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46A -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646A
KR20220000646A KR1020200078526A KR20200078526A KR20220000646A KR 20220000646 A KR20220000646 A KR 20220000646A KR 1020200078526 A KR1020200078526 A KR 1020200078526A KR 20200078526 A KR20200078526 A KR 20200078526A KR 20220000646 A KR20220000646 A KR 2022000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module
cas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646A/ko
Publication of KR2022000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수처리부가 원수를 정화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고, 상기 수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취출노즐 및 상기 케이스(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모듈(50,70,90)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모듈(50,70,90)은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되,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통해 취출되는 물의 유동이나 취출되어 저장된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replaceable nozzle module}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노즐들이 교체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물공급장치는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물공급장치를 조작하면 물공급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물공급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의 예로는 정수기를 들 수 있으며, 정수기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냉장고에 내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의 기능은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데 그친다. 사용자가 정수를 곧바로 음용하지 않고 정수를 활용하여 다른 작업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야 하므로, 필요한 장치가 많아지고, 작업성도 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드드립커피를 제조한다면, 먼저 가열된 정수를 드립포트에 담고, 드립포트의 정수를 드립퍼 위에 천천히 부어야 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정수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믹싱한다면 정수를 믹싱통에 담고 흔들어 정수와 혼합될 대상물을 잘 섞어주어야 한다.
또한,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여 공급하는데, 사용자는 정화된 물을 직접 음용할 수도 있지만, 과일이나 채소 등 식재료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물을 받기 위한 용기를 정수기의 노즐 아래에 두고 정수를 얻은 후에, 이를 싱크대로 옮겨 식재료를 따로 세척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0880에서는 정수기에 별도의 세척수관을 두어 정수를 쉽게 받을 수 있게 하였으나, 역시 사용자가 별도의 용기에 정수를 받은 후에 식재료를 따로 세척해야 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088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노즐부에 노즐모듈을 결합하여, 취출된 정수를 활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정수(세척수)를 받아 옮기지 않고, 노즐모듈을 통해 식재료 등을 바로 세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수기에는 교체가능한 노즐모듈이 조립되는데, 상기 노즐모듈은 정수기의 취출노즐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되,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통해 취출되는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모듈이 취출되는 물의 유동을 제어하면, 정수기가 단순히 정수를 공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정수기의 취출노즐을 통해 전달된 물을 하부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토출홀들이 있다. 이러한 토출홀들로 인해 노즐모듈은 물줄기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배출하는 일종의 샤워헤드와 같이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아래에 준비된 식재료 등을 곧바로 세척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된 수처리부가 원수를 정화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수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취출노즐 및 상기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되,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통해 취출되는 물의 유동이나 이미 취출되어 저장된 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노즐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제1장착수단이 있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상기 제1장착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장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수단과 제2장착수단은 서로 결합하여 노즐모듈이 교체가능한 형태로 정수기에 조립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메인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노즐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면 상기 메인커넥터와 상기 노즐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즐모듈은 정수기의 본체에서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스테이션이 있고,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결합스테이션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며, 상기 결합스테이션과 상기 노즐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속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모듈을 조립하더라도 정수기가 통일되고 일체화된 외관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결합스테이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수단은 상기 결합스테이션에 면접촉되는 상기 노즐모듈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노즐모듈이 결합스테이션과 접촉되는 결합면적이 넓어져 보다 안정적인 장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이 배출되는 취출단은 상기 취출노즐과 상기 노즐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기 노즐모듈이 결합되면 상기 취출단은 상기 노즐모듈의 연결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본체에 상기 노즐모듈이 결합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취출단은 상기 노즐모듈의 연결단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커넥터와 상기 노즐커넥터는 상기 취출단과 상기 연결단의 결합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본체에 상기 노즐모듈이 결합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메인커넥터와 