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924A -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924A
KR20240048924A KR1020220128800A KR20220128800A KR20240048924A KR 20240048924 A KR20240048924 A KR 20240048924A KR 1020220128800 A KR1020220128800 A KR 1020220128800A KR 20220128800 A KR20220128800 A KR 20220128800A KR 20240048924 A KR20240048924 A KR 20240048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ule
valve
out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상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924A/ko
Publication of KR20240048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정수기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과,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상기 출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음료모듈에 연통시키고,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출수유로에 연통시킨다.

Description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LIQUID OUTLET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수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수기는 불순물이 여과된 정수를 공급하는 것에 더하여,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공급하거나,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기도 한다.
정수기는 물이 유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한다. 또한, 정수기는 물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수구 하측에 물받이를 구비하기도 한다. 물받이로부터 출수구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찻잔 등 높이가 낮은 컵에 물을 받을 때, 물이 컵 외부로 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출수구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음료 컵 등 높이가 높은 컵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출수구를 구비한 정수기가 널리 판매되고 있다.
또한, 냄비 등 컵보다 큰 용기에 물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출수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수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20-0124129호는 정수기의 출수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출수장치는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최근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한 출수구 등 다양한 타입의 출수구를 구비한 정수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출수구(또는 출수장치)들은 정수기에 고정되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정수기를 구매한 사용자가 기존과 다른 타입의 출수구의 사용을 원할 경우 정수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22-0000646호는 교체형 노즐을 갖는 정수기를 개시한다. 상기 정수기는 교체형 노즐로서 물을 분산시켜 배출하는 세척모듈과, 물을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배출하는 드립모듈과, 정수를 공급받아 교반하는 믹싱모듈을 개시한다.
한편, 정수기의 출수구에 장착하는 음료제조장치가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정수기의 출수구에 장착되어, 정수기의 출수구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음료제조장치는 정수기의 물받이로부터 음료제조장치의 출수구까지의 높이가 줄어들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20-0124129 공개특허공보 10-2022-0000646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장치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모듈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출수장치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음료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티팟 모듈을 장착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캡슐 모듈을 장착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모듈의 장착 및 분리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모듈의 종류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정수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출수장치의 상하 이동에도 꺾이지 않는 유로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출수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수도 등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냉각부와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여과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여과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와, 상기 냉각부와, 상기 가열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출수장치가 결합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출수모듈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모듈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모듈로 공급되는 수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로테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로테이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상기 본체의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1 급수관과, 상기 본체의 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 급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은 상기 커플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의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고,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우셋은 상기 이너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출수관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제1 출수관과, 상기 파우셋에 결합하는 제2 출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수관은 상기 제1 출수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수관은 상기 제2 출수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수관과 상기 제2 출수관의 사이에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수관은 상부에 링 형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홈에 상기 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수관과 상기 제2 출수관은 상기 이너 케이스가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출수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상기 출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음료모듈에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출수유로에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음료모듈을 상기 출수유로에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출수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와,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제1 급수관에 연결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급수관에 연결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밸브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음료모듈에 연결되는 제2 유출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의 상기 유입포트, 상기 제1 유출포트,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각각 제1 포트, 제2 포트, 제3 포트라고할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는 상기 유입밸브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의 제1 포트는 출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의 제2 포트는 브릿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밸브의 제3 포트는 상기 음료모듈의 유출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의 유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포트에 연통시키는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게이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디스크와,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의 지름은 상기 제1, 2 유출포트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디스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디스크가 배치되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게이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출포트에서 상기 제2 유출포트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게이트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유입포트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가 상기 유입포트에 접촉하는 회전위치와 상기 제2 유출포트에 접촉하는 회전위치 사이의 각도는 상기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제2 유출포트 사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 유출포트를 마주하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유출포트를 마주하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레버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출수모듈의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급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출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러의 수직 상측에서 상기 급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음료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 케이스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레버에 접촉하는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상기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상기 레버에 접촉하는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면은 상기 게이트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음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 각각은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급수관의 급수유로와 상기 제2 급수관의 급수유로를 상기 제1 음료모듈에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모듈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제1 음료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은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제1, 2 커넥터에 연결되는 유입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유출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밸브 어셈블리의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는 U자형의 배관일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는 유입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에서 하측으로 꺾이는 벤딩구간과 상기 벤딩구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의 유입구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바닥에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모듈 하우징의 바닥은 상기 유출유로의 유입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바닥과,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유로의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너의 바닥면은 상기 유출유로의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음료모듈로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음료모듈로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음료모듈로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음료모듈로 제1 급수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급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본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수 시 상기 모듈 하우징에 공급된 물의 수위는 상기 유출유로의 벤딩구간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2 급수 시 상기 모듈 하우징에 공급된 물의 수위는 상기 벤딩구간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료모듈에 급수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상기 모듈 하우징 내부의 수위가 상기 유출유로의 벤딩구간에 도달하도록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기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2 커넥터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유입유로에서 상기 커넥터의 유입구로 향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커넥터의 유입구에서 상기 유입구로 향하는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커넥터 내부에 배치되는 볼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밸브는 상기 커넥터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로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모듈 하우징에 구비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면상히터일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밸브의 제2 유출포트와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제2 유출포트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듈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밸브 또는 상기 브릿지의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는 제1 