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36A -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36A
KR20220000236A KR1020200077942A KR20200077942A KR20220000236A KR 20220000236 A KR20220000236 A KR 20220000236A KR 1020200077942 A KR1020200077942 A KR 1020200077942A KR 20200077942 A KR20200077942 A KR 20200077942A KR 20220000236 A KR20220000236 A KR 2022000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pn
intestinal flora
improving intestin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441B1 (ko
Inventor
이상목
정동현
정은경
김민경
최승훈
최윤재
조종수
강상기
홍량
김휘수
한건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실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실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실리코
Priority to PCT/KR2020/0083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261626A1/ko
Priority to KR1020200077942A priority patent/KR1026324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19Pullul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1Dextr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 균주 및 프리바이오틱스로서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건강기능식품 첨가제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Synbiotics type intestinal microflora improvement composition comprising polysaccharide-based nanoparticles}
본원 발명은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또는 락토바실럭스 플란타럼(Lactobacillis plantarum) 균주를 포함하고, 프리바이오틱스로서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내 균총(gut microbiota)은 생애 초기에 형성되어 일생에 걸쳐 숙주 및 상호 간 활발하게 쌍방향적 영향을 주고받는 장내 서식하는 미생물의 총체를 의미한다. 장내 균총은 인간에 비해 100배 이상 풍부한 유전자를 바탕으로 장 점막 면역, 영양 물질 흡수, 담즙산 대사 등 숙주의 생리에 다양하게 영향을 끼친다. 특히, 최근 장내 균총의 불균형은 대장 질환, 치매, 암, 혹은 비만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장내 균총의 균형을 유지, 회복 및 개선시키는 것이 건강 유지 및 질병 예방/치료에 중요하다.
장내 균총은 식단, 병원균 감염, 항생제 노출, 노화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후 수 년 내 형성을 완료한 장내 균총은 일생 동안 그 변화의 정도가 작고 숙주의 생리에 큰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안정된 상태(symbiosis)를 유지하지만, 항생제 노출 혹은 병원균 감염 등의 이유로 급격하게 변화하여 불균형의 상태(dysbiosis)가 될 경우 각종 질병에 취약해지게 된다. 특히, 그람 음성균 세포벽 구성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염증을 유발하는 내독소 물질(endotoxin)로써, 장내 균총 불균형 시 장 주변 혹은 혈류에 고농도로 분포하게 되어 염증성 장 질환 및 다양한 대사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장내 균총의 상태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균총의 다양성(diversity), 유익균의 높은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 등을 들 수 있다. 내독소 혈증과 그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질환의 원인인 높은 혈중 내독소 수준(serum LPS level)은 장내 균총의 불균형으로 인한 결과인 동시에 질병 발생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장내 균총을 유지, 개선하는데 있어 다수가 동의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미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적 측면의 방법과, 균총 내 특정 균들 중 유해균의 비중을 억제하고, 유익균의 비중을 늘리는 구성요소 측면의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혹은 이들의 조합인 신바이오틱스(synbiotics)의 숙주 내 도입이 있다.
신바이오틱스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1794호는 타가로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장내 균총 개선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덱스트란(dextran), 플루란(pullulan) 등의 다당류 고분자를 이용하여 다당류 나노입자(phthalyl dextran nanoparticle, PDN; phthalyl pullulan nanoparticle, PPN)를 제조한 뒤, 이를 프로바이오틱스와 단순 혼합하여 신바이오틱스 형태의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를 장내 균총이 불안정한 숙주(쥐)에 급여한 후 숙주의 장내 균총 변화와 생리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KR 10-1381794 B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내 균총 내 유해균의 비중을 억제하고, 유익균의 비중을 늘려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 균주 및 프리바이오틱스로서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항생제 노출 혹은 병원균 감염 등의 이유로 장내 균총이 급격하게 변화하여 불균형의 상태(dysbiosis)에 있는 장내 균총의 유해균 비중을 감소시키고, 유익균 비중을 늘려 장내 균총의 다양성(diversity), 유익균의 높은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내 균총을 유지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자기 방어 기작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한 항균성 단백질의 생산을 향상시켜 프로바이오틱스 자체에 비해 그람 양성 및 음성 병원체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장내 균총의 군집을 변경시켜 병원성 장 감염을 억제 또는 치료하여 미생물총의 다양성 감소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혈중 내독소 수준을 감소시켜 장내 장벽 강화, 및 염증 예방 내지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증가, 결장길이(colon length) 증가 등의 생리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A) PDN 합성의 반응식이고, (B) SEM으로 관찰한 PDN의 형태이고, (C) 1H NMR에서 PDN 중 프탈산의 몰%를 계산한 것이고, (D) DLS에 의한 PDN 크기의 측정 결과 및 ELS에 의한 제타 전위이다(배율: 10,000X; 축척바=2 μm).
도 2는 운반체, 온도 및 시간 의존적 방식으로 PA에 의한 PDN(A) 및 덱스트란 (B)의 도입을 공초점 현미경 및 FACS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병원체(A-D)에 대한 PA, 덱스트란으로 처리한 PA(PA/D) 및 PDN으로 처리한 PA(PA/PDN)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데이터를 3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SEM으로 표시함.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key's test에 의해 각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p < 0.05, **p < 0.01, ***p < 0.001)).
도 4는 PA에 대한 PDN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A) 브래드포드 분석에 의한 페디오신 생산, (B)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억제 직경에 의한 페디오신 활성(AU/ml), (C) 16S rRNA 발현과 비교한 pedA-D의 상대적 mRNA 발현, (D) 16S rRNA에 대한 groEL, groES, dnaKdnaJ 의 발현 수준을 qRT-PCR로 정량화한 것이다(데이터를 3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SEM으로 표시함.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key's test에 의해 PA 및 다른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p < 0.05, **p < 0.01, ***p < 0.00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를 급여 후 마우스의 생리적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A) 체중 변화, (B) 사료 섭취량 변화, (C) 결장 길이의 변화를 그룹 별로 비교한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PA; T2 그룹: 덱스트란을 갖는 PA; T3 그룹: PDN을 갖는 P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를 급여 후 마우스의 장 미생물총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A) 대조군 마우스 또는 PA, 덱스트란을 갖는 PA 또는 PDN을 갖는 PA로 처리한 마우스로부터 마우스 장 미생물군의 비가중 주좌표 분석(PCoA) 플롯, (B) 마우스 장 미생물총의 observed OTU의 수, (C) 마우스 분변 시료 중 E.coli O157:H7의 생균수 측정 결과, (D) 마우스 분별 시료 중 E.coli O157:H7(인티민)의 비율, (E) 장 미생물총의 Proteobacteria 문의 비율 변화, (F) 분변 내 유산균(LAB)의 함량, (G) 분변 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PA; T2 그룹: 덱스트란을 갖는 PA; T3 그룹: PDN을 갖는 PA)
도 7은 PPN(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의 화학 합성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A) 1H NMR에서 PPN 중 프탈산의 몰%를 계산한 것이고, (B) ELS에 의한 제타 전위이고, (C) DLS에 의한 PPN 크기의 측정 결과이고, (D) SEM으로 관찰한 PPN의 형태이다(배율: 10,000X; 축척바=100 nm).
도 9는 LP에 의한 PPN의 도입 여부를 분석한 결과로서(FITC-PPN은 녹색으로 도시되고, LP는 DAPI로 청색으로 염색됨), 2시간의 처리 후에 PPN의 도입을 FACS로 정량화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A) Z-섹션 이미지로 LP에 PPN의 도입 여부를 보여준 것이고, (B) 10% (w/v) 글루코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또는 PPN3로 전배양된 LP를 0.5% (w/v) FITC-PPN3로 37℃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CLSM 및 FACS로 관찰한 것이다(공초점 및 FACS 데이터는 세 번의 독립 실험을 대표하는 것이고, 평균 값을 막대 차트에 독립 FACS 실험의 평균±SEM으로 나타냄. 통계적 유의성을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rkey's test에 의한 각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함(*** p <0.001). 축척바=10㎛.)
도 10은 막 결합 염료(FM4-64)를 이용하여 LP 세포막을 염색한 뒤 FITC-PPN3의 FITC 형광 세기 및 위치를 확인한 것으로, (A) FITC 형광의 세기는 LP의 중심에서 최대이고 (B) FITC 형광이 박테리아 내에 보이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도 11은 (A) LP를 0.5% (w/v) FITC-풀루란, FITC-PPN1, FITC-PPN2 및 FITC-PPN3로 37℃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CLSM 및 FACS로 관찰한 것이고, (B) LP를 0.5% (w/v) FITC-PPN3으로 4℃, 20℃, 37℃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CLSM 및 FACS로 관찰한 것이다(공초점 및 FACS 데이터는 세 번의 독립 실험을 대표하는 것이고, 평균 값을 막대 차트에 독립 FACS 실험의 평균±SEM으로 나타냄. 통계적 유의성을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rkey's test에 의한 각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함(*** p <0.001). 축척바=2㎛.).
