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772A -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772A
KR20210158772A KR1020210031058A KR20210031058A KR20210158772A KR 20210158772 A KR20210158772 A KR 20210158772A KR 1020210031058 A KR1020210031058 A KR 1020210031058A KR 20210031058 A KR20210031058 A KR 20210031058A KR 20210158772 A KR20210158772 A KR 2021015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elf
processor
sho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최정근
오주현
임재명
한병준
이상윤
김현주
성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Brush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모터부,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여 선반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즈 수납장은 다양한 슈즈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가정, 음식점 등 슈즈를 신고 벗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슈즈 수납장은 복수의 슈즈를 수납하기 위해 다단의 선반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분할될 수 있다.
종래 선행 기술(한국공개특허공보 2006-0060230)은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접히도록 형성되며, 캐비닛 건조기의 수납 공간을 보다 더 활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접이식 선반을 포함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선행 기술은 단지 사용자가 물리적인 힘을 통해 직접 선반을 접는 구조이며, 캐비닛 건조기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관로가 형성되어 있을 뿐, 선반에 관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슈즈의 크기에 기반하여, 슈즈 수납장 내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06-0060230
종래에는 슈즈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접거나 펼치는 구조였다.
또한, 종래에는 슈즈 수납장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이 자동으로 접히거나 펼쳐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슈즈의 크기에 기반하여 슈즈 수납장 내의 선반이 자동으로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하는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 내부에 관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슈즈의 크기에 상관없이 슈즈 수납장 내부로 슈즈 케어를 위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는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의 수납장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배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여 선반을 펼치거나 또는 접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이 접혀진 상태에서 슈즈가 수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 내부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센서와 순차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센서들을 통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들에서 측정한 거리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값들 중에서 거리 값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센서의 높이가 상기 슈즈의 높이인 것으로 식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해당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에 대한 케어가 종료되고, 상기 슈즈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상기 선반을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내부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르도록 관로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접혀지는 부분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 패킹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 내벽에 팬을 배치하며,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각 수납장의 선반 내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상기 각 수납장 내부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모터부,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슈즈 케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즈 케어 방법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의 수납장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슈즈의 정확한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여 선반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슈즈의 높이에 상관 없이 다양한 높이의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선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함으로써, 수납장 내부에 에어를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 내부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센서와 순차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센서들을 통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함으로써, 슈즈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반을 접히거나 또는 펼치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들에서 측정한 거리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값들 중에서 거리 값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센서의 높이가 상기 슈즈의 높이인 것으로 식별함으로써, 슈즈의 높이에 따른 다양한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해당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접히지 않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슈즈의 수납과 선반의 동작 제어를 보다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에 대한 케어가 종료되고, 상기 슈즈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상기 선반을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슈즈의 수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내부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르도록 관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수납장 내부에 에어를 골고루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접혀지는 부분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 패킹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에 대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즈 케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 내벽에 팬을 배치하며,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각 수납장의 선반 내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상기 각 수납장 내부로 토출시킴으로써,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슈즈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슈즈 수납장을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슈즈 수납장을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을 벽에 매립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수납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상시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복수의 수납 공간들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제습 및 건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제습 및 건조하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영양 및 발수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영양 및 발수 코팅하는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케어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소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슈즈 케어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이 슈즈 케어 장치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이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 상 방향으로 이동한 예시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해당되는 슈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시 케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케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선반들이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케어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에서의 기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크온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드림 패턴을 입력 받는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간격 및 음파 세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드림 패턴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터치한 예시도이다.
도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예시도이다.
도 4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 도어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복수의 발광 소자들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척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가 시간 대 별로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높이에 따라 선반의 펼침 및 접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상측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 내의 확장 관로부가 하측으로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굽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의 내창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의 내측으로 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전의 예시도이다.
도 6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롤링 브러쉬를 제어하여 슈즈의 위치를 조절한 후의 예시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을 통해 수납 공간 내의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에 슈즈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롤링 브러쉬 모듈의 롤링 브러쉬의 분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슈즈 수납장을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포함하는 슈즈 수납장을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100)은 상부 수납장(150),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수납장(16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하부에 배치된 전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납장(150)은 오른쪽 도어(120)와 왼쪽 도어(11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납장(160)은 오른쪽 도어(140)와 왼쪽 도어(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100)은 두 개의 도어들(191, 19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100)의 상부 수납장(150), 및 하부 수납장(160) 중 적어도 하나는 중간 도어(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도어는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예: 유리,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 상기 하부 수납장(160) 및 상기 전장부(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슈즈 케어 장치(100)가 될 수 있거나, 상기 하부 수납장(160) 및 상기 전장부(170)가 결합되어 별도의 슈즈 케어 장치(18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은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151)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 공간(151)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납장(150)은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살균, 탈취 및 건조함으로써, 슈즈의 성능을 오래 유지시켜주는 항상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수납장(160)은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16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수납장(160)은 슈즈에 대한 이물질 제거, 건조, 먼지 털기, 보습 및 발수 등을 통해 상기 슈즈를 집중 케어하고 슈즈의 성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 수납장(160)은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상기 슈즈를 집중 케어할 수 있는 수납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하부에 위치한 전장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는 상기 슈즈 수납장(10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을 벽에 매립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100)은 현관 벽(210)에 매립(예: 빌트인)될 수 있다. 상기 슈즈 수납장(100)의 상부 수납장(150)의 양쪽 도어들(110, 120)은 투명한 재질(예: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로 제작(또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 수납장(100)의 하부 수납장(160)의 양쪽 도어들(130, 140)은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또는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수납장(160)의 양쪽 도어들(130, 140)에는 사용자에게 정보(예: 슈즈 케어, 슈즈 상태, 사용자 알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수납장(200)의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들(130, 14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30, 140)가 열리는 경우(예: 오픈), 트레이는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위에 슈즈가 놓여지는 경우, 상기 트레이는 슈즈의 무게의 감지를 통해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로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로 이동된 후, 상기 도어(130, 140)는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300)(예: 하부 수납장(160)과 전장부(170))은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슈즈 수납장(300)은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에 수납된 슈즈에 대한 케어(care)(또는 처리(treating)를 수행하는 슈즈 케어 장치(310)(예: 전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은 일정 시각에 슈즈에 대한 케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300)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330)는 각각의 수납장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는 슈즈를 케어하기 위한 스팀을 생성하는 트루 시스템(311),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으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12),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에서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 흡입팬(313), 및 광촉매/UVC(ultraviolet C)를 방사하는 방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는 상기 수납장(320)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312), 에어 흡입팬(313), 및 광촉매/uvc(314)는 도 4의 슈즈 케어 장치(3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310)는 센서부(410), 방사부(420), 입력부(431), 카메라(432), 표시부(433), 메모리(434), 모터부(437), 선반부(438), 발광부(439), 구동부(435), 방향 제어부(436), 케어부(440), 이물질 제거부(451), 이물질 저장부(452), 필터부(453), 흡입부(454), 토출부(455),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슈즈 케어 장치(31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슈즈 케어 장치(310)의 구성 요소들이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는 슈즈 수납장(100)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는 상부 수납장(150),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수납장(160), 및 상기 상부 수납장(150)과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케어를 위한 전기적 또는 물리적 동작을 수행하는 전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장부(170)는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상기 상부 수납장(150)과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케어 기능(예: 이물질 제거 기능, 살균 및 탈취 기능, 스팀 살균 기능, 제습 및 건조 기능, 및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을 수행하도록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41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110, 120, 130, 140)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412), 수납장에 놓여진 슈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414),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벽(예: 내벽)과 상기 슈즈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416), 도어(110, 120, 130, 140)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두드림을 감지하는 노크 온(knock on) 센서(417),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지문 센서(418), 및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IR(infrared) 센서(4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10)는 슈즈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412)는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에서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예: 힌지(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412)는 도어의 개폐에 따른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센서(412)는 감지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47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게 감지 센서(412)는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슈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 감지 센서(412)는 측정된 슈즈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47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리 측정 센서(416)는 상기 슈즈 수납장(320)(예: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내벽과 슈즈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예: 슈즈 수납장들(321, 322, 323, 324) 각각의 내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센서(416)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거리 측정 센서들은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부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센서(416)는 각각의 거리 측정 센서에서 획득된 거리에 대한 정보(예: 전송 시각,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각, 슈즈와의 거리 등)를 프로세서(47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슈즈의 크기, 높이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416)는 도어(110, 120, 130, 140)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에 따른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노크 온 센서(417)는 상부 수납장(150)과 하부 수납장(160)의 각 도어들(110, 120, 130, 14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 온 센서(417)는 도어들(110, 120, 130, 140)을 두드리는 진동(또는 소리)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노크 온 센서(417)는 상기 도어들(110, 120, 130, 140) 각각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1회의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센서(418)는 상기 도어들(110, 120, 130, 140) 각각을 오픈하기 위해 형성된 손잡이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지문 센서(418)는 각 도어를 오픈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여 프로세서(47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R 센서(419)는 상기 도어들(110, 120, 130, 140) 각각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R 센서(419)는 일정 파장(예: 700nm~1mm)을 갖는 빛을 조사하여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로 향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R 센서(419)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IR 센서(419)는 복수 개의 IR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IR 센서들은 각각의 수납장의 내벽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수납장(150) 및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도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크온(Knock On) 센서(417),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손잡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문 센서(418), 및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외관 일측에 배치된 적외선(infrared, IR) 센서(4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는 획득된 정보, 데이터, 또는 값을 프로세서(47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크온 센서(417)는 투명한 재질(예: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를 통한 두드림을 감지하도록,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110, 1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센서(418)는 도어를 오픈(예: 열림)하는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418)는 각 도어의 손잡이에서 사용자의 지문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410)는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미도시)는 각 선반의 0점 보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미도시)는 각 선반의 일 측에 배치되며, 각 선반의 수평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미도시)는 주기적으로 각 선반의 자이로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자이로 값을 프로세서(47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부(420)는 UVC(ultraviolet C)를 방사하는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를 방사하는 광 촉매 방사부(424), 및 플라즈마 방사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방사부(422), 상기 광 촉매 방사부(424), 상기 플라즈마 방사부(426)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슈즈로 자외선, 광 촉매, 또는 플라즈마를 방사할 수 있는 위치(예: 슈즈 수납장 내부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방사부(422)는 적어도 하나의 UVC LED(Ultraviolet 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431)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하는 입력을 사용자 또는 외부 장치(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31)(예: 터치 스크린)는 상기 표시부(433)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431)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43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47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부(431)는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하거나 터치 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전기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431)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마이크,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432)는 슈즈 수납장 내의 슈즈의 위치, 재질, 종류 또는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3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 RGB 카메라, 비젼 카메라), 또는 판독기(예: OCR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432)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슈즈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프로세서(47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432)는 어두운 밝기에서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32)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41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432)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32)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로 향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카메라는 도어(110, 120, 130, 14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고, 각 수납장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수납장 내부에 카메라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 슈즈 수납장의 내벽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 하부 수납장(160), 및 전장부(17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예: 완료된 동작, 현재 진행중인 동작, 진행될 동작, 동작이 종료되는 시각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슈즈 유무, 슈즈 종류, 슈즈 재질, 슈즈 기능, 슈즈 상태, 및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동작 상태 또는 기능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433)는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프로세서(470)에 의해 슈즈의 케어가 완료된 결과, 케어중인 현재 상태, 또는 케어될 예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433)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들(110, 120, 130, 140) 각각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433)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의 투명 부재(예: 스마트 미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미러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 상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 케어 관련한 정보,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에 장착된 스마트 미러는 제1 모드(예: 미러 모드), 제2 모드(예: 스마트 미러 모드), 및 제3 모드(예: 디스플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일반적인 미러와 같이 사물을 완전하게 반사시키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프로세서(470)에 의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 미러는 이러한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패널(예: 편광층, 도전층, 절연층,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센싱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미러는 투과율 및 반사율이 조정되어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미러는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스마트 미러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 등의 이미지를 반사하여 거울상을 표시할 수 있는 상태에서(예: 제1 모드 상태), 상기 프로세서(470)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예: 문자, 숫자, 이미지 등)와, 외부 장치(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예: 프리뷰 이미지, 이미지, 문자, 숫자 등)를 표시하는 모드(예: 제2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434)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470)는 메모리(434)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34)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획득된 정보, 측정된 정보, 제어 신호 등), 및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신장, 이미지, 지문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정보(예: 슈즈 종류에 따른 이미지, 높이, 재질, 기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에 대한 식별자, 위치 정보, 각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스윙 각도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434)는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에 대한 식별자, 위치 정보, 각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스윙 각도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437)는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의 스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부(437)는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의 스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37)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해당되는 선반이 해당 스윙 각도로 스윙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반부(438)는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과,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439)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LED, UV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상부 수납장(150), 및 하부 수납장(160)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39)는 슈즈 수납장(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439)는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발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광부(439)는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부(440)는 상부 수납장(150)의 각 수납장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 안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생성하는 에어 생성부(442),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각 수납장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 