유로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의 폭은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레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상기 제2 밸브 또는 상기 브릿지의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제2 유로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의 폭은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레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제1 프레스와 제2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스는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제1 밸브의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밸브의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밸브의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밸브의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스는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밸브의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제3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스는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제1, 2 밸브의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제1, 2 밸브의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2 밸브의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2 밸브의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스는 상기 제1, 2 관통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음료모듈은 제4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스는 상기 제1 음료모듈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4 프레스는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제3 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출수밸브의 제2 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음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제2 급수관의 급수유로를 상기 제2 음료모듈에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케이스와 상기 모듈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하우징과, 상기 모듈케이스와 상기 모듈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하우징은 내부에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유입유로와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유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상부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부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상기 모듈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파이크는 상기 상부유로에 연통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모듈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파이크는 상기 유출유로에 연통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제2 음료모듈의 바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캡 삽입홈과, 상기 캡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닥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캡 삽입홈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닥캡은 상기 유출유로가 상기 캡 삽입홈을 통해 노출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듈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밸브 또는 상기 브릿지의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는 제1 유로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의 폭은 상기 제1 밸브의 상기 레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상기 제2 밸브 또는 상기 브릿지의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제2 유로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의 폭은 상기 제2 밸브의 상기 레버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은 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상기 제2 음료모듈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제2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출수밸브의 상기 제3 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출수밸브의 제2 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상기 음료모듈이 분리된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유입밸브의 제2 유출포트는 폐쇄되고, 상기 유입밸브의 제1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출수밸브의 제3 포트는 폐쇄되고, 상기 출수밸브의 제2 포트는 상기 제3 포트와 연통할 수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과,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와,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는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모듈;로서,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유입유로가 상기 유입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유로가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음료모듈의 유입유로에 연결되는 제2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의 유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포트에 연통시키는 게이트; 그리고 상기 밸브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에 결합하여 상기 게이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될 때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유입밸브의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연통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정수기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에서 분지되는 제1, 2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제1 유출포트에 연결되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 상기 제2 유출포트에 연결되는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유출유로;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출수밸브를 통과한 액체가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 상기 밸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스템; 그리고 상기 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유입포트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료모듈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를 분리할 수 있는 출수장치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료모듈이 출수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음료모듈을 장착할 수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티팟 모듈이 장착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캡슐 모듈을 장착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료모듈의 장착 및 분리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음료모듈의 종류에 따라 유로를 절환하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수장치의 상하 이동에도 꺾이지 않는 유로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과 브래킷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과 밸브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모듈과 밸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밸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밸브의 분해사시도,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모듈과 이에 결합하는 커버와 음료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출수모듈, 밸브 어셈블리 및 티팟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도 16에 도시된 티팟모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6에 도시된 티팟모듈의 모듈 케이스를 제거한 배면도이다.
도 26은 도 16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도 16에 도시된 티팟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캡슐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캡슐모듈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출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0에 도시된 캡슐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5 및 도 36은 출수모듈에 장착되는 캡슐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0에 개시된 추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정수기 본체에 결합하는 출수장치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 출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제3 출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체의 브래킷, 센서 및 출수장치의 커플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9)와 출수장치(1, 3, 4)를 포함한다.
출수장치(1, 3, 4)는 본체(9)에 장착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본체(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본체(9)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출수장치(1, 3, 4)가 분리된 지점에 다른 출수장치(7, 8 도 28 참조)가 결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기의 본체(9)는 브래킷(93)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브래킷(93)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브래킷(93)에 결합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상측으로 이동하며 브래킷(93)에서 분리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브래킷(93)에 장착되어 브래킷(9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기의 본체(9)는 로테이터(94)를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원 또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래킷(93)은 로테이터(94)에 연결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로테이터(9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브래킷(93)은 로테이터(9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접합, 또는 융착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기의 본체(9)는 케이스(9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91)는 본체(9)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스(91)는 개구부(913)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913)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913)는 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호 형상의 개구부(9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개구부(913)를 커버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케이스(9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테이터(94)는 케이스(91)의 내측에서 개구부(913)를 커버할 수 있다.
브래킷(93)은 개구부(913)에 배치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개구부(913)를 통해 케이스(9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개구부(9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기 본체(9)는 입력부(971)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정수기 본체(9)는 출력부(973)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입력부(971)를 통해 출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971)를 통해 출수될 물의 온도 및/또는 양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971)를 통해 출수하고자 하는 물의 온도 및/또는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971)를 통해 출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973)는 정수기의 상태, 출수될 물의 설정온도 및/또는 출수될 물의 설정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971)와 출력부(973)는 터치 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97)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외부의 단말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다. 정수기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출수될 물의 온도, 출수될 물의 양, 물의 출수 명령을 수신받을 수 있다. 정수기는 통신부를 통해 정수기의 상태, 출수될 물의 설정온도 및 또는 출수될 물의 설정 양 등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95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53)는 수도 등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할 수 있다. 필터(953)는 외부수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는 감압밸브(951)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밸브(951)는 외부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감압밸브(951)는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감압밸브(951)는 필터(953)와 연결될 수 있다. 감압밸브(951)는 정수기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낮춰 필터(953)에 공급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95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95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959)는 유도 가열장치(induction heater)일 수 있다.
