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68U -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68U
KR20220000068U KR2020200002319U KR20200002319U KR20220000068U KR 20220000068 U KR20220000068 U KR 20220000068U KR 2020200002319 U KR2020200002319 U KR 2020200002319U KR 20200002319 U KR20200002319 U KR 20200002319U KR 20220000068 U KR20220000068 U KR 202200000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pecially equipped
closing structure
equipped veh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83Y1 (ko
Inventor
이상우
최태한
민순홍
유승규
Original Assignee
이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우 filed Critical 이상우
Priority to KR2020200002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8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0K2370/157
    • B60K2370/1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장차의 적재함에서 각종 물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함의 문, 발판 등이 열린 상태로 주행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자동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특장차의 적재함(10)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개폐 구조물(100)과; 상기 개폐 구조물(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부(200)와; 상기 감지부(200)에 전기적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감지부(200)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고 닫힌 상태를 확인하며,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으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면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Special vehicle driving warning system}
본 고안은 특장차의 적재함에서 각종 물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적재함의 문, 발판 등이 열린 상태로 주행하지 않도록 경보 기능을 자동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는 특수한 장비를 갖추어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자동차를 지칭하는데, 비와 눈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적재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적재함이 밀폐된 컨테이너 형태의 적재함을 갖는 특장차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특장차는 윙바디형의 적재함을 갖는 윙바디 특장차를 주로 사용하는데, 상기 윙바디 특장차는 적재함의 측면으로 개방된 사이드 게이트를 상하 힌지 방식의 날개 형태를 갖는 윙도어를 이용해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32109호를 살펴보면,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를 커버하는 한 쌍의 윙바디 날개부가 형성되어 적재부의 양측면이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이며, 상기 윙바디 날개의 측벽면에 설치되는 측부 홀딩부와 상기 윙바디 날개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부 홀딩부로 구분되는 화물 홀딩부가 구성되며, 상기 화물 홀딩부는, 사각형의 중공형 빔 구조로 윙바디 날개의 측벽면 및 상부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윙바디 날개의 측면벽 및 상부면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프레임부; 단면이 원형인 봉 형태의 빔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삽임홀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링 삽입홈 및 고정편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홀딩바; 편평한 판형 형상으로 상기 각 홀딩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고 일단은 홀딩바의 외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홀딩 플레이트; 상기 프레임부 및 홀딩바에 형성되어 홀딩바의 회전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특장차의 적재함을 열고 닫는 윙도어와 같은 개폐 구조물은 수동으로 작업자가 직접 열고 닫고, 개폐 구조물을 잠그는 방식 역시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는 방식을 갖음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적재함의 개폐 구조물이 열린 상태로 특장차가 주행할 수 있어 주행 중 안전사고를 야기하고, 적재함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32109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장차의 적재함에서 열리고 닫히는 개폐 구조물 측에 열리고 닫힌 상태를 실시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개폐 구조물이 열린 상태에서 주행 중 경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적재함의 개폐 구조물이 열린 상태로 특장차가 주행하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 및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특장차의 적재함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개폐 구조물과;
상기 개폐 구조물에 설치되는데, 상기 개폐 구조물이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전기적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감지부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이 열리고 닫힌 상태를 확인하며,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상기 개폐 구조물이 열려 있으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이 열린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면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재함의 개폐 구조물에 대한 열림 경보 기능을 갖음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적재함의 개폐 구조물이 열린 상태로 특장차가 주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안전사고 및 적재함이 의도치 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에 따른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중 도어부의 구성도, 도 3은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중 발판부의 사시도(정면부), 도 4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중 발판부의 사시도(후면부), 도 5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중 발판부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른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특장차의 적재함(10)에서 열리고 닫히는 개폐 구조물(100); 개폐 구조물(10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00);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으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00); 개폐 구조물(1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면 알림 기능을 하는 알림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개폐 구조물(100)은;