안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부(444),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각 수납장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 안으로 공급되는 저온의 열풍을 생성하는 저온 열풍 생성부(446), 및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각 수납장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 안으로 공급되는 액체(예: 미스트)를 생성하는 발수부(44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부(440) 내의 에어 생성부(442), 스팀 생성부(444), 저온 열풍 생성부(446), 및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필터부(4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453)로부터 필터링된 에어는 상기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에어 생성부(442), 상기 스팀 생성부(444), 상기 저온 열풍 생성부(446), 및 상기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등은 슈즈 수납장(100)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부(440) 내의 에어 생성부(442), 스팀 생성부(444), 저온 열풍 생성부(446), 및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생성부(442), 상기 스팀 생성부(444), 상기 저온 열풍 생성부(446), 및 상기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예: 스팀, 저온 열풍, 발수 등)는 상기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55)는 관로 모듈(예: 도 53의 관로 모듈(5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455)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의 내벽(예: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55)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액체(예: 분사되는 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각 슈즈 수납장 내부로 토출하거나, 또는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55)는 이러한 토출 또는 분사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팬(또는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토출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3 관로(458, 459, 460)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관로(458, 459, 460)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액체(예: 분사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으로 토출되거나 또는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출부(455)는 두 개의 프로펠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프로펠러들 각각은 동축 반전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액체(예: 분사되는 물)를 좁은 영역으로 집중 분사할 경우, 상기 두 개의 프로펠러들은 서로 다른 방향(예: 제1 프로펠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프로펠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액체(예: 분사되는 물)가 넓은 영역으로 분사되는 경우, 하나의 프로펠러(예: 제1 프로펠러)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 제어부(43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관로(458, 459, 460)의 방향이 슈즈 수납장에 위치한 슈즈로 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관로(458, 459, 46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는 상기 슈즈 수납장에 위치한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롤러 브러쉬 모듈(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브러쉬) 및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 브러쉬 모듈은 하부 수납장(160)의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 브러쉬 모듈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슈즈 바닥에 접촉되도록 상기 슈즈 수납장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브러쉬 모듈은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 브러쉬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슈즈 수납장에 수납된 슈즈(예: 슈즈의 바닥, 옆 등)에 붙은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을 상기 슈즈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는 상기 슈즈 수납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롤러 브러쉬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롤러 브러쉬들 사이에는 웜 기어가 배치됨으로써, 종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 각각에는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 각각은 해당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하부에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이 배치되는 경우, 가장 왼쪽(또는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제1 롤러 브러쉬를 상기 구동부(435)(또는 모터부(437)를 통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롤러 브러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롤러 브러쉬의 오른쪽(또는 왼쪽)에 위치한 제2 롤러 브러쉬는 상기 제1 롤러 브러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기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롤러 브러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롤러 브러쉬의 오른쪽(또는 왼쪽)에 위치한 제3 롤러 브러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 하부에 배치된 롤러 브러쉬들 사이에는 롤러 브러쉬들의 회전을 연결해주는 웜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왼쪽(또는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제1 롤러 브러쉬를 상기 구동부(435)를 통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1 롤러 브러쉬의 오른쪽(또는 왼쪽)에 위치한 웜 기어는 상기 제1 롤러 브러쉬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기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웜 기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웜 기어의 오른쪽(또는 왼쪽)에 위치한 제2 롤러 브러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롤러 브러쉬 및 웜 기어는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35)는 상기 슈즈 수납장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브러쉬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롤러 브러쉬들은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초음파를 전파시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는 슈즈의 하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롤러 브러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상기 슈즈 수납장에 위치한 슈즈(예: 슈즈의 바닥, 옆 등)에 붙은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은 상기 슈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435)(또는 상기 모터부(437))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 내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브러쉬, 적어도 하나의 웜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454)는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54)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의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는 제4 관로(4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관로(461)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관로(461)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부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와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관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슈즈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 브러쉬의 회전 및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슈즈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슈즈 수납장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454)는 제4 관로(461)를 통해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 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54)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은 상기 필터부(453)를 통과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454)와 상기 필터부(453)는 이물질이 통과하는 관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453)는 흡입부(454)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예: 흙, 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453)는 필터링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부(453)는 상기 흡입부(454)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예: 방진 필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453)를 통과한 필터링된 에어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케어부(440) 내의 상기 에어 생성부(442), 상기 스팀 생성부(444), 상기 저온열풍 생성부(446), 및 상기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어부(440)로 제공된 에어는 상기 에어 생성부(442), 상기 스팀 생성부(444), 상기 저온열풍 생성부(446), 및 상기 발수부(448) 각각의 기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생성부(442)는 제1 관로(456)를 통해 필터부(453)에서 필터링된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에어 생성부(442)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 생성부(442)를 통해 미리 결정된 바람 세기를 갖는 에어로 전환된 후,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스팀 생성부(444)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스팀 생성부(444)에서 액체(예: 분사형 액체)와 함께, 미리 결정된 세기를 갖는 분사형 액체로 전환된 후,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 생성부(442)는 스팀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는 슈즈 케어 장치(310)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생성부(442)(예: 트루시스템(311))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가열된 액체를 혼합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저온열풍 생성부(446)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저온 열풍 생성부(446)를 통해 저온(예: 40oC)의 열풍으로 전환된 후,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관로(456)를 통해 상기 발수부(448)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발수부(448)에서 액체(예: 미스트)와 함께, 미리 결정된 세기를 갖는 분사형 액체로 전환된 후,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55)로 유입된 분사형 액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3 관로(458, 459, 460)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어부(440) 내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의한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는 상기 토출부(455)와 연결된 제2 관로(457)를 통해 상기 토출부(455)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455)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의 제어에 의해 토출 방향이 조절된 관로(458, 459, 460)(또는 관로 모듈)를 통해 상기 유입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제거부(451), 상기 흡입부(454), 상기 필터부(454), 및 상기 토출부(455)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슈즈 수납장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저장부(452)는 상기 슈즈 수납장과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47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유선 통신 또는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메모리(434), 입력부(431), 카메라(432), 케어부(440), 및 표시부(433) 등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434)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부(433)(예: 터치 스크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인공지능 칩(471)(예: ThinQ)이 내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공지능 칩(471)에 대한 알고리즘은 상기 프로세서(4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칩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프로세서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 인지, 추론, 판단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슈즈 케어 장치(310)(예: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를 인공지능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슈즈 수납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에 수납된 슈즈에 대한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센서부(4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어 개폐감지 센서(412))를 통해 상기 상부 수납장 및 상기 하부 수납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도어의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센서부(4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거리 측정 센서(416), 및/또는 무게 감지 센서(414)), 및 카메라(432)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432)를 통해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슈즈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부 수납장(150) 및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도어의 오픈(예: 열림) 및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감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장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을 슈즈 케어를 위한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전장부(170)를 통해 상부 수납장(150)을 상시 케어 모드로 동작시키고, 하부 수납장(160)을 집중 케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전장부(170)를 통해 상부 수납장(150)을 상시 케어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하부 수납장(160)을 집중 케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무게 감지 센서(414),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카메라(432))를 통해 상부 수납장(15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 내의 복수의 수납 공간들 각각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수납장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전장부(17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들 각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장부(17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들 각각에 대해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슈즈를 상시 케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43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전장부(17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들 각각에 대해 이물질 제거 기능, 살균 및 탈취 기능, 스팀 살균 기능, 제습 및 건조 기능, 및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슈즈를 집중 케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반하여 이물질 제거 기능, 살균 및 탈취 기능, 스팀 살균 기능, 제습 및 건조 기능, 및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예: 수행 로직, 명령어 등)를 메모리(43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카메라(432)(예: RGB 카메라, 비젼 카메라, OCR(Optical Character Reader) 등)를 통해 획득된 상기 슈즈에 대한 이미지 또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카메라(432)를 통해 상기 슈즈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슈즈에 부착된 태그를 식별하여, 상기 슈즈의 재질(또는 종류)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슈즈의 재질은, 천,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캔버스 재질, 스웨이드 재질, 코르크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즈의 종류는, 구두, 운동화, 슬리퍼, 등산화, 장화, 런닝화, 레인 부츠, 축구화, 농구화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카메라(432)(예: RGB 카메라, 비젼 카메라) 및 상기 센서부(410)에서 획득된 상기 슈즈에 대한 이미지, 및 상기 슈즈에 부착된 태그를 통해, 상기 슈즈가 청결한지 또는 이물질이 흡착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470)는 이물질이 많이 흡착되어 있는 슈즈의 위치(예: 바닥)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케어부(440) 및 상기 방사부(4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상기 케어부(440) 및 상기 방사부(4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상기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예: 이물질 제거 기능),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예: 살균 및 탈취 기능), 상기 슈즈의 스팀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3 기능(예: 스팀 살균 기능), 상기 슈즈의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4 기능(예: 제습 및 건조 기능), 및 상기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5 기능(예: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의 재질이 가죽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3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슈즈의 재질이 가죽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3 기능에서 스팀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케어부(440)의 에어 생성부(442)를 제어하여 상기 슈즈로 토출될 에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 및 상기 토출부(455)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에어가 상기 슈즈를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부(45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가 상기 슈즈의 내피 또는 갑피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공기를 슈즈 수납장의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예: 제4 관로(461))을 통해 상기 토출된 공기에 의해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롤링을 통해 상기 슈즈의 하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고, 상기 슈즈의 하부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관(예: 제4 관로(461))을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통해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슈즈 수납장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예: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플라즈마 방사부(426))를 통해 광촉매,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능은 복수의 발광 소자(예: 10개의 3mW LED)를 통해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능에 기반한 자외선, 광 촉매, 플라즈마를 슈즈로 방사함으로써, 슈즈에 대한 빠른 살균 케어(예: 부유균에 대한 살균)가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기능은 음이온을 통해 슈즈의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스팀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능은, 슈즈 케어 장치(310)의 스팀 생성부(444)(예: 트루 시스템(311))를 통해 액체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액체에 의한 스팀을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기능은 일정 온도(예: 50oC)의 스팀을 통해 상기 슈즈에 흡착된 다양한 세균(예: 포도상구균)을 살균 케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능에 기반한 고온의 스팀을 슈즈로 분사함으로써, 슈즈에 대한 빠른 살균 케어가 가능하고, 슈즈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탈취를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저온 열풍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능은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저온 열풍 생성부(446) 또는 스팀 생성부(444)(예: 트루 시스템(311))를 통해 액체를 일정 온도(예: 40oC)로 가열하고, 가열된 액체에 의한 열풍을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기능은 슈즈 수납장의 습도가 일정(약 20%~40%)하게 유지되도록 저온 열풍을 상기 슈즈 수납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기능은 슈즈의 재질이 섬유인 경우, 슈즈 수납장 내의 습도가 약 20%가 되도록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기능은 슈즈의 재질이 가죽인 경우, 슈즈 수납장 내의 습도가 약 40%가 되도록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5 기능은,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미스트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기능은, 제1 관로(456)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상기 슈즈에 영양을 공급하는 액체를 혼합하여 상기 각 슈즈 수납장(321, 322, 323, 324)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각각의 기능은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미리 설정된 시간(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기능은 약 4분 동안 동작되고, 상기 제2 기능은 약 3분 동안 동작되고, 상기 제3 기능은 약 10분 동안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기능은 약 20분 동안 동작되고, 상기 제5 기능은 약 3분 동안 동작될 수 있다.
각각의 기능이 수행되는 시간 및 동작 순서 중 적어도 하나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가변적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동작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능이 동작되는 순서는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제1 기능부터 시작하여 제5 기능이 끝나는 순서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적어도 두 개의 기능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사부(420)의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및 플라즈마 방사부(42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슈즈로 향하는 자외선, 광 촉매, 또는 플라즈마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자외선, 광 촉매, 또는 플라즈마가 상기 슈즈에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를 스팀 및/또는 탈취하는 상기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케어부(440)의 스팀 생성부(444)를 제어하여 상기 슈즈로 향하는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 및 상기 토출부(455)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슈즈에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를 스팀 및/또는 살균하는 상기 제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부(45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가 상기 슈즈의 내피 또는 갑피로 향하도록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토출되는 스팀의 온도가 임의 온도(예: 50oC)가 되도록 상기 스팀 생성부(44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및 종류에 따라 슈즈의 재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스팀 생성부(444)를 제어하여 상기 스팀의 온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어부(440)의 저온 열풍 생성부(446)를 통해 온도를 조절하여 저온의 열풍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열풍이 상기 슈즈에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를 제습 및/또는 건조하는 상기 제4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하여 상기 토출부(45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임의 온도(예: 40oC)가 되도록 상기 저온 열풍 생성부(44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및 종류에 따라 슈즈의 재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저온 열풍 생성부(446)를 제어하여 상기 열풍의 온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케어부(440)의 발수부(448)를 제어하여 상기 슈즈로 향하는 분사 액체(예: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방향 제어부(436) 및 상기 토출부(455)를 제어하여 상기 생성된 분사 액체가 상기 슈즈에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발수하는 상기 제5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어부(440)의 발수부(448)를 제어하여 분사 액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의 토출 방향 또는 각도가 상기 슈즈의 내피로 향하지 않도록 상기 방향 제어부(436)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전면(예: 도어(110, 120, 130, 14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로 향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150)의 복수의 선반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복수의 선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예: 선반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LED)를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밝게 발광시키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어둡게 발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다른 색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에 기반하여, 상기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의 신장(예: 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수납장(150)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신장 별 스윙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수납장(150)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각각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장이 작을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는 크고,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에서 가장 위에 있는 선반의 스윙 각도는 가장 클 수 있다. 그리고, 선반이 점차 아래에 배치될수록 스윙 각도는 작아지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어 개폐감지 센서(412), 지문 센서(418), 및 노크 온 센서(417))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예: 열림)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의 오픈(예: 열림)에 기반하여, 현재 스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지문 센서(418), 및 IR 센서(419))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선반부(예: 상부 수납장(150)의 선반) 내에서 놓여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상기 식별된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상시 케어 및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하부 수납장(16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집중 케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수납된 상부 수납장(15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상시 케어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수납된 하부 수납장(15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이물질 제거 기능, 살균 및 탈취 기능, 스팀 살균 기능, 제습 및 건조 기능, 및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집중 케어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선반부(예: 상부 수납장(150)의 선반) 내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이미지를 카메라(432)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메모리(434)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34)는 각각의 슈즈 별로 사용자 정보(예: 이름(예: 홍길동 등), 관계(예: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등), 신장(예: 170cm, 180cm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와 메모리(434)에 기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슈즈의 사용자(예: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슈즈에 대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선반부(예: 상부 수납장(150)의 선반, 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선반)에 놓여진 슈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선반부(예: 상부 수납장(150)) 내의 복수의 선반들 각각에 할당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놓여진 선반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34)는 상부 수납장(150)의 각각의 선반, 하부 수납장(160)의 각각의 선반에 대한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식별자를 통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놓여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어느 하나가 오픈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 내부에 배치된 무게 감지 센서(414), 카메라(432), 및 거리 측정 센서(41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슈즈가 수납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가 수납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납된 슈즈가 상기 사용자에 해당되는 슈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장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상기 메모리(43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34)는 다양한 신장에 따른 선반의 스윙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사용자의 신장 및 상부 수납장(150)의 각 선반의 위치에 따른 스윙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선반은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선반이고, 제2 선반은 상기 제1 선반의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고, 상기 제3 선반은 상기 제2 선반의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다.