정수기는 유량센서(95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센서(955)는 필터(953)와 연결될 수 있다. 유량센서(955)는 필터(953)를 통과한 물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유량센서(955)는 필터(953)에서 냉각부(957) 및/또는 가열부(959)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정수기는 필터(953)를 통과한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956)를 포함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956)는 필터(953)에서 냉각부(957) 및/또는 가열부(959)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956)는 본체(9)에서 출수장치(1, 3, 4)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956)는 유량센서(955)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는 본체(9)와 출수장치(1, 3, 4)를 제어하는 제어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의 제어는 제어부(99)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성들의 제어도 제어부(99)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 3, 4)와 정수기 본체(9)의 결합 및 분리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래킷(93)은 로테이터(94)에 연결되는 연결면(9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면(932)은 로테이터(94)의 접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면(932)은 로테이터(9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 접합, 또는 융착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로테이터(94)의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 베이스(93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31)는 로테이터(94)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931)는 연결면(932)의 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출수장치(1, 3, 4)에 공급하는 급수포트(933, 934, 9331, 934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포트(933, 934, 9331, 9341)는 출수장치(1, 3, 4)에 연결되는 제1 급수포트(933, 9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는 냉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제1 냉수포트(9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는 온수를 공급하는 제2 온수포트(9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는 베이스(9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브래킷(93)은 출수장치(1, 3, 4)에 결합하는 후크(93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93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크(935)와 제1 급수포트(933, 934)는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후크(935)는 베이스(93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잇다. 후크(935)는 연결면(932)으로부터 브래킷(93)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정수기 본체(9)는 출수장치(1, 3, 4)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센서(939, 도 4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93)은 연결면(932)에 구비된 암(937, arm)과, 암(937)에서 돌출된 돌출부(938)를 포함할 수 있다. 암(937), 돌출부(938), 센서(939)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수장치(1, 3, 4)는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출수장치(1, 3, 4) 또는 출수모듈(10, 도 7 참조)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케이스(12)에 연결되는 커플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3)는 케이스(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커플러(13)는 브래킷(93)에 결합할 수 있다.
커플러(13)는 상기 제1 급수포트(933, 934)가 삽입되는 포트 홀(133, 134)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홀(133, 134)은 냉수포트(933)가 삽입되는 제1 포트 홀(133)과 온수포트(934)가 삽입되는 제2 포트 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홀(133, 134)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트 홀(133, 134)은 제1 급수포트(933, 934)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트 홀(133, 134)의 직경은 제1 급수포트(933, 934)에 대응할 수 있다.
커플러(13)는 후크(935)가 삽입되는 슬릿(13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135)은 후크(93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935)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슬릿(135)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후크(935)와 슬릿(135)은 동일한 수로 구비될 수 있다.
급수포트(933, 934, 9331, 9341)는 제1 급수포트(933, 934)에 연결되는 제2급수포트(9331, 9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은 제1 냉수포트(933)에 연결되는 제2 냉수포트(9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은 제1 온수포트(934)에 연결되는 제2 온수포트(9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는 냉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제2 냉수포트(9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는 온수를 공급하는 제2 온수포트(9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수포트(9331)는 필터(953) 및 냉각부(95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온수포트(9341)는 가열부(959)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은 브래킷(93)에서 로테이터(94)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플러(13)의 포트 홀(133, 134)과 브래킷(93)의 제1 급수포트(933, 934)는 케이스(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포트 홀(133, 134)과 제1 급수포트(933, 93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플러(13)는 케이스(12)에 연결된 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31)의 내부에 포트 홀(133, 134)이 구비될 수 있다.
커플러(13)의 바디(131)에서 급수관(132)이 돌출될 수 있다. 급수관(132)은 포트 홀(133, 1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32)은 제1 급수포트(933, 934)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32)은 냉수 또는 정수를 공급하는 제1 급수관(1323)과 온수를 공급하는 제2 급수관(1324)을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제1 급수관(1323)은 제1 포트 홀(133)에 연결되고, 제2 급수관(1324)은 제2 포트홀(13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는 브래킷(93)의 베이스(9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급수포트(9331, 9341)는 브래킷(93)의 연결면(93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 급수포트(933, 934)와 제2 급수포트(9331, 9341)은 브래킷(93)의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출수장치(1, 3, 4)의 상하 이동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출수장치(1, 3, 4)는 제1 케이스(12)와 상기 제1 케이스(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4)는 상기 제1 케이스(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밸브 어셈블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파우셋(155)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우셋(155)은 출수장치(1, 3, 4) 공급된 물을 토출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밸브 어셈블리(20)와 파우셋(155)을 연결하는 출수유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유로(151)는 제1 출수유로(152)와 제2 출수유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출수유로(151)를 출수관(151)이라고도 한다.
제1 출수유로(152)는 밸브 어셈블리(20)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152)는 제1 케이스(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출수유로(152)는 제2 출수유로(15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153)는 제1 출수유로(15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는 파우셋(15)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153)는 제2 케이스(1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출수유로(153)는 제2 케이스(1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제1, 2 출수유로(152, 153)를 제1, 2 출수관(152, 153)이라고도 한다.
출수장치(1, 3, 4)는 제2 케이스(14)를 이동시키는 모터(16)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161)에 모터기어(167)가 체결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모터기어(167)에 치합하는 기어어셈블리(17)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기어어셈블리(17)에 치합하는 랙(18)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6)는 제2 케이스(14)에 구비될 수 있다. 랙(18)은 제1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17)는 제2 케이스(14)에 구비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17)는 기어하우징(170)과 기어커버(17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0)과 기어커버(179)는 볼트(17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0)과 기어커버(179) 내부에 복수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하우징(170)과 기어커버(179)는 제2 케이스(14)에 구비될 수 있다.