특장차의 적재함(10)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도어부(120), 발판부(1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부(120), 발판부(110)는 개폐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개폐 기능을 통해 적재함(10)에서 적재물을 운반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 구조물(100)은; 적재함(10)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120)는 특장차의 적재함(10)에 경첩 등으로 설치되어 경첩을 중심으로 도어부(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적재함(10)의 수용 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이며, 상기 도어부(120)는 적재함(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윙도어, 후면 도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은; 적재함(10)의 발판 기능을 수행하는 발판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110)는 특장차의 적재함(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적재함(10)을 쉽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발판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발판부(110)는 적재함(10)의 도어부(120)가 구비된 위치 측으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110)는, 특장차의 적재함(10) 하부 임의 위치로 설치되고, 내부에 베이스플레이트(112)가 개폐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프레임(111);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하여 개폐되는데, 열린 상태에서 수평으로 펼쳐져 발판 기능을 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가 닫히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에 걸쇠(1131)를 걸리게 하고, 상기 걸쇠(1131) 측을 베이스플레이트(112)의 걸림 측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 기능이 해제되며, 상기 걸쇠(1131)의 걸림 및 걸림해제 작동을 통해 개폐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구(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은, 특장차의 적재함(10) 하부로 특장차의 수용 공간을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용이한 임의 위치에 사각 틀 형태로 수직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내측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2)가 접히면서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의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의 판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의 하부와 베이스프레임(111) 하부 사이에 구비된 경첩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가 베이스프레임(111)에 연결되어 상하 회전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는 개방되면 발판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평으로 펼쳐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일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는 베이스프레임(111)에 수용되어 닫힌 상태에서 조작구(1130)의 걸쇠(1131)에 걸림 기능을 수행하도록 락킹핀(113a)이 상기 걸쇠(1131)의 걸림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락킹핀(113a)은 걸쇠(1131)에 마련된 홈(1131a)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핀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는 상하 회전 개폐를 위한 경첩(112b)이 구비되고, 상기 경첩(112b)에 베이스플레이트(111)가 수평으로 펼쳐지는 방향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힌지스프링(112c)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스프링(112c)을 이용해 걸쇠(1131)의 걸림 해제시 상기 힌지스프링(112c)의 탄성력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2)가 신속하게 펼쳐지며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구(1130)는,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락킹핀(113a)이 걸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1131a)이 형성된 걸쇠(1131)가 상부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걸쇠(1131)의 대향으로 측판(1132)이 마련되고, 상기 걸쇠(1131)와 측판(1132) 저면을 연결하는 하판(11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1132)의 하부로 직선형의 판 형태로 연장되면서 작동바(1134)가 마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쇠(1131)와 측판(1132)은 힌지(1135a)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1134)는 힌지(1135a) 결합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쇠(1131)를 상하로 회전시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걸쇠(1131)는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락킹핀(112a)이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락킹핀(112a)을 홈(1131a)으로 유도하도록 라운드 형의 면이 형성되어 상기 걸쇠(1131)가 상향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핀(112a)이 용이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작동바(1134)는 작업자가 발로 누르면 상기 걸쇠(1131)가 하향 회전하여 베이스프레임(111)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작동바(1134)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걸쇠(1131)가 상향 회전하면서 베이스프레임(111)에 걸릴 수 있도록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구(1130)는, 상기 걸쇠(1131) 측을 베이스프레임(111)에 힌지(1135a)를 이용해 결합시켜 상기 힌지(1135a)를 중심으로 걸쇠(1131) 측이 상하 회전하면서 걸쇠(1131)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유도하게 하는 제1브래킷(11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브래킷(1135)은 일측에 힌지(1135a)가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1135a)의 타측면이 베이스프레임(111)에 설치되며, 상기 힌지(1135a)는 상기 걸쇠(1131)와 측판(1132)을 관통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작동바(1134)가 힌지(1135a)를 중심으로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걸쇠(1131) 역시 