도 12는 E.coli 및 LM에 대한 LP/PPN의 항균 능력에 관한 것으로,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된 LP와 그람 음성 E.coli 또는 그람 양성 LM을 공배양 (co-culture)하고, E.coli(A) 및 LM(C) 대한 성장 저해율을 CFU로 계산한 것이다. 또한, 유사하게, LB 및 BHI 한천 플레이트 상에 E.coli(B) 및 LM(D)의 성장 억제 직경을 측정한 것이다(데이터는 3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SEM으로 나타냄. 통계적 유의성을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rkey's test에 의한 P로 처리한 LP와 PPN으로 처리한 LP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함(** p <0.01 및 *** p <0.001)).
도 13은 항균력의 향상 메커니즘을 분석한 것으로,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된 LP 그룹 중의 (A) LP의 성장을 측정한 것이고, (B) 배양 배지의 pH를 측정한 것이고, 프로테이나제 K 처리 후 E.coli(C) 및 LM(D)에 대한 LP/PPN의 항균 효능을 측정한 것이고, (E)16S rRNA 발현 수준과 비교한 planS의 상대적 mRNA발현 수준을 측정한 것이고, (F) 분리된 플란타리신을 SDS-PAGE로 측정한 것이다.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한 데이터는 3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SEM으로 나타냄.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rkey's test에 의한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함(* p <0.05, ** p <0.01, 및 *** p <0.001)).
도 14는 PPN으로 처리된 LP에서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분석 결과로서, 16S rRNA에 대한 dnaK(A) 및 dnaJ(B)의 발현 수준을 qRT-PCR로 정량화한 것이다(데이터는 3번의 독립 실험의 평균±SEM으로 나타냄.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 및 Turkey's test에 의한 LP와 다른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함(* p <0.05, ** p <0.01, 및 *** p <0.001).)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를 급여 후 마우스의 (A) 체중 변화, (B) 사료 섭취량 변화, (C) 결장 길이의 변화를 그룹 별로 비교한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를 급여 후 마우스의 맹장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그룹 별로 비교한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17은 E. coli 를 경구 투여한 그룹 별 혈중 내독소(EU/ml)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18 은 비가중 UniFrac 거리에 기초한 주좌표 분석(PCoA) 결과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19는 가중 UniFrac 거리에 기초한 주좌표 분석(PCoA) 결과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를 급여 후 마우스의 장 미생물총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A) 마우스 장 미생물총의 observed OTU의 수, (B) 마우스 분변 시료 중 E.coli O157:H7의 생균수 측정 결과, (C) 장 미생물총의 프로박테리아(Proteobacteria) 문의 비율 변화, (D) 분변 내 유산균(LAB)의 선별배지 (MRS 한천)을 이용한 계수 결과, (E) 분변 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spp.)의 함량, (F) 분변 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C: 대조군; T1 그룹: LP 미처리군; T2 그룹: 풀루란 또는 PPN을 갖지 않는 LP; T3 그룹: 풀루란을 갖는 LP; T4 그룹: PPN을 갖는 LP; T5 그룹: 풀루란 및 PPN을 갖는 LP)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바이오틱스 급여 스케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균'이란 용어는 미생물 집단, 특히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또는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서 살균 활성 또는 미생물 성장 저해를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항균"이란 용어는 24시간 후에 측정하였을 때 미생물의 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장내 균총을 개선시킴으로서 숙주에게 유익한 영향을 주는 생균제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소화되지 않고 특정 장내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어 프로바이오틱스의 성장과 활성을 유도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비오시스(Dysbiosis)'는 장내 균총이 불안정한 상태, 병원균 감염 효과가 극대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미생물총(Microbiome)'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들과 이들의 유전정보 전체를 말하는 것으로, 단일 생명체의 유전정보 전체를 뜻하는 게놈(Genome)들의 집합체를 뜻한다. 따라서 '인체 미생물총(Human Microbiome)'은 인간 몸체 안팎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들과 그들의 유전정보 전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로서 유산균 균주 및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서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synbiotics)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또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속(Lactobacillus lactis subsp.) 또는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및 락토바실럭스 플란타럼(Lactobacillis plantar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항균성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 항균성 단백질은 유산균, 효모, 광합성균, 바실러스균 등 유용한 미생물에서 생합성되는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결합된 당단백질로, 미생물 자신을 스스로 방어하기 위해 생산하는 항균 효과가 있는 물질이다.
상기 항균성 단백질은 항균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에 따라 종류가 상이하다. 유산균에서 생산된 항균성 단백질로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또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에서 생산된 페디오신(pediocin),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속(Lactobacillus lactis subsp.) 또는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에서 생산된 니신(nisin), 락토바실러스 사케(Lactobacillus sake)에서 생산된 사카신(sakacin),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Lactobacillus salivarius)에서 생산된 살리바리신(salivaricin),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에서 생산된 헬베티신(heveticin) 또는 락토신(lactocin),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에서 생산된 아시도필루신(acidophilucin) 또는 락타신(lactaci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생산된 플란타리신(plantaricin) 또는 플란타신(plantacin), 바실러스 종(bacillus spp)에서 생산된 메르사시딘(mersacidin),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에서 생산된 시톨리신(cytolysin),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에서 생산된 엔테리신(Entericin),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에서 생산된 가세리신(gassericin)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성 단백질은 페디오신(pediocin), 니신(nisin), 플란타리신(plantaricin) 및 플란타신(plantac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균성 단백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산균 균주는 페디오신을 생산하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KCTC 21,08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산균 균주는 플란타리신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은 돼지 내장에서 분리된 LP 177 일 수 있다. LP 177은 E. coli K99 에 대해 강력한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소화 불량성 음식 성분으로 정의되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는 위장관에서의 이로운 미생물의 성장 또는 활동을 유도하고, 숙주에 이로운 건강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리바이오틱스로 다당류를 사용한다.
상기 다당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이눌린(inulin), 풀루란(pullulan), 전분(starch), 덱스트란(dextran), 펙틴(pectin) 등이 있다.
상기 덱스트란은 직쇄 포도당 분자 사이의 α(1→6) 글리코시드 연결과 가지 사이의 α(1→3) 연결로 구성된 복잡한 분지형 글루칸으로 인해 프리바이오틱스 소스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결은 상부 위장관(GI)에서 췌장 효소에 의해 소화될 수 없으나, 장 미생물총에 의해 발효될 수 있다.
상기 풀루란은 풀루란(Pullulan)은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단위가 α-1,6 결합으로 연결된 것으로 진균류의 일종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가 생성하는 수용성 다당류이다. 이러한 풀루란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의 프리바이오틱스로 사용되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에 의해 부티레이트 및 프로피오네이트로 발효될 수 있다. 부티레이트는 장 장벽 기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피오네이트는 DSS로 유발된 장 기능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당류는 소수성 잔기를 가지는 다당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당류는 자연에서 얻은 것으로 소수성 잔기가 없는 구조이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되는 다당류는 인위적으로 다당류(polysaccharide)의 1차 알코올기에 에스테르 결합(ester bond)으로 소수성 잔기(hydrophobic group)를 도입시킨 구조이다. 상기 소수성 잔기로는 아세테이트(acetate),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 부틸레이트(butyrate), 프탈레이트(phthalate), 콜레스테롤(cholesterol), 메르캅토숙신산(mercaptosuccinic acid), 메틸 글루타르산(methyl glutaric acid)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소수성 잔기가 도입된 다당류는 친수성 용매에서 소수성 효과에 의해 자기 조립(self-assembly)되어 나노입자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수성 잔기를 가지는 다당류는 미생물의 활성 및 자극을 증가시켜 항균성 단백질의 생합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잔기는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틸레이트, 프탈레이트, 콜레스테롤, 메르캅토숙신산 및 메틸 글루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오스, 이눌린, 풀루란, 전분, 덱스트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수성 잔기를 가지는 다당류의 일 예는 아세틸 이눌린(acetyl inulin), 프탈릴 이눌린(phthalyl inulin), 프탈릴 덱스트란(phthalyl dextran), 프탈릴 스타치(phthalyl starch), 프탈릴 풀루란(phthalyl pullulan), 콜레스테릴 풀루란(cholesteryl pullulan), 프로필 이눌린(propyl inulin) 등일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는 프탈릴 덱스트란 나노입자(phthalyl dextran nanoparticle, PDN)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A)와 같이, 덱스트란 중의 히드록실기 및 프탈산 중의 카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하여 소수성 프탈릴기가 덱스트란에 도입된 프탈릴 덱스트란 나노입자(PDN)을 제조하였다.