기어어셈블리(17)는 모터(16)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랙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어셈블리(17)는 모터기어(167)에 치합하고 상기 모터기어(167)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1 기어(172), 상기 제1 기어(172)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1 기어(17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기어(174), 상기 제2 기어(174)에 치합하고 상기 제2 기어(174)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3 기어(176), 상기 제3 기어(176)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 제3 기어(176)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4 기어(1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어(178)는 랙(18)에 치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14)는 측벽(141)과, 바닥(143)과 바닥에 구비되는 홀(145)을 포함할 수 있다. 파우셋(15)은 제2 케이스(14) 내부에서 홀(14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2 케이스(14)는 백커버(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는 측벽(141)의 후단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케이스(14)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케이스(1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14)가 상기 제1 케이스(12) 내부로 인입될 때, 상기 제1 출수관(152)은 상기 제2 출수관(15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케이스(1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14)가 상기 제1 케이스(12)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제1 출수관(152)은 상기 제2 출수관(153)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출수관(153)의 상부에 링 형상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홈에 링 형상의 실런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출수장치(1, 3, 4)의 유로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출수장치(1, 3, 4)는 본체(9)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151)과,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15)을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는 밸브 어셈블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급수관(132)과 출수관(151)을 연결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제1 급수관(1323)에 연결되는 제1 밸브(21)와 제2 급수관(1324)에 연결되는 제2 밸브(22)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참조). 밸브 어셈블리(20)는 출수관(151) 또는 제1 출수관(152)에 연결되는 제3 밸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밸브(21)를 제1 유입밸브(21), 제2 밸브(22)를 제2 유입밸브(22), 제3 밸브를 출수밸브(23)라고도 한다. 또한, 제1, 2 유입밸브(21, 22)를 통칭하여 유입밸브(21, 22)라고도 한다.
출수장치(1)는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는 제1 케이스(12)의 상측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1)는 상기 제1 밸브(21)를 폐쇄하는 제1 캡(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캡(111)은 제1 밸브(21)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1)는 상기 제2 밸브(22)를 폐쇄하는 제2 캡(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캡(112)은 제2 밸브(22)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1)는 상기 제3 밸브(23)를 폐쇄하는 제3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캡(113)은 제1 밸브(2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체(9)는 급수포트(933, 9331, 934, 9341)를 통해 급수관(13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도 5참조). 급수관(132)으로 공급된 물은 밸브 어셈블리(20)를 통해 출수관(151)으로 유동하고, 파우셋(15)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14)가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본체(9) 내부에서 급수포트(933, 934, 9331, 9341)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급수포트(933, 934, 9331, 9341) 및 급수관(132)의 유로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밸브 어셈블리(20)와 제1 출수관(152)의 연결도 변하지 않는다. 제1, 2 출수관(152, 153)은 케이스(12, 14)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고, 제2 케이스(14)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제2 케이스(14)가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유로가 꺾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출수장치(1, 3, 4)는 출수모듈(10)과 밸브 어셈블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장치(1)는 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제1 급수관(1323)에 연결되는 제1 밸브(21)와 제2 급수관(1324)에 연결되는 제2 밸브(2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출수관(151) 또는 제1 출수관(152)에 연결되는 제3 밸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제1 밸브(21)에 연결되는 제1 유로(241)와, 제2 밸브(22)에 연결되는 제2 유로(242)와, 제3 밸브(23)에 연결되는 제3 유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유로(241, 242)는 합지되고, 제3 유로(243)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케이스(12)의 외측에서 급수관(132)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커플러(13)의 수직 상측에서 급수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11)는 밸브 어셈블리(20)가 관통하는 관통홀(116, 117)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6, 117)은 제1 밸브(21) 또는 제1 유로(24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6, 117)을 제2 밸브(22) 또는 제2 유로(242)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의 관통홀의 폭은 후술하는 레버(28, 도 12참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가 출수모듈(10)에 결합할 때, 커버(11)와 레버(28)가 간섭되지 않는다.
도 10은 출수장치(1)의 평면도(a)와 단면도(b)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11)가 출수모듈(10)에 결합할 때, 제1, 2 밸브(21, 22)에 제1, 2 캡(111, 112)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2 캡(111, 112)은 제1, 2 밸브(21, 22)의 제3 포트(255, 또는 제2 유출포트)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1)가 출수모듈(10)에 결합할 때, 제3 밸브(23)에 제3 캡(113)이 삽입될 수 있다. 제3 캡(113)은 제3 밸브(23)의 제3 포트(255)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유입밸브(21, 22)의 후술하는 게이트(26)는 제2 유출유로(255)를 폐쇄하고, 유입포트(252)와 제1 유출포트(254)를 연통할 수 있다(도 12 참조). 제3 밸브(23)의 게이트(26)는 제3 포트(255)를 폐쇄하고, 제1 포트(252)와 제2 포트(254)를 연통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밸브 어셈블리(20)를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 어셈블리(20)는 유입밸브(21, 22), 출수밸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유입밸브(21, 22)와 출수밸브(23)를 연결하는 브릿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1)는 제1 급수관(13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22)는 제2 급수관(1324)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밸브(23)는 출수관(151)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4)는 제1 밸브(21)에 연결되는 제1 유로(241)와, 제2 밸브(22)에 연결되는 제2 유로(242)와, 제3 밸브(23)에 연결되는 제3 유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유로(241, 242)는 합지되고, 제3 유로(24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밸브(21, 22, 23)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밸브(21, 22, 23)에 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3 밸브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밸브(21, 22, 23)는 밸브바디(25)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바디(25)는 제1 포트(252), 제2 포트(254) 및 제3 포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트(254)는 브릿지(24)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포트(255)는 커버(11) 또는 후술하는 음료모듈(30, 4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밸브(21, 22)의 경우, 제1 포트(252)는 급수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밸브(23)의 경우, 제1 포트(252)는 출수관(151)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밸브(21, 22)의 경우, 제1 포트(252)는 유입포트(252), 제2 포트(254)는 제1 유출포트(254), 제3 포트(255)는 제2 유출포트(255)라고도 할 수 있다. 출수밸브(23)의 경우, 제1 포트(252)는 유출포트(252), 제2 포트(254)는 제1 유입포트(254), 제3 포트(255)는 제2 유입포트(255)라고도 할 수 있다.