상기 노즐커넥터도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림구가 있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노즐모듈에 간섭되어 동작될 수 있고, 상기 걸림구가 동작되면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정수기의 본체에 상기 노즐모듈을 밀어 넣는 과정에서 걸림구가 자연스럽게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장착수단과 상기 제2장착수단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은 상기 노즐모듈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이 있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상대회전 또는 상대이동가능하고 상기 연결단에서 공급된 물을 하부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토출홀이 있는 토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몸체는 이동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하는 드립블록이 있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가이드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립블록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드립블록은 다양한 방향으로 직선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모듈에는 교반날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케이스에 있는 메인커넥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가능하다. 상기 교반날개가 회전하면 물과 다른 물질을 자동으로 교반해준다.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취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취출단에서 전달된 물을 배출하는 연결단이 있는 믹싱본체와, 상기 믹싱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연결단에서 물을 공급받아 저수부에 저장하고 상기 믹싱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메인커넥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연결단자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자부에 연결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는 상기 저수부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이 공급되는 노즐부(취출노즐)에 노즐모듈이 조립되고, 노즐모듈은 물을 유동시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가 단순히 정수를 공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정수기의 활용도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i) 노즐모듈은 일종의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을 분산시켜 세척기능을 제공하거나, (ii) 드립커피 제조를 위해 온수를 나선형태 등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iii) 배출된 정수에 가루식품 등을 바로 교반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수기 자체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른 장치 없이도 원하는 추가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정수기에 세척기능을 갖는 노즐모듈을 조립하면, 노즐모듈은 물줄기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배출하는 일종의 샤워헤드와 같이 기능할 수 있고, 아래에 준비된 식재료 등을 곧바로 세척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를 받아 다시 싱크대 등으로 옮길 필요가 없어 세척작업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수기에는 노즐모듈들이 교체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노즐모듈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갖는 노즐모듈만 추가로 준비하면 되므로, 정수기의 기능확장성이 커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노즐모듈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결합된 노즐모듈의 종류에 맞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노즐모듈의 종류에 따른 작동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수기 케이스에는 결합스테이션이 돌출되고, 노즐모듈이 결합스테이션에 조립되면 결합스테이션과 노즐모듈이 서로 연속된 외관을 갖는 노즐부를 만든다. 따라서 노즐모듈을 조립하더라도 정수기가 통일되고 일체화된 외관디자인을 가질 수 있어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노즐모듈은 배출되는 물에 주입재를 혼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즐모듈은 취출되는 정수에 탄산을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거나, 취출되는 정수에 커피원액을 주입하여 곧바로 커피를 제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수기를 탄산제조기나 커피머신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정수기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의 일실시례에 세척모듈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에서 세척모듈이 정수기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례에 조립된 세척모듈의 토출몸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의 일실시례에 드립모듈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례에서 드립모듈의 하부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의 일실시례에 믹싱모듈이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례에서 믹싱모듈을 구성하는 교반통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노즐부(취출노즐)에 별개물인 노즐모듈(50,70,90)을 결합하여, 노즐모듈(50,70,90)이 실제 물이 취출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노즐모듈(50,70,90)에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단순히 정수를 취출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설명하되, 기존의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본 실시례의 정수기는 케이스(10)가 그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몸체(11)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전후방향의 길이(깊이)가 좌우방향의 길이(폭) 보다 긴 형태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처리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상기 수처리모듈에는 외부에서 미처리수인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배관이 연결되는데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17)에는 받침대(12)가 있는데, 상기 받침대(12)에는 컵이나 용기와 같은 물을 공급받을 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2)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몸체(11)와 함께 설치면에 안착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결합스테이션(13)이 있다.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데, 도 2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은 상기 받침대(1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되, 서로 높이를 달리한다. 