다른 례로,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는 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phthalyl pullulan nanoparticle, PPN)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이, 풀루란 중의 히드록실기와 프탈산 중의 카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을 하여 소수성 프탈릴기가 풀루란에 도입된 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PPN)을 제조하였다.
상기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상기 유산균 균주와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가 배합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와 프탈릴 덱스트란 나노입자(PDN)가 배합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과 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PPN)가 배합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는 유산균 세포 내로 도입되어 미생물의 활성 및 자극을 증가시켜 항균성 단백질의 생합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유산균 세포 내로 다당류 나노입자가 도입되는 과정은 시간, 온도, 운반체 의존적인 과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분말 또는 과립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소화 및 흡수 향상제, 성장 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포유류, 및 가금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양, 염소, 실험용 설치 동물, 및 실험용 설치 동물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첨가제는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신바이오틱스는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혼합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혼합양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신바이오틱스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직장내주사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아라비아고무,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경구 투여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PDN의 합성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물질 및 화학 물질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Sigma-Aldrich (미국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구입하였다. 박테리아 배양을 위한 리소게니 브로스(LB), LB 한천, MRS 브로스, MacConkey 한천 배지 및 BHI(Brain Heart Infusion) 브로스는 BD Difco (Sparks, MD, USA)에서 구입했다.
도 1의 (A)와 같이, 덱스트란 중의 히드록실기 및 프탈산 중의 카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하여 소수성 프탈릴기가 덱스트란에 도입된 프탈릴 덱스트란 나노입자(PDN)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덱스트란(1g, MW=4000 gmol-1)을 5 ml의 디메틸 포름아미드에 첨가한 후, 0.2 ml의 5% 소듐 아세테이트(w/v)를 반응용 촉매로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무수프탈산을 2:1 M비율로 덱스트란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24 시간 동안 40℃에서 질소와 함께 수행하여 PDN을 합성하고, PDN을 동결 건조하고 사용할 때까지 -20℃에서 저장하였다.
<실험예 1> PDN의 특성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DN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FE-SEM)(Carl Zeiss社, SUPRA 55VP-SEM)으로 측정하였다. 도 1의 (B)와 같이, PDN의 형태는 나노미터 스케일의 구형이었다.
또한, 입자 크기를 동적 광산란(DLS) 분광 광도계(Otsuka Electronics社, DLS-7000)로 측정하였다. 도 1의 (D)와 같이, PDN의 평균 크기는 0.220의 다분산 지수로 238.7 nm였다.
또한, PDN 중 프탈릴기의 양을 600 MHz 1H 핵자기 공명(NMR) 분광기(Bruker社, AVANCE 600)로 측정하였다. 도 1의 (C)와 같이, PDN 중 덱스트란 및 프탈산의 양성자는 각각 3.8 및 7.4-7.7 ppm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DN의 프탈릴기는 덱스트란기와 프탈릴기의 양성자의 총합을 기준으로 27.6mol%였다.
또한, 표면 전하(zeta potential)를 전기 영동 광산란 광도계(Otsuka Electronics社, ELS-8000)로 측정하였다. 도 1의 (D)와 같이, 표면 전하는 -27.32 Mv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PDN의 프탈릴기 중의 카복실산에 기인한 것이다.
<실험예 2> PA에 PDN의 도입 특성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DN에 대하여,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KCTC 21,088 (PA)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1) 배양 시간 별 도입 여부 확인
먼저, FITC(fluorescence isothiocyanate)가 표지된 PDN 및 덱스트란을 각각 준비하였다. FITC 5 mg과 DMSO 1 ml에 용해된 PDN 및 덱스트란을 각각 혼합한 후 어두운 곳,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에탄올 10 ml에 떨어트려 미반응 FITC를 제거하고, FITC가 표지된 PDN(FITC-PDN) 및 덱스트란(FITC-덱스트란)을 각각 19,000 x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회수하였다. 이후 DAPI(4,6-diamidino-2-phenylindol, 2 ug/ml) 용액 200 ml를 처리하여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MRS 액상 배지 1 ml에서 배양된 상기 PA 2.0 x 105 CFU/ml에 0.5% (w/v) FITC-PDN 또는 FITC-덱스트란을 처리하고 37℃에서 3분, 5분 및 10분 배양하였다. PBS 1 ml로 3회 세척한 시료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BD Biosciences社, BD FACSCanto2) 및 공초점레이져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TC-PDN 또는 FITC-덱스트란은 녹색으로 표시되고, PA는 DAPI(4',6-디아미디노-2-페닐린돌)로 청색으로 염색되었다.
도 2의 (A)와 같이, FITC-PDN은 3분 이내에 PA에 도입되고 시간에 따라 도입 정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배양 온도 별 도입 여부 확인
PA에 FIIC-PDN 또는 FITC-덱스트란을 4℃, 25℃ 및 37℃에서 2시간 배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2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도 2의 PDN의 도입은 25℃ 또는 4℃에서 배양 후보다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 후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PA에 PDN의 도입은 배양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에너지 의존적 메커니즘임을 알 수 있다.
(3) 운반체 별 도입 여부 확인
PDN을 세포내로 도입하는 운반체(transporter)를 확인하기 위해, PDN의 운반 차단제로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프럭토스를 사용하였다.
먼저, MRS 액상 배지 1 ml에서 배양된 상기 PA 2.0 x 105 CFU/ml에 37℃에서 10분 동안 10%(w/v)의 글루코스, 갈락토스 또는 프럭토스로 전배양한 후에, 0.5%(w/v) FITC-덱스트란 또는 FITC-PDN을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PBS 1 ml로 3회 세척한 시료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BD Biosciences社, BD FACSCanto2) 및 공초점레이져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와 같이, 글루코스 전배양은 PDN의 도입을 약 74.6%까지 방해하는 반면, 갈락토스 및 프럭토스 전배양은 PDN의 도입을 각각 약 55.1% 내지 46.8%까지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PA로 PDN을 도입 시, 글루코스를 세포 내로 운반하는 운반체가 더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PA/PDN의 항균력
PDN의 도입에 따른 PA의 항균성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K88,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O157:H7) 등의 그람 음성 병원균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등의 그람 양성 병원균에 대한 PA, 덱스트란으로 처리한 PA(PA/D) 및 PDN이 도입된 PA(PA/PDN)의 항균 활성 확인을 위한 공배양 시험 및 한천 확산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사용된 모든 박테리아 균주는 해당 배지에서 배양되었다: MRS 브로스 중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시티(Pediococcus acidilactici)(PA), LB 브로스 중 그람 음성 살모넬라 갈리나륨(Salmonella Gallinarum),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K88, 및 에스체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O157:H7, 및 BHI 브로스 중 그람 양성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균을 진탕 배양기(255rpm)에서 37℃에서 배양하고 후속 실험에서 사용하거나 15% (v/v) 글리세롤에서 -70℃에서 저장하였다. 병원성 균주는 농업미생물은행(KACC)로부터 제공받았다.
공배양 시험을 위해, 1.0x106 CFU/ml의 상기 그람 음성 병원체를 진탕 배양기(255rpm)(호기 조건)에서 37℃에서 8 시간 동안 MRS 브로스에서 1.0x106 CFU/ml의 PA [0.5% (w/v) PDN 또는 덱스트란으로 또는 없이 처리]와 공 배양하였다. 그 다음 공배양 샘플을 MacConkey 한천 배지에 도말하였다.
한천 확산 시험을 위해, 상기 그람 음성 병원체(2.0x108 CFU/ml)의 120 μl를 LB 한천 플레이트 상에 도말하였다. 다음으로는, 종이 디스크를 병원체로 도말된 한천 상에 배치하고, 120 μl(2.0×108 CFU/㎖)의 PA [0.5% (w/v) PDN 또는 덱스트란으로 배양된]을 종이 디스크 상에 적하하였다. 37℃에서 2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억제 구역을 측정 하였다. 그람 양성 병원균의 경우, 1.0×105 CFU/ml의 PA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를 BHI 브로스로 지시한 후 공배양용 옥스포드 한천 상에 도말하였다. 한천 확산 시험에 BHI 한천을 사용하였다.
도 3의 (A) 내지 (D)와 같이, 공배양 시험에서, PA/PDN은 미처리 PA 또는 덱스트란 만으로 처리된 PA(PA/D)보다 그람 음성 및 양성 병원균 모두에 대해서 유의하게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천 확산 시험에서, 성장 저해율을 억제 영역의 직경으로 산출하였다.