밸브(21, 22, 23)는, 제1 포트(252)를 제2, 3 포트(254, 255)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게이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26)는 밸브 바디(25)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크(26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261)는 제2, 3 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게이트(26)는 디스크(261)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스템(26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템(263)은 밸브 바디(25)에 결합할 수 있다. 스템(263)은 밸브 바디(25)의 홀(253)에 삽입될 수 있다.
밸브(21, 22, 23)는 게이트(26)를 회전시키는 레버(28)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8)는 게이트(26)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28)는 스템에 결합하는 레버 암(281)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암(281)에 홀(28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283)에 스템(263)이 삽입될 수 있다.
밸브 바디(25)의 홀(253)은 원형일 수 있다. 레버(28)의 홀(283)은 원형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를 구비하는 형상일 수 있다. 스템(263)은 밸브바디(25)의 홀(253) 및 레버(28)의 홀(28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게이트(26)는 밸브 바디(25)에 대해 회전하고, 레버(28)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 암(28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레버(28)는 한 쌍의 레버 암(281)을 연결하는 링크(28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8)는 레버암(28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프레스(321, 322, 323, 333, 421, 422, 4231)는 레버암(281) 및/또는 돌출부(285)에 접촉하여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28)의 일단은 제2 포트(254)를 향할 수 있다. 링크(282)가 구비된 레버(28)의 타단은 제2 포트(254)의 반대측에서 제1 포트(252)와 제3 포트(25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밸브(21, 22, 23)는 레버(28)를 가압하는 탄성부재(27)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중심원(276)과 중심원에서 연장되는 제1, 2 스프링암(275, 278)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밸브바디(25)와 레버(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템(263)은 밸브바디(25)와 레버(28) 사이에서 중심원(276)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암(275)은 제2 포트(254)에 걸리고, 제2 스프링암(278)은 레버(28)에 걸릴 수 있다.
제1 스프링암(275)은 제2 포트(254)와 제1 포트(252) 사이에 걸릴 수 있다. 제2 스프링암(278)은 레버(28)의 제3 포트(255)에 인접한 면에 걸릴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링크(282)가 제3 포트(255)에서 제1 포트(252)로 향하는 방향으로 레버(28)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27)는 레버(28)의 제2 포트(254)에 인접한 일단이 제1 포트(252)에서 제2 포트(254)를 지나 제3 포트(255)를 향하는 방향으로 레버(28)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4(a)는 레버(28)에 탄성부재(27)에 의한 탄성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고, 도 14(b)는 레버(28)에 탄성부재(27)의 탄성력과, 상기 탄성력 이외의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탄성부재(27)는 디스크(261)가 제3 포트(255)를 향하도록 레버(2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27)가 자유상태일 때, 디스크(261)는 제3 포트(255)를 폐쇄할 수 있다(도 14(a)).
디스크(261)가 제2 포트(254)를 향할 때, 탄성부재(27)는 디스크(261)가 제3 포트(255)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레버(2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디스크(261)는 레버(28)가 탄성부재(27)에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예를 들어,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될 때), 제3 포트(255)를 개방하며 상기 제2 포트를 폐쇄할 수 있다(도 14(b)).
디스크(261)의 지름은 제2, 3 포트(254, 255)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밸브 바디(25)는 밸브 바디(25)의 내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함몰되는 시트(251)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251)에 디스크(261)가 배치될 수 있다.
시트(251)는 제2 포트(254)에서 제3 포트(255)로 연장될 수 있다. 시트(251)는 게이트(26)의 회전방향을 따라 제2 포트(254)에서 제3 포트(255)로 연장될 수 있다. 디스크(261)는 시트(251)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시트(251)는 제2 포트(254)에 위치하는 제1 시트(2514)와, 제3 포트(255)에 위치하는 제2 시트(25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261)는 제1 시트(2514)에 위치할 때 제2 포트(254)를 폐쇄하고, 제2 시트(2515)에 위치할 때 제3 포트(255)를 폐쇄할 수 있다.
레버(28)는 밸브 바디(25)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28)는 디스크(261)가 제3 포트를 폐쇄할 때, 제1 포트(252)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레버(28)는 디스크(261)가 제2 포트(254)를 폐쇄할 때, 상기 제3 포트(255)의 외경에 접촉할 수 있다.
레버(28)가 제1 포트(252)에 접촉하는 회전위치와 제3 포트(255)에 접촉하는 회전위치 사이의 각도는 스템(263)을 기준으로 제2 포트(254)와 제3 포트(255) 사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두 사이각은 90도 일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출수장치(3)에 제1 음료모듈(30)이 장착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출수모듈(10)에서 커버(11)가 분리될 수 있다. 출수모듈(10)은 본체(9)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11)가 분리된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30, 40)이 장착될 수 있다. 출수장치(3)는 제1 음료모듈(30)과 출수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출수장치(3)는 밸브 어셈블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모듈(10)과 밸브 어셈블리(20)의 구성은 전술한 출수장치(1)의 출수모듈(10) 및 밸브 어셈블리(20)와 동일하여, 본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출수장치(3)는 출수모듈(10)에 장착되는 음료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출수모듈(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음료모듈(30)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모듈 하우징(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4)은 모듈 케이스(3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4)은 내부에 공간(341)을 구비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배치되는 스트레이너(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35)는 내부에 찻잎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레이너(35)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35)는 측면에 다수의 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모듈 하우징(34)에 구비되는 히터(39)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39)는 면상히터일 수 있다.
히터(39)는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저장된 물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히터(39)는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내부 공간(341)에 연통하는 유출유로(36)를 구비할 수 있다. 유출유로(36)는 밸브 어셈블리(20)의 상기 출수밸브(23)에 연결될 수 있다(도 26 참조).