즉,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은 상기 받침대(12) 보다 케이스(10)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된다.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은 반드시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돌출될 필요는 없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도 있고, 상기 케이스(10)에서 돌출되지 않고 케이스(1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결합스테이션(13)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14)가 있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터치입력부를 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될 노즐모듈(50,70,90) 중 어떤 종류의 노즐모듈(50,70,90)이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도 있고, 노즐모듈(50,70,90)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양이나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즐모듈(50,70,90)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이는 노즐모듈(50,70,90)의 형상과 같다. 도 3을 보면,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에는 제1장착수단(23)이 있는데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노즐모듈(50,70,90)을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아래쪽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17)에는 장착면(18)이 있다. 상기 장착면(18)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17)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상기 케이스(10)의 전면(17)과 같은 평면에 있거나, 도 3과 같이 안쪽으로 약간 함몰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장착면(18)에는 모듈장착부(20)가 있는데, 상기 모듈장착부(20)에 노즐모듈(50,70,90)이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과 상기 장착면(18)이 형성하는 공간의 안쪽에 모듈장착부(20)가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20)는 노즐모듈(50,70,90)이 결합되고 고정되는 부분으로, 제1장착수단(23)이 포함된다.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노즐모듈(50,70,90)의 제2장착수단(52)과 결합되어, 상기 노즐모듈(50,70,90)이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게 하는데,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17)에는 걸림구(21)가 있다. 상기 걸림구(21)는 아래에서 설명될 취출노즐의 취출단(26)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데, 상기 걸림구(21)는 노즐모듈(50,70,90)이 모듈장착부(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노즐모듈(50,70,90)에 간섭되어 동작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걸림구(21)는 아래쪽이 돌출된 상태이지만, 노즐모듈(50,70,90)이 모듈장착부(20)에 조립될 때 노즐모듈(50,70,90)에 눌려 안쪽의 공간(22)으로 회전하면서 들어가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걸림구(21)가 회전하면 상기 걸림구(21)에 연동하여 잠금수단(미도시)이 돌출되어 노즐모듈(50,70,90)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걸림구(21)는 직선이동하는 구조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잠금수단이 생략되고 상기 걸림구(21)가 일종의 스위치가 되어 전자석의 자력(磁力)이나 액츄에이터의 동작으로 노즐모듈(50,70,90)을 모듈장착부(2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걸림구(21)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가이드레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에서 돌출되는데, 노즐모듈(50,70,90)이 결합되는 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가장 전단까지 연장되지는 않고, 결합스테이션(13)의 전단에서 안쪽으로 후퇴된 위치에서부터 존재한다. 상기 제1장착수단(23)에는 노즐모듈(50,70,90)의 제2장착수단(52)인 가이드홈이 끼워진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장착수단(52)은 상기 제1장착수단(23)에 자력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장착수단(23)과 제2장착수단(52)은 돌기와 홈의 압입구조로 고정되거나, 나사체결방식도 가능하며, 볼트와 같은 별개의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생략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커넥터(28) 자체가 제1장착수단(23)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20)에는 취출노즐의 취출단(26)이 노출된다. 상기 취출노즐은 케이스(10)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수처리모듈에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취출노즐의 끝에 있는 취출단(26)은 적어도 일부가 모듈장착부(2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취출단(26)은 노즐모듈(50,70,90)이 모듈장착부(20)에서 분리되면 노출되거나, 노즐모듈(50,70,90)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0)의 안쪽으로 수납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취출노즐의 나머지 구성은 차폐되어, 취출단(26)만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취출단(26)은 상기 취출노즐과 상기 노즐모듈(50,70,90)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즉, 상기 취출단(26)은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개방되는 것인데, 이에 따라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상기 노즐모듈(50,70,90)이 결합되면 상기 취출단(26)은 상기 노즐모듈(50,70,90)의 연결단(도시되지 않음)과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20)에는 메인커넥터(28)가 있다. 상기 메인커넥터(28)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즐모듈(50,70,90)의 노즐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터미널로 구성되거나 포고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커넥터(28)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링수단(미도시)이 결합되어 메인커넥터(28)의 안쪽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넥터(28)는 노즐커넥터와 결합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커넥터(28)는 상기 노즐커넥터에 전원을 인가하고, 노즐커넥터의 종류를 인식하여 노즐커넥터를 용도에 맞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커넥터(28)가 노즐커넥터를 통해서 노즐모듈(50,70,90)이 세척모듈(50, 도 1 내지 도 4 참조)인 것을 인지하면, 메인제어부가 상기 취출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고, 세척모듈(50)의 토출몸체(55)를 회전시켜 보다 넓은 범위에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커넥터(28)와 노즐커넥터는 상기 취출단(26)과 상기 연결단의 결합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모듈(50,70,90)이 상기 케이스(10)에 조립되면, 상기 메인커넥터(28)에 노즐커넥터가 자연스럽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커넥터(28)는 