힌지(1135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제1브래킷(1135)을 통해 조작구(1130)가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구(1130)는 작동바(1134)의 조작에 따라 상기 걸쇠(1131)가 상향 회전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2)의 락킹핀(113a)이 상기 걸쇠(1131)의 홈(1131a)에 걸리면서 베이스플레이트(112)를 베이스프레임(111)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고, 상기 작동바(1134)의 조작에 따라 상기 걸쇠(1131)가 하향 회전하면 상기 걸쇠(1131)의 홈(1131a)에 걸린 락킹핀(113a)이 이탈되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를 개방시키는 개폐 조작을 위한 조작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상기 조작구(1130)는, 일단은 베이스프레임(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1131)에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작구(1130)와 베이스프레임(111) 사이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하고, 상기 탄성력을 이용해 조작구(1130)가 걸림해제를 위해 회전 후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탄성체(1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1136)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탄성체(1136)의 일단은 하판(1133)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제1걸고리(1136a)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프레임(111)에 돌출되게 구비된 제2걸고리(1136b)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1136)를 이용해 조작구(1130)와 베이스프레임(111) 사이로 탄성력을 작용하게 하고, 상기 탄성체(1136)의 탄성력을 통해 걸쇠(1131)가 형성된 측이 걸림해제를 위해 회전한 후 작동바(1134)를 놓으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부(110)는; 베이스플레이트(112)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2)가 열리는 속도를 늦춰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1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1140)는 일단은 제2브래킷(1142)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3브래킷(1143)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2)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플레이트(112)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하는 실린더(1141)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141)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12)가 개방되면서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실린더(1141)가 베이스플레이트(112)에 반발력을 작용시켜 베이스플레이트(112)가 급하게 열리지 않도록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발판부(110)를 부감함에 따라 특장차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발을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인 발판을 제공하여 적재물의 운반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며 적재함을 쉽게 오르내리게 하고, 발판을 간편하게 열리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열리는 과정에서 부드럽게 열려 안전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개폐 구조물(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부(120), 발판부(110)가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감지부(200)는 제어부(3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고 닫히는 위치에서 감지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센서(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210)는 개폐 구조물(100)에 의해 눌리는 푸쉬센서이며, 상기 감지센서(210)는 개폐 구조물(100)의 도어부(120), 발판부(110)에서 열리고 닫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부(120) 및 발판부(110)가 닫힌 상태에서 눌리고, 열린 상태에서 눌렸던 부분이 떨어지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제어부(300)에 제공하여 개폐 구조물(100)이 열린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00)에 케이블을 이용해 전기 접속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20)는 자체 접지가 되는 센서이며, 상기 감지센서(120)의 접지는 특장차의 전기 박스 안에서 릴레이에 연결되며, 특장차의 실내등과 같은 조명 역시 마이너스 선이 전기 박스 안에 릴레이에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감지센서(12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개폐 구조물(100)의 개폐시 특장차의 실내등 등의 조명을 점등되게 하고, 상기와 같은 작동은 특장차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시 연계하여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200)에 전기적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감지부(200)의 전기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고 닫힌 상태를 확인하며,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으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00)는; 특장차에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부(200)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고, 알림부(320)를 통해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3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Micro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각종 전기전자부품이 적용되고, 상기 컨트롤러(310)는 감지부(200)의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개폐 구조물(100)이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개방된 상태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이 완료되면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를 하는 동시에 알림부(320)에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경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컨트롤러(310)의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면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부(32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알림부(320)는 제어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기 신호가 제공되면 시각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경보등(321); 및 청각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322);로 구성된다.
