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8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89A
KR20220000389A KR1020210184700A KR20210184700A KR20220000389A KR 20220000389 A KR20220000389 A KR 20220000389A KR 1020210184700 A KR1020210184700 A KR 1020210184700A KR 20210184700 A KR20210184700 A KR 20210184700A KR 20220000389 A KR20220000389 A KR 2022000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ristles
toothbrush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635B1 (ko
Inventor
박미정
하원호
이종훈
김정호
유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8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6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상부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복수개의 제1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복수개의 제2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칫솔모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끝단이 하단과 반대 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간 침투력 및 치아 세정력과 더불어 잇몸 마사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핸들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며, 헤드부에는 복수 개의 칫솔모가 심어져 있다. 사용자는 헤드부에 치약을 공급한 뒤 치약이 묻은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 등에 문질러서 치아를 세정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는 치아의 표면에 마찰되면서 치아를 세정하고, 치간에 침투하여 치간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게 된다. 치아 세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치질을 하거나, 자신의 치아에 적합한 치약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칫솔모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칫솔 대신 전동칫솔을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칫솔은 헤드부에 칫솔모가 단순히 일자로 심어져 있기 때문에, 플라그가 많이 생기는 치간 또는 치아와 잇몸 사이 등에 칫솔모가 깊숙이 들어가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러한 칫솔은 치간침투 외에도 잇몸자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잇몸을 건강하게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치아 세정의 효율성과 편리성 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 영역과, 사출된 칫솔모 영역을 함께 형성함에 의해 치간 침투력 및 치아 세정력과 더불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칫솔의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 영역과, 사출된 칫솔모 영역이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의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상부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복수개의 제1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복수개의 제2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칫솔모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끝단이 하단과 반대 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은, 핸들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영역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핸들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영역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헤드부의 양단부 측에 2줄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 측에 1줄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맞닿는 면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돌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영역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재질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고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고무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헤드부에 식모된 칫솔모 영역과, 사출된 칫솔모 영역을 함께 형성함에 의해 치간 침투력 및 치아 세정력과 더불어 잇몸 마사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식모된 칫솔모 영역과, 사출된 칫솔모 영역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2 칫솔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분리된 제1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분리된 제2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제2 칫솔모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손으로 잡는 부분인 핸들부(30)와, 핸들부(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면에 복수개의 칫솔모(11, 12)가 형성된 헤드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20)의 상부면은 제1 영역(27)과 제2 영역(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7)은 헤드부(20)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28)은 헤드부(20) 폭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27)에는 복수개의 식모홀(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모홀(40)에 복수개의 제1 칫솔모(11)가 식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28)에는 사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제2 칫솔모(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부(20)는 제1 칫솔모(11)가 식모되는 제1 영역(27)과, 사출 성형된 제2 칫솔모(12)가 접착된 제2 영역(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모가 나일론 또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치아 세정 및 치간 침투가 용이한 반면 잇몸을 마사지하는 기능은 저하되게 된다. 