상부 수납장(150)
150cm 이하 제1 선반 45o
제2 선반 40o
제3 선반 35o
151cm-160cm 제1 선반 40o
제2 선반 35o
제3 선반 30o
161cm-170cm 제1 선반 35o
제2 선반 30o
제3 선반 25o
171cm-180cm 제1 선반 30o
제2 선반 25o
제3 선반 20o
181cm 이상 제1 선반 25o
제2 선반 20o
제3 선반 15o
상기 [표 1]은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예: 제1 선반, 제2 선반 및 제3 선반)에 대한 스윙 각도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에 대한 스윙 각도가 메모리(43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의 신장 및 스윙 각도는 단지 실시 예이며, 사용자의 신장, 선반간의 간격, 슈즈 케어 장치(310)의 크기, 위치, 설치 높이 등에 따라 다양한 스윙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예: 제1 선반, 제2 선반 및 제3 선반) 각각에 대한 스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은 상기 복수의 선반들(예: 제1 선반, 제2 선반 및 제3 선반) 이외에,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선반(예: 제4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예: 제1 선반, 제2 선반, 제3 선반, 및 제4 선반)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제4 선반이 상기 모터부(437)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4 선반의 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선반(예: 제1 선반, 제2 선반, 및 제3 선반)이 상기 모터부(437)를 통해 스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부(437)로 전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복수의 선반들 각각이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다른 선반과 스윙 방향이 상이하도록 상기 모터부(437)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가 열리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의 열림에 기반하여, 현재 스윙 중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상기 모터부(437)를 통해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가 닫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의 닫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을 다시 상시 케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표시부(433) 또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예: 상부 수납장(150)의 좌우 도어(110, 120), 하부 수납장(160)의 좌우 도어(130, 140))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의 투명 부재(예: 스마트 미러) 또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를 통한 두드림 패턴의 입력에 기반하여, 도어에 배치된 스마트 미러가 투명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미러의 투명에 대한 두드림 패턴은 설정되거나 또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미러 상의 어떠한 두드림이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스마트 미러를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110, 120)의 열림,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110, 120)의 잠금, 및 상부 수납장(15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조명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거나, 또는 삭제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130, 140)의 열림,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도어(130, 140)의 잠금,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조명 제어 제어, 및 사용자 별로 자신의 슈즈가 놓여진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조명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또는 삭제를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을 상기 센서부(410)(예: 노크온 센서(417))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예: 노크온 센서(417))를 통해 상기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의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세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410)(예: 노크온 센서(417))는 상기 두드림 패턴에 따른 음파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증폭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10)(예: 노크온 센서(417))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에 기반하여 두드림 패턴의 입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두드림 패턴의 입력으로 결정되면, 상기 두드림 패턴에 따른 각 두드림의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세기를 상기 프로세서(470)로 전달하는 마이컴(MiCom)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두드림 패턴을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기능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의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기능이 선택된 후, 두드림 패턴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을 상기 선택된 기능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매칭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할 경우, 기 설정된 두드림 패턴을 입력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매칭된 결과(예: 각 시간 간격 및 각 세기에 기반하여 실행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 시간 간격 및 각 세기에 일정 마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진은 각 시간 간격의 일정 범위 및 각 세기의 일정 범위이며, 상기 각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세기가 마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두드림 패턴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예: 상부 수납장의 좌우 도어 또는 하부 수납장의 좌우 도어)의 두드림에 의한 두드림 패턴(예: 제1 두드림 패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상기 메모리(434)에 매칭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두드림 패턴의 두드림 간의 시간 간격, 각 두드림의 음파 세기를 통해서, 상기 제1 두드림 패턴과 동일한(또는 마진 범위 내에서 유사한) 두드림 패턴을 상기 메모리(434)에 기 저장된 복수의 두드림 패턴들 중에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1 두드림 패턴이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 중 제2 두드림 패턴에 대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제1 두드림 패턴이 상기 제2 두드림 패턴에 대응되면, 상기 제2 두드림 패턴에 매치된 기능(예: 상기 제2 두드림 패턴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434)는 두드림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에 대한 각 두드림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내측, 또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130, 140)의 내측에 배치된 지문 센서(418)에서 획득한 지문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손잡이를 터치하는 사용자 별(예: 아버지, 어머지, 아들, 딸 등)로 상기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손잡이를 터치하는 사용자가 외출이 잦은 아버지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강으로 조절하여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손잡이를 터치하는 사용자가 외출이 잦지 않은 어머니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약으로 조절하여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의 손의 오염 정도 또는 외출 빈도에 기반하여 손잡이의 살균 강도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손잡이가 살균 중인 경우, 상기 손잡이가 살균 처리 중임을 나타내도록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UVC LED(Ultraviolet 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는 서로 교차하여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도어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하부 수납장(160)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에서 발광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는 광은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손잡이 부분으로 반사되어, 손잡이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각각이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상기 손잡이를 터치한 시간 대를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 각각이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터치 시간 대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손 세척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손 세척의 중요성, 손 세척 방법 등 손의 오염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예: 스마트 미러(3510, 3520))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110, 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 상기 사용자가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상기 손잡이를 터치한 시간 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손잡이의 살균 강도(예: 강, 중, 약)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시각이 상기 시간 대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살균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를 통해 선반이 접혀진 상태에서 슈즈가 수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 내부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여 거리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슈즈 케어 장치(310)의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의 내벽에는 슈즈의 높이(또는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들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 값은, 예를 들면, 센서와 슈즈 간의 거리 값, 또는 센서와 상기 내벽(예: 제1 내벽)과 마주하는 내벽(예: 제2 내벽)과의 거리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센서(예: 제1 센서)에서 획득한 거리 값과 상기 제1 센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2 센서에서 획득한 거리 값이 동일(예: 오차를 무시하는 범위 내에서 동일)할 경우, 슈즈의 높이는 상기 제2 센서가 수납장 내부에서 배치된 높이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센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3 센서에서 획득한 거리 값이 상기 제2 센서에서 획득한 거리 값 보다 일정 값(예: 5cm) 이상 적을 경우, 상기 슈즈의 높이는 상기 제3 센서가 수납장 내부에서 배치된 높이와 같음(또는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값들 중에서 거리 값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센서의 높이가 상기 슈즈의 높이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는 하나의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제조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약 20cm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약 20cm 보다 낮거나, 또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높이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을 펼치도록 상기 선반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큰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선반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해당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슈즈의 높이에 기반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이 접혀지는 부분은 경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접혀지는 부분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 패킹이 형성되어, 선반이 펼쳐지는 경우,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수납 공간(예: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4810))의 슈즈의 감지(또는 슈즈의 종류를 감지)에 기반하여, 회전 관로부를 상기 감지된 슈즈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부는 수납 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관로부는 수납 공간 각각의 상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종류에 대한 식별에 기반하여 회전 관로부의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식별된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 관로부가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 높이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회전 관로부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높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2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 높이는 상기 제1 임계 높이와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가 50cm이고, 상기 회전 관로부의 길이가 10cm인 상태에서,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예: 수납 공간의 높이에서 회전 관로부의 길이를 차감한 높이(예: 40cm)) 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케어할 수 없을 정도의 높이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 슈즈의 높이, 제1 임계 높이, 제2 임계 높이에 대한 값은 일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값을 갖는 수납 공간 및 슈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는 상기 회전 관로부(예: 회전 관로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또는 슈즈 내측)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기 회전 관로부에서 하측(또는 슈즈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는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제1 관로와 연결되는 제2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관로 및 제2 관로는 하나의 관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는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상기 슈즈의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와 상기 확장 관로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는 상부 관로부, 상기 상부 관로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관로부, 및 상기 가변 관로부의 하측과 연결되며 하부에 롤러 브러쉬가 배치된 하부 관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관로부와 상기 하부 관로부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관로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관로부의 하부에는 슈즈의 바닥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관로부의 하부가 슈즈의 바닥에 닿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관로부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와 상기 가변 관로부에 의해, 상기 하부 관로부의 확장 방향은 상기 상부 관로부의 확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확장 관로부가 상기 회전 관로부 외부로의 확장 및 상기 회전 관로부 내부로의 삽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 내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확장 관로부의 확장과 삽입을 슈즈 케어 과정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슈즈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케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가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큰 종류(예: 부츠, 장화 등)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전 관로부 외부로의 확장 및 상기 회전 관로부 내부로의 삽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 내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감지된 슈즈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 관로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슈즈에 대한 케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케어부(440)에서 생성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회전 관로부 내의 관로를 통해 상기 슈즈의 내부로 토출하여 상기 슈즈의 내부를 케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상기 슈즈의 내부를 케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UVC LED(Ultraviolet C Lighting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회전 관로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에 대한 케어(예: 집중 케어)가 종료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감지된 슈즈에 대한 케어의 종료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 관로부를 상기 수납 공간의 상부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 내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가 감지되기 이전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를 상기 수납 공간의 상부에 매립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는 도 4의 관로(458, 459, 46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에 기반하여 수납 공간의 하부에 배치된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에 대한 회전 속도, 동작 시간, 및 회전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회전 속도, 동작 시간, 및 회전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예: 하부 수납장(16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충전 모듈,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과 결합되며, 롤링 브러쉬의 동작에 의한 슈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홀더 및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슈즈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수납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 브러쉬는 슈즈의 하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를 고정시키는 브러쉬 바디, 상기 브러쉬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슈즈의 하부를 살균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상기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롤링 브러쉬를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롤링 브러쉬 모듈(6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3, 도 64, 및 도 65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예: 가죽, 천, 고무 등), 종류(예: 운동화, 구두 등), 및 상태(예: 청결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회전 속도(예: RPM), 동작 시간(예: 10분), 및 회전 방향(예: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설정된 회전 속도, 동작 시간, 및 회전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수납 공간에 형성된 토출관(예: 458, 459, 4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예: 토출관에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토출되는 위치)로 상기 식별된 슈즈가 이동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동일한 방향(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토출관(예: 458, 459, 46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예: 토출관에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토출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예: 슈즈의 바닥)에 흡착된 이물질이 많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 시간을 제1 시간(예: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예: 슈즈의 바닥)에 흡착된 이물질이 많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 시간을 제1 시간(예: 10분) 보다 적은 제2 시간(예: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의 양, 슈즈의 재질, 슈즈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무게 감지 센서(414)를 통해 획득된 슈즈의 무게를 통해, 상기 슈즈가 놓여진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 각각에 결합된 모터(예: 모터부(437)의 모터)를 동작시켜, 롤링 브러쉬를 회전(예: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롤링 브러쉬(예: 제1 롤링 브러쉬)에 인접한 다른 롤링 브러쉬(예: 제2 롤링 브러쉬)의 회전 방향(예: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롤링 브러쉬(예: 제1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롤링 브러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 롤링 브러쉬에 인접한 제2 롤링 브러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2 롤링 브러쉬에 인접한 제3 롤링 브러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서로 인접한 롤링 브러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 또는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를 진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 종류, 재질에 따라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지나면, 각각의 롤링 브러쉬에 결합된 모터를 통해 해당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키고, 상기 롤링 브러쉬(예: 롤링 바디)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켜 상기 슈즈의 바닥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슈즈 케어에 대해 기술한다.
[슈즈 케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집중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수납장의 수납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집중 케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집중 케어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의 오픈 및/또는 슈즈가 하부 수납장(160) 내에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412)로부터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카메라(432)(예: RGB 카메라, 비젼 카메라) 및 하부 수납장(160)의 하부에 배치된 무게 감지 센서(41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하부 수납장(160) 내에 슈즈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5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 및 카메라(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하부 수납장(16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가죽 재질(예: 가죽, 스웨이드)의 슈즈는 물에 젖지 않고, 습도를 40%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천연 가죽 재질의 슈즈는 발의 땀을 잘 흡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천연 가죽 재질의 슈즈는 솔 또는 에어 브러쉬를 통해 먼지를 제거하고, 수분을 보충하여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 가죽 재질의 슈즈는 일정 온도(예: 45oC) 이하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인조 가죽 재질(예: 일반 섬유)의 슈즈는 고온에 의해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일정 온도(예: 60oC)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능성 재질의 슈즈(예: 등산화, 런닝화, 축구화 등)은 고온에 의해 접착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일정 온도(예: 45oC)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메모리(434)는 이러한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에 따른 온도, 습도, 통풍 정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에 따른 해당 데이터를 메모리(43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를 집중 케어할 수 있다(S5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통해 슈즈를 집중 케어(예: 이물질 제거, 살균/탈취, 스팀/살균, 제습/건조, 및 영양/발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 상기 슈즈의 스팀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3 기능, 상기 슈즈의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5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약 40분) 동안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방향 제어부(436) 및 토출부(455)를 제어하여 에어가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620, 630, 640, 650)를 통해 슈즈(610)로 향하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455)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로(458, 459, 460)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 스팀 등은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620, 630, 640, 650)를 통해 상기 슈즈(610)에 분사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620, 630, 640, 650)를 통해 슈즈를 케어하기 위한 에어, 스팀, 및 액체 중 적어도 하나가 토출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 내의 슈즈에 의한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통풍부의 위치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620, 630, 640, 650)는 관로들(461, 458, 459, 46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예: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플라즈마 방사부(426))를 통해 광 촉매,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슈즈를 살균 및/또는 냄새를 탈취하는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를 통해 스팀을 토출하는 제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를 통해 저온 열풍을 토출하는 제4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에 배치된 토출관의 관로를 통해 미스트 및 에어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는 제5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기능을 순서대로 처리하거나, 또는 동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상시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복수의 수납 공간들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상시 케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상시 케어 수납장(예: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가 오픈 되고(또는 오픈 되거나), 슈즈가 상부 수납장(160) 내에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10). 상기 과정(S710)은 도 5(예: 과정(S5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712). 상기 과정(S712)은 도 5(예: 과정(S512))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를 상시 케어할 수 있다(S7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스팀 생성부(444), 저온열풍 생성부(446))를 통해 슈즈를 상시 케어(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을 자외선 방사부(422), 광촉매 방사부(424), 및 플라즈마 방사부(42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슈즈를 상시 케어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은 양쪽 도어(110, 120)가 투명한 재질(예: 강화 유리, 투명 플라스틱)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납장(150)는 복수 개의 선반들(810, 820, 830)을 통해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선반들(810, 820, 830) 각각에 의해 수납 공간들(811, 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일 측에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에 대한 동작 상태, 동작 제어를 위한 표시부(840)(또는 도 4의 표시부(4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4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수납장(150)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에 대한 동작 상태, 동작 제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은 복수의 수납 공간들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들 각각(151)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서로 밀폐되거나 또는 공기가 통하도록 밀폐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하부에 위치한 수납 공간에 형성된 토출부(920)(또는 도 4의 토출부(455))는 공기를 상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상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921)는 상부 수납장(150)의 벽을 따라 상부로 흐르면서 각 수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921)의 일부(922)는 하부에 위치한 수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중간에 위치한 수납 공간에 형성된 토출부(910)(또는 도 4의 토출부(455))는 공기(911)를 상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상 방향으로 토출된 공기(921)는 선반의 벽을 따라 상부로 흐르면서 토출부(910)(또는 도 4의 흡입부(454))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910)는 공기의 토출과 흡입을 병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예시도이다.
이하,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150, 16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10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 및 카메라(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슈즈 수납장(32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과정(S1010)은 도 5의 과정들(S510, S5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및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0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010)에 의해 식별된 슈즈(115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 상기 슈즈(115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보다 적은 경우에도, 상기 슈즈(115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각도 조절 및 에어 브러쉬 동작 시간에 기반한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0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6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에어 생성부(442)를 제어하여 에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되는 에어의 세기는 적어도 하나의 팬(또는 프로펠러)(1121, 1122)의 회전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또는 프로펠러)(1121, 112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에어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슈즈(1150)에 흡착된 이물질은 상기 슈즈(115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115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세기에 비례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의 흡입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되는 에어의 세기 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의 흡입력이 크도록 흡입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의 위치는 상기 슈즈 수납장(1110) 내부에서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필터부(453)를 통과하여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부(453)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은 이물질 저장부(452)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453)를 통과한 에어는 제1 관로(456)를 통해, 에어 생성부(452), 스팀 생성부(444), 저온열풍 생성부(446), 및 발수부(448)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롤링 브러쉬를 동작시키고,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S1016). 적어도 하나의 슈즈 수납장(1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롤링 브러쉬는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웜 기어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롤링 브러쉬 브러쉬 사이에는 웜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롤링 브러쉬 사이에는 웜 기어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각각의 모터를 통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1110) 내의 슈즈(1150)의 상태(예: 오염 정도, 이물질 흡착 상태 등)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150)의 상태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150)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부(454)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150)의 위치 또는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회전 방향(예: 반시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는 각각의 사이에 웜 기어(미도시)가 배치됨으로써 동일한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슈즈(1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1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의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012)에서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과정들(S1014, S1016)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에어를 토출 및 흡입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S10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센서부(410), 및 카메라(43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슈즈 수납장(320) 내의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에어를 토출 및 흡입하는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되면,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에어를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하여 이물질을 슈즈(115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토출된 에어를 통해 상기 슈즈(115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에어를 토출하고, 토출된 에어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슈즈(115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은 슈즈 수납장(1110)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롤링을 통해 상기 슈즈(1150)의 하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고, 상기 슈즈(1150)의 하부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을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슈즈 수납장(1110)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에어를 토출하고, 상기 토출된 에어에 의해 상기 슈즈(1150)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1141, 1142, 1143, 1144)를 통해 흡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의 각도 또는 방향은 상기 슈즈의 위치 또는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세서(470)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에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토출되는 중에,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카메라(432)를 통해 상기 슈즈(1150)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적어도 1회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를 통해 에어가 토출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111, 1112, 1113, 1114)의 각도를 이물질이 많은 부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초과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0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1014, S1016, S1018)이 수행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115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022). 상기 과정들(S1014, S1016, S1018)이 수행되는 총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동작(S10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15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동작(S10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15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024).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018)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즈(115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에어를 토출 및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에어의 토출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150)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부(46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S1026). 상기 과정(S1024)에서 상기 슈즈(115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이물질 제거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 10에 도시된 각각의 과정에 대한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슈즈 케어 장치(310)의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제2 예시도이다.