취출단(26)과 같은 평면에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메인커넥터(28)는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커넥터(28)가 생략되고, 정수기의 메인제어부와 노즐모듈(50,70,90)은 NFC통신, 알에프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을 통해서 신호를 주고 받을 수도 있고, 이 경우에 노즐모듈(50,70,90)에는 별도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거나, 노즐모듈(50,70,90)에 내장된 배터리로 노즐모듈(50,70,90)이 구동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노즐모듈(50,70,90)을 설명하면, 상기 노즐모듈(50,70,90)은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조립되고, 정수가 단순하게 취출되지 않고, 정수를 유동시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모듈(50,70,90)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동이란, 정수의 배출흐름을 바꾸거나, 이미 배출되어 저장된 정수를 유동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i) 노즐모듈(50,70,90)은 세척모듈(50)이 되어 일종의 샤워기헤드와 같이 물을 분산시켜 세척기능을 제공하거나(도 1 내지 도 4의 예시), (ii) 드립모듈(70)이 되어 드립커피 제조를 위해 온수를 나선형태 등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도 5 및 도 6의 예시), (iii) 믹싱모듈(90)이 되어 배출된 정수를 가루식품 등과 바로 교반해 줄 수도 있다(도 7 및 도 8의 예시). 이와 같이, 정수기 자체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른 장치 없이도 원하는 추가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정수기에는 노즐모듈(50,70,90)들이 교체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노즐모듈(50,70,90)들이 교체되면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갖는 노즐모듈(50,70,90)만 추가로 준비하면 정수기를 통해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세척모듈(50)을 보면, 상기 세척모듈(50)은 취출노즐을 통해 전달된 정수를 배출하되, 물을 분산시켜 배출함으로써 일종의 샤워헤드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세척모듈(50)은 고정몸체(51)와 토출몸체(55)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51)는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장착되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몸체(51)에는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26)에 연결되는 연결단(미도시)이 있다. 상기 연결단은 일종의 빈 관으로, 상기 연결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토출홀(57)에 연결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몸체(51)의 상면에는 제2장착수단(52)이 있다. 상기 제2장착수단(52)은 상기 케이스(10)의 제1장착수단(23)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장착수단(52)은 상기 고정몸체(51)의 상면에 함몰된 구조이고, 상기 세척모듈(50)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2장착수단(52)은 상기 고정몸체(51)의 상면에서 상기 제1장착수단(23)을 향한 일단부까지 연장되는데, 상기 일단부는 제2장착수단(52)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세척모듈(50)은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의 저면(15)을 따라 면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면, 제1장착수단(23)과 제2장착수단(52)이 서로 맞물려 상기 케이스(10)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결합스테이션(13)과 상기 세척모듈(5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속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결합스테이션(13)과 상기 세척모듈(50)의 외형이 서로 통일성을 가지게 되어, 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세척모듈(50)과 상기 결합스테이션(13)은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고, 결합되면 일반적인 정수기의 노즐부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달리 상기 제1장착수단(23)이 전자석으로 구성되면 상기 제2장착수단(52)은 가이드홈을 대신 하여 금속판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장착수단(23)과 제2장착수단(52)은 돌기와 홈의 압입구조로 고정되거나, 나사체결방식도 가능하며, 볼트와 같은 별개의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수단(23)은 생략되고, 상기 메인커넥터(28) 자체가 제1장착수단(23)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몸체(51)에는 토출몸체(55)가 결합되는데, 상기 토출몸체(55)에는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26)을 통해 전달된 물을 하부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토출홀(57)이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토출몸체(55)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토출홀(57)이 있어서, 물줄기를 여러갈래로 분산시켜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케이스(10)에 내장된 펌프(미도시)등 구동원을 조절하여, 상기 토출홀(57)을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세척효율을 높이고자 할 때에는 펌프의 출력을 높여 토출홀(57)을 통해 분사되는 물줄기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몸체(55)의 중심에는 메인홀(56)이 있는데, 토출홀(57)을 대신하여 메인홀(56)을 통해 상대적으로 굵은 한줄기의 정수가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줄이의 조절은 상기 토출몸체(55)를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조작버튼(미도시)을 눌러서 내부의 연결관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토출몸체(55)는 상기 고정몸체(51)에 대해 상대회전될 수 있는데,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토출몸체(55)가 상기 고정몸체(51)에 대해 상대회전되면, 모듈장착부(20)에서 돌출되는 각도 및 거리가 변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몸체(55)의 회전은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몸체(51)에 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메인커넥터(28)와 노즐커넥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토출몸체(55)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세척모듈(50)의 토출몸체(55)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거나, 승강하면서 물을 유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세척모듈(50)이 고정몸체(51)와 토출몸체(55)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노즐모듈(50,70,90) 중에서 드립모듈(70)을 보면, 상기 드립모듈(70)은 상기 세척모듈(50)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장착되고, 물공급과 전원인가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드립모듈(70)은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조립되면,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는데, 이때 배출되는 물은 직선형, 원형 또는 나산형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이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드림모듈의 아래쪽에 커피 드립퍼(110)와 서버(100)를 두고 정수기를 구동하면 핸드드립과 동일한 기능이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드립모듈(70)에는 가이드바(71)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바(71)는 상기 드립모듈(70) 안에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바(71)는 상기 드립모듈(70)의 내부에 있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고, 이때 모터는 상기 메인커넥터(28)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인가 받아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71)에는 드립블록(73)이 연결되고, 상기 드립블록(73)에는 드립홀(75)이 개방된다. 