도 3의 (A) 내지 (D)와 같이, PA/PDN은 PA/D 또는 PA 단독보다 더 넓은 억제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PA에 의한 PDN의 도입은 항균 활성을 유도하고 항균성 단백질의 생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PA/PDN에 의한 페디오신 발현 및 정량 분석
(1) PA/PDN에 의한 페디오신 발현
PDN이 처리된 MRS 액상 배지에 PA를 투입한 후 37℃의 항온진탕기(255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4℃에서 3,000 x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한 후 상층액에 35 wt% 황산암모늄을 투입하여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단백질이 침전되면, 4℃에서 3,000 xg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이 제거된 펠렛(pellet)에 PBS 완충액을 넣고 용해한 후 원심여과기(centrifugal filter)(Sigma-Aldrich社)로 정제하여 시료를 회수하였다. 시료를 PBS에서 하룻밤(o/n) 동안 투석하였다. 투석하여 얻은 단백질을 동결건조하여 4℃에서 보관하였다. 얻은 단백질을 시판중인 페디오신을 이용하여 SDS-PAGE로 확인한 결과 페디오신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페디오신 정량 분석
브래드포드법, 페디오신 활성 시험 및 정량적 실시간 PCR(qRT-PCR)으로 PA에 의한 페디오신의 생산을 정량 분석하였다.
1) 브래드포드 분석
PA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얻은 단백질(PA), PA에 덱스트란을 처리하여 얻은 단백질(PA/D), PA에 PDN을 처리하여 얻은 단백질(PA/PDN)의 양을 브래드포드법(Bradford assay)으로 정량화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페디오신은 ASM 정제법을 사용하여 정제한 후 소혈청 알부민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도 4의 (A)와 같이, PA/PDN에 의한 페디오신의 생산은 PA 및 PA/D보다 각각 2.2배 및 1.7배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2) 페디오신 활성 분석
페디오신의 비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배양 상층액(pH 5.5)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의 억제 직경을 측정한 후 ml 당 임의단위(AU)로 표현하였다. 도 4의 (B)와 같이, PA/PDN은 PA 및 PA/D보다 각각 7.0배 및 5.8배 높은 페디오신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정량적 실시간 PCR
유전자 수준에서 PA에 의한 페디오신 생산을 검증하기 위해, 페디오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기 위한 qRT-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A에 PDN 도입 후에 groEL, groES, dnaKdnaJ 등 열충격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Thermo Fisher Scientific Inc.(Waltham, MA, USA)로부터 구입한 TRIzol® Max™ Bacterial RNA Isolation Kit를 사용하여 RNA 추출을 수행하였다. 전체 RNA 추출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다.
RNA를 분리한 후, TOYOBO CO., LTD(Dojima, Osaka, Japan)로부터 구입한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와 gDNA 리무버를 사용하여 RNA 1 ㎍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다.
원스텝 실시간 PC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YBR qPCR Mix로 RT-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3’) 크기(bp)
groEL F:GGTAACGGTCGCGTTTTAGA
R:TTCAACGACTGCAACTAAGTCC
156
groES F:GGAAGACCTTGACGCAGAAGR:CGTTTTGAAGTGCTGAACGA 239
dnaK F:TTAACACGGGCACAATTTGAR:GCTTCGTCAGGGTTAATGGA 212
dnaJ F:GCCCAACTTGTGGTGGTACTR:CCAGTGCAGCTTGTACGAAA 240
16S F:GATGCGTAGCCG ACCTGAGAR:TCCATCAGACTTGCGTCCATT 113
상대적 정량화를 위해, 1 ng의 프라이머에 0.01 ng의 16S RNA Cdna의 발현량을 기준으로 각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을 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표적 유전자 발현을 각 샘플에서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된 16s rRNA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으로 정규화하였다. 데이터는 프로바이오틱스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 배수 변화로 제시된다.
도 4의 (C)와 같이, 모든 4 개의 페디오신 생합성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수준은 PA 또는 PA/D보다 PA/PDN에서 더 높고, 특히 pedA 유전자의 발현은 미처리 PA보다 PA/PDN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3.3배).
이로부터 PA에 의한 PDN의 도입은 페디오신 생산의 유도를 통해 PA의 항균 활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D)와 같이, PA/PDN에서의 groEL, groES, 및 dnaK 의 발현 수준은 PA 또는 PA/D에서보다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PA/PDN에서의 groEL 의 발현은 PA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3.2배). 이로부터 PA에 의한 PDN의 도입은 PA의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동물 식이 실험
국제 윤리적 지침에 따라 5주령 BALB/C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동물 식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실험은 서울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로부터 동물 실험(SNU-170,531-1-1)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마우스를 12 시간 명/암 주기로 제어 온도(22±2℃)에 수용시켰다. 동물에게 표준 생쥐 사료를 자유롭게 급여하고 항상 증류수를 제공하였다. 순응 7 일 후, 마우스를 4 개의 그룹(그룹당 10 BALB/C 마우스)으로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대조군은 이전과 같이 계속 먹이를 주었다. T1 그룹에는 식염수 용액 중 단일 용량의 108 CFU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PA)를 경구 위관 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T2 및 T3 그룹에는 각각 단일 용량의 덱스트란(0.5% w/v) 처리된 PA 또는 PDN (0.5% w/v) 처리된 PA가 투여되었다. 시험군에는 7 일 동안 시험 식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되, 시험 식이 6 일 후, E.coli O157 : H7 (109 CFU)를 3 일 동안 경구 위관 영양법을 통해 0.2 ml의 1% NaHCO3(E.coli O157 : H7을 투여하기 전에 30분간 처리)와 함께 투여하였다.
그룹 정의 동물
C E.coli O157:H7 10 BALB/C
T1 PA** + E.coli O157:H7 10 BALB/C
T2 PA/D*** + E.coli O157:H7 10 BALB/C
T3 PA/PDN**** + E.coli O157:H7 10 BALB/C
* E.coli O157:H7 : 0.1ml/BALB/C(마우스) (2 x 109 CFU)
**PA: 0.2ml/마우스(Pediococcus acidilactici 2 x 108 CFU)
***D: 0.5% w/v 덱스트란
****PDN: 0.5% w/v PDN
BALB/C: 마우스 품종
전체 실험 기간에 걸쳐 마우스의 체중 및 식품 섭취량을 매일 모니터링 하였다. PA 및 E.coli의 변화는 병원체 투여 1일로부터 시작하여, 매일 채취한 분변 시료(10 ㎎/㎖)을 이용하여 viable CFU를 측정함으로써 계수하였다. 구체적으로, 채취한 분변을 MRS 액상 배지 및 MacConkey 한천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CFU를 계수하였다. 실험 종료 시점에는 CO2를 이용하여 마우스를 안락사 시키고, 장 내 샘플 및 분변 시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각 분변 시료는 생균수 측정 및 DNA 추출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6> 생리적 변화
상기 실험예 5의 마우스 식이 실험 결과, 도 5의 (A)와 같이 PA/PDN 이 보충된 식이를 섭취한 T3 그룹은 7 일의 체중과 비교하여 13 일 후 체중이 증가했다. 특히, 7일과 비교하여 13일차에 대조군에서 체중이 감소한 반면, 체중은 T2 및 T3 그룹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PA/PDN 이 보충된 식이를 섭취한 T3 그룹의 동물 당 평균 사료 섭취량(feed intake)이 다른 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후 결장 길이(colon lengt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장 길이의 증가는 체중 증가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상관비율: 0.408). 도 5의 (C)와 같이, PA/PDN 이 보충된 식이를 섭취한 T3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긴 결장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7> 장내 미생물총에 대한 신바이오틱스 효과
실험예 5에서 얻은 각 분변 샘플을 분석하여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1) 종 다양성 지표
각 분변 샘플의 종 다양성 지표(diversity index)로서 관찰된 OTU(observed OTU)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총을 QIIME(Quantitative Insights Into Microbial Ecology) v1.9.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usearch61 방법(파라미터 설정: s 0.1)을 사용하여 OTU 피킹을 수행하였다. PyNAST를 사용하여 대표 서열을 정렬하였다. 대표 서열을 uclust 컨센서스 분류 체계 할당자를 사용하여 분류학적으로 할당하였다. OTU 테이블을 단일 희귀(single rarefaction)에 의해 샘플 당 16,660 개의 판독으로 표준화하고 추가 분석하였다.
