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80A -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 Google Patents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80A
KR20120111880A KR1020110098027A KR20110098027A KR20120111880A KR 20120111880 A KR20120111880 A KR 20120111880A KR 1020110098027 A KR1020110098027 A KR 1020110098027A KR 20110098027 A KR20110098027 A KR 20110098027A KR 20120111880 A KR20120111880 A KR 20120111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disk
flow path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두열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는 복수 개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부재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회전디스크와 연계되어 상기 회전디스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에 의하면, 디스크부재와 유량조절홈을 통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출수코크에 온도센서부가 설치되어 출수되기 직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온도의 물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고, 하우징에 구비된 드레인부에 의해 잔수에 의해 물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COKE CAPABLE OF CONVERTING FLOW ROUTINE}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수처리장치에 사용되며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이 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필터를 통해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로 인해 생성된 정수된 물을 저장조에 저장하거나 직수식으로 이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수조에서는 저장된 정수를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로 구분하여 공급하고, 상기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로 공급된 정수는 각각 냉각 또는 가열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의 물이 취출부를 통해 취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수기의 정수, 냉수, 상온수의 추출방법으로 상기 정수유로, 온수유로, 냉수유로 각각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각각의 유로를 하나의 유로로 통합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각각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전자식 방법이나, 냉수, 온수, 정수 각각의 유로에 기계적 링크 구조를 적용하는 기계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추출방식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시간적 제어를 통하여 원하는 출수되는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출수량을 조절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출수유로에 출수되고 남은 잔수가 잔류하게 되어 특히 냉수 또는 온수 추출시 잔수로 인해 첫잔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출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식 추출방식에 의하면 각각의 유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출수장치의 부피 및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간단한 조작으로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출수되기 직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온도의 물을 안정적으로 취수 가능하고, 잔수에 의해 물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제품을 소형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부재;와,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회전디스크와 연계되어 상기 회전디스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크부재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어느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디스크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디스크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디스크는,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유량조절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조절홈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이 조절되도록 높이차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조절홈은, 상기 고정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온도센서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기 유입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센서부는, 유체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일측이 삽입되는 센서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유입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센서부본체;와, 상기 온도센서가 관통하며, 센서삽입구멍에 대응하는 센서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본체에 고정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본체는 상기 장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부재삽입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센서삽입구멍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끼워지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센서부는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도록 드레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드레인부를 통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배출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상기 디스크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디스크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디스크 로터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는 상온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물이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며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부와 상기 출수구 사이에 구비되어 잔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에 의하면, 디스크부재와 유량조절홈을 통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수코크에 온도센서부가 설치되어 출수되기 직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온도의 물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에 구비된 드레인부에 의해서 물이 출수되기전 하우징에 잔류하는 잔수를 퇴수할 수 있어, 잔수에 의해 물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수코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디스크의 일실시예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디스크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 모드별로 안내판과 디스크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적용되는 온도센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온도센서부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온도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 디스크부재(120), 밀착부재(150) 및 구동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복수 개의 유입부(112)와 배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112)는 정수기의 정수, 온수, 냉수가 유입되는 유로들(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114)는 정수기의 출수부에 연결되어 유입된 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상기 유입부(112)에 정수, 냉수, 온수 등이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114)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나, 상기 유입부(112)와 배출부(114)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112)와 상기 배출부(114)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1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에 복수 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배출부(114)는 상기 하우징(110)에 하나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112)로 유입된 온수, 냉수, 상온수 중 어느 하나를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3)으로 분리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1)에는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113)에는 상기 배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부재(120)는 상기 제1하우징(111)과 