상기 드립홀(75)은 상기 취출노즐에 연결되어 가열된 정수를 배출하는 부분으로,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드립블록(73)은 상기 가이드바(71)를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립블록(73)이 상기 가이드바(71)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바(71)가 회전되면 상기 드립블록(73)은 결과적으로 회전하면서 나선형상을 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립홀(75)을 통해서 배출되는 가열된 정수도 나선형을 그리면서 상기 드립퍼(11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수기의 메인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커피원두의 종류와 양에 따라 미리 입력된 형태로 상기 드립모듈(7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드립모듈(70)의 회전/직선이동속도, 드립블록(73)의 이동범위, 드립홀(75)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양, 정수의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노즐모듈(50,70,90) 중에서 믹싱모듈(90)을 보면, 상기 믹싱모듈(90)은 상기 세척모듈(50)과 동일한 구조로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장착되고, 물공급과 전원인가도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믹싱모듈(90)은 정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정수를 교반하거나, 정수를 일정양 이상 저수한 후에 정수를 교반할 수 있다. 상기 믹싱모듈(90)에는 교반날개(97)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97)는 상기 케이스(10)에 있는 메인커넥터(28)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믹싱모듈(90)은 상기 모듈장착부(20)에 고정되는 믹싱본체(91)와, 상기 믹싱본체(91)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교반통(95)으로 구성된다. 상기 믹싱본체(91)에는 앞서 설명한 제2장착수단(52)과 같은 장착수단(미도시)과 노즐커넥터 등이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20)에 상기 믹싱본체(91)가 결합되면 전원인가와 정수공급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믹싱본체(91)에는 연결관이 있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취출단(26)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은 아래쪽, 보다 정확하게는 교반통(95)의 바닥을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교반통(95)의 저수부(96)에 정수를 공급해줄 수 있다.
상기 믹싱본체(91)에는 교반통(95)이 결합되는데, 상기 교반통(95)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수부(96)가 있고, 상기 저수부(96)는 상기 믹싱본체(91)에 교반통(95)이 조립되면 차폐된다. 상기 저수부(96)의 내부에는 정수가 공급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저수부(96)에 미리 가루형태의 식재료나 다른 종류의 유체 등을 저장한 상태에서 정수를 공급받으면 이들이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상기 교반통(95)에는 교반날개(97)가 있어서, 정수와 다른 물질의 교반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97)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교반통(95)에는 상기 교반통(95)이 상기 믹싱본체(91)에 결합되면 상기 메인커넥터(28)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연결단자부(99)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단자부(99)는 상기 교반통(95)의 측면에 구비되어서, 상기 교반통(95)이 상기 믹싱본체(91)에 결합되면 상기 믹싱본체(91)의 본체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본체단자를 거쳐 메인커넥터(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97)의 중심에는 상기 교반통(95)의 하부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의 축이 연결되고, 교반날개(97)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날개(97)가 회전하면 정수와 저수부(96)에 저장된 다른 물질이 고르게 섞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교반통(95)에는 연결단자부(99)가 생략되고, 별도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교반날개(97)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노즐모듈(50,70,90)이 상기 케이스(10)에 조립되어 각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노즐모듈(50,70,90) 이외에 다양한 노즐모듈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즐모듈은 취출단(26)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주입재를 혼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입재란 정수에 혼합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모듈에는 주입재로 탄산가스(이산화탄소(CO2)가 내장되고 취출되는 정수에 탄산을 주입하여 탄산수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노즐모듈에 주입재로 캡슐형태의 커피가 내장되어 취출되는 정수를 이용하여 곧바로 커피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노즐모듈(50,70,90)의 종류는 매우 다양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통해 이러한 노즐모듈(50,70,90)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메인제어부는 결합된 노즐모듈(50,70,90)의 종류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노즐모듈(50,70,90)을 자동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10)에는 노즐모듈(50,70,90)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 추가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은 노즐모듈(50,70,90)을 상기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2: 받침대
13: 결합스테이션 14: 디스플레이부
20: 모듈장착부 22: 제1장착수단
26: 취출단 28: 메인커넥터
50,70,90: 노즐모듈 50: 세척모듈
51: 고정몸체 55: 토출몸체
57: 토출홀 70: 드립모듈
71: 가이드바 73: 드립블록
90: 믹싱모듈 91: 믹싱본체
95: 교반통 97: 교반날개

Claims (15)

  1. 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부가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수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부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취출노즐;