알파 다양성 지수(OTU 관찰)를 10 회 반복의 희귀를 통해 샘플 당 16,660 개의 시퀀스 리드로부터 계산하였다. 주좌표 분석(PCoA)을 가중 UniFrac 거리에 기초하여 수행하고, 미생물총에 대한 치료 효과를 ANOSIM 통계 시험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미생물 분류군의 풍부함을 총 16 개의 S rRNA 유전자 서열의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도 6의 (A)와 같이, 비가중 UniFrac 거리에 기초한 PCoA 는 마우스의 분변 미생물총이 처리 후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조군 및 T3 그룹은 서로 별개로 구별되었다.
또한, 도 6의 (B)와 같이, 관찰된 OTU의 수는 대조군, T1, T2 및 T3 그룹에 대해 각각 1692.0 (±171.8), 1798.0 (±155.3), 1866.0 (±229.5) 및 1946.0 (±163.4)이었다. 특히, PA/PDN 이 보충된 식이를 섭취한 T3 그룹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미생물 다양성을 나타냈다.
(2) 분변 내 대장균 수
생균수 측정과 함께 특정 미생물에 특이적인 프라이머(primer)를 이용하여 정량적 PCR(q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변 시료 내 특정 미생물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장내 집락 형성(colonization)을 추적하기 위해, E.coli 처리 시작일부터 매일 MacConkey 한천 배지 및 MRS 한천 배지 상에 분변 샘플을 플레이팅한 후 생균수 측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6의 (C)에 나타내었다.
도 6의 (C)와 같이, E.coli O157:H7경구 투여 시작일에는, 4개의 마우스 그룹 모두의 분변에서 E. coli O157:H7에 의한 집락형성은 없었고, 하루 후 모든 처리구의 분변에서 평균적으로 대략 4 log10 (CFU/mg의 대변)의 E. coli 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의 경우 E. coli O157:H7를 경구 투여하는 5 일 동안, 분변 내 평균 E. coli 양은 유의하게 변경되지 않고 약 3.98 내지 3.69 log10 로 유지되었다. T1 및 T2 그룹에서도 E.coli O157:H7 세포수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는데, T3 그룹에서는 2일째에, E. coli O157:H7의 생균수는 3.85에서 2.98 log10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종료 시점에(5일차), E.coli O157:H7의 생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3.69 log10, T1의 경우 3.00 log10, T2의 경우 2.80 log10, T3의 경우 1.57 log10로서, T3 그룹이 대조군과 유의하게 다른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E. coli O157:H7 특이적 마커인 인티민(intimin)을 이용한 Qpcr에 의한 생균수 측정 및 MRS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분변 내 유산균 함량을 검증하였다.
도 6의 (D)와 같이, 인티민 수준은 대조군(4.2배)에 비해 프로바이오틱스를 경구 투여한 3개의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1: 1.78배, T2: 2.05배, 및 T3: 0.95배), 즉, 프로바이오틱스의 급여가 장 내 병원균을 제거함을 알 수 있다. 매우 유의하지는 않지만, PA 공급 그룹(T1, T2, T3 그룹)의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시티(Pediococcus acidilactici)의 양은 대조군(6.18 배)보다 약간 높았다(T1: 8.29배, T2: 6.20배, 및 T3: 7.24배).
(3) 병원성 미생물의 풍부도
AccuPrep® Stool DNA extraction kit(대한민국 대전시 바이오니아 제조)를 사용하여 각 분변 샘플 50 mg으로부터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DNA를 추출하고, 추가 분석까지 -20℃에서 저장하였다. 종 특이적 정량적 PCR을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고, qPCR은 전술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3') 크기(bp)
ped A F: TGGCAAACATTCCTGCTCTGT
R: CACCAGTAGCCCATGCCATAG
83
ped B F: ATTGCCAGCCAAGCGTTAGTR: GCCCCACCCTTTTTGAGAAT 102
ped C F: CCATATCGGTGAG TGCTGACAR: AGGAATAACGCCCCTGATGTT 104
ped D F: GGCCCATCTTCGACAGCTTR: GCACAGCTTCGGCATTTAAAT 101
16S F: GATGCGTAGCCG ACCTGAGAR: TCCATCAGACTTGCGTCCATT 113
dnaK F: TTAACACGGGCACAATTTGAR: GCTTCGTCAGGGTTAATGGA 212
dnaJ F: GCCCAACTTGTGGTGGTACTR:CCAGTGCAGCTTGTACGAAA 240
groEL F: GGTAACGGTCGCGTTTTAGAR: TTCAACGACTGCAACTAAGTCC 156
groES F: GGAAGACCTTGACGCAGAAGR: CGTTTTGAAGTGCTGAACGA 239
clpB F: CGGCAGCCAAGTTATCTAGCR: GCAGTGCCTTTAAGCGTTTC 219
Pediococcus acidilactici F: GTTCCGTCTTGCATTTGACC
R: GGACTTGATAACGTACCCGC
449
Intimin F: CTCATGCGGAAATAGCCGTTA R: CATTGATCAGGATTTTTCTGGTGATA 102
Bifidobacterium spp F: GGTGTTCTTCCCGATATCTACAR: CTCCTGGAAACGGGTGG 549-563
Illumina MiSeq를 위해, 박테리아 16S rRNA유전자의 V4 영역을 Takara Ex Taq 폴리머라제(Takara Bio, Shiga, Japan) 및 515F-806 R 프라이머 페어를 사용하여 전체 추출 DNA로부터 증폭시켰다. 증폭 프로그램은 3분 동안 94℃에서 1 사이클, 45초 동안 94℃, 1분 동안 55℃, 및 1.5 분 동안 72℃에서 40 사이클, 그리고 마지막으로 10분 동안 72℃에서 1 사이클로 구성되었다.
DNA 라이브러리를 Illumina TruSeq DNA 샘플 준비 키트를 사용하여 구축하고, 앰플리콘의 페어드 엔드 시퀀싱(2x300 bp)을 Illumina MiSeq(대한민국 서울 마크로젠社 제조) 상에 완료시켰다. 확인된 16S rRNA유전자 서열을 NCBI Sequence Read Archive(SRA) 데이터베이스에 수납하였다.(accession number: SRR7867415).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증폭한 뒤 Illumina Miseq 시퀀싱을 통해 대량 시퀀싱한 결과로부터 장내 미생물의 상대적 풍부도를 파악하였다.
그 중 병원성 미생물이 다수 속한 대표적인 문(phylum)인 프로박테리아(Proteobacteria)의 분변 균총 내 상대적 풍부도가, 도 6의 (E)와 같이, T3 그룹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A/PDN의 공급은 덱스트란 자체 또는 PA 단독 공급보다 PA의 항균 활성을 개선하여 병원균을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4) 유익균의 함량
분변 내 대표적인 유익균인 유산균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분변 내 유산균(LAB)의 양을 CFU기반으로 측정하였고, 또한 분자유전학적으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에 특이적인 상기 표 3에 기재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도 6의 (G)와 같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의 함량은 대조군보다 T2 및 T3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6의 (F)와 같이, 유산균(LAB)의 CFU는 T1, T2, T3 그룹이 모두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A/PDN의 공급은 덱스트란 자체 또는 PA 단독 공급보다 PA의 항균 활성을 더 개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PA/PDN는 유해균인 프로박테리아(Proteobacteria)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 다양성, 풍부성 및 일부 유익한 박테리아 수준의 증가와 같은 방식으로 장 미생물총을 조절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PPN의 합성
본 발명에 사용된 풀루란은 산동 프레다 바이오테크놀로지(Shandong Freda Biotechnology Co., Ltd.) (중국 산둥 소재)로부터 구입하였고, 다른 화학 물질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에서 구입하였다. 박테리아 배양을 위한 리소게니 브로스(LB), LB 한천, MRS 브로스, MacConkey 한천 배지 및 뇌 심장 주입(BHI) 브로스는 BD Difco (Sparks, MD, 미국)에서 구입했다.