상기 제2하우징(113)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상기 디스크부재(120)는 상기 제2하우징(113)에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크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11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부(114)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회전디스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130)는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상기 유입부(112)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변경하여, 예를 들어 정수, 온수, 냉수 중 어느 하나를 출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13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재(170)는 상기 회전디스크(130)에 연계되어 상기 회전디스크(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1)와, 상기 모터(171)의 회전축(175) 및 상기 디스크부재(120)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17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디스크부재(120)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로터(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중앙에는 상기 디스크 로터(173)의 축이 삽입되는 중앙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부재(120)에 형성된 체결홈(134)은 상기 디스크 로터(173)의 체결구(17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유입부(112)와 상기 배출부(114)를 통하여 물이 유출입되면서, 수압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부재(120)와 상기 하우징(110) 또는 상기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고정디스크(140) 간의 밀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착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150)는 상기 디스크부재(120)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크부재(120)가 상기 하우징(110)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출수코크(100)의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밀착부재(150)는, 상기 디스크부재(120)와 상기 제2하우징(113) 사이 또는 상기 고정디스크(140)와 상기 회전디스크(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밀착부재(150)를 상기 제2하우징(113) 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150)는, 상기 제2하우징(113)에 상기 디스크부재(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면, 종류, 재질, 형상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밀착부재(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150)는 유입되는 물의 양에 따라 적절한 크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디스크(130)가 회전하면서 유로를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부재들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유출입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재(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스크 로터(173)의 축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부재(120)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서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크부재(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어느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디스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디스크(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외부에 덮개로 부착되는 등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디스크(140)에는 결합홈(145)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45)이 상기 제2하우징(113)에 형성된 결합구(115)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디스크(14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디스크(140)는,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11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부(114)와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연통공(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복수 개의 연통공(141)은 상기 복수 개의 배출부(114)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1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배출부(114)는 정수추출유로에 연결된 정수배출부(114a), 냉수추출유로에 연결된 냉수배출부(114b), 온수추출유로에 연결된 온수배출부(114c)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디스크(140)에는 정수배출부(114a)와 연통 가능한 연통공(141a)과 상기 냉수배출부(114b)와 연통 가능한 연통공(141b) 및 상기 온수배출부(114c)와 연통가능한 연통공(14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130)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14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홀(13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디스크(130)는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치되어 어느 일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관통홀(131)은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141)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상기 관통홀(131)이 정수배출부(114a)와 연통되게 위치하면, 상기 정수유입부(112a)를 통하여 유입된 상온수인 정수는 상기 관통홀(131)을 지나 상기 연통공(141a)을 통과하여 상기 제2하우징(113)에 형성된 정수배출부(114a)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디스크(140)는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1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유량조절홈(14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홈(143)은 상기 고정디스크(140)에 어느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디스크(130)와 접촉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디스크(140)는 상기 유입부(112)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코크(100)는 유로를 전환함과 동시에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다만, 도시된 일예에는 상기 온수배출부(114c)와 연통되는 연통공(141c) 및 상기 냉수배출부(114b)와 연통되는 연통공(141b)과 연결되도록 유량조절홈(143)을 구비하였으나, 이에 유량조절홈(143)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정수배출부(114a)와 연통되는 연통공(141a)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조절홈(14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이 조절되도록 높이차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관통홀(131)이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단차부 중 높이가 높은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연통공(141)에서 상기 관통홀(131)로 연결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크부재(120)를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홈(143)은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실시예과 같이,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저면에 계단 및 눈썹모양으로 형성된 유량조절홈(143)을 상기 연통공(121)과 연결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일례로 복수의 연통공(141) 중에서 두 개의 연통공(141)에만 유량조절홈(143)이 각각 연결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유량조절홈(143)들은 냉수배출부(114b)와 온수배출부(114c)에 연통되는 연통공(141b, 141c)에 각각 연결되어 냉수 및 온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홈(143)은 도시된 일예에서는 연통공(141)을 포함하여 4개의 단계로 조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41)에 인접한 유량조절홈(143c)의 크기가 가장 크고 연통공(141)에서 가장 먼 유량조절홈(143c)의 크기가 가장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량조절홈(14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면 다양한 높이와 폭 및 단계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131)이 온수배출부(114c)와 연통되는 연통공(141c)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면 가장 많은 양의 온수가 유입되고, 상기 연통공(141c)에서 가장 먼 위치의 유량조절홈(143a)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디스크(130)와 상기 고정디스크(14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단면적이 가장 작아지면서 가장 작은 양의 온수가 유입되게 구성된다.