    상기 케이스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을 전달받아 배출하되,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통해 취출되는 물의 유동을 제어하거나, 배출되는 물에 주입재를 혼합할 수 있는 노즐모듈;을 포함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출노즐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제1장착수단이 있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상기 제1장착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장착수단이 있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메인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모듈에는 노즐커넥터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면 상기 메인커넥터와 상기 노즐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결합스테이션이 돌출되고,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결합스테이션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조립되며, 상기 결합스테이션과 상기 노즐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속된 표면을 갖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결합스테이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장착수단은 상기 결합스테이션에 면접촉되는 상기 노즐모듈의 표면에 있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취출노즐에서 물이 배출되는 취출단은 상기 취출노즐과 상기 노즐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기 노즐모듈이 결합되면 상기 취출단은 상기 노즐모듈의 연결단과 연결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넥터와 상기 노즐커넥터는 상기 취출단과 상기 연결단의 결합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림구가 있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노즐모듈에 간섭되어 동작될 수 있고, 상기 걸림구가 동작되면 상기 노즐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수단과 상기 제2장착수단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에는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을 통해 전달된 물을 하부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토출홀이 있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이 있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상대회전 또는 상대직선이동가능하고, 상기 연결단에서 공급된 물을 하부로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토출홀이 있는 토출몸체;를 포함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에는 상기 취출노즐의 취출단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하는 드립블록이 있고, 상기 드립블록은 상기 노즐모듈에 회전운동 또는 직선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에는 가이드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립블록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에는 교반날개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케이스에 있는 메인커넥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가능한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노즐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취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취출단에서 전달된 물을 배출하는 연결단이 있는 믹싱본체;
    상기 믹싱본체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단에서 물을 공급받아 저수부에 저장하고, 상기 믹싱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메인커넥터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연결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자부에 연결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는 상기 저수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교반통;을 포함하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
KR1020200078526A 2020-06-26 2020-06-26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KR20220000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26A KR20220000646A (ko) 2020-06-26 2020-06-26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526A KR20220000646A (ko) 2020-06-26 2020-06-26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46A true KR20220000646A (ko) 2022-01-04

Family

ID=7934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526A KR20220000646A (ko) 2020-06-26 2020-06-26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6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924A (ko) 2022-10-07 2024-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880Y1 (ko) 2006-04-27 2006-07-05 이춘기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880Y1 (ko) 2006-04-27 2006-07-05 이춘기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924A (ko) 2022-10-07 2024-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1984A1 (en) Printing apparatu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object
WO2006050881A3 (en) Self-cleaning mixing head for producing a milk-based mixture and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comprising such a mixing head
KR20220000646A (ko)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CN108187540A (zh) 一种液态化妆品混合工序处理系统
CN203802270U (zh) 自动产生泡沫牛奶的牛奶发泡装置
CN100531876C (zh) 搅拌装置、循环清洁装置以及循环管线系统
CN107114814B (zh) 果蔬清洗装置
KR102298061B1 (ko) 스프레이 노즐을 구비한 고순도 화장품 원재료 배합 장치
CN85105678A (zh) 液体处理
CN207899352U (zh) 搅拌器转速多档位的发泡机混合头
CN208944105U (zh) 一种化工反应釜
CN209450408U (zh) 高效起泡装置
CN212595495U (zh) 一种外加剂对冲循环式混合釜
CN212188687U (zh) 一种稳定性强的原料调制釜
JPWO2003047406A1 (ja) 洗浄装置および気液噴射装置
CN208897764U (zh) 活塞式加料供料机构
CN211462937U (zh) 一种化学产品原料混合装置
CN208305571U (zh) 一种精密型聚氨酯高压发泡机
CN110151549A (zh) 一种计算机控制可自动替换颜料的糖衣喷涂装置
CN210552572U (zh) 海绵生产用发泡机
CN110154258A (zh) 一种木塑复合材料制备中的搅拌装置
CN208194143U (zh) 搅拌器转速单档位的发泡机混合头
CN212142415U (zh) 一种食品微胶囊粉末的搅拌装置
CN220159801U (zh) 一种半缩醛连续化生产用自动供料配比装置
CN218314827U (zh) 一种二氧化碳聚氨酯发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