도 7과 같이, 풀루란 중의 히드록실기와 프탈산 중의 카르복실산이 에스테르 결합을 하여 소수성 프탈릴기가 풀루란에 도입된 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PPN)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풀루란 1g을 1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시키고, 풀루란 당 잔류물 당 0.1mol% 디메틸 아미노피리딘을 촉매로서 용액에 첨가한 다음, 무수프탈산을 상이한 몰비로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프탈릴기 치환도가 다른 PPN을 생산하였다: 6:1(무수프탈산:플루란)(PPN1로 명명), 9:1 (무수프탈산:플루란)(PPN2로 명명), 및 12:1(무수프탈산:플루란)(PPN3으로 명명)
상기 반응은 54℃에서 48 시간 동안 질소 하에서 수행하였다. 생산한 PPN은 DMF 중에서 먼저 투석하여 미반응 무수프탈산을 제거한 다음 24시간 동안 4℃에서 증류수에 두어 프탈릴 풀루란의 자기 조립 나노입자를 형성하였다. 제조한 PPN의 초원심분리 후에 미반응 풀루란은 제거되었다. 마지막으로, PPN을 동결건조하고 사용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8> PPN의 특성
실시예 2에서 제조된 PPN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FE-SEM)(Carl Zeiss社, SUPRA 55VP-SEM)으로 측정하였다. 도 8의 (D)와 같이 PPN3는 나노미터 사이즈의 구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입자 크기를 동적 광산란(DLS) 분광 광도계(Otsuka Electronics社, DLS-7000)로 측정하였다. 도 8의 (C)와 같이 DLS 측정 결과 나노입자의 사이즈는 PPN1, PPN2, 및 PPN3가 각각 140.0, 108.9 및 82.1 nm이었다. 이로부터 입자 크기가 풀루란 중의 결합된 프탈산기 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PPN 중 프탈릴 부분의 치환도를 1H-NMR 분광기로 확인하고, 당 양성자(α-1,6 및 α-1,4 글리코시드 결합의 C1위치, 각각 4.68 및 5.00 ppm)에 대한 프탈산 양성자(7.4-77 ppm)의 비를 결정하여 계산하였다. 프탈산의 치환도에 따라, PPN을 다음과 같이 명명하였다: PPN1(DS: 30.90 mol%), PPN2(DS: 50.45 mol%) 및 PPN3(DS: 68.50 mol%).(도 8의 (A))
또한, 표면 전하(zeta potential)를 전기 영동 광산란 광도계(Otsuka Electronics社, ELS-8000)로 측정하였다. 도 8의 (B)와 같이, PPN1, PPN2, 및 PPN3의 표면 전하는 각각 -38.09, -38.45 및 -33.84 mV이었다. 프탈산기 중 미반응 카르복실기로 인해, PPN은 음의 제타 전위를 나타냈다.
<실험예 9> PPN의 LP 도입 특성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조된 PPN에 대하여, LP 177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1) PPN의 LP 도입 여부 확인
먼저, FITC(fluorescence isothiocyanate)가 표지된 PPN(FITC-PPN) 및 풀루란(FITC-풀루란)을 각각 준비하였다.
먼저, 5 mg의 FITC를 100 ml PPN 또는 2 ml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에 용해된 풀루란과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불투명 튜브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류수로 24 시간 동안 4℃에서 투석하였다. 마지막으로, FITC 표지가 표지된 PPN(FITC-PPN) 및 풀루란을 동결건조하여 사용 시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MRS 액상 배지 1 ml에서 배양된 상기 LP 177 (2.0x106 CFU/ml)에 0.5 % (w/v) FITC-PPN 또는 FITC-풀루란을 처리하고, 2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PBS 1 ml로 3회 세척한 시료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BD Biosciences社, BD FACSCanto2) 및 공초점레이져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샘플을 PBS로 세척하고, 유세포분석기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 (SP8X STED 라이카, Wetzlar, 독일)으로 분석하였다.
도 9와 같이, CLSM 결과 FITC-PPN 및 FITC-풀루란은 2시간 동안 37℃로 배양 후 LP로 도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PPN이 세포 표면에 위치하는지 또는 LP에 도입되었는지를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LP를 FITC-PPN3으로 처리하고 FITC-PPN3의 위치를 CLSM의 Z-섹션 모드로 확인하였다.
도 9와 같이, FITC 및 DAPI 의 형광 강도는 LP의 중심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로부터 LP에 PPN이 도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당류 나노입자의 미생물 내 도입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네거티브 컨트롤(negative control)로서 막 결합 염료(FM4-64)를 이용하여 세포막을 염색한 뒤 FITC-PPN3의 FITC 형광 세기 및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0과 같이 FITC 형광의 세기는 LP의 중심에서 최대이고, FITC 형광이 박테리아 내에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2) 배양 온도 별 도입 여부 확인
LP에 PPN3의 도입이 온도 의존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LP의 세 개의 별도 배양물을 0.5% (w/v) FITC-PPN3로 처리한 후 4, 20 및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샘플을 PBS로 세척하고 유세포 분석기(FACS) 및 CLSM으로 분석하였다.
도 11의 (B)와 같이, LP에 PPN3의 도입은 37℃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로부터 PPN3의 도입이 에너지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3) 운반체 별 도입 여부 확인
PPN을 세포내로 도입하는 운반체(transporter)를 확인하기 위해, PPN의 운반 차단제로 글루코스, 갈락토스, 프럭토스 및 PPN3를 사용하였다.
먼저, MRS 액상 배지 1 ml에서 배양된 상기 LP (2.0x106 CFU/ml)에 37℃에서 10분 동안 10%(w/v) 글루코스, 갈락토스, 프럭토스 또는 PPN3로 전배양한 후 0.5% (w/v) FITC-PPN3로 처리하였다. PBS 1 ml로 3회 세척한 시료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BD Biosciences社, BD FACSCanto2) 및 공초점레이져현미경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의 (B)와 같이, 갈락토스 전배양은 PPN의 도입을 약 40%까지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LP로 PPN을 도입 시, 갈락토스를 세포 내로 운반하는 운반체가 더 관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0> LP/PPN의 항균력
PPN의 도입에 의해 LP의 항균성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E. coli K99 및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LM)을 대표적인 그람 음성 및 그람 양성 병원균에 대한 LP, 풀루란으로 처리한 LP(LP/풀루란) 및 PPN이 도입된 LP(LP/PPN)의 항균 활성 확인을 위한 공배양 시험 및 한천 확산 시험을 수행하였다. MRS 브로스에 LP177을 배양하고, LB 브로스에 E. coli K99을 배양하고, BHI 브로스에 LM을 배양하였다.
모든 박테리아 배양물을 진탕 배양기(250 rpm)에서 24시간 동안 37℃로 배양한 후 실험을 진행하거나 사용시까지 15% 글리세롤 중에서 -70℃에서 저장하였다.
E. coli 에 대한 LP의 항균 활성을 공배양 시험으로 비교하기 위해, 2.0x106 CFU/ml의 E. coli를 진탕 배양기(250 rpm)(호기 조건)에서 37℃에서 8시간 동안 MRS 브로스 중에서 0.5% (w/v)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2.0x105 CFU/ml LP와 공배양하였다. 항균 활성을 E. coli의 생존률로 결정하였다. 공배양 시료를 MacConkey 한천 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E. coli 콜로니의 수를 계수하였다.
또한, LM에 대한 LP의 항균 활성을 공배양 시험으로 측정하였다. LP 및 LM을 BHI 브로스 중에서 상기한 유사한 조건 하에 공배양하였다.
도 12의 (A) 및 (C)와 같이, E. coli 및 LM에 대한 미처리된 LP 또는 LP/P보다 LP/PPN 그룹의 항균 활성이 더 높았다. 또한,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LP의 항균력이 더 강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PPN 단독으로 항균 활성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대장균 및 LM을 PPN으로 처리하였다. PPN 단독으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음), 이로부터 다당류 나노입자가 자체적으로 항균 활성의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로바이오틱스인 LP에 도입됨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의 항균 활성이 증대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다.
한천 확산 시험으로 LP/PPN의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종이 디스크를 E. coli 스프레드 플레이트 상에 배치한 후 0.5% (w/v) PPN 및 풀루란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LP의 120 μl 8시간 배양된 LP 배지를 종이 디스크 상에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건조 후, 플레이트를 37℃에서 밤새 배양시켰다. E. coli 성장의 억제 영역을 항균 활성을 직접적인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BHI 한천 플레이트 상의 LM 성장에 대한 0.5% (w/v)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LP의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배양된 샘플을 옥스포드 한전 상에 도말하고, LM 콜로니의 수를 계수하였다.
