면을 연결하고 복수개 중량체(330)가 각각 안착되고 안착되는 중량체(330)가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절곡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 안착프레임(324)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브라켓(310)은,
상기 상부프레임(321)과 하부프레임(322)의 일측면에 용접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311)와;
상기 브라켓고정부(311)로부터 돌출 연장되고 상기 지지체연결면(233)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체연결면(233)의 핀구멍(232)과 핀결합 고정되는 브라켓결합부(312)와;
상기 브라켓고정부(311)와 브라켓결합부(312)를 연결 보강하는 보강부(3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134A KR20220001160A (ko) | 2020-06-29 | 2020-06-29 |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9134A KR20220001160A (ko) | 2020-06-29 | 2020-06-29 |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160A true KR20220001160A (ko) | 2022-01-05 |
Family
ID=7934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9134A KR20220001160A (ko) | 2020-06-29 | 2020-06-29 |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1160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9865Y1 (ko) | 2006-03-23 | 2006-06-26 |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 고압전기 철탑 기초부의 보강틀 구조 |
KR101910436B1 (ko) | 2018-09-04 | 2018-12-28 | 서천전기공사(주) | 특고압 송전선로의 철탑 안정장치 |
-
2020
- 2020-06-29 KR KR1020200079134A patent/KR20220001160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9865Y1 (ko) | 2006-03-23 | 2006-06-26 |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 고압전기 철탑 기초부의 보강틀 구조 |
KR101910436B1 (ko) | 2018-09-04 | 2018-12-28 | 서천전기공사(주) | 특고압 송전선로의 철탑 안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21565A1 (en) | Connection between a wind turbine tower and its foundation | |
CN112160326A (zh) | 张弦砼桁架组合支撑系统 | |
KR20220001158A (ko) | 송전철탑주체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
AU2019444153B2 (en) | Strut connector | |
KR20120060015A (ko) | 창틀용 내진 보강 접합구조의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 |
JP2007046292A (ja) | タワー構築用ブロック | |
JP4672459B2 (ja) | 建物補強方法 | |
JP3638571B2 (ja) | 既設建物の支持荷重移載工法 | |
KR20220001160A (ko) | 송전철탑주체부의 외측둘레부에 시공되는 송전철탑 보강장치 | |
KR102328875B1 (ko) | 송전철탑의 주체부 보강 시공방법 | |
KR102268895B1 (ko) | 회전, 유동 및 전도방지가 가능한 교량 받침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 | |
KR20040027666A (ko) | 강관 가시설 공법 | |
KR200437077Y1 (ko) | 엘앵커 고정구 | |
KR101698341B1 (ko) | 마감패널 부착이 용이한 철골 주각부 | |
JP2021143466A (ja) | 逆t字型基礎の補強方法 | |
CN218952167U (zh) | 一种土建施工桩身加固装置 | |
KR102305864B1 (ko) | 변단면 지주형 방음 시설 | |
JP3809618B2 (ja) | 基礎杭及び基礎杭の構築方法 | |
CN116770886B (zh) | 一种强化抗侧向荷载装配式基础、输电塔及施工方法 | |
KR200255525Y1 (ko) |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 | |
KR20120037222A (ko) | 내진 보강 접합구조를 갖는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 |
CN220504622U (zh) | 一种电梯井架的节点加固结构 | |
CN216142451U (zh) | 一种适用于地下车站梁柱节点加固的结构 | |
KR102250857B1 (ko) | Cft를 이용한 외부 보강 공법 및 이를 위한 외부 보강체 | |
CN216664110U (zh) | 一种用于既有建筑既有桩的加固结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