또한, 사출 성형된 칫솔모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잇몸 마사지 및 잇몸 세정 기능은 향상될 수 있지만, 치아 세정 및 치간 침투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헤드부(20)의 상부면을 제1 영역(27) 및 제2 영역(28)으로 구획하여, 제1 영역(27)에는 제1 칫솔모(11)가 식모된 식모군(25)이 형성되고, 제2 영역(28)에는 사출된 제2 칫솔모(12)가 접착된 사출군(26)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치간 침투 및 치아 세정과 더불어, 잇몸을 마사지하는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헤드부(20)의 제1 영역(27)에는 복수개의 식모홀(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식모홀(40)은 제1 식모홀(41), 제2 식모홀(42), 제3 식모홀(43) 및 제4 식모홀(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모홀(40)은 적어도 하나의 크기 및 형상을 띨 수 있으며, 식모홀(4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타원형 및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식모홀(40)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되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식모홀(40)의 크기, 형상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먼저, 복수개의 제1 식모홀(41)은 각각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에 위치된 다른 식모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식모홀(41)은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식모홀(4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식모홀(41)의 형상은 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방형, 육각형, 마름모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 식모홀(42)은 각각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식모홀(4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식모홀(42)은 제1 식모홀(4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식모홀(41) 주변을 에워싸도록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식모홀(42)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복수개의 제3 식모홀(43)은 복수개의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은 헤드부(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은 각각 헤드부(20)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은 곡면진 헤드부(20)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따라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은 각각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개의 제4 식모홀(44)은 인접한 제1 식모홀(41) 사이에 헤드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제1 식모홀(41)이 헤드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로 형성되었으므로, 복수개의 제4 식모홀(44)은 헤드부(20) 길이 방향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4 식모홀(44)은 제1 식모홀(41)을 둘러싸는 제2 식모홀(42) 사이에서 헤드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4 식모홀(44)은 6개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식모홀(4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었으나, 제4 식모홀(44)의 형상, 개수 및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헤드부(20) 상부면의 제1 영역(27)에 형성된 제1 식모홀(41), 제2 식모홀(42), 제3 식모홀(43) 및 제4 식모홀(44)에는 각각 제1 칫솔모(11)가 식모됨으로써, 제1 식모군(21), 제2 식모군(22), 제3 식모군(23) 및 제4 식모군(24)으로 이루어진 식모군(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식모군(23)은 선단홀(43a) 및 후단홀(43b) 각각에 식모된 선단 식모군(23a) 및 후단 식모군(2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칫솔모(11)는 평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식모홀(40)에 식모될 수 있다. 즉, 각 식모홀(40)에 제1 칫솔모(11)를 반으로 접어서, 그 사이에 평선을 끼워 넣음에 의해 제1 칫솔모(11)가 식모홀(40)에 식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칫솔모(11)는 헤드부(20)의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5도 내지 20도 경사지게 식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칫솔모(11)가 5도 내지 20도로 경사지게 식모됨으로써, 치간 침투력 및 치아 세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의 제2 영역(28)에는 사출 성형된 제2 칫솔모(12)가 헤드부(20)의 상부면에 사출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칫솔모(12)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칫솔(100)의 핸들부(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칫솔모(12)가 핸들부(30)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2 칫솔모(12)는 헤드부(20)의 상부면과 사출 과정에서 서로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칫솔모(12)의 상세한 재질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2 영역(28)에는 제2 칫솔모(12)가 사출에 의해 헤드부(20) 상부면에 접착된 사출군(2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칫솔모(12)는 헤드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칫솔모 전체의 20~70%를 차지할 수 있다. 즉, 사출군(26)은 헤드부(20) 상부면의 20~70%를 차지할 수 있다.
제2 칫솔모(12)가 전체 칫솔모의 2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잇몸을 마사지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제2 칫솔모(12)가 전체 칫솔모의 70%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치간 침투력 및 치면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칫솔모(12)는 칫솔모 전체의 20~70%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의 헤드부(20)는 제1 칫솔모(11)가 식모된 제1 영역(27)과, 제2 칫솔모(12)가 사출에 의해 접착된 제2 영역(28)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칫솔모(11)가 치간 침투 및 치면 밀착 세정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칫솔모(12)가 잇몸에 닿는 헤드부(20)의 외측, 즉 헤드부(20) 폭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됨으로써 잇몸 라인의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부(20)의 선단부는 곡면지게 형성되어, 구강 내 잇몸이나 피부, 치아 등의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의 제1 영역(27)에 식모된 제1 칫솔모(11)는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제1 칫솔모(11) 선단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져서 선단이 첨예화된 테이퍼 모, 제1 칫솔모(11) 선단을 향하여 점차 가늘어지되, 테이퍼 모보다 선단 직경이 굵은 세미테이퍼 모, 또는 제1 칫솔모(11)의 외경이 거의 동일한 스트레이트 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칫솔모(11)는 상기 형상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칫솔모(11)는 치아 표면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칫솔모(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6-12 나일론 및 6-10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스테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칫솔모(11)는 상기 수지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칫솔모(1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칫솔모(11)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칫솔모(11)는 사용감이나, 쇄소감, 세정 효과 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칫솔모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칫솔모(12)는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헤드부(20)로부터 