이하,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살균 및 탈취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1210). 상기 과정(S1210)은 도 10의 과정(S1010)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S1210)은 도 7의 과정들(S710, S7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12). 상기 과정(S1212)은 도 10의 과정(S10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12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132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사부(1311, 1312, 13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320)의 오염 정도가 심각한 부분에 먼저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가 방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사부(1311, 1312, 131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부(1311, 1312, 1313)는 슈즈 수납장(1310) 내부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부(1311, 1312, 1313)는 슈즈 수납장(1310)의 내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방사부(420)의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및 플라즈마 방사부(42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할 수 있다(S12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슈즈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를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내피, 외피, 바닥에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슈즈에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1310) 내벽에 배치된 복수의 방사부들(1311, 1312, 1313) 중 제1 방사부(1311)는 슈즈(1320)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사부들(1311, 1312, 1313) 중 제2 방사부(1312)는 상기 슈즈(13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방사부들(1311, 1312, 1313) 중 제3 방사부(1313)는 상기 슈즈 수납장(1310)의 하부에서 상기 슈즈(1320)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3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는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슈즈(13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3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되면,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초과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216)이 수행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13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220). 상기 과정(S1216)이 수행되는 총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동작(S12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320)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동작(S12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32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22). 상기 슈즈(132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21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즈(13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슈즈(1320)을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S1224). 상기 과정(S1222)에서 상기 슈즈(132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제1 예시도이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1410). 상기 과정(S1410)은 도 10의 과정(S1010), 및 도 12의 과정(S1210)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S1410)은 도 7의 과정들(S710, S7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152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412). 상기 과정(S1412)은 도 10의 과정(S1012), 및 도 12의 과정(S12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스팀 살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14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520)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스팀 생성부(444)를 통해 스팀을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511, 15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520)의 오염 정도가 심각한 부분에 먼저 스팀이 방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511, 15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511, 1512)는 슈즈 수납장(1510) 내부의 좌면, 우면, 전면, 후면,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511, 1512)는 슈즈 수납장(1510)의 내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팀 생성부(444)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슈즈(1520)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은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통해서도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스팀 살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4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스팀을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 동안 슈즈(1520)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1520)을 스팀 살균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520)의 내피, 외피,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스팀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방사되는 스팀의 온도는 미리 결정된 온도(예: 50oC)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스팀의 온도(예: 50oC)는 상기 슈즈(1520)의 재질을 파손시키지 않는 적절한 온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1510) 내벽에 배치된 복수의 방사부들(1511, 1512) 중 제1 방사부(1511)는 슈즈(15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방사부들(1511, 1512) 중 제2 방사부(1512)는 상기 슈즈(1520)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스팀을 방사하는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되면,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4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416)이 수행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420). 상기 과정(S1416)이 수행되는 총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동작(S14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520)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동작(S14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52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422). 상기 슈즈(152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41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스팀을 방사하여, 상기 슈즈(1520)을 스팀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스팀 살균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S1424). 상기 과정(S1422)에서 상기 슈즈(1520)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스팀 살균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스팀 및 살균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납장(320)은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1611, 1612, 1613, 16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1611, 1612, 1613, 1614) 중 제1 슈즈 수납장(1611)과 제2 슈즈 수납장(1612)는 제1 칸막이 부재(16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칸막이 부재(1660)는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1611, 1612, 1613, 1614) 중 제1 슈즈 수납장(1611)과 상기 제1 슈즈 수납장(161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슈즈 수납장(1612) 사이에는 제2 칸막이 부재(16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칸막이 부재(1660)는 슈즈(1620)의 크기에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칸막이 부재(1650)의 일 측(예: 정면)에는 상기 제1 슈즈 수납장(1611), 및 상기 제2 슈즈 수납장(1612)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슈즈 수납장들(1611, 1612, 1613, 1614) 각각은 스팀이 방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부(1630)를 통해 토출된 스팀은 흡입부(1640)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제습 및 건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제습 및 건조하는 예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1710). 상기 과정(S1710)은 도 10의 과정(S1010), 도 12의 과정(S1210), 및 도 14의 과정(S1410)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S1710)은 도 7의 과정들(S710, S7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17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한 후,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저온 열풍 생성부(446)를 통해 낮은 온도의 열풍을 방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811, 1812)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820)의 제습이 요구되는 부분 또는 건조가 요구되는 부분에 저온의 열풍이 우선 방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811, 18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811, 1812)는 슈즈 수납장(1810)의 내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저온 열풍 생성부(446)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슈즈(1820)를 향해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풍은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 또는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통해서도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열풍이 통과하는 관로는 상기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1820)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제습 및 건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7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저온의 열풍을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동안 슈즈(1820)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1820)을 제습 또는 건조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820)의 내피, 외피,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열풍을 방사할 수 있다. 상기 방사되는 열풍의 온도는 미리 결정된 온도(예: 40oC)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풍의 온도(예: 40oC)는 상기 슈즈(1820)의 재질에 기반하여 제습 또는 건조의 효율성을 높이는 온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수납장(1810) 내벽에 배치된 복수의 토출부들(1811, 1812) 중 제1 토출부(1811)는 슈즈(1820)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방사부들(1811, 1812) 중 제2 토출부(1812)는 상기 슈즈(1820)의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5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열풍을 방사하는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식별되면, 이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7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714)이 수행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718). 상기 과정(S1714)이 수행되는 총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동작(S1714)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820)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동작(S17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82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제습 및 건조가 완료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7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관리 장치(310)의 센서부(410)에 포함된 습도 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슈즈(1820)이 보관되고 있는 슈즈 수납장(1810)의 습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1820)의 제습 또는 건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슈즈(1820)의 제습 및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71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열풍을 방사하여, 상기 슈즈(1820)을 제습 및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습 및 건조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S1722). 상기 과정(S1720)에서 상기 슈즈(1820)의 제습 및 건조가 완료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습 및 건조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영양 및 발수 코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영양 및 발수 코팅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영양 및 발수 코팅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18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1910). 상기 과정(S1910)은 도 10의 과정(S1010), 도 12의 과정(S1210), 도 14의 과정(S1410), 및 도 17의 과정(S1710)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S1910)은 도 7의 과정들(S710, S712)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영양 및 발수 코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19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20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를 식별한 후, 슈즈 케어 장치(310)의 발수부(448)를 통해 분사 액체(예: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2020)의 영양 또는 발수를 위한 분사 액체가 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2011)의 토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2020)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가 요구되는 부분에 분사 액체가 우선 방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20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2011)는 슈즈 수납장(2010)의 내벽에 배치된 상태에서 발수부(448)에 의해 생성된 액체를 슈즈(2020)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슈즈(2020)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보습하기 위한 화학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는 에어가 토출되는 토출구, 스팀이 토출되는 토출구, 또는 저온의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통해서도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통과하는 관로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9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액체를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슈즈(2020)에 분사하여 슈즈(2020)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보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슈즈(20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2020)의 내피, 외피, 및 바닥 중 적어도 하나에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액체를 분사하는 시간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슈즈(20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초과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9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914)이 수행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20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918). 상기 과정(S1914)이 수행되는 총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동작(S1914)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2020)이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일정한 시간 단위로 상기 동작(S1910)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2020)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이 완료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1920). 슈즈 관리 장치(310)의 센서부(410)는 슈즈의 보습 상태 또는 영양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센서부(410)를 통해 슈즈(2020)에 대한 보습 상태 또는 영양 상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2020)의 보습 상태 또는 영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슈즈(2020)의 보습 또는 영양 상태가 기준 값보다 적거나 낮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191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슈즈(2020)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슈즈(20)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S1922). 상기 과정(S1920)에서 상기 슈즈(2020)의 영양 및 발수 코팅이 완료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영양 및 발수 코팅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케어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를 케어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의 도어가 오픈되는지 또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에 슈즈가 존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2110). 상기 과정(S2110)은 도 5의 과정(S510), 및 도 7의 과정(S7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2112). 상기 과정(S2112)는 도 5의 과정(S512), 도 7의 과정(S712), 도 10의 과정(S1010), 도 12의 과정(S1210), 도 14의 과정(S1410), 도 17의 과정(S1710), 및 도 19의 과정(S1910)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2114). 상기 과정(S2114)는 도 10의 과정(S1024), 도 12의 과정(S1222), 및 도 14의 과정(S1422)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슈즈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슈즈 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2116).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과정(S2114)을 통해 식별된 결과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쾌속 모드와 일반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는 눈, 비 등의 날씨의 영향에 따른 다양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는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선택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작 모드는, 섬유/인조 가죽 모드, 천연 가죽 모드, 기능 향상 모드, 급속 살균/탈취 기능, 저온 열풍 모드, 에어 브러싱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에 대한 선택은 슈즈 케어 장치(310)의 표시부(433) 또는 입력부(431)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쾌속 모드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4분) 동안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 및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쾌속 모드는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한 후,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쾌속 모드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한 후,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능에 해당되는 시간(예: 4분)과 상기 제2 기능에 해당되는 시간(예: 3분)은 슈즈의 오염 정도에 따라 프로세서(470)의 제어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모드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4분) 동안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슈즈의 스팀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3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동안 상기 슈즈의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4 기능, 및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상기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5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일반 모드는 상기 제1 기능, 상기 제2 기능, 상기 제3 기능, 상기 제4 기능 및 상기 제5 기능의 순서로 실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일반 모드는 상기 제1 내지 제5 기능을 랜덤하게 실행하는 모드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에 해당되는 시간들은 슈즈의 오염 정도에 따라 프로세서(470)의 제어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이물질 제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118). 상기 과정(S2116)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가 쾌속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4분) 동안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예: 제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쾌속 모드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예: 4분) 동안, 이물질을 슈즈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에어를 슈즈 수납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통해 슈즈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토출된 에어에 의해 슈즈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슈즈 수납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에어를 토출한 후, 토출된 에어에 의해 슈즈로부터 이탈된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슈즈 수납장 내의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의 각도 또는 방향을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이 많은 부분으로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1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쾌속 모드에서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일정 크기로 슈즈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를 살균 및 탈취 기능(예: 제2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122). 상기 과정(S2116)에서 선택된 동작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기 설정된 기능(예: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순서)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4분) 동안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10분) 동안 상기 슈즈의 스팀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3 기능, 미리 결정된 시간(예: 20분) 동안 상기 슈즈의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4 기능, 및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상기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5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능은 도 10, 도 11a 및 도 11b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능은 도 12, 도 13a 및 도 13b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기능은 도 14, 도 15, 도 16a, 및 도 16b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기능은 도 17 및 도 18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기능은 도 19 및 도 20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2124). 상기 과정(S2114)는 도 10의 과정(S1024), 도 12의 과정(S1222), 도 14의 과정(S1422), 및 도 21의 과정(S2114)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모드가 쾌속 모드인 경우, 상기 식별된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2118)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식별된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2122)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과정(S2124)에서 슈즈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S212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소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소독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의 도어의 닫힘을 식별할 수 있다(S22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412)로부터 상기 도어의 닫힘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의 슈즈를 감지할 수 있다(S22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카메라(432) 및 슈즈 수납장의 하부에 배치된 무게 감지 센서(414)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슈즈 수납장(320) 내에 슈즈가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214). 상기 슈즈 수납장에 슈즈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에 슈즈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슈즈 수납장에 슈즈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일정 세기(예: 최대 세기)로 슈즈 수납장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을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에 슈즈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슈즈가 감지되는 경우의 제2 기능 및 제3 기능보다 더 강한 세기의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 내부를 소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에 슈즈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자외선, 광 촉매, 및 플라즈마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세기로 방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스팀 살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22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2214)을 수행한 후, 스팀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일정 세기(예: 최대 세기)로 슈즈 수납장에 방사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을 스팀 살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 내에 슈즈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스팀을 최대 세기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의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22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2214, S2216)을 수행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의 살균, 탈취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의 오염 정도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염 정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2214, S2216)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오염 정도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의 살균, 탈취 및 소독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수납장(예: 상부 수납장(150))의 복수의 선반들 각각의 움직임 제어에 대해 기술한다.