도 12의 (B) 및 (D)와 같이, 나노입자의 사이즈가 82.1 nm로 가장 작은 PPN3으로 처리할 때 억제 영역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LP에 의한 PPN의 도입은 항균성 단백질의 생성에 영향을 미쳐 항균 활성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LP가 단백질인 플란타리신을 통해 항균 활성을 발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배양 배지를 1 mg/ml 프로테이나제 K로 처리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E. coli 및 LM에 대한 LP의 한천 확산 시험을 상기한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수행한 다음, 각각의 배양 상층액을 30 분 동안 100℃에서 가열하였다. 도 13의 (C) 및 (D)과 같이, 프로테이나제 K 처리 그룹의 항균 활성은 미처리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프로테이나제 K에 의해 플란타리신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1> LP/PPN에 의한 플란타리신 발현 및 정량 분석
(1) LP의 생장 및 젖산 생산에 대한 PPN의 효과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한 후 LP의 성장을 시험하기 위해, 상이한 시점에서 세포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도 13의 (A)와 같이, PPN 또는 풀루란 처리의 유무에 따른 LP 성장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한 후 LP 의 배양 배지의 pH를 또한 측정하여 젖산 생성을 평가하였다. 도 13의 (B)와 같이,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거나 LP의 pH 곡선은 그룹 간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LP에 PPN의 도입은 LP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 LP/PPN에 의한 플란타리신 발현
PPN이 처리된 MRS 액상 배지에 LP를 투입한 후 37℃의 항온진탕기(255 rpm)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공배양된 배지로부터의 상층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황산암모늄 설페이트(80% 포화)와 함께 교반하였다. 원심 분리에 의해 회수된, 침전 단백질을 시트르산 포스페이트 완충액(50 mM)에 용해시키고 투석(1 kDa 컷오프 멤브레인, 스펙트럼 랩, 미국)으로 탈염시켰다. 단백질을 동결 건조하고 추가 분석을 위해 4℃에서 보관하였다. 얻은 단백질을 시판중인 플란타리신과 함께 SDS-PAGE로 확인한 결과, 분자량은 2.5 내지 6.5 kDa의 플란타리신이었다.
도 13의 (F)와 같이, LP/PPN 그룹에서 동일한 단리 조건 하의 LP 및 LP/P 그룹에 비해 플란타리신 생산이 증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2> 정량적 실시간 PCR
mRNA 수준에서 PPN 처리된 LP에 의한 플란타리신의 생산을 평가하기 위해, PPN 처리된 LP에서의 플란타리신 mRNA 의 발현 수준을 qRT-PCR을 사용하여 미처리된 LP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였다.
Thermo Fisher Scientific Inc.(Waltham, MA, USA)로부터 구입한 TRIzol® Max™ Bacterial RNA Isolation Kit를 사용하여 RNA 추출을 수행하였다. 전체 RNA 추출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다.
RNA를 분리한 후, TOYOBO CO., LTD(Dojima, Osaka, Japan)로부터 구입한 ReverTra Ace® qPCR RT Master Mix와 gDNA 리무버를 사용하여 RNA 1 ㎍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다.
원스텝 실시간 PCR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YBR qPCR Mix로 RT-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5’-3’) 크기(bp)
planS F:GCCTTACCAGCGTAATGCCCR:CTGGTGATGCAATCGTTAGTTT 450
dnaK F:ATTAACGGACATTCCAGCGGR:TTGGCCTTTTTGTTCTGCCG 600
dnaJ F:GGAACGAATGGTGGCCCTTA R:CTAGACGCACCCACCACAAA 474
상대적 정량화를 위해, 1 ng의 프라이머에 0.01 ng의 16S RNA cDNA를 사용하였다.
상대적 유전자 발현은 -2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플란타리신 유전자 planS를 선택하고, 16S rRNA을 정규화에 사용하였다. 도 13의 (E)와 같이, 8시간 동안 PPN 또는 풀루란으로 처리 후, planS의 발현 수준은 미처리 또는 풀루란 처리된 LP보다 PPN처리된 LP에서 더 높아 planS의 발현은 PPN 처리된 LP의 항균 활성을 향상시켰음이 확인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 PA에 도입된 이눌린 나노 입자는 PA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Cui et al., 2018 ; Kim et al., 2018). LP에서 유사한 거동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열충격 단백질 dnaK dnaJ 등 스트레스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했다. 도 14의 (A) 및 (B)와 같이, PPN 또는 풀루란으로 8시간 동안 처리 후, dnaKdnaJ의 발현 수준은 미처리된 LP에서 보다 PPN 처리된 LP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LP에 PPN의 도입이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3> 동물 식이 실험
국제 윤리적 지침에 따라 5주령 BALB/C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여 동물 식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실험은 서울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로부터 동물 실험(SNU-170,531-1-1)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마우스를 12 시간 명/암 주기로 제어 온도(22±2℃)에 수용시켰다. 동물에게 표준 생쥐 사료를 자유롭게 급여하고 항상 증류수를 제공하였다. 순응 7 일 후, 마우스를 5 개의 그룹으로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시험군 T1 내지 T5에는 시험 식이 5일 경과 전 3일 동안 항생제를 처리하여 장내 불균형(Dysbiosis)를 유도하여 병원균 감염에 취약한 상태에서 병원균 E. coli K99로 감염시켰다. 항생제로 암피실린,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및 반코마이신암의 혼합물(암피실린:젠타마이신:네오마이신:반코마이신=2:2:2:1 (20mg/마우스))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이전과 같이 계속 먹이를 주었다. T2 그룹에는 식염수 용액 중 단일 용량의 108 CFU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LP)를 경구 위관 영양법으로 투여하였다. T3 및 T4 그룹에는 각각 단일 용량의 플루란(0.5% w/v)과 LP 혼합 제형 또는 PPN (0.5% w.v)과 LP 혼합 제형이 투여되었다. 또한 T5 그룹에는 단일 용량의 풀루란(0.5% w/v) 및 PPN(0.5% w/v) 처리된 LP가 투여되었다. 시험군에는 7 일 동안 시험 식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되, 시험 식이 6 일 후, E.coli K99: 0.2ml/마우스 (1x109 CFU)를 3 일 동안 경구 위관 영양법을 통해 0.2 ml의 1% NaHCO3(E. coli K99을 투여하기 전에 30분간 처리)와 함께 투여하였다.
그룹 정의 동물
C 미처리 6 BALB/C
T1 항생제-E.coli K99* 6 BALB/C
T2 항생제-E.coli K99―LP** 6 BALB/C
T3 항생제-E.coli K99 LP/P*** 6 BALB/C
T4 항생제-E.coli K99 LP/PPN**** 5 BALB/C
T5 항생제-E.coli K99 LP/P/PPN 5 BALB/C
* E.coli K99: 0.2ml/마우스 (1x109 CFU)
**LP: 0.2ml/마우스 (Lactobacillus plantarum 1x108 CFU)
***P: 0.5% w/v 풀루란
****PPN: 0.5% w/v PPN
항생제: 암피실린,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및 반코마이신암의 혼합물
(암피실린:젠타마이신:네오마이신:반코마이신=2:2:2:1 (20mg/마우스))
전체 실험 기간에 걸쳐 마우스의 체중 및 식품 섭취량을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병원체 투여 1일로부터 시작하여, 일일 분변 시료(10 ㎎/㎖)로부터 viable CFU로서 LP 및 E.coli를 계수하였다. 분변을 MRS 한천 및 MacConkey 한천 배지 모두에 도말한 후 37℃에서 20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종료 시점에는 마우스를 CO2로 안락사 시켰다.
장으로부터 장내 샘플 및 분변을 수집하여 생균수 측정 및 미생물총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4> 생리적 변화
마우스 식이 실험 결과, 도 15의 (A)와 같이, LP/풀루란/PPN 조합으로 보충된 T5 그룹의 경우 체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프로바이오틱스만을 처리한 T2 그룹의 경우 14일째 체중이 12일과 비교하여 감소되었다.
또한, 도 15의 (B)와 같이,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된 T4 및 T5 그룹의 동물 당 평균 식이 섭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후 결장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장 길이의 증가는 체중 증가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상관비율: 0.408). 도 15의 (C)와 같이, LP/PPN 조합으로 보충된 T4 그룹은 다른 그룹에 비해 가장 긴 결장 길이를 가졌고,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된 T2, T3, T4 및 T5 그룹은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되지 않은 T1 그룹과 비교하여 더 긴 결장 길이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맹장 무게도 측정하였다. 도 16과 같이, E. coli K99만 투여하고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되지 않은 T1 그룹은 가장 큰 맹장 무게를 갖는 반면,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된 T2 내지 T5 그룹은 맹장 무게가 C 그룹에 더 가까운 수준으로 낮았다.
장 장벽 기능은 장 박테리아, 독소 및 그람 음성 박테리아 LPS와 같은 유해 물질이 다른 조직 또는 전신 순환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장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17과 같이,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되지 않은 T1 그룹의 혈중 내독소 수준(serum LPS level)이 가장 높았고,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가 보충된 그룹들, 특히 LP/PPN 및 LP/P/PPN을 각각 투여한 T4 그룹 및 T5 그룹의 혈중 내독소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5> 장내 미생물총에 대한 신바이오틱스 효과
실험예 13에서 얻은 각 분변 샘플을 분석하여 장내 미생물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1) 종 다양성 확인
상기 실험예 7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각 분변 샘플의 종 다양성 지표(diversity index)로서 관찰된 OTU를 확인하였다.