상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a와 같이 제2 칫솔모(12')는 앞서 설명한 테이퍼 모 또는 세미테이퍼 모 등의 형상으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b와 같이 제2 칫솔모(12") 선단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굵기가 가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칫솔모(12")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칫솔모(1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칫솔모(12)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고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고무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핸들부(30)는 고경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핸들부(30)는 상기 소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칫솔(100)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적 특성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0)은 수동 칫솔 또는 전동 칫솔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동 칫솔의 소재는 핸들부(30)의 소재와 같을 수 있으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세탈(POM),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ABS),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200)은 핸들부(60)와, 핸들부(6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면에 복수개의 칫솔모(81, 82)가 형성된 헤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드부(50)의 상부면은 제1 영역(54)과 제2 영역(55)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핸들부(60)는 헤드부(50)의 제1 영역(54)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55)은 제1 영역(54)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200)에서는 핸들부(60)가 제1 영역(54)과 연결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핸들부(60)가 제2 영역(55)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영역(54)은 헤드부(50)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영역(54)에는 복수개의 식모홀(71)이 형성되어, 식모홀(71)에 제1 칫솔모(81)가 식모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54)에 형성된 복수개의 식모홀(71)은 헤드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식모홀(71)은 일직선이 아닌 헤드부(50)의 폭 방향의 좌우로 번갈아가며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모홀(71)에는 제1 칫솔모(81)가 식모되어 식모군(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식모군(51)을 이루는 제1 칫솔모(81)는 헤드부(50) 폭 방향의 중앙 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식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칫솔모(81)의 끝단은 복수개의 식모홀(71)이 이루는 지그재그 형상과 반대 방향의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식모홀(71)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8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식모홀(71)의 형상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영역(55)은 헤드부(50)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선단부를 거쳐 타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55)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영역(55)에는 사출에 의해 접착된 복수개의 제2 칫솔모(8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칫솔모(82)는 제2 영역(55)을 따라 U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사출군(52)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 칫솔모(82)는 헤드부(50)의 양단부 측에 2줄로 형성되고, 헤드부(50)의 선단부 측에는 1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칫솔모(82)의 끝단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칫솔모(82)는 헤드부(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칫솔모 전체의 20~70%를 차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칫솔모(82)가 전체의 2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잇몸 마사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그리고, 제2 칫솔모(82)가 전체의 70%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치간 침투 및 치면 세정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분리된 제1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분리된 제2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50)의 제1 영역(54)과 제2 영역(55)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200)에서는 제1 영역(54)이 핸들부(60, 도 4 참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영역(55)이 제1 영역(54)으로부터 착탈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영역(54)은 핸들부(6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칫솔모(81)가 식모됨에 따라 식모군(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역(54)은 헤드부(50)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55)은 헤드부(50) 폭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선단부를 거쳐 타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55)은 핸들부(60)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제1 영역(5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영역(55)이 제1 영역(54)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2 영역(55)을 분리하여 제1 영역(54)만으로 사용하거나, 제2 영역(55)을 제1 영역(5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에 따라 제2 영역(55)을 착탈하여, 선택적으로 칫솔(200)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간 및 치면의 세정을 원하는 경우 제2 영역(55)이 분리된 상태로 사용하고, 이와 더불어 잇몸을 마사지하고 싶은 경우 제2 영역(55)이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54)과 제2 영역(55)의 결합 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영역(54)과 제2 영역(55)이 맞닿는 각각의 면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홈부(54a) 및 돌기부(55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54)의 외측면에는 홈부(54a)가 형성되고, 제2 영역(55) 내측면에는 돌기부(55a)가 형성되어, 돌기부(55a)가 홈부(54a)에 끼워짐에 의해 제2 영역(55)이 제1 영역(54)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홈부(54a) 및 돌기부(55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영역(54)의 외측면에 돌기부(55a)가 형성되고, 제2 영역(55)의 내측면에 홈부(54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부(50)의 제2 영역(55)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영역(54)으로부터 원활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55)은 예를 들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고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고무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200)은 제1 영역(54)이 핸들부(60)로부터 연장 형성되었으나, 제2 영역(55)이 핸들부(6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1 영역(54)이 착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영역(54)을 분리하여 제2 영역(55)만을 이용하여 잇몸을 마사지하거나, 제1 영역(54)을 결합하여 치간 및 치면 세정과 동시에, 잇몸을 마사지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 81 : 제1 칫솔모 12, 82 : 제2 칫솔모