[사용자 식별에 따른 선반의 각도 조절]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슈즈 케어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이 슈즈 케어 장치의 내벽에 부착되기 위한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이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이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복수의 선반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 상 방향으로 이동한 예시도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 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결합 부재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S23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전면(예: 도어(110, 120, 130, 140))의 일 측(예: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로 접근하는 사용자(2410)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일 측(예: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의 신장을 식별할 수 있다(S23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부 수납장(150)의 복수의 선반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복수의 선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예: 선반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하부 수납장(16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 각각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기반하여 각각의 선반의 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밝게 발광시키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어둡게 발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다른 색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2410)의 접근이 식별되면, 상부 수납장(150)의 각 선반의 하면에 배치된 모든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슈즈가 상부 수납장(150)의 어느 선반에 수납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선반의 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23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2410)의 접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장을 식별한 후,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2410)의 접근에 기반하여, 하부 수납장(1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할 수 있다(S2316). 상기 프로세서(470)는 메모리(434)에 저장된 신장 별 스윙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150) 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해당 선반의 모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각각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각 선반에 배치된 슈즈를 보기 용이하도록 [표 1]을 참조하여 각 선반의 스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은 복수의 선반들(2510, 2520, 2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2510, 2520, 2530) 각각은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2510, 2520, 2530) 중 제1 선반(2510)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제2 선반(2520)는 상기 제1 선반 (15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3 선반(2530)는 상기 제2 선반(25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선반 이외에 더 많거나 더 적은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각각의 선반의 양 측면 각각은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선반의 양 측면 각각에는 두 개의 결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선반의 우 측면에는 제1 결합 부재와 제2 결합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선반은 슈즈에 흡착되어 이탈된 이물질을 모으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선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선반의 평면에는 슈즈의 미끄럼을 지지하는 돌기(2517, 2527, 25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517, 2527, 2537) 선반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5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 부재는 제1 내부재(2511), 제1 회전부재(2512), 및 제1 외부재(2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제(2511)는 제1 선반(25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2512)는 상기 제1 내부재(2511)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재(2513)는 상기 제1 회전부재(2512), 및 상기 제1 내부재(25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재(2511)의 일 측은 상기 제1 회전부재(2512)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25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5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 부재는 제2 내부재(2514), 제2 회전부재(2515), 및 제2 외부재(2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재(2514)는 제1 선반(25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2515)는 상기 제2 내부재(2514)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외부재(2516)는 상기 제2 회전부재(2515), 및 상기 제2 내부재(2514)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재(2514)의 일 측은 상기 제2 회전부재(2515)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부재(251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510)의 하부에는 제2 선반(25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25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3 결합 부재는 제3 내부재(2521), 제3 회전부재(2522), 및 제3 외부재(2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재(2521)는 제2 선반(25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3 회전 부재(2522)는 상기 제3 내부재(2521)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외부재(2523)는 상기 제3 회전부재(2522), 및 상기 제3 내부재(252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내부재(2521)의 일 측은 상기 제3 회전부재(2522)와 결합되며, 상기 제3 회전부재(252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선반(25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4 결합 부재는 제4 내부재(2524), 제4 회전부재(2525), 및 제4 외부재(25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내부재(2524)는 제2 선반(25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4 회전부재(2525)는 상기 제4 내부재(2524)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외부재(2526)는 제4 회전부재(2525), 및 상기 제4 내부재(2524)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 내부재(2524)의 일 측은 상기 제4 회전부재(2525)와 결합되며, 상기 제4 회전부재(252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선반(2520)의 하부에는 제3 선반(25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선반(253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5 결합 부재는 제5 내부재(2531), 제5 회전부재(2532), 및 제5 외부재(2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내부재(2531)는 제3 선반(253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5 회전부재(2532)는 상기 제5 내부재(2531)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외부재(2533)는 제5 회전부재(2532), 및 상기 제5 내부재(253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5 내부재(2531)의 일 측은 상기 제5 회전부재(2532)와 결합되며, 상기 제5 회전부재(2532)의 회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53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6 결합 부재는 제6 내부재(2534), 제6 회전부재(2535), 및 제6 외부재(2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내부재(2534)는 제3 선반(253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6 회전부재(2535)는 상기 제6 내부재(2534)에서 모터부(437)의 제어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외부재(2536)는 제6 회전부재(2535), 및 상기 제6 내부재(2534)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6 내부재(2534)의 일 측은 상기 제6 회전부재(2535)와 결합되며, 상기 제6 회전부재(2535)의 회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선반과 연결된 회전부재의 회전에 기반하여 각 선반은 스윙되거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2610, 2620, 2630) 각각은 스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2610, 2620, 2630) 각각은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선반들(2610, 2620, 2630) 중 제1 선반(2610)과 제2 선반(2620)은 앞뒤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스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2610, 2620, 2630) 중 제1 선반(2610)과 제2 선반(2620)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선반(263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6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 부재의 제1 회전부재(261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재(2612)와 연결된 제1 내부재(2611)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재(2611)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부재(2611)와 결합된 제1 선반(2610)의 앞쪽은 하측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반(26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 부재의 제2 회전부재(261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재(2615)와 연결된 제2 내부재(2614)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내부재(2614)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부재(2614)과 결합된 제1 선반(2610)의 뒤쪽은 상측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2612)와 상기 제2 회전 부재(261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선반(26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3 결합 부재의 제3 회전부재(26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3 회전부재(2622)와 연결된 제3 내부재(2621)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내부재(2621)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부재(2621)과 결합된 제2 선반(2620)의 앞쪽은 하측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반(26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4 결합 부재의 제4 회전부재(26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4 회전부재(2625)와 연결된 제4 내부재(2624)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내부재(2624)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부재(2624)과 결합된 제2 선반(2610)의 뒤쪽은 상측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회전부재(2622)와 상기 제4 회전 부재(262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63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5 결합 부재의 제5 회전부재(26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5 회전부재(2632)와 연결된 제5 내부재(2631)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내부재(2631)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선반(263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선반(26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6 결합 부재의 제6 회전부재(263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6 회전부재(2635)와 연결된 제6 내부재(2634)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내부재(2634)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선반(2630)은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630)이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를 제어하여 상기 제5 회전부재(263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기 제6 회전 부재(2635)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 선반(2630)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를 제어하여 상기 제5 회전부재(263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기 제6 회전 부재(2635)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2710, 2720, 2730) 각각은 스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2710, 2720, 2730) 각각은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선반들(2710, 2720, 2730) 중 제1 선반(2710)과 제2 선반(2720)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710)의 앞부분이 상측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선반(2720)의 앞부분은 하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선반들(2710, 2720, 2730) 중 제1 선반(2710)과 제2 선반(2720)은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또한, 제3 선반(273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27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 부재의 제1 회전부재(271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재(2712)와 연결된 제1 내부재(2711)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부재(2711)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부재(2711)와 결합된 제1 선반(2710)의 앞쪽은 상측 방향(2717)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반(27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 부재의 제2 회전부재(27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재(2715)와 연결된 제2 내부재(2714)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내부재(2714)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부재(2714)과 결합된 제1 선반(2710)의 뒤쪽은 하측 방향(2718)으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2712)와 상기 제2 회전 부재(271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선반(27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3 결합 부재의 제3 회전부재(27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3 회전부재(2722)와 연결된 제3 내부재(2721)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내부재(2721)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부재(2721)과 결합된 제2 선반(2720)의 앞쪽은 하측 방향(2727)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반(27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4 결합 부재의 제4 회전부재(27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4 회전부재(2725)와 연결된 제4 내부재(2724)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내부재(2724)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부재(2724)과 결합된 제2 선반(2720)의 뒤쪽은 상측 방향(2728)으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부재(2722)와 상기 제4 회전 부재(272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63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2810, 2820, 2830) 중 제1 및 제2 선반들(2810, 2820)은 스윙하지 않고, 제3 선반(238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선반들(2810, 2820)과 제3 선반(2830)이 모두 움직일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선반들(2810, 2820)은 스윙되고, 제3 선반(2830)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선반들(2810, 2820)은 움직이지 않고, 제3 선반(2830)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선반이 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830)이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를 제어하여 상기 제5 회전부재(2832)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기 제6 회전 부재(2835)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5 회전부재(28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제6 회전 부재(28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선반(2830)은 상측 방향(2837, 2838)으로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선반(2830)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를 제어하여 상기 제5 회전부재(283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기 제6 회전 부재(2835)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5 회전부재(28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기 제6 회전 부재(28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3 선반(2830)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해당되는 슈즈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부 수납장의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식별할 수 있다(S2910). 상기 과정(S2910)은 도 23의 과정(S23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로 접근하는 사용자(2410)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부 수납장 내의 복수의 선반들의 스윙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S29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어 개폐감지 센서(412), 지문 센서(418), 및 노크 온 센서(417))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픈되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의 오픈에 기반하여, 현재 스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사용자(2410)의 접근이 식별되면, 현재 스윙 중인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식별할 수 있다(S2914). 상기 과정(S2914)는 도 23의 과정(S2312)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조절할 수 있다(S2916). 상기 과정(S2916)은 도 23의 과정들(S2314, S2316)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슈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9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해당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에 대한 상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하는 상기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수납된 상부 수납장(15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상시 케어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하는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선반의 스윙 속도 조절]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시 케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케어에 기반하여 복수의 선반들이 스윙하는 예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시 케어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에서의 기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31, 도 32a, 도 32b, 및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상시 케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S3110). 상기 과정(S3110)은 도 23의 과정(S23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부 수납장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3112).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적어도 1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 값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점차 줄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선반 별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선반들 각각의 스윙 속도가 제어하기 위한 하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S3114). 상기 프로세서(470)는 메모리(434)에 기 저장된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 별 스윙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150)의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어 신호를 각 선반의 해당 모터로 제공하여, 각각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점차 줄이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 [표 2]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선반의 스윙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거리(cm) 속도(RPM)
20cm 이하 0
21cm~40cm 2
41cm~60cm 4
61cm~80cm 6
81cm 이상 8
[표 2]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20cm 이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스윙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21cm 내지 40cm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2RPM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41cm 내지 60cm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4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41cm 내지 60cm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6RPM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61cm 내지 80cm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속도를 8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거리 및 속도에 대한 값은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다양한 거리와 다양한 속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어가 열리는지 감지할 수 있다(S31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어 개폐감지 센서(412), 노크온 센서(417), 및 지문 센서(418))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가 열리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시 케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중지시킬 수 있다(S31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이 현재 동작되고 있는 상시 케어를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시 케어 동안에 스윙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어들(110, 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기 전에,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가 20cm 이내인 경우, 상기 상시 케어를 중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의 신장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31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카메라(432),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거나, 또는 메모리(434)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예: 이름, 관계, 신장, 몸무게 등)를 통해 사용자의 신장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434)는 [표 1]과 같이 다양한 신장에 따른 선반의 스윙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장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29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 각도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예: 제1 선반, 제2 선반 및 제3 선반) 각각에 대한 스윙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어가 닫히는지 감지할 수 있다(S3122).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도어 개폐감지 센서(412), 노크온 센서(417), 및 지문 센서(418))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가 닫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오픈되어 있는 도어에 노크가 노크온 센서(417)를 통해 감지되면, 열려져 있는 도어를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부 수납장의 상시 케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재시작할 수 있다(S312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스팀 생성부(444), 저온열풍 생성부(446))를 통해 상부 수납장(150)에 수납된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상시 케어(예: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을 자외선 방사부(422), 광촉매 방사부(424), 및 플라즈마 방사부(42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슈즈를 상시 케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이 상시 케어에 대응되도록 스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시 케어에 대응되는 스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스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3110)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기 이전의 상시 케어와 유사한 환경(예: 스윙 속도, 슈즈 케어 환경(예: 온도, 습도 등))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스윙을 재시작할 수 있다.
도 3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에 포함된 복수의 선반들(3210, 3220) 각각은 서로 다른 속도 또는 같은 속도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선반들(3210, 3220) 각각은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선반들(3210, 3220) 중 제1 선반(3210)과 제2 선반(3220)은 서로 동일한 속도(또는 서로 상이한 속도)로 그리고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3210)의 앞부분이 상측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선반(3220)의 앞부분은 하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선반들(3210, 3220) 중 제1 선반(3210)과 제2 선반(3220)은 서로 동일한 속도(또는 서로 상이한 속도)로 그리고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에 배치된 복수의 선반들은 서로 상이한 속도 및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스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32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1 결합 부재의 제1 회전부재(321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연결된 제1 내부재(3211)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1 내부재(3211)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부재(3211)와 결합된 제1 선반(3210)의 앞쪽은 상측 방향(3217)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반(321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2 결합 부재의 제2 회전부재(32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재(3215)와 연결된 제2 내부재(3214)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내부재(3214)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부재(3214)과 결합된 제1 선반(3210)의 뒤쪽은 하측 방향(3218)으로 스윙된다.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 부재(321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을 통해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선반(3210)의 스윙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부(437)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터부(437)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는 회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결정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회전부재(3212)와 상기 제2 회전부재(3215)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선반(3210)는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선반(32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3 결합 부재의 제3 회전부재(32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연결된 제3 내부재(3221)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내부재(3221)의 하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부재(3221)과 결합된 제2 선반(3220)의 앞쪽은 하측 방향(3227)으로 스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반(3220)의 우 측면에 형성된 제4 결합 부재의 제4 회전부재(32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4 회전부재(3225)와 연결된 제4 내부재(3224)는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내부재(3224)의 상측 방향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부재(3224)과 결합된 제2 선반(3220)의 뒤쪽은 상측 방향(3228)으로 스윙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 부재(3225)의 회전 방향은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모터부(437)을 통해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의 회전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선반(3220)의 스윙 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부(437)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모터부(437)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는 회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결정된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3 회전부재(3222)와 상기 제4 회전부재(3225)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2 선반(3220)는 회전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3212, 3215)의 스윙 속도를 상기 제3 및 제4 회전부재(3222, 3225)의 스윙 속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모터부(437)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3212, 3215)의 스윙 속도를 상기 제3 및 제4 회전부재(3222, 3225)의 스윙 속도와 상이하도록 상기 모터부(437)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선반(3210, 3220)의 스윙 속도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와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예: 상부 수납장(150))의 하부에는 토출부(도 9의 토출부(9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도 9의 토출부(920))를 통해 토출된 공기(3310)는 상부 수납장(150)의 프레임(2540)의 내벽을 따라 상부로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토출된 공기(3310)는 각 선반(예: 제1 선반(3210))의 스윙 동작에 의해 상부 수납장(150) 내에서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선반(예: 도 32의 제1 선반(3210), 및 제2 선반(3220))의 스윙 속도가 빠를수록 상부 수납장(150) 내의 기류는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가 확산됨으로써, 상부 수납장(150) 내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일부를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두드림 패턴의 입력, 설정 및 동작 제어에 대해 기술한다