특히, 장 미생물총의 다양성에 대한 PPN 및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PPN 처리(C, T1, T2, T3 대 T4, T5)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처리(C, T1 대 T2, T3, T4, T5)로 그룹을 재조직한 뒤, 종 다양성 지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PPN 처리 시 또는 프로바이오틱스 처리 시 관찰된 OTU가 더 높았다. 또한, 도 20의 (A)와 같이, 관찰된 OTU는 T1, C, T2, T3, T4 및 T5의 순서로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가중 및 가중 UniFrac 거리에 기초한 주좌표 분석(PCoA) 결과 장 미생물총이 병원균 감염 및 프로바이오틱스 혹은 신바이오틱스 처리에 따라 그룹화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Adonis 시험(비가중: R2 = 0.2798, P <0.001; 가중: R2 = 0.8418, P <0.001)에 의해 유의한 영향임이 확인되었다(도 18 및 19).
(2) 분변 내 대장균 수의 확인
생균수 측정 및 정량적 PCR(qPCR)을 사용하여 분변 시료로부터 특이적 미생물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처리해준 E. coli와 유산균의 장내 정착을 추적하기 위해서 E. coli 및 유산균(LAB)의 생균수를 각각 MacConkey 한천 배지 및 MRS 한천 배지 상에 대변 샘플을 플레이팅하여 평가하였다. 도 20의 (B)와 같이, E.coli 세포의 생균수는 대략 3 내지 4 log10(대변의 CFU/mg)인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로 처리된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T1 그룹에서 대략 7 log10 (대변의 CFU/mg)로 더 높고, T4 및 T5 그룹은 T2 및 T3에 비해 E. coli 생균수가 가장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T4 및 T5 그룹에 급여된 PPN은 E. coli의 항균 능력을 유도함을 알 수 있다.
LAB의 생균수를 MRS 한천 플레이트상에서 평가하였다. 도 20의 (D)와 같이, C 그룹에서 LAB의 생균수는 대략 3-4 log10(대변의 CFU/mg)인 반면,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 처리된 그룹(T2, T3, T4 및 T5)에서 LAB의 생균수는 대략 5-6 log10(대변의 CFU/m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1 그룹은 단지 2~3 log10(대변의 CFU/mg) 만이 존재하였으며, 이로부터 항생제 치료에 의해 장 미생물총이 확실히 파괴되고,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처리에 의해 회복됨을 알 수 있다.
(3) 병원성 미생물의 풍부도
병원체의 공격,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처리에 의한 장 미생물총의 변화에 주요하게 반응한 미생물 분류군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여, 몇 개의 문과 속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20의 (C)와 같이, 문 수준에서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는 C 그룹보다 T1 그룹이 더 풍부했으며 T2, T3, T4 및 T5 그룹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병원균 감염에 의해 증가한 프로박테리아(Proteobacteria) 수준을 프로바이오틱스 및 신바이오틱스 처리로써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유익균의 함량
분변 내 대표적인 유익균인 유산균(LAB)을 CFU 계수로 확인하고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 특이적 마아커(marker)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도 20의 (F)와 같이,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spp.)은 LP/PPN을 공급한 T4 및 T5에서 유의하게 더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20의 (E)와 같이, 유산균(LAB)의 함량은 다른 그룹보다 T4 및 T5에서 더 풍부하였다.
종합적으로, LP/PPN는 프로박테리아(Proteobacteria)를 억제하는 등 병원체 감염의 영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 다양성, 풍부성 및 일부 유익한 박테리아 수준의 증가와 같은 방식으로 장 미생물총을 조절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산균 균주 및 프리바이오틱스로서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또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속(Lactobacillus lactis subsp.) 또는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및 락토바실럭스 플란타럼(Lactobacillis plantar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항균성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단백질은 페디오신(pediocin), 니신(nisin), 플란타리신(plantaricin) 및 플란타신(plantac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균성 단백질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는 소수성 잔기를 가짐으로써 친수성 용매에서 소수성 효과에 의해 자기 조립(self-assembly)되어 나노입자화되는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잔기는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틸레이트, 프탈레이트, 콜레스테롤, 메르캅토숙신산 및 메틸 글루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수성 잔기이고,
    상기 다당류는 셀룰로오스, 이눌린, 풀루란, 전분, 덱스트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당류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균주와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가 배합된 제형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이고,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는 프탈릴 덱스트란 나노입자(PDN)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럭스 플란타럼(Lactobacillis plantarum)이고, 상기 다당류 나노입자는 프탈릴 풀루란 나노입자(PPN)인 것인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첨가제.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첨가제.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077942A 2020-06-25 2020-06-25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632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8303 WO2021261626A1 (ko) 2020-06-25 2020-06-25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20200077942A KR102632441B1 (ko) 2020-06-25 2020-06-25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42A KR102632441B1 (ko) 2020-06-25 2020-06-25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36A true KR20220000236A (ko) 2022-01-03
KR102632441B1 KR102632441B1 (ko) 2024-02-05

Family

ID=7928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42A KR102632441B1 (ko) 2020-06-25 2020-06-25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2441B1 (ko)
WO (1) WO202126162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71A (ko) * 2008-04-01 2009-10-07 (주)오비티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JP2009537547A (ja) * 2006-05-18 2009-10-29 バイオバランス エルエルシー 生物学的治療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101381794B1 (ko) 2012-04-10 2014-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타가토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
KR20150084516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가축들의 장내 미생물 변화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신바이오틱스 가축사료 첨가제
KR20190000763A (ko) * 2017-06-23 2019-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박테리오신의 생산을 유산균에서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US20190000124A1 (en) * 2017-07-03 2019-01-03 Oakbio, Inc. Novel Microbial Biomass Based Fee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0550A1 (ja) * 2004-02-23 2005-09-01 Ajinomoto Co., Inc. ナイシン高生産乳酸菌とその選抜方法
DK2672980T3 (en) * 2011-02-09 2018-02-26 Lavivo Ab SYNBIOTIC COMPOSITIONS FOR GETTING UP AND RECONSTITUTING GAS MICROFLOR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7547A (ja) * 2006-05-18 2009-10-29 バイオバランス エルエルシー 生物学的治療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090105171A (ko) * 2008-04-01 2009-10-07 (주)오비티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조성물
KR101381794B1 (ko) 2012-04-10 2014-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타가토스 및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함유하는 신바이오틱 식품 조성물
KR20150084516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가축들의 장내 미생물 변화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신바이오틱스 가축사료 첨가제
KR20190000763A (ko) * 2017-06-23 2019-01-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박테리오신의 생산을 유산균에서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US20190000124A1 (en) * 2017-07-03 2019-01-03 Oakbio, Inc. Novel Microbial Biomass Based Feed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626A1 (ko) 2021-12-30
KR102632441B1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4588B2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BR112020022749A2 (pt) cepa de lactobacillus paracasei e uso da mesma
Peng et al. Lactobacillus casei and its byproducts alter the virulence factors of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US9814242B2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and extracts that inhibit the growth of undesirable microorganisms in food products
Kim et al. Novel production of natural bacteriocin via internalization of dextran nanoparticles into probiotics
KR101841090B1 (ko)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페시움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CN116782771A (zh) 用于支持患有胃肠病症的伴侣动物的组合物和相关方法
Babot et al. Compatibility and safety of five lectin-binding putative probiotic strains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strain protective culture for poultry
KR20160144248A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88770B1 (ko) 한국 장수마을의 장수인에게서 개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036
Raheem et al. The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RW1 isolated from canine faeces
JPWO2005087241A1 (ja) 家畜・家禽類又は魚介類の感染防除剤
KR1010989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85129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 항균 용도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98138B1 (ko) 면역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bfe920 균주를 포함하는 수산양식 기능성 사료 첨가제
KR20160007964A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32441B1 (ko) 다당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
JP2012180288A (ja) 抗菌剤
Prakash et al. Harnessing the probiotic properties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ermented food-derived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strain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nteropathy
Amer et al. Nano-exopolysaccharide from the probiotic Weissella paramesenteroides MN2C2: Produc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cancer activity
KR101970888B1 (ko) 항균능력을 가지고 있는 박테리오신의 생산을 유산균에서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김휘수 Effect of Internalized Prebiotic Nanoparticles on the Anti-Pathogenic Activity of Probiotic Pediococcus acidilactici
JP7469332B2 (ja) フルクトフィリック乳酸産生細菌
Arul Isolation and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nterococcus faecalis from country chicken, and duck and its in vivo attributes in broiler chic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