20, 50 : 헤드부 21 : 제1 식모군
22 : 제2 식모군 23 : 제3 식모군
23a : 선단 식모군 23b : 후단 식모군
24 : 제4 식모군 25, 51 : 식모군
26, 52 : 사출군 27, 54 : 제1 영역
28, 55 : 제2 영역 30, 60 : 핸들부
40, 71 : 식모홀 41 : 제1 식모홀
42 : 제2 식모홀 43 : 제3 식모홀
43a : 선단홀 43b : 후단홀
44 : 제4 식모홀 54a : 홈부
55a : 돌기부 100, 200 : 칫솔

Claims (7)

  1. 상부면에 칫솔모가 형성되는 헤드부;
    복수개의 제1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복수개의 제2 칫솔모가 상기 헤드부 폭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칫솔모는,
    상기 제1 영역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되, 끝단이 하단과 반대 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중앙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핸들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영역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핸들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영역과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칫솔모는,
    상기 헤드부의 양단부 측에 2줄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 측에 1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맞닿는 면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돌기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질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고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고무 및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210184700A 2017-03-31 2021-12-22 칫솔 KR10246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700A KR102463635B1 (ko) 2017-03-31 2021-12-22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759A KR102343907B1 (ko) 2017-03-31 2017-03-31 칫솔
KR1020210184700A KR102463635B1 (ko) 2017-03-31 2021-12-22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59A Division KR102343907B1 (ko) 2017-03-31 2017-03-31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89A true KR20220000389A (ko) 2022-01-03
KR102463635B1 KR102463635B1 (ko) 2022-11-07

Family

ID=638655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59A KR102343907B1 (ko) 2017-03-31 2017-03-31 칫솔
KR1020210184700A KR102463635B1 (ko) 2017-03-31 2021-12-22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759A KR102343907B1 (ko) 2017-03-31 2017-03-31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39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760A (ja) * 2002-09-11 2004-04-02 Takechika Kitamura 斜ブラシ
JP2005504597A (ja) * 2001-10-05 2005-02-17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コンシューマー・ヘルスケ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歯ブラシ
WO2008047492A1 (fr) * 2006-10-17 2008-04-24 Toshio Nishino Brosse à dents permettant un brossage simultané des deux arcades dentair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420U (ko) * 1997-08-12 1998-03-30 최용호 다단식 칫솔모를 갖는 칫솔
DE102011055564B4 (de) * 2011-11-21 2015-10-29 Emag Ag Bürstenkopf für eine Schall- oder Ultraschallzahnbürste und Zahnbürste
WO2013164986A1 (ja) * 2012-05-01 2013-11-0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KR20140000309U (ko) * 2012-07-06 2014-01-15 윤지상 칫솔
KR200470752Y1 (ko) * 2012-11-13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구강 관리 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4597A (ja) * 2001-10-05 2005-02-17 グラクソスミスクライン・コンシューマー・ヘルスケア・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 歯ブラシ
JP2004097760A (ja) * 2002-09-11 2004-04-02 Takechika Kitamura 斜ブラシ
WO2008047492A1 (fr) * 2006-10-17 2008-04-24 Toshio Nishino Brosse à dents permettant un brossage simultané des deux arcades denta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635B1 (ko) 2022-11-07
KR102343907B1 (ko) 2021-12-29
KR20180111186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37Y1 (ko) 칫솔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RU2352233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гибкой головкой
JP540115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US9101204B2 (en) Oral care implement
JP5970157B2 (ja) 歯ブラシ
RU252398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JP6141835B2 (ja) 歯ブラシ
CN208286631U (zh) 牙刷
JP2012231930A (ja) 歯ブラシ
KR102463635B1 (ko) 칫솔
JP2016064031A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及び歯ブラシ
KR100743809B1 (ko) 칫솔
TWI734760B (zh) 牙刷
JP2021104237A (ja) 歯ブラシ
TWI802701B (zh) 牙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JP2013192606A (ja) 歯ブラシ
JP2020075125A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KR20180000642U (ko) 칫솔
KR20180000364U (ko) 칫솔 캡과 이를 구비하는 칫솔
KR20170051850A (ko) 칫솔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