[두드림 패턴을 통한 슈즈 케어 장치를 제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의 도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크온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드림 패턴을 입력 받는 예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간격 및 음파 세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34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를 제어하는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4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각 기능을 두드림 패턴으로 제어하기 위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예: 두드림 패턴 설정 명령)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4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각 기능을 두드림 패턴으로 제어하기 위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예: 두드림 패턴 설정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예: 스마트 미러)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각 기능을 두드림 패턴으로 제어하기 위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예: 두드림 패턴 설정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화면을 상부 수납장(150)의 일 측에 배치된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150)은 왼쪽 도어(110)와 오른쪽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에는 스마트 미러(35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오른쪽 도어(120)에는 스마트 미러(35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도어(110, 120)의 일 측에는 노크온 센서(41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의 일 측에는 표시부(43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와 오른쪽 도어(120) 중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왼쪽 도어(110)의 일 측에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카메라(43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에 장착된 스마트 미러(3510, 3520)는 일반적인 미러와 같이 사물을 완전하게 반사시키는 미러 모드, 상기 제1 모드에 기반하여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스마트 미러 모드), 및 상기 프로세서(470)에 의한 적어도 일부의 정보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에 기반하여 슈즈 케어 장치(310)를 제어하기 위해, 두드림 패턴에 대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슈즈 케어 장치(310)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에 대한 정보 및 각 기능에 설정할 두드림 패턴의 설정 또는 삭제를 나타내는 정보(예: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화면을 스마트 미러(3510, 35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화면을 표시부(433)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면(3600)은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의 열림(3610),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의 잠금(3620), 및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조명 제어(36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3600)는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의 열림(3640),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의 잠금(3650),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조명 제어(3630), 및 상부 수납장(150)(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사용자별 적어도 하나의 슈즈가 놓여진 선반의 조명 제어(367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예: 동작 이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3600)은 각 기능에 대한 설정 메뉴(3611), 및 삭제 메뉴(36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면(3600)은 상술한 다양한 기능 이외에 슈즈 케어 장치(3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정보와 설정 메뉴 또는 삭제 메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에 따라 동작될 기능이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414).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 36의 화면(36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오픈을 두드림 패턴으로 입력하기 위해, 상부 수납장 도어 열림(3610)에 대한 설정 메뉴(3611)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4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 도어 열림(3610)에 대한 설정 메뉴(3611)가 선택된 후,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를 통해 입력되는 두드림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일 측에 배치된 노크온 센서(417)를 통해 두드림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크온 센서(417)는 마이크(3710)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720), 상기 증폭된 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3730), 및 잡음이 제거된 신호에 기반하여 두드림 패턴에 포함되는 각 두드림 간의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음파 세기를 식별하는 마이컴(3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710)는 상부 수납장(150)(또는 하부 수납장(160))에서 두드림에 의한 음파를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730)은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프로세서(470)로 전달하거나, 또는 각 두드림 간의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음파 세기를 상기 프로세서(47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도 36에서 상부 수납장 도어 열림(3610)에 대한 설정 메뉴(3611)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 도어 열림(361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을 입력 받기 위한 화면(3800)을 스마트 미러(또는 표시부(433))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3800)은 두드림 패턴을 입력 받는 제1 영역(3810), 상기 제1 영역(3810)에 입력된 두드림 패턴의 시간에 따른 음파 세기를 표시하는 제2 영역(38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3800)은 입력된 두드림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 메뉴(3830)와 입력된 두드림 패턴을 취소하는 취소 메뉴(38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에서 상부 수납장 도어 열림(3610)에 대한 설정 메뉴(3611)가 선택되어, 상기 화면(38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체 일부(예: 손(3850)) 또는 두드림을 전달할 수 있는 객체(예: 펜 등)를 통해 두드림 패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입력된 두드림 패턴에 대한 음파 세기를 제2 영역(38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두드림 패턴은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 및 오른쪽 도어(1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두드림 패턴은 하부 수납장(160)의 왼쪽 도어(130) 및 오른쪽 도어(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두드림 패턴은 왼쪽 도어(110, 130)와 오른쪽 도어(120, 140)를 번갈아가며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어 별로 입력되는 두드림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각 기능에 따라 설정되는 두드림 패턴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a)는 상부 수납장의 도어 열림(361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9의 (b)는 상부 수납장의 도어 잠금(362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9의 (c)는 사용자 별 선반 조명(3670)에 대한 두드림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 열림(361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은 제1 시각(t1)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1 두드림(3911), 제2 시각(t2)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2 두드림(3912), 및 제3 시각(t3)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3 두드림(3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각(t1)과 상기 제2 시각(t2) 간의 시간 차이는 상기 제2 시각(t2)과 상기 제3 시각(t3) 간의 시간 차이와 동일(또는 무시할 정도의 오차를 갖는 범위 이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 잠금(362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은 제1 시각(t1)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1 두드림(3921), 제2 시각(t4)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2 두드림(3922), 및 제3 시각(t5)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3 두드림(39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각(t1)과 상기 제2 시각(t4) 간의 시간 차이는 상기 제2 시각(t4)과 상기 제3 시각(t5) 간의 시간 차이와 동일(또는 무시할 정도의 오차를 갖는 범위 이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a)에서의 시간 차이는 도 39의 (b)에서의 시간 차이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 두드림의 시간 차이와 각 두드림의 음파 세기를 식별하여 기능 설정 또는 일치한 패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납장(150)의 사용자 별 선반 조명(3670)에 따른 두드림 패턴은 제1 시각(t1)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1 두드림(3931), 제2 시각(t6)에 제2 음파 세기(Th2)를 갖는 제2 두드림(3932), 제3 시각(t7)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3 두드림(3933), 및 제4 시각(t8)에 제1 음파 세기(Th1)를 갖는 제4 두드림(39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각(t1)과 상기 제2 시각(t6) 간의 시간 차이는 상기 제2 시각(t6)과 상기 제3 시각(t7) 간의 시간 차이와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시각(t6)과 상기 제3 시각(t7) 간의 시간 차이는 상기 제3 시각(t7)과 상기 제4 시각(t8) 간의 시간 차이와 동일(또는 무시할 정도의 오차를 갖는 범위 이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두드림 패턴에 포함된 각 두드림 간의 시간 차이와 음파 세기는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두드림 간의 시간 차이 및 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기능 설정 또는 일치한 패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두드림 패턴에 포함되는 두드림 횟수는 적어도 1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을 상기 선택된 기능에 매칭할 수 있다(S3418).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 두드림 패턴에서 각 두드림의 시간 간격 및 상기 각 두드림의 세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각 두드림의 시간 간격 및 상기 식별된 세기를 해당 기능(예: 도 36의 화면(3600) 상에서 선택된 기능)에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 시간 간격 및 각 세기에 일정 마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다른 기능이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420). 상기 프로세서(470)는 도 36의 화면(3600)을 통해 다른 기능이 선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과정들(S3416 및 S3418)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3412 내지 S341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두드림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매칭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S3422).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두드림 패턴에 대한 매칭된 결과(예: 각 시간 간격 및 각 세기에 기반하여 실행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매칭된 결과는 입력되는 두드림 패턴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된 결과는 각 시간 간격에 대한 정보, 각 음파 세기에 대한 정보, 도어 식별자(즉, 왼쪽 도어를 통해 두드림이 입력되었는지, 또는 오른쪽 도어를 통해 두드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도어의 식별자 정보), 및 두드림의 입력에 기반하여 실행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드림 패턴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4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두드림 패턴의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두드림 패턴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40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도어(예: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 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130, 140))를 통해 두드림 패턴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기 저장된 두드림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S40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및 음파 세기와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및 음파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및 음파 세기와 동일한(또는 마진 범위 내에서 유사한) 두드림 패턴의 각 두드림에 대한 시간 및 음파 세기가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되어 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일치하는 두드림 패턴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40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 중에서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의 시간 및 음파 세기 중에서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의 시간 및 음파 세기와 동일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40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 중에서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두드림 패턴의 시간 및 음파 세기 중에서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의 시간 및 음파 세기와 동일한 패턴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입력된 두드림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 열림,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 잠금, 및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조명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은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 열림,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 잠금,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조명 제어, 및 사용자 별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조명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손잡이의 살균 처리에 대해 기술한다.
[도어 손잡이의 살균 처리]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터치한 예시도이다. 도 4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예시도이다. 도 4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납장 도어의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의 복수의 발광 소자들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 세척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1, 도 42a, 도 42b, 도 43a, 도 43b, 및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의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4110). 상기 과정(S4110)은 도 23의 과정들(S2310, S2312)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S41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내측, 또는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130, 140)의 내측에 배치된 지문 센서(418)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418)는 사용자가 도어를 파지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2a를 참조하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하부와 하부 수납장(150)의 도어(130, 140)의 상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내부가 들어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4210)가 상부 수납장(150)의 오른쪽 도어(120)를 오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4210)는 상부 수납장(150)의 오른쪽 도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른쪽 도어(120)를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4210)가 상부 수납장(150)의 오른쪽 도어(120)를 파지한 경우, 상기 오른쪽 도어(120)의 내측에 구비된 지문 센서(418)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정보를 프로세서(47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3a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의 내측에는 지문 센서(4310)와 복수의 발광 소자들(433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수납장(150)의 오른쪽 도어(120)의 내측에는 지문 센서(4320)와 복수의 발광 소자들(434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433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예: LED)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예: UV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의 내측 및/또는 오른쪽 도어(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3b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장(150)의 왼쪽 도어(110)의 내측 하부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4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4330) 중 제1 발광 소자(예: LED)와 제2 발광 소자(예: UVC LED)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소자(4331)(예: LED)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4331)(예: LED) 옆에 제2 발광 소자(4332)(예: UVC LED)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발광 소자(4332)(예: UVC LED) 옆에 제3 발광 소자(4333)(예: LED)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예: 오른쪽 도어(120))의 하부 내측에는 지문 센서(4320)와 발광부(43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부(4340)는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 소자(예: LED)와 제2 발광 소자(예: UVC LED)가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예: 오른쪽 도어(140))의 하부 내측에는 지문 센서(4310)와 반사판(442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4420)은 상기 제2 발광 소자에서 발광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반사판(4420)을 통해 반사되는 광은 상기 상부 수납장(150) 및 상기 하부 수납장(160) 각각의 손잡이 부분으로 반사되어, 손잡이 부분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 별로 살균 강도를 다르게 조절하여 터치가 감지된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S41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손잡이 또는 상기 하부 수납장(160)의 손잡이를 터치하는 사용자 별(예: 아버지, 어머지, 아들, 딸 등)로 상기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도 42b를 참조하면, 도 42a에서 사용자(4210)가 도어(120)의 손잡이 부분을 파지한 후, 상기 손잡이 부분으로부터 사용자(4210)의 손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사용자(4210)의 식별, 상기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터치 시간 대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발광부(4340)의 적어도 하나의 UVC LED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다르게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살균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손잡이가 살균 처리 중임을 나타내도록 상기 발광부(4340)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발광시켜 손잡이 부분이 현재 살균 처리중(4220)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를 살균 처리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S4116).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손잡이가 살균 중인 경우, 상기 손잡이가 살균 처리 중임을 나타내도록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예: LED)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예: UVC LED)는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예: LED)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발광 소자(예: UVC LED)는 하부 수납장(160)의 도어(130, 140)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터치한 회수를 누적할 수 있다(S41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각각이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상기 손잡이를 터치한 시간 대를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에 대한 손 세척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41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사용자 별로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도어의 손잡이를 터치한 터치 시간 대에 기반하여, 사용자 별로 손 세척을 유도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는 손 세척의 중요성, 손 세척 방법 등 손의 오염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33)는 상기 상부 수납장(150)의 도어(110, 120)(예: 스마트 미러(3510, 3520))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어(110, 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를 터치한 사용자의 식별에 기반하여, 해당 사용자가 손을 세척할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4510)를 표시부(4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4510)는 사용자 별 손 세척을 권유하는 내용(4511), 및 손 세척 방법(4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세척을 권유하는 내용(4511)에는 식별된 사용자의 이름, 관계, 직위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 메시지(4510)는 손 세척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 메뉴(4513)가 선택되면, 상기 알림 메시지(4510)의 표시는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러한 알림 메시지(4510)의 표시를 원하지 않는 경우, 설정 메뉴(4514)로 진입하여 알림 메시지의 표시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가 시간 대 별로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4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케어 장치가 시간 대 별로 손잡이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가 터치된 시간 대 및 터치된 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S4610).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 각각이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 및 각 사용자 별로 손잡이를 터치한 시간 대를 메모리(4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이러한 저장을 통해, 주로 어느 시간 대에 손잡이의 터치가 많이 발생하는지, 누가 주로 언제 손잡이를 터치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시간대 별 누적 횟수에 기반하여 손잡이의 살균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S46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를 터치하는 사용자 별(예: 아버지, 어머지, 아들, 딸 등)로 손잡이를 터치한 횟수를 메모리(434)에 누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470)는 시간 대 별로 손잡이를 터치하는 횟수를 메모리(434)에 누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이러한 누적 결과를 통해 상기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발광 소자를 이용한 살균 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를 터치하는 횟수가 많은 시간대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살균 강도를 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손잡이를 터치하는 횟수가 적은 시간대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살균 강도를 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시각이 설정된 시간 대에 도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4614).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시각(예: 오후 5시 59분)이 설정된 시간(예: 오후 6시 내지 7시)에 도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시각(예: 오후 5시 59분)이 설정된 시간(예: 오후 6시 내지 7시)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발광부(439)를 통한 살균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설정된 살균 강도에 기반하여 손잡이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S4616). 예를 들면, 현재 시각(예: 오후 6시)이 설정된 시간(예: 오후 6시 내지 7시)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발광부(439)를 통해 살균 강도를 강으로 하여 살균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3분) 동안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손잡이를 살균 처리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S4618).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손잡이가 살균 중인 경우, 상기 손잡이가 살균 처리 중임을 나타내도록 발광부(439)의 적어도 하나의 LED를 발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현재 손잡이 부분을 살균 처리하고 있음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슈즈 수납장 내부에 배치된 각각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에 대해 기술한다.
[선반 제어]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에 대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47, 도 48, 및 도 4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에 슈즈가 수납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S4710). 상기 과정(S4710)은 도 5의 과정(S510), 및 도 7의 과정(S710)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S47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거리 측정 센서(416), 및 IR 센서(419)) 및/또는 카메라(432))를 통해 슈즈 케어 장치(310)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복수의 센서들이 측정한 거리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무시할 수 있는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동일한 거리 값을 획득한 복수의 센서들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센서의 위치보다 슈즈의 높이가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내벽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거리 값들(예: 센서와 슈즈와의 거리, 또는 센서와 타측 내벽과의 거리) 중에서 거리 값이 달라지는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거리 값이 달라지는 센서의 식별(예: 센서의 높이를 식별)에 기반하여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은 제1 내지 제4 수납 공간들(4810, 4820, 4830, 484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하부에는 전장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납 공간(4810)과 제2 수납 공간(4820) 사이에는 제1 선반(488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수납 공간(4830)과 제4 수납 공간(4840) 사이에는 제2 선반(488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선반(4881) 및 상기 제2 선반(4882) 중 적어도 하나는 중간에 선반을 접히거나 펼칠 수 있는 결합부재(미도시)(예: 모터 등)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선반(4881) 및 상기 제2 선반(4882) 중 적어도 하나는 이러한 결합 부재(미도시)(예: 모터 등)를 통해 접혀질 수 있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선반(4881)이 접혀져 있는 경우, 제1 수납 공간(4810) 및 제2 수납공간(4820)을 통해 슈즈(4850)(예: 부츠)를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선반(4882)이 펼쳐져 있는 경우, 제3 수납 공간(4830) 및 제4 수납공간(4840) 각각에 슈즈(4860)(예: 운동화)를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수납공간(4840)의 내벽(4880)에는 복수의 센서들(4841, 4842, 4843...)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납 공간(4810)의 제1 내벽(4870)에는 복수의 센서들(예: 제1 센서(4811), 제2 센서(4812), 제3 센서(4813), 제4 센서(4814), 제5 센서(4815))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 공간의 내벽에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예: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의 존재 여부 및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슈즈의 높이에 기반하여 해당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수납 공간(4830)에 슈즈(4860)(예: 운동화)가 수납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수납된 슈즈(4860)(예: 운동화)의 높이를 적어도 하나의 센서(4841, 4842, 4843…)를 통해 슈즈(4860)(예: 운동화)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4860)(예: 운동화)의 높이에 기반하여 제2 선반(4882)을 접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선반(4882)에 배치된 모터로 전송하여 상기 선반을 펼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를 비교할 수 있다(S4714). 슈즈 케어 장치(310)의 메모리(434)는 다양한 슈즈에 대한 크기, 디자인, 폭 및 높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다양한 슈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슈즈의 종류, 크기, 높이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상기 메모리(434)에 저장된 다양한 슈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슈즈의 정확한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는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상부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약 20cm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약 20cm 보다 높거나, 또는 높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높이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 수납장 내부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716).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선반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큰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모터에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47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해당 모터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은 접혀질 수 있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다.
도 49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4910)은 일정 각도(예: 180o)로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반(4910)은 제1 부재(4911)와 제2 부재(4912)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4911)와 제2 부재(4912)는 모터부(437)의 해당 모터를 통해 움직임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의 내부에는 관로(49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로(4913)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를 수 있다.
도 49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4920)은 일정 각도(예: 90o)로 접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반(4920)은 제1 부재(4911)와 제2 부재(4912)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의 내부에는 관로(49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로(4913)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를 수 있다.