한편, 도 4는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상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정수모드인 경우를, 도 7은 온수모드인 경우를, 도 8은 냉수모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상기 고정디스크(140)의 유량조절홈(143)과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수코크가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에 따라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유로전환밸브(100)가 정수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정수유로, 온수유로, 냉수유로 간에 전환되는 경우와 온수 및 냉수의 유량이 조절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6는 상기 관통홀(131)이 정수배출부(114a)와 연통되는 연통공(141a)을 관통하도록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에 유입된 정수는 상기 관통홀(131)을 지나 상기 연통공(141a)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113)에 형성된 정수배출부(114a)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회전디스크(130)가 회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31)이 상기 온수배출부(114c)에 연결된 연통공(141)을 관통하도록 위치하면, 온수가 상기 관통홀(131)과 연통공(141)을 통과하여 상기 온수배출부(114c)로 배출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31)이 온수배출부(114c)에 연결된 연통공(141c)과 가장 먼 위치의 유량조절홈(143a)에 위치하면 작은 양의 온수가 상기 온수배출부(141c)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디스크(130)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상기 유량조절홈들(123a, 123b, 123c) 사이를 회전하도록 조절하면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량은, 도 9의 (a)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130)가 회전하여 상기 관통홀(131)이 상기 연통공(141)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 가장 많을 수 있고, 도 9의 (b) 및 (c)와 같이, 상기 연통공(141)에서 멀어져 유량조절홈(143c,143b)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져 통과하는 유량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9의 (d)와 같이, 상기 연통공(141)에서 가장 먼 위치의 유량조절홈(143a)의 하부에 상기 관통홀(131)이 위치하면 상기 디스크부재를 통과하는 유량이 가장 적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코크(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점선은 물의 흐름을 예시한 것이다. 다만, 물의 이동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냉수도 상기 온수를 조절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및 냉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의 유량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홈(143)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관통홀(131)의 위치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절하거나, 제어부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시간적 제어를 통하여만 유량을 조절하는 반면,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같은 시간 동안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양의 물에 대응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는,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온도센서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부(2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되며, 온도센서(T)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110), 상기 유입부(112), 상기 배출부(114)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는, 상기 출수코크(100)를 통하여 출수되는 냉수, 온수, 상온수가 상기 출수코크(100)를 통하여 배출되기 직전의 온도를 측정한 후 가열 또는 냉각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처리장치 내부에서 보관 또는 이동과정에서 물의 온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출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부(200)는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온수탱크에서 적정온도로 가열되어 저장되는 동안 물이 식은 경우나, 온수 탱크 또는 직수식 수처리장치에서 순간가열후 출수코크(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진 경우에도, 출수코크(100)에서 별도의 온도측정장치인 온도센서부(20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가장 근접한 온도의 물이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부(200)는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 상기 유입부(112), 상기 배출부(1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일예에서는 상기 온도센서부(200)가 상기 하우징(110) 및 상기 유입부(112)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부(112)에서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온도센서부(200)의 장착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는 상기 온도센서부(200)가 상기 온수유입부(112c) 측에 장착되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정수 또는 냉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온수유입부(112c)에 상기 온도센서부(200)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부(200)가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110), 상기 유입부(112), 상기 배출부(114) 중 어느 하나에는 온도를 측정할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R)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는 상기 유로(R)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유로를 유동한 후 타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는, 본 발명의 경우 상온수, 온수, 냉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유로와 연결되는 상기 온도센서부(200)에 장착된 온도센서(T)에 의해서 유체의 온도가 측정되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센서부(2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센서부본체(210)와 장착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본체(210)는 유체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R)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T)의 일측이 삽입되는 센서삽입구멍(211)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 상기 유입부(112), 상기 배출부(1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본체(210)는 상기 하우징(110), 상기 유입부(112), 상기 배출부(114)(이하, "유입부 등")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12) 등과 상기 센서부본체(2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112) 등과 상기 센서부본체(210)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용이하게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 센서부본체(210)가 상기 유입부(112) 등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112) 등과 상기 센서부본체(21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 전술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센서부본체(210)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부본체(210)와 상기 유입부(112) 등이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입부(112) 등과 센서부본체(21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 이외에, 센서부본체(210)가 상기 유입부(112) 등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예컨대 센서부본체(210)에 상기 유입부(112)가 끼워지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센서부본체(210)가 