유출유로(36)는 U자형의 배관일 수 있다. 유출유로(36)는 유입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구간(361)과, 상기 제1 구간(361)에서 하측으로 꺾이는 벤딩구간(363)과 벤딩구간(36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구간(3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간(362)은 출수밸브(23)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유로(36)는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배치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모듈 케이스(32)의 상부를 덮는 커버(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1)는 모듈 케이스(32)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31)는 모듈 하우징(34)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밸브 어셈블리(20)에 연결되는 커넥터(3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7)는 제1 밸브(21)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371)와 제2 밸브(22)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37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7)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커넥터(37) 내부에 배치되는 볼 밸브(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음료모듈(30)은 출수모듈(10)에 장착된 때 밸브 어셈블리(20)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에 장착되면 밸브 어셈블리(20)는 급수관(132)을 음료모듈(30)의 유입유로(334, 도 24 참조)에 연결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된 때 급수관(132)의 급수유로를 음료모듈(30)에 연통시킬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로부터 분리된 때 급수관(132)의 급수유로를 출수유로에 연통시킬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된 때 음료모듈(30)을 출수관(151)의 출수유로에 연통시킬 수 있다.
본체(9)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관(132)으로 유입된다. 급수관(132)으로 공급된 물은 밸브 어셈블리의 유입밸브(21, 22)를 통해 음료모듈(30)의 유입유로(334)로 공급된다.
유입유로(334)로 공급된 물은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고, 유출유로(36)를 통해 출수밸브(23) 및 출수관(151)을 거쳐 파우셋(15)에서 외부로 토출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커넥터(371)는 제1 밸브(21)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371)와 제2 밸브(22)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21)의 제3 포트(255, 도 12 참조)는 제1 커넥터(37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22)의 제3 포트(255)는 제2 커넥터(37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정수기 본체(9) 측을 향하는 백커버(327)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7)는 백커버(327)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0)는 모듈 케이스(32)를 관통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레버(28)를 하측으로 누르는 프레스(321, 322, 323, 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321, 322, 323, 333)는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레버에 접촉할 수 있다.
프레스(321, 322, 323, 333)는 레버(28)에 접촉하여 게이트(26)를 회전시키고 제3 포트(255)를 개방하며 제2 포트(254)를 폐쇄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밸브 어셈블리(20)가 관통하는 관통홀(325, 326)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25, 326)은 모듈 케이스(32)에 구비될 수 있다.관통홀(325, 326)은 모듈 케이스(32)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325, 326)은 제1 밸브(21) 또는 제1 유로(24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325)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25, 326)은 제2 밸브(22) 또는 제2 유로(242)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 밸브(21, 22)의 레버(28)의 폭(W2)은 관통홀(325, 326)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제1 밸브(21)의 레버(28)의 폭(W2)은 제1 관통홀(325)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제2 밸브(22)의 레버(28)의 폭(W2)은 제2 관통홀(326)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프레스(321, 322, 323, 333)는 레버(28)에 접촉하는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면은 게이트(26)가 제2 포트(25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레버(28)의 암(281)과 나란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음료모듈(30)은 제1 프레스(321)와 제2 프레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스(321)는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30)이 장착될 때 제1 밸브(21)의 레버(28)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프레스(322)는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30)이 장착될 때 제2 밸브(22)의 레버(28)에 접촉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제3 프레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스(323)는 제1, 2 관통홀(325, 32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프레스(323)는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30)이 장착될 때 제1, 2 밸브(21, 22)의 레버(28)에 접촉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제4 프레스(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프레스(333)는 음료모듈(3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프레스(333)는 출수모듈(10)에 음료모듈(30)이 장착될 때 제3 밸브(23)의 레버(28)에 접촉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체크밸브는 음료모듈(30)에서 커넥터(37)의 유입구로 향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커넥터(37)의 유입구에서 상기 유입구로 향하는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커넥터(37) 내부에 배치되는 볼 밸브(38; 381, 382)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밸브(38)는 커넥터(37)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로의 상면(378)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1, 2 밸브(21, 22)는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된 때, 급수관(132)의 급수유로를 음료모듈(30)에 연통시킬 수 있다. 음료모듈(3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된 때, 제1, 2 밸브(21, 22)의 제2 포트(254)는 폐쇄되고, 제3 포트(255)는 개방될 수 있다.
음료모듈(30)은 커넥터(37)에 연결되는 유입유로(33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로(334)는 모듈 하우징(34)의 내부공간(341)에 연통할 수 있다.
급수관(132)을 통해 본체(9)에서 출수장치(1)로 유입된 물은 제1, 2 밸브(21, 22) 및 커넥터(37)를 거쳐 유입유로(334)로 공급될 수 있다. 유입유로(334)로 공급된 물은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저장될 수 있다.
유출유로(36)는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유로(36)의 유입구는 음료모듈(30)의 바닥(33)에서 이격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에 저장된 물은 스트레이너(35)의 찻잎에서 추출된 일부 성분과 함께 유출유로(36)로 유동할 수 있다. 유출유로(36)로 유동한 물과 찻잎 추출물이 혼합된 차는 제3 밸브(23) 및 출수유로(151)를 거쳐 파우셋(15)을 통해 토출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유출유로(36)는 사이폰 현상을 이용하여, 차를 제3 밸브(23) 및 출수관(151)로 안내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의 수위가 유출유로(36)의 벤딩구간의 높이(h1)보다 낮을 경우, 내부 공간(341)에 저장된 물은 유출유로(36)를 통해 유출되지 않는다.