그러나, 도 49의 (b)와 같이 제1 부재(4911)가 제2 부재(4912)가 평행하지 않고 일정 각도가 형성된 경우,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 중 어느 하나의 부재(예: 제2 부재(4912))를 통해 흘러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484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9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반(4930)은 완전하게(예: 0o) 접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반(4930)은 제1 부재(4911)와 제2 부재(4912)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제1 부재(4911)는 연결 부재를 통해 제2 부재(4912)와 평행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의 내부에는 관로(49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로(4913)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가 완전하게 접혀질 경우,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재(4911)와 상기 제2 부재(4912) 중 어느 하나의 부재(예: 제2 부재(4912))를 통해 흘러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484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7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반 내의 관로를 통해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S4720). 상기 프로세서(470)는 펼쳐진 선반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접혀진 선반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반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선반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는 서로 결합되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에는 접혀지는 부분에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 패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슈즈의 높이에 따라 선반의 펼침 및 접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슈즈 수납장의 선반의 접힘 또는 펼침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에 슈즈가 수납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S5010). 상기 과정(S5010)은 도 47의 과정(S47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S5012). 상기 과정(S5012)은 도 47의 과정(S4712)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를 비교할 수 있다(S5014). 상기 과정(S5014)은 도 47의 과정(S4714)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지 식별할 수 있다(S50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예: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각 수납장)의 높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슈즈 수납장의 바닥에서 위에 위치한 선반의 높이는 약 20cm일 수 있다. 이러한 높이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018). 상기 과정(S5012)에서 획득한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수납장의 높이보다 작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수납장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슈즈는 수납 공간에 충분히 수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 공간의 위에 위치한 수납 공간에 슈즈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을 펼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모터에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펼쳐지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수납 공간에 수납된 슈즈의 높이에 따라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질 수 있다.
도 51의 (a)를 참조하면, 슈즈(5140)의 높이가 낮은 경우(예: 운동화, 단화, 실내화 등),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5140)의 높이를 식별하여 선반(5110)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511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수납 공간의 내벽(5120)에 배치된 팬(5130)을 동작시켜, 팬(5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반(5110)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5111)를 통해 슈즈(5140)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51의 (b)를 참조하면, 슈즈(5160)의 높이가 높은 경우(예: 부츠, 장화 등),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5160)의 높이를 식별하여 선반(5150)이 접혀지도록 해당 모터(5152)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수납 공간의 내벽(5120)에 배치된 팬(5130)을 동작시켜, 팬(5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반(5150)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5152)를 통해 수납 공간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접혀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S5022). 상기 과정(S5012)에서 획득한 슈즈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수납장의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접혀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큰 경우,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위에 위치한 선반이 접혀지도록 상기 선반의 스윙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이 접혀지도록 하는 제어 신호(예: 해당 모터의 토크 값)를 펼치고자 하는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선반 내의 관로를 통해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S5024). 상기 프로세서(470)는 펼쳐진 선반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여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 케어 장치(310)의 집중 케어 기능(예: 이물질 제거, 살균/탈취, 스팀/살균, 제습/건조, 및 영양/발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을 통해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가 종료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026). 상기 프로세서(470)는 미리 결정된 시간(약 40분) 동안 집중 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에 대한 집중 케어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예: 40분)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에 대한 집중 케어 기능이 종료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집중 케어 기능은 사용자의 명령, 미리 결정된 시간 초과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종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통해 상기 선반이 접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28).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모드가 종료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통해 상기 선반이 접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 모드가 종료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선반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당되는 모터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부 수납장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을 기술한다.
[회전 관로부 제어]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상측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 내의 확장 관로부가 하측으로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52, 도 53, 도 54, 및 도 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감지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210). 상기 과정(S5210)은 도 47의 과정(S47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S52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 내에 슈즈가 수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관로 모듈의 회전 관로부를 상기 슈즈가 위치한 방향(예: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종류에 대한 식별에 기반하여 회전 관로부의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식별된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회전 관로부가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는 수납 공간 각각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관로부는 수납 공간 각각의 상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 높이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회전 관로부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높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2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 높이는 상기 제1 임계 높이와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가 50cm이고, 상기 회전 관로부의 길이가 10cm인 상태에서,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예: 수납 공간의 높이에서 회전 관로부의 길이를 차감한 높이(예: 40cm)) 보다 크지 않은 경우(예: 38cm),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가 50cm이고, 상기 회전 관로부의 길이가 10cm인 상태에서,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제2 임계 높이(예: 수납 공간의 높이에서 회전 관로부의 길이를 차감한 높이(예: 40cm)) 보다 크지 않은 경우(예: 30cm),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는 상측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관로 모듈(5300) 내에 매립될 수 있고, 하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 모듈(5300)은 두 개의 관로 모듈(5300a, 5300b)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로 모듈(5300a)는 제1 열 교환부(5310a), 제1 팬(5320a), 제1 관로부(5330a), 제1 회전 관로부(534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로 모듈(5300b)는 제2 열 교환부(5310b), 제2 팬(5320b), 제2 관로부(5330b), 제2 회전 관로부(53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관로 모듈은 함께 동작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납 공간에 슈즈가 한 켤레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관로 모듈(5330a, 5330b)는 함께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수납 공간에 슈즈가 한 켤레가 아닌 한 짝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관로 모듈(5330a, 5330b) 중 한 짝의 슈즈가 놓여진 위치에 해당되는 하나의 관로 모듈이 동작이 동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또는 제2의 표현을 생략하여 설명(예: 제1 관로 모듈(5330a), 및 제2 관로 모듈(5330b)을 관로 모듈(5330)로 표현)하였으나, 해당 구성 요소는 제1 및 제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 교환부(5310)는 팬(5320)에 연이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 교환부(5310)는 팬(5320)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열 교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열 교환부(5310)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와 열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열 교환부(5310)는 펠티어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5320)은 열 교환부(5310)에서 생성된 공기를 수납 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고, 관로부(5330)는 팬(5320)에 의해 전달되는 공기를 회전 관로부(5340)를 통해 수납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부(5330)는 수납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로부(5330)는 수납 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부(5330)는 팬(5320)에 연이어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5330)는 하측으로 굽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팬(5320)를 통과하며 관로부(533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수납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관로부(5340)는 회전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모터(535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수납 공간에 슈즈가 없는 경우에는 관로 모듈(5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수납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할 경우, 모터(5350)의 동작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고정 하우징(53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고정 하우징(5370)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삽입되거나, 수납 공간으로 회전하여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에 연결되며, 회전 관로부(5340)를 하측 방향(예: 슈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의 회전중심에 축 연결되어 회전 관로부(5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5350)는 모터부(도 4의 모터부(437))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의 회전 중심에 직결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5360)는 확장 관로부(55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5360)는 슈즈의 내창에 접하는 경우 회전하여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롤러(5360)는 슈즈의 내창을 향하여 돌출되며, 슈즈의 내창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5210)에서 슈즈가 감지되는 경우, 모터(535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관로부(5340)를 상기 슈즈가 놓여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5340)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확장 관로부(5520)를 하측 방향(예: 회전 관로부(5340)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방향에 연장하여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외관을 형성하는 회전 관로 몸체(5510), 상기 회전 관로 몸체(5510)의 내측에 배치된 확장 관로부(5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 몸체(551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슈즈의 내창에 접하며, 가변 관로부의 연성에 의해 슈즈의 전방으로 굽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회전 관로부(534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다른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는 롤러(535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는 슈즈의 내부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토출되는 토출구(55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5540)는 회전 관리부(5340)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의 끝 부분이다. 또한,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5530)(예: UV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는 발광부(예: 도 4의 발광부(439))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슈즈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회전 관리부(534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5340)의 하부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여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S52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케어부(440)에 의해 생성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회전 관로부(5340)의 관로를 통해 슈즈를 집중 케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내부에 형성된 관로는 상기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슈즈 내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집중 케어는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기능, 상기 슈즈의 살균 및 탈취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2 기능, 상기 슈즈의 스팀 및 살균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3 기능, 상기 슈즈의 제습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슈즈의 영양 및 발수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5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하부(예: 회전 관로부(5340)에 삽입된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예: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플라즈마 방사부(426))를 통해 광 촉매,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슈즈를 살균 및/또는 냄새를 탈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슈즈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S52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하부(예: 회전 관로부(5340)에 삽입된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5530)(예: USV LED)를 통해 상기 슈즈의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가 종료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2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5214, S5216)이 수행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슈즈를 집중 케어하는 시간이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정위치 시킬 수 있다(S52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에 대한 집중 케어가 종료되면,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켜 관로 모듈(5300)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굽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의 내창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의 내측으로 향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가 슈즈 내측으로 향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56, 도 57, 도 58a, 도 58b, 도 58c, 도 59a, 및 도 5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에 배치된 회전 관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감지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610). 상기 과정(S5610)은 도 47의 과정(S47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S56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센서부(4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거리 측정 센서(416), 및 IR 센서(419)) 및/또는 카메라(432))를 통해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에 놓여진 슈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거리 측정 센서(416), 및 IR 센서(419)) 및/또는 카메라(432))를 통해 상기 식별된 슈즈가 운동화와 같이 높이가 낮은지, 또는 부츠와 같이 높이가 높은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예: 거리 측정 센서(416), IR 센서(419) 등)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거리 값을 통해 슈즈의 높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S5614). 상기 프로세서(470)는 관로 모듈(5300)의 회전 관로부(5340)를 슈즈가 위치한 방향(예: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종류(또는 높이)에 대한 식별에 기반하여 회전 관로부(5340)의 회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5340)를 슈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 높이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회전 관로부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는 높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5610)에서 슈즈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5350)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관로부(5340)가 상기 슈즈가 놓여진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확장 관로부를 슈즈 내부로 확장시킬 수 있다(S56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5612)에서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제2 임계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회전 관로부(5340)를 슈즈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5520)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 높이는 상기 제1 임계 높이와 같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가 50cm이고,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길이가 10cm인 상태에서,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가 제1 임계 높이(예: 수납 공간의 높이에서 회전 관로부(5340)의 길이를 차감한 높이(예: 40cm)) 보다 크지 않은 경우(예: 38cm),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5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5520)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가 50cm이고,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길이가 10cm인 상태에서, 상기 슈즈의 높이가 제2 임계 높이(예: 수납 공간의 높이에서 회전 관로부(5340)의 길이를 차감한 높이(예: 40cm)) 보다 크지 않은 경우(예: 30cm),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회전시킨 후,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에 형성된 확장 관로부(5220)를 상기 슈즈의 내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관로부(5340)는 상측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관로 모듈(5300) 내에 매립될 수 있고, 하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7의 관로 모듈과 도 53의 관로 모듈에서 동일한 특징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또는 제2의 표현을 생략하여 설명(예: 제1 관로 모듈(5330a), 및 제2 관로 모듈(5330b)을 관로 모듈(5330)로 표현)하였으나, 해당 구성 요소는 제1 및 제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관로부(5340)는 회전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수납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모터(535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수납 공간에 슈즈가 없는 경우에는 관로 모듈(53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에 연결되며, 회전 관로부(5340)를 하측 방향(예: 슈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의 회전중심에 축 연결되어 회전 관로부(5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5350)는 모터부(도 4의 모터부(437))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5350)는 회전 관로부(5340)의 회전 중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5360)는 확장 관로부(55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5360)는 슈즈의 내창에 접하는 경우 회전하여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롤러(5360)는 슈즈의 내창을 향하여 돌출되며, 슈즈의 내창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하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확장 관로부(5520)를 하측 방향(예: 회전 관로부(5340)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관로부(5340)는 외관을 형성하는 회전 관로 몸체(5510), 상기 회전 관로 몸체(5510)의 내측에 배치된 확장 관로부(5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관로 몸체(5510)는 일 측과 타 측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슈즈의 내창에 접하며, 가변 관로부의 연성에 의해 슈즈의 전방으로 굽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회전 관로부(5340)의 내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상부 관로부(5710), 상기 상부 관로부(5710)의 하측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관로부(5720), 및 상기 가변 관로부(5720)의 하측과 연결되며 하부에 롤러(5360)가 배치된 하부 관로부(57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관로부(5710)와 상기 하부 관로부(573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관로부(572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관로부(5730)의 하부에는 슈즈의 바닥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536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가 슈즈 내측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관로부(5730)의 하부가 슈즈의 바닥에 닿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확장 관로부(5520)가 슈즈 내측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관로부(5730)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5360)와 상기 가변 관로부(5720)에 의해, 상기 하부 관로부(5730)의 확장 방향은 상기 상부 관로부(5710)의 확장 방향과 다른 방향(예: 슈즈 내측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도 5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5520)가 슈즈 내측으로 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상기 프로세서(470)가 모터(5350)를 제어함으로써, 선반(5810)에 놓여진 슈즈(5840)(예: 운동화)의 내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면에 형성된 토출구(5540)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토출(5831)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5540)를 통해 토출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슈즈(5840)의 내측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 공간의 내부에는 서브 팬(582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팬(5820)은 수납 공간 내로 토출된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수납 공간에서 확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5520)가 슈즈의 내창(5841)에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상기 프로세서(470)가 모터(5350)를 통한 제어 하에, 선반(5810)에 놓여진 슈즈(5840)(예: 운동화)의 내측 방향(5851)으로 지속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결국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5360)는 슈즈(5840)(예: 운동화)의 내창(5841)에 맞닿을 수 있다.