상기 유입부(112) 등에 연결되는 등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센서부본체(210)에는 센서삽입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은 상기 유입부(112) 등에 형성된 유로(R)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R)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삽입구멍(211)에는 상기 온도센서(T)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삽입구멍(211)에 일부 유입된 유체와 온도센서(T)의 일측이 접촉되어,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는 도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삽입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11a)에는 밀봉부재(2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R)에 유입되어 센서삽입구멍(211)에 유입된 일부의 유체가 상기 밀봉부재(240)에 의해서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 유입된 유체는 다시 유로(R)를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도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240)는 상기 온도센서(T)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240)의 온도센서(T)에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밀봉부재(240)가 삽입홈(211a)에 삽입되면 온도센서(T)의 일측 단부가 유로(R)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본체(310)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장착부재(2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홈(21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본체(210)에는 고정부재(230)가 삽입되는 부재삽입구멍(2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220)가 센서부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220)에는 상기 센서부본체(210)의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 대응하는 센서관통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T)의 일측이 상기 센서관통구멍(221)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관통구멍(221)을 관통한 상기 온도센서(T)의 일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본체(210)의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220)는 상기 센서부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장착부재(220)에는 상기 고정부재(230)가 관통하는 부재관통구멍(2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장착부재(220)를 상기 센서부본체(210)의 상기 장착홈(210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T)의 일측을 장착부재(220)의 상기 센서관통구멍(221)을 관통하여 상기 센서부본체(210)의 센서삽입구멍(21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0)를 상기 장착부재(220)의 부재관통구멍(222)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본체(210)의 부재삽입구멍(212)에 삽입시키면, 온도센서(T)가 측정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재(220)를 상기 센서부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도센서(T)를 상기 유입부(112) 등의 측정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재(2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재(22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면, 상기 장착부재(220)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30)는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재삽입구멍(212)과 부재관통구멍(222)에는 볼트인 고정부재(230)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30)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재(220)가 상기 센서부본체(210)에의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2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 등 상기 장착부재(220)를 상기 센서부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 단부가 상기 장착부재(220)의 상기 센서관통구멍(221)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삽입구멍(211)에 삽입되며 유로(R)를 유동하는 유체와 접촉하여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부(200)를 이용하여 출수부에서 온도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출수되기 직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온도를 측정할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가 구비되는 상기 유입부(112) 등과 연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를 측정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켜 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출수온도를 피드백하여 가열부(예를 들어, 순간온도장치)의 발열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수코크(100)의 경우,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도록 드레인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비교하면, 상기 온도센서부(200)가 제거되고 하우징(110) 내부의 잔수의 퇴수를 위한 드레인부(300)가 추가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3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센서부(200) 대신 드레인부(300)의 구성이 추가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출수코크(100)는 상기 온도센서부(200)와 상기 드레인부(300)가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드레인부(30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에 연결되고 개구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부(300)가 개방되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존재하는 잔수가 자연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11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상온수, 온수, 냉수 등이 상기 배출부(114)를 통하여 배출되고 남은 잔수가 상기 드레인부(300)를 통하여 퇴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출수코크(100)는, 상기 드레인부(300)를 통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배출부(114)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레인부(30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에 잔류하는 잔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디스크(130)의 회전을 제어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배출부(114)를 폐쇄하고 상기 잔수가 상기 드레인부(300)를 통하여만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300)에 연결되는 드레인유로(미도시)에는 퇴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 냉수, 정수 등을 추출하기 전 상기 하우징(110)에 잔류하는 잔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잔수에 의해서 추출하는 물의 첫잔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온도의 물을 출수하기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출수코크(100)는 유입부(112)가 하우징(1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114)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 내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14)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14)는 상기 유입부(112)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며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4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114)와 출수구(410) 사이에는 상기 출수구(410)에 존재하는 잔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출수구(4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수코크(100)는 