모듈 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1)의 수위가 유출유로(36)의 벤딩구간의 높이(h1)보다 높을 경우, 저장된 물은 사이폰 현상에 의해 유출유로(36)를 따라 유출될 수 있다.
제어부(99)는 본체(9)를 제어하여 음료모듈(30)로 급수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출수모듈(10)을 통해 음료모듈(30)로 급수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유량조절밸브(956)를 제어하여 음료모듈(30)로 급수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출수모듈(10)을 통해 음료모듈로 제1 급수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급수를 수행하도록 본체(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수 시 상기 모듈 하우징(34)에 공급된 물의 수위는 상기 유출유로의 벤딩구간의 높이(h1)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급수 시 모듈 하우징(34)에 공급된 물의 수위는 상기 벤딩구간의 높이(h1)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99)는 음료모듈(30)에 급수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모듈 하우징(34) 내부의 수위가 유출유로(36)의 벤딩구간에 도달하도록 급수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분 내지 5분 사이의 범위에서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사이폰 현상에 의해 물이 유출되기 시작하면, 내부 공간(341)의 수위가 유출유로(36)의 유입구의 높이(h2)에 도달할 때까지 유출될 수 있다.
내부 공간(341)의 물이 유출되다가 그 수위가 h2보다 낮아지면 더 이상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도 28과 도 29는 잔존하는 물의 양을 줄이기 위한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53)의 바닥면은 유출유로(36)의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모듈 하우징(34)의 바닥은 유출유로(36)의 유입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바닥(331)과, 제1 바닥(33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출유로(336)의 유입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바닥(3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30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출수장치(4)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 및 도 30을 참조하면, 출수모듈(10)에서 커버(11) 및/또는 제1 음료모듈(30)이 분리될 수 있다. 출수모듈(10)은 본체(9)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11) 및/또는 제1 음료모듈(30)이 분리된 출수모듈에 제2 음료모듈(40)이 장착될 수 있다. 출수장치(4)는 제2 음료모듈(40)과 출수모듈(10)과 밸브 어셈블리(20, 도 3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제2 음료모듈(40)은 상기 제1 밸브(21)를 폐쇄하는 캡(471)과 상기 제2 밸브(22)에 연결되는 커넥터(4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케이스(42)와 상기 모듈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하우징(44)과, 상기 모듈케이스와 상기 모듈하우징을 덮는 커버(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하우징(44)은 내부에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간(44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상기 커넥터(472)에 연결되는 유입유로(46, 416)와 상기 출수밸브(23)에 연결되는 유출유로(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46, 416)는 상기 커버(41)에 구비되는 상부유로(4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46, 416)는 상기 커넥터(472)와 상기 상부유로(416)를 연결하는 연결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상기 모듈하우징(44)의 내부 공간(441)으로 돌출되는 스파이크(45, 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45, 445)는 상기 커버(41)에 구비되는 제1 스파이크(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파이크(45)는 상기 상부유로(416)에 연통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제2 음료모듈(40)의 바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함몰된 캡 삽입홈(4233)과, 상기 캡 삽입홈에 삽입되는 바닥 캡(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424)는 상기 캡 삽입홈(4233)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닥캡(43)은 상기 유출유로(424)가 상기 캡 삽입홈을 통해 노출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스파이크(45, 445)는 상기 모듈하우징(34)의 내부 공간(344)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스파이크(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파이크(445)는 상기 유출유로(424)에 연통하는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상기 밸브 어셈블리(20)가 관통하는 관통홀(425, 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5, 426)은 상기 모듈 케이스(42)에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425, 426)은 정수기 본체를 향하는 후벽(42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5, 426)은 상기 제1 밸브(21) 또는 제1 유로(421)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4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의 폭(W1)은 상기 제1 밸브의 상기 레버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5, 426)을 상기 제2 밸브(22) 또는 제2 유로(422)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4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홀의 폭(W3)은 상기 제2 밸브(22)의 상기 레버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음료모듈(40)은 프레스(421, 422, 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는 제2 관통홀(426)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2 프레스(421,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프레스(421, 422)는 제2 음료모듈940)이 출수모듈(10)에 장착될 때 레버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421, 422, 4231)는 상기 제2 음료모듈(4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3 프레스(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스(4231)는 상기 출수모듈(10)에 상기 제2 음료모듈(40)이 장착될 때 상기 출수밸브(23)의 상기 레버(28)에 접촉할 수 있다.
이하,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여 제2 출수장치(7)를 설명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출수장치(1)는 본체(9)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출수장치(1)가 분리된 브래킷(93)에 제2 출수장치(7)를 장착할 수 있다. 제2 출수장치(7)는 브래킷(9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2 출수장치(7)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브래킷(9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출수장치(7)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72)와 케이스(72)의 상부를 덮는 커버(71)와 브래킷(93)에 결합하는 커플러(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수장치(7)는 제1 급수관(1323)에 연결되는 제1 유로와 제2 급수관(1324)에 연결되는 제2 유로(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수장치는 제1, 2 유로(76, 77)가 연결되는 파우셋(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8 및 도 40을 참조하여 제3 출수장치(8)를 설명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 출수장치(1) 및 제2 출수장치는 본체(9)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2 출수장치(1, 7)가 분리된 브래킷(93)에 제3 출수장치(8)를 장착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제3 출수장치(8)는 제1 출수장치(1)에서 모터(16) 및 기어어셈블리(17)를 제외한 장치로서, 수동으로 제2 케이스(84)를 제1 케이스(8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도 38 및 도 41을 참조하여, 정수기 본체(9)에 장착되는 출수장치(1, 7, 8)의 종류를 인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암(937)은 가장자리 중 일부가 연결면(932)에 연결되고 가장자리의 나머지 부분은 연결면(93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출수장치(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938)가 출수장치(1)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수장치(1, 3, 4, 7, 8)는 커플러(13)에 구비되는 표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부(138)는 돌출부(938)를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표지부(138)는 커플러(13)의 바디(131)에서 함몰된 홈(1382)과, 홈(1382)에서 돌출된 리브(1381)를 포함할 수 있다.