이러한 확장 관로부(5520)는 회전 관로부(5340)에 연결되며, 수납 공간의 내측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기 회전 관로부(5340)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에 형성된 제1 관로와 연결되는 제2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슈즈(5840)(예: 운동화)의 내측 방향(5851)으로 토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 관로부(5520)가 슈즈의 내창(5841)에 맞닿은 상태에서, 모터(5350)가 지속적으로 상기 확장 관로부(5520)를 하측 방향(5851)으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면, 상기 확장 관로부(5520)에서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 관로부(5720)는 슈즈(5840)의 내측 방향(5852)으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확장 관로부(5520)는 슈즈(5840)(예: 운동화)의 내측 방향(5852)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하면에 형성된 토출구(5540)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슈즈(5840) 내측에서 토출(5832)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확장 관로부(5520)를 도 58a, 도 58b, 및 도 58c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하여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식별된 슈즈의 높이에 기반하여 확장 관로부의 확장 또는 삽입을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56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높이에 기반하여, 상기 확장 관로부(5520)가 상기 회전 관로부(5340) 외부로의 확장 및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부로의 삽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의 모터(53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9a 및 도 59b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확장과 삽입을 슈즈 케어 과정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슈즈(5910)(예: 부츠)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케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5910)(예: 부츠)가 미리 결정된 높이 보다 큰 종류(예: 부츠, 장화 등)인 것으로 판단되면, 확장 관로부(5520)를 상기 회전 관로부(5340) 외부로의 확장 및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부로의 삽입을 반복적으로 수행(5920)하도록 상기 회전 관로부(5340) 내의 모터(53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 공간 내의 선반(5910)은 슈즈(5910)의 높이의 식별에 기반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8a 내지 도 58c와 같이, 슈즈(5910)가 운동화인 경우, 상기 선반(5910)은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펼쳐지도록 동작되거나, 또는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도 59a와 같이, 슈즈(5910)가 부츠인 경우, 상기 선반(5910)은 상기 프로세서(470)의 제어 하에 접혀지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5910)은 제1 서브 선반(5911)과 제2 서브 선반(5912)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9a 및 도 59b에서는 하나의 수납 공간에 열 교환부(5310)와 팬(532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각각의 수납 공간의 상측에는 열 교환부와 팬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선반이 접혀진 경우, 슈즈의 위 부분에 위치한 열 교환부(5310)와 팬(5320)은 동작되고, 슈즈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열 교환부(미도시)와 팬(미도시)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확장 관로부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확장 관로부의 하부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여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S5620). 상기 프로세서(470)는 케어부(440)에 의해 제공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회전 관로부(5340)의 관로를 통해 슈즈를 집중 케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슈즈를 집중적으로 케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하부(예: 회전 관로부(5340)에 삽입된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소자(예: 자외선 방사부(422), 광 촉매 방사부(424), 플라즈마 방사부(426))를 통해 광 촉매,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방사하여 상기 슈즈를 살균 및/또는 냄새를 탈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이 지속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상태(5920)에서,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하여 슈즈를 케어할 수 있다. 상기 확장 관로부(55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는 슈즈의 상태(예: 이물질 흡착 정도, 세균 감염 정도 등) 또는 슈즈의 종류(예: 구두, 운동화, 부츠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확장 관로부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통해 슈즈의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S5622).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회전 관로부(5340)의 하부(예: 회전 관로부(5340)에 삽입된 확장 관로부(5520)의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USV LED)를 통해 상기 슈즈의 내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각각의 확장 관로부(5520a, 5520b)가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케어가 종료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562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들(S5618, S5620, S5622)이 수행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시간은 슈즈를 집중 케어하는 시간이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회전 관로부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S5626).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에 대한 집중 케어가 종료되면, 회전 관로부(5340)를 회전시켜 관로 모듈(5300)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납 공간 내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롤링 브러쉬 제어]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위치를 조절하기 전의 예시도이다. 도 6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롤링 브러쉬를 제어하여 슈즈의 위치를 조절한 후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 60, 도 61a, 도 6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공간 내의 슈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감지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6010). 상기 과정(S6010)은 도 47의 과정(S47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슈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6012). 상기 프로세서(470)는 카메라(432)를 통해 슈즈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 내에 슈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 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416),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IR 센서(419)에서 측정된 값을 통해 상기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 내에 슈즈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416), 및 적어도 하나의 IR 센서(419)는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내부 벽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벽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제어하여 슈즈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S6014). 슈즈 수납장(예: 하부 수납장(160))의 수납 공간에는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해당 수납 수납장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1a 및 도 61b를 참조하면, 슈즈 수납장 하부에는 복수의 롤링 브러쉬들을 포함하는 롤링 브러쉬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롤링 브러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는 상기 프로세서(470), 및 상기 구동부(435)의 제어 하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롤링 브러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는 상기 모터부(437)의 모터의 제어 하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슈즈 수납장(6110)에는 슈즈(6120)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슈즈(6120)는 슈즈 수납장(6110)의 내부에서 우측 방향에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6120)의 위치, 무게 또는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6111, 6112, 6113, 6114, 6115, 6116, 6117)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6111, 6112, 6113, 6114, 6115, 6116, 6117)의 회전 방향(예: 반시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예: 반시계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6111, 6112, 6113, 6114, 6115, 6116, 6117)를 회전시켜, 상기 슈즈(6120)가 좌측 방향(61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6131, 6132, 6133)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슈즈(6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61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6131, 6132, 6133)의 방향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을 통해 수납 공간 내의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에 슈즈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롤링 브러쉬 모듈의 롤링 브러쉬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 62, 도 63, 도 64, 도 6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을 통해 수납 공간 내의 슈즈를 케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가 감지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6210). 상기 과정(S6210)은 도 47의 과정(S4710)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S6212). 상기 과정(S6212)는 도 5의 과정(S512)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슈즈 케어 장치(310)의 메모리(434)는 다양한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에 따른 온도, 습도, 통풍 정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기능, 종류, 및 상태에 따른 해당 데이터를 메모리(434)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회전 속도, 동작 시간, 및 회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재질(예: 가죽, 천, 고무 등), 종류(예: 운동화, 구두 등), 및 상태(예: 청결 상태)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회전 속도(예: RPM), 동작 시간(예: 10분), 및 회전 방향(예: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슈즈의 재질, 종류 및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슈즈의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 시간(예: 회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예: 슈즈의 바닥)에 흡착된 이물질(예: 흙)이 많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 시간(예: 회전 시간)을 제1 시간(예: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예: 슈즈의 바닥)에 흡착된 이물질이 많지 않은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의 동작 시간을 제1 시간(예: 10분) 보다 적은 제2 시간(예: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은 슈즈에 흡착된 이물질의 양, 슈즈의 재질, 슈즈의 종류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제어하여 슈즈의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S6214).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각 롤링 브러쉬와 결합된 모터를 동작시켜 해당 롤링 브러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3, 및 도 6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적어도 하나의 롤링 바디(6310), 각 롤링 바디(6310)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6320), 및 외부 장치(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무선 충전 모듈(6330),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6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진동시키는 액츄에이터(actuator)(635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6360), 및 상기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모터(6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전반적인 동작(예: 무선 전력 수신, 무선 전력 충전, 롤링 브러쉬의 회전, 액츄에이터 제어, 초음파 진동자 제어 등)을 제어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638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PCB에서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470)에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슈즈(642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또는 PCB(6380))는 상기 슈즈의 위치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6500)를 상기 슈즈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슈즈(64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470)(또는 PCB(6380))는 상기 슈즈의 위치에 해당되는 복수의 롤링 브러쉬들(6500) 중 각각의 롤링 브러쉬(예: 제1 롤링 브러쉬)가 인접한 다른 롤링 브러쉬(예: 제2 롤링 브러쉬)와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롤링 브러쉬(예: 제1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제1 롤링 브러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 롤링 브러쉬에 인접한 제2 롤링 브러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제2 롤링 브러쉬에 인접한 제3 롤링 브러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서로 인접한 롤링 브러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롤링 브러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 각각에 결합된 모터(6370))를 동작시켜, 롤링 브러쉬를 회전(예: 시계 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가 회전중이거나, 또는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의 일 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진동자(6360)를 진동시켜 적어도 하나의 롤링 브러쉬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링 브러쉬 모듈(6300)은 슈즈(6420)의 움직임을 제어(또는 방지)하기 위한 홀더(6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6410)는 슈즈(6420)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슈즈(642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링 브러쉬(6500)는 좌우 양 측에 배치되어 롤링 브러쉬(6500)를 진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진동자(6360), 상기 롤링 브러쉬(6500)를 회전시키는 모터(6370), 상기 초음파 진동자(6360)와 상기 모터(6370) 사이에 배치된 브러쉬 사이드 데코(6540), 롤링 바디(6310), 상기 롤링 바디(6310)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브러쉬(6320), 상기 롤링 바디(63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자외선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6510), 및 상기 롤링 바디(6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63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톱니(6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6216).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6214)이 수행된 시간이 상기 과정(S6212)에서 슈즈의 식별에 기반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에 대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또는 초과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된 시간은 슈즈의 상태(예: 이물질 흡착 정도, 세균 감염 정도 등) 또는 슈즈의 종류(예: 구두, 운동화, 부츠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바닥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S6218). 상기 프로세서(470)는 상기 과정(S6214)이 수행된 시간이 상기 과정(S6212)에서 슈즈의 식별에 기반하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슈즈(6420)의 바닥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470)는 슈즈의 상태, 종류, 재질에 따라 설정된 동작 시간 동안 슈즈를 케어(예: 상기 제1 기능 내지 제5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시간이 지나면, 각각의 롤링 브러쉬(6500)에 결합된 모터(6370)를 통해 롤링 브러쉬(6500)를 회전시키고, 상기 롤링 브러쉬(예: 롤링 바디)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UVC LED)(6510)를 발광시켜 슈즈(6420)의 바닥을 살균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시한 다양한 값들은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00: 슈즈 수납장 310: 슈즈 케어 장치
410: 센서부 420: 방사부
431: 입력부 432: 카메라부
433: 표시부 434: 메모리
435: 구동부 436: 방향 제어부
440: 케어부 442: 에어 생성부
444: 스팀 생성부 446: 저온열풍 생성부
448: 발수부 451: 이물질 제거부
452: 이물질 저장부 453: 필터부
454: 흡입부 455: 토출부
456: 제1 관로 457: 제2 관로
470: 프로세서

Claims (20)

  1. 슈즈 케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부;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모터부, 및 상기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슈즈 케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를 케어하는 케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케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시키도록 설정된 슈즈 케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슈즈가 수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 내부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슈즈 케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거리 값들 중에서 거리 값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센서의 높이가 상기 슈즈의 높이인 것으로 식별하도록 설정된 슈즈 케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해당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슈즈 케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슈즈 케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무게 감지 센서, 거리 측정 센서, IR(Infra Red)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슈즈 케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슈즈에 대한 케어가 종료되고, 상기 슈즈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제어하는 상기 선반이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슈즈 케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내부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흐르도록 관로가 형성되는 슈즈 케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은 접혀지는 부분에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 패킹이 형성되는 슈즈 케어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 내벽에 배치된 팬을 포함하며,
    상기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는 각 수납장의 선반 내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각 수납장 내부로 토출되는 슈즈 케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 케어 장치는,
    상기 슈즈를 집중 케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을 포함하는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슈즈 케어 장치.
  13. 슈즈 케어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내부에 놓여진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슈즈의 높이와 미리 결정된 높이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식별된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의 선반의 펼침 또는 접힘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거나 또는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내부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토출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슈즈가 수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슈즈가 수납된 수납장 내부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에서 측정한 거리 값들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거리 값들 중에서 거리 값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 중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된 센서의 높이가 상기 슈즈의 높이인 것으로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해당 모터로 전달하여 상기 선반이 펼쳐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의 높이를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슈즈의 높이가 상기 미리 결정된 높이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선반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해당 모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에 대한 케어가 종료되고, 상기 슈즈가 식별되지 않으면, 상기 선반에 해당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선반이 접혀지도록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슈즈 케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 내벽에 배치된 팬으로부터 토출되는 에어, 스팀, 저온 열풍, 및 발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반 내에 형성된 관로를 통해 각 수납장 내부로 토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031058A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20210158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17 2020-06-24
KR20200077410 2020-06-24
KR20200077417 2020-06-24
KR1020200077415 2020-06-24
KR20200077412 2020-06-24
KR20200077413 2020-06-24
KR1020200077411 2020-06-24
KR20200077415 2020-06-24
KR1020200077412 2020-06-24
KR1020200077414 2020-06-24
KR1020200077413 2020-06-24
KR1020200077410 2020-06-24
KR20200077414 2020-06-24
KR20200077411 2020-06-24
KR20200170566 2020-12-08
KR1020200170566 2020-1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72A true KR20210158772A (ko) 2021-12-31

Family

ID=79177773

Famil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61A KR20210158775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0922A KR20210158763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24A KR20210158765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23A KR20210158764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72A KR20210158768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4A KR20210158778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1058A KR20210158772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5A KR20210158779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1056A KR20210158770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0921A KR20210158762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청소용 브러쉬 장치
KR1020210031063A KR20210158777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0926A KR20210158766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바닥용 청소장치
KR1020210030971A KR20210158767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0A KR20210158774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59A KR20210158773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0973A KR20210158769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2A KR20210158776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1057A KR20210158771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61A KR20210158775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0922A KR20210158763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24A KR20210158765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23A KR20210158764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장치
KR1020210030972A KR20210158768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4A KR20210158778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065A KR20210158779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1056A KR20210158770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0921A KR20210158762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청소용 브러쉬 장치
KR1020210031063A KR20210158777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0926A KR20210158766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바닥용 청소장치
KR1020210030971A KR20210158767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0A KR20210158774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59A KR20210158773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0973A KR20210158769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20210031062A KR20210158776A (ko) 2020-06-24 2021-03-09 신발 관리 장치
KR1020210031057A KR20210158771A (ko) 2020-06-24 2021-03-09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8) KR202101587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575B1 (ko) * 2022-02-11 2024-04-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패션 잡화 관리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30123344A (ko) * 2022-02-16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청소 동작을 제어하는 신발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8881B1 (ko) * 2022-07-12 2023-01-13 김명희 주택 출입구 토탈 케어 장치
KR102563987B1 (ko) * 2022-08-12 2023-08-07 주식회사 이원오엠에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KR102603566B1 (ko) * 2022-09-0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KR102601790B1 (ko) * 2022-09-01 202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0230A1 (en) 2004-09-18 2006-03-23 Juergen Litterst Ware washing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890B1 (ko) 2000-06-20 2003-12-11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다중 인증경로를 이용한 신용거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WO2009111738A2 (en) 2008-03-06 2009-09-1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ingle cycle replicating adenovirus vectors
KR101018441B1 (ko) 2010-11-19 2011-03-02 주식회사 건승 신발 흙 털이 깔판
JP6050985B2 (ja) 2012-08-23 2016-12-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375498B1 (ko) 2013-11-20 2014-04-01 김영도 신발 내부 세척 및 살균장치
KR101653226B1 (ko) 2014-11-27 2016-09-01 (주)티에스티 살균 기능을 갖는 손잡이 장치
JP6434938B2 (ja) 2016-08-10 2018-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396468B2 (en) 2016-08-18 2019-08-27 Echodyne Corp Antenna having increased side-lobe suppression and improved side-lobe level
KR20180054004A (ko) 2016-11-14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신발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0230A1 (en) 2004-09-18 2006-03-23 Juergen Litterst Ware washing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64A (ko) 2021-12-31
KR20210158765A (ko) 2021-12-31
KR20210158777A (ko) 2021-12-31
KR20210158774A (ko) 2021-12-31
KR20210158763A (ko) 2021-12-31
KR20210158773A (ko) 2021-12-31
KR20210158769A (ko) 2021-12-31
KR20210158776A (ko) 2021-12-31
KR20210158770A (ko) 2021-12-31
KR20210158766A (ko) 2021-12-31
KR20210158779A (ko) 2021-12-31
KR20210158768A (ko) 2021-12-31
KR20210158775A (ko) 2021-12-31
KR20210158767A (ko) 2021-12-31
KR20210158771A (ko) 2021-12-31
KR20210158778A (ko) 2021-12-31
KR20210158762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8772A (ko)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US202104011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US202104012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US20210401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KR101938421B1 (ko) 스마트 위생 신발장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101740325B1 (ko) 구강스캐너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스캐너 시스템
KR102297550B1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101710121B1 (ko) 반려동물 드라이 룸
WO2006083073A1 (en) Far infrared sterilizer for shoes and shoes rack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in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20120092800A (ko) 신발 살균 건조기 그 외 환기 장치
KR102045456B1 (ko) 복합 의류 관리기
US202104020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US20210405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KR102197117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20130002604U (ko) 다목적 살균장치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13495B1 (ko) 고무장갑 건조기
KR20200068111A (ko) 탈취제 주입 및 건조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관리 시스템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210158743A (ko) 신발 처리 장치 및 방법
CN208639897U (zh) 智能鞋柜
JP6927345B2 (ja) 寝具掃除機
KR102300859B1 (ko) 발냄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