상기 알림부(320)는 특장차의 운전석에 구비된 상태에서 컨트롤러(310)에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전기접속되면서 상기 컨트롤러(310)의 전기신호에 따라 경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알림부(320)는 경보등(321)의 LED 빛으로 시각화하여 경보를 수행하거나, 스피커(322)를 이용해 전기신호를 청각화하여 경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컨트롤러(310)를 특장차에 접속되게 하여 상기 특장차와 컨트롤러(310)를 통신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30)는 특장차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전기접속되게 하고,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컨트롤러(310)가 특장차의 ECU에 접속됨으로 개폐 구조물(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이를 상기 컨트롤러(310)가 감지부(200)를 통해 확인한 후 전기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신호를 상기 통신부(330)를 통해 특장차의 ECU에 제공하여 상기 특장차의 ECU가 특장차의 주행을 강제적으로 제한하게 하면서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100; 개폐 구조물
110; 도어부 120; 발판부
200; 감지부 210; 감지센서
300; 제어부 310; 컨트롤러
320; 알림부 330; 통신부

Claims (5)

  1. 특장차의 적재함(10)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개폐 구조물(100)과;
    상기 개폐 구조물(100)에 설치되는데,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부(200)와;
    상기 감지부(200)에 전기적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감지부(200)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고 닫힌 상태를 확인하며, 특장차가 주행하려는 중에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으면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기 신호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열린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하면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알림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조물(100)은 적재함(10)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120) 및,
    적재함(10)의 발판 기능을 수행하는 발판부(110)를 더 포함한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는 제어부(300)에 전기적 연결된 상태에서 개폐 구조물(100)이 열리고 닫히는 위치에서 감지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폐 구조물(100)이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생성된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센서(210)를 더 포함한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특장차에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부(200)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활용하여 개폐 구조물(100)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기 신호를 기반으로 특장차의 주행 제어를 수행하고, 알림부(320)를 통해 경보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310)를 더 포함한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320)는 제어부(300)를 통해 생성된 전기 신호가 제공되면 시각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경보등(321); 및 청각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322);를 더 포함한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KR2020200002319U 2020-07-01 2020-07-01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KR200494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19U KR200494883Y1 (ko) 2020-07-01 2020-07-01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19U KR200494883Y1 (ko) 2020-07-01 2020-07-01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68U true KR20220000068U (ko) 2022-01-10
KR200494883Y1 KR200494883Y1 (ko) 2022-01-13

Family

ID=793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19U KR200494883Y1 (ko) 2020-07-01 2020-07-01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8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184A (ja) * 1995-01-26 1996-08-09 Yazaki Corp 車両内温度情報の収集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2726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덤프 트럭의 적재함 개폐장치
KR20090010077U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화인특장 적재함 개폐형 가축 수송차
JP2011248327A (ja) * 2010-04-27 2011-12-08 Panasonic Corp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投写型表示装置
KR101832109B1 (ko) 2017-09-29 2018-04-13 최시남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
KR20190035413A (ko) * 2017-09-26 2019-04-03 (주)탑플렉스 특장차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 알림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1184A (ja) * 1995-01-26 1996-08-09 Yazaki Corp 車両内温度情報の収集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27262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덤프 트럭의 적재함 개폐장치
KR20090010077U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화인특장 적재함 개폐형 가축 수송차
JP2011248327A (ja) * 2010-04-27 2011-12-08 Panasonic Corp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投写型表示装置
KR20190035413A (ko) * 2017-09-26 2019-04-03 (주)탑플렉스 특장차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 알림방법
KR101987937B1 (ko) * 2017-09-26 2019-09-27 (주)탑플렉스 특장차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 알림방법
KR101832109B1 (ko) 2017-09-29 2018-04-13 최시남 화물용 윙바디 특장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83Y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847A (en) Vehicle door operating mechanism
CN104085348B (zh) 车门保护装置
CN202806663U (zh) 一种具有应急逃生门的客车
US8403022B2 (en) Garage door opener guard
KR200494883Y1 (ko) 특장차의 주행 경보 시스템
KR101408991B1 (ko) 탑차의 컨테이너 도어 고정장치
US4889372A (en) Swing limit apparatus for cargo box doors
CN104044505B (zh) 车门保护器
US4160509A (en) Freight car door opener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KR200494884Y1 (ko) 특장차용 사이드 발판
US20160047147A1 (en) Automotive door hinge safety lock
JP2006328636A (ja) 扉の自動閉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ドア装置
KR101229792B1 (ko)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안내장치
KR101915582B1 (ko) 특장차의 도어 개폐장치
CN210122074U (zh) 一种危险品运输车箱
KR101281880B1 (ko)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US2652552A (en) Theft-preventing arrangement for motorcars
KR101724509B1 (ko) 후드 세이프티 후크 유닛
CN205273473U (zh) 一种矿井人行车安全门
CN219932023U (zh) 多功能宠物或婴儿屏障门
JPH0361120A (ja) 車両の危険防止装置
CN216072638U (zh) 电梯轿厢
US4631863A (en) Door or window guard system
KR10207254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