홈(1382)과 리브(138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출수모듈(10)의 커플러에 구비된 홈(1382) 및 리브(1381)의 수와, 제2 출수장치에 구비된 홈 및 리브의 수와, 제3 출수장치에 구비된 홈 및 리브의 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출수장치(1, 3, 4, 7, 8)를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브래킷(93)에 결합할 때, 리브(1381)는 돌출부(938)를 누르고, 센서(939)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센서(939)가 감지한 리브(1381)의 수를 기초로 브래킷(93)에 장착된 출수장치(1, 3, 4, 7, 8)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2)

  1.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과,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상기 출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밸브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음료모듈에 연통시키고,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로부터 분리된 때 상기 급수유로를 상기 출수유로에 연통시키는 정수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음료모듈을 상기 출수유로에 연통시키는 정수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밸브;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 그리고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본체의 냉각부에 연결되는 제1 급수관; 그리고
    상기 본체의 가열부에 연결되는 제2 급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제1 급수관에 연결되는 제1 밸브; 그리고
    상기 제2 급수관에 연결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정수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는 정수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음료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모듈 케이스를 관통하는 정수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은 상기 커플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커플러의 수직 상측에서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정수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음료모듈에 연결되는 제2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디스크와,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의 유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포트에 연통시키는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지름은 상기 제1, 2 유출포트의 내경보다 큰 정수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 둘레에서 외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디스크가 배치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게이트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출포트에서 상기 제2 유출포트로 연장되는 정수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게이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하는 정수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의 외경에 접촉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유입포트의 외경에 접촉하는 정수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유입포트에 접촉하는 회전위치와 상기 제2 유출포트에 접촉하는 회전위치 사이의 각도는 상기 스템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제2 유출포트 사이의 각도와 동일한 정수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제2 유출포트를 마주하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제1 유출포트를 마주하는 상기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향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상기 음료모듈이 장착될 때 상기 레버에 접촉하며 상기 게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유출포트를 개방하며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하는 프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는 상기 레버에 접촉하고, 상기 게이트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와 나란한 빗면을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음료모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케이스; 그리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폭은 상기 관통홀의 폭보다 큰 정수기.
  1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제1 밸브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음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 각각은 상기 제1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급수관의 급수유로와 상기 제2 급수관의 급수유로를 상기 제1 음료모듈에 연통시키는 정수기.
  2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제1 밸브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제2 밸브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음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제2 음료모듈이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제2 급수관의 급수유로를 상기 제2 음료모듈에 연통시키는 정수기.
  21.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과,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과,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어 물이 토출되는 파우셋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와,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그리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는 유입유로 및 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모듈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음료모듈;로서,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된 때 상기 유입유로가 상기 유입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유로가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음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밸브는,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제1 유출포트와, 상기 음료모듈의 유입유로에 연결되는 제2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의 유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포트에 연통시키는 게이트; 그리고
    상기 밸브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에 결합하여 상기 게이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모듈은 상기 출수모듈에 장착될 때 상기 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유입밸브의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연통시키는 정수기.
  22. 외부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급수유로를 제공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에서 분지되는 제1, 2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밸브 바디;
    상기 제1 유출포트에 연결되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에 연결되는 출수밸브;
    상기 제2 유출포트에 연결되는 유입유로;
    상기 유입유로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는 유출유로;
    상기 출수밸브에 연결되어 상기 출수밸브를 통과한 액체가 유동하는 출수유로를 제공하는 출수관;
    상기 밸브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2 유출포트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와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밸브 바디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스템; 그리고
    상기 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디스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1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제2 유출포트의 외경에 접촉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출포트를 폐쇄할 때, 상기 유입포트의 외경에 접촉하는 정수기.
KR1020220128800A 2022-10-07 2022-10-07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40048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00A KR20240048924A (ko) 2022-10-07 2022-10-07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00A KR20240048924A (ko) 2022-10-07 2022-10-07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924A true KR20240048924A (ko) 2024-04-16

Family

ID=9088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800A KR20240048924A (ko) 2022-10-07 2022-10-07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92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129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20000646A (ko) 2020-06-26 202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129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20000646A (ko) 2020-06-26 202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체형 노즐 갖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158B2 (en) Beverage maker having brewing chamber adapted to receive coffee pods or loose coffee
KR101692732B1 (ko) 정수기
CA2677879C (en) Coffee maker with single serve setting
US7559273B2 (en) Substance-extraction device and machine for producing drinks
KR101988264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34192B1 (ko) 음용수 공급장치
KR20240048924A (ko)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RU2480659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с поворачивающимся u-образным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каналом
CN218500501U (zh) 一种台式净饮机
CN213640553U (zh) 一种泡茶机
KR100768781B1 (ko) 냉온수 선택 배출이 가능한 코크 조립체
KR20130109825A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610982B1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40048920A (ko) 출수장치 및 정수기
KR20240048921A (ko) 출수장치 및 정수기
CN216822843U (zh) 一种饮水机
CN216797338U (zh) 一种饮水机
CN216854463U (zh) 管路清洗装置及饮品机
RU2779770C1 (ru) Кофемашина со встроенной выработкой пара и горячей воды
KR20120111880A (ko)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JP3698146B2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1781881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14369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KR20220009191A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20114370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