예를 들어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유입부(112)에는 정수기의 필터부에서 정수된 정수, 온수, 상온수 중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물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배출부(114)는 상기 출수구(4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112)는 정수유로, 온수유로, 냉수유로 중 2 이상의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출수코크(100)에 의해서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정수, 온수 등이 유입되는 상기 각각의 유로가 아닌, 상기 각각의 복수의 유입부(112)로부터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유로인 상기 배출부(114)에 솔레노이드 밸브(400)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부(114)로부터 상기 출수구(410)로 물이 배출되는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잔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부버튼을 눌러 냉수, 온수 및 정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회전디스크(130)가 선택된 위치로 회전하여 유로가 전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0)가 작동되어 물이 출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출수구(410)에 잔존하는 잔수가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100)는, 상기 디스크부재와 상기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400)로 정수, 온수, 냉수 중 원하는 물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의하면, 하나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어 유로를 전환하는 장치가 제품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원가를 잘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에 의하면, 디스크부재와 유량조절홈을 통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유로전환 및 유량조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출수코크에 온도센서부가 설치되어 출수되기 직전의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온도의 물을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고, 하우징에 구비된 드레인부에 의해 잔수에 의해 물의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10 : 하우징
112 : 유입부 114 : 배출부
120 : 디스크부재 130 : 회전디스크
140 : 고정디스크 141 : 연통공
143 : 유량조절홈 150 : 밀착부재
170 : 구동부재 200 : 온도센서부
210 : 센서부본체 220 : 장착부재
230 : 고정부재 240 : 밀봉부재
300 : 드레인부 400 : 솔레노이드 밸브
410 : 출수구

Claims (18)

  1. 복수 개의 유입부와 배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출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부재;
    상기 디스크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밀착부재; 및,
    상기 회전디스크와 연계되어 상기 회전디스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재는, 상기 회전디스크의 어느 일면에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디스크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는, 유량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연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유량조절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홈은,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유량이 조절되도록 높이차를 갖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홈은, 상기 고정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계단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온도센서의 일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 상기 유입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유체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의 일측이 삽입되는 센서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유입부, 상기 배출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센서부본체; 및,
    상기 온도센서가 관통하며, 센서삽입구멍에 대응하는 센서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본체에 고정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본체는 상기 장착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부재삽입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하는 부재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센서삽입구멍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끼워지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도록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를 통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배출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며,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상기 디스크부재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디스크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디스크 로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입부는 상온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물이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며 유입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상기 출수구 사이에 구비되어 잔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KR1020110098027A 2011-03-31 2011-09-28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KR20120111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9734 2011-03-31
KR1020110029734 2011-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80A true KR20120111880A (ko) 2012-10-11

Family

ID=4728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027A KR20120111880A (ko) 2011-03-31 2011-09-28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8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58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5582A (ko) * 2016-05-04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0278A1 (zh) 一种水路切换机构及采用其的按钮花洒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US6425415B2 (en) Device for the automatic delivery of water
US7007717B2 (en) Spindle structure for a ceramic faucet
KR101489077B1 (ko) 냉온수 일체형 취수장치
KR20120111880A (ko) 복수의 유로전환이 가능한 출수코크
CN212429848U (zh) 与恒温阀芯配套使用的集成阀芯
JP2008220822A (ja) シャワー装置
JP3213790U (ja) 液体混合装置
KR200469915Y1 (ko) 가스역류가 방지되는 가스미터기
CN216344098U (zh) 阀芯座及阀芯模块组
CN109654277A (zh) 带流调节功能按压阀芯
CN212131406U (zh) 一种能定量出水的浴缸龙头
CN108889469B (zh) 一种人性化健康淋浴装置
KR20090089489A (ko) 절수형 밸브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JP4541342B2 (ja) 局部洗浄装置
CN215759371U (zh) 冷热混水装置及卫浴设备
US20240068214A1 (en) Water discharge structure and sensor-operated water discharge device
KR20240048924A (ko) 출수장치 및 출수장치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13541375U (zh) 一种可调流量的开关阀装置
CN110124889B (en) Descaling shower head
CN218543267U (zh) 双水路阀芯及抽拉式水龙头
CN212189160U (zh) 一种软水功能可开闭的水龙头
CN221003900U (zh) 软水阀及软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