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224B1 - 신발 바닥 세정기 - Google Patents

신발 바닥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224B1
KR101059224B1 KR1020100005760A KR20100005760A KR101059224B1 KR 101059224 B1 KR101059224 B1 KR 101059224B1 KR 1020100005760 A KR1020100005760 A KR 1020100005760A KR 20100005760 A KR20100005760 A KR 20100005760A KR 101059224 B1 KR101059224 B1 KR 10105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insing
washing
container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789A (ko
Inventor
이훈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훈씨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훈씨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훈씨에스티
Priority to KR102010000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2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정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된 제1세척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세척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세척 롤러;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후 측에 배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헹굼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헹굼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헹굼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헹굼 롤러; 상기 제1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액상의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제1세척 롤러가 그 세제와 접촉하도록 된 세제 수용함;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세척 롤러가 그 세척수와 접촉하도록 된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1헹굼수 수용함; 및 상기 제2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2헹굼수 수용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바닥 세정기{Cleaning machine for shoe bottom}
본 발명은 식품공장 등 위생관리가 중요한 곳에서 신발 바닥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공장과 같이 위생관리가 중요하게 고려되는 장소에서는 그 장소에서 작업하는 사람의 의복은 물론 신발의 위생 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식품제조 공장, 식당, 병원 등의 현관에는 신발 털이용 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은 건물 내로 들어가는 사람의 신발에 묻어 있는 먼지나 흙 등을 털어 건물 내에 먼지나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식품제조공장의 실내환경은 청결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장소이다. 이와 같은 장소에는 신발의 세정을 위한 장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의 세정을 위한 장비는 신발 바닥의 먼지나 흙을 털어 내는 기능을 하지만, 그 방식에 있어서 매트와 같은 평판에 브러시를 식모한 구조가 가장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신발 털이 장비에 비하여 개량된 장치는 평판의 매트에 브러시를 구비하고 그 매트가 진동하도록 구성한 형태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량된 신발 세정 장비도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제거된 오물이 매트 위에 그대로 방치되기 때문에 그 매트를 수시로 교환 또는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매트의 하부가 소독액과 같은 액체 상태의 물질에 잠겨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소독액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소독액의 상태가 악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신발 바닥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 바닥 세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된 제1세척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세척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세척 롤러;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후 측에 배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헹굼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헹굼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헹굼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헹굼 롤러;
상기 제1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액상의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제1세척 롤러가 그 세제와 접촉하도록 된 세제 수용함;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세척 롤러가 그 세척수와 접촉하도록 된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1헹굼수 수용함; 및
상기 제2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2헹굼수 수용함;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세제 수용함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 및 상기 제2세척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하는 제1 이물질 보관함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은 상기 제1세척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는 그 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이물질 통과공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수용함, 상기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은 서로 분리되어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수용함, 상기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분리 및 결합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헹굼 롤러 및 상기 제2헹굼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하는 제2 이물질 보관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세정할 신발을 착용한 사람을 감지하여 상기 제1세척 롤러, 상기 제2세척 롤러, 상기 제1헹굼 롤러, 상기 제2헹굼 롤러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쌍의 롤러에 의해 신발 바닥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 바닥 세정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제1 이물질 보관함과 제2 이물질 보관함에 구비된 홈부에 의해 신발 바닥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롤러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롤러 부위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롤러의 인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에서 세척물질 보관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Ⅳ-Ⅳ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Ⅴ-Ⅴ 선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롤러 부위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롤러의 인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신발 바닥 세정기에서 세척물질 보관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10)는 프레임(20)과, 제1세척 롤러(30)와, 제2세척 롤러(35)와, 제1헹굼 롤러(40)와, 제2헹굼 롤러(45)와, 세제 수용함(60)과, 세척수 수용함(65)과,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제2헹굼수 수용함(7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후술하는 롤러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에는 후술하는 롤러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25)로는 예컨대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에는 후술하는 롤러들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세정할 신발을 착용한 사람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 센서(90)는 후술하는 제1세척 롤러(30), 제2세척 롤러(35), 제1헹굼 롤러(40), 제2헹굼 롤러(45)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감지 센서(90)의 종류 및 작동 메커니즘은 공지된 센서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세척 롤러(30)는 상기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세척 롤러(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브러시(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세척 롤러(30)는 상기 구동장치(25)로부터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세척 롤러(30)는 벨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연결기구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2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척 롤러(35)는 상기 제1세척 롤러(3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세척 롤러(35)는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세척 롤러(35)의 표면에는 다수의 브러시(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 롤러(40)는 상기 제2세척 롤러(35)의 후 측에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헹굼 롤러(45)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헹굼 롤러(40)는 세정할 신발을 착용한 사람의 진행 방향 상 상기 제1헹굼 롤러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 롤러(40)의 표면에는 다수의 브러시(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 롤러(40)는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2세척 롤러(35)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 롤러(45)는 상기 제1헹굼 롤러(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 롤러(45)의 표면에는 다수의 브러시(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 롤러(45)는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2헹굼 롤러(45)는 상기 제2세척 롤러(35)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상기 제2세척 롤러(35)가 서로 협력하여 신발 바닥을 1차적으로 세정하며,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상기 제2헹굼 롤러(45)가 서로 협력하여 신발 바닥을 2차적으로 세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상기 제1세척 롤러(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액상의 세제를 수용한다. 상기 세제는 공지된 세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제는 소독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에 수용된 세제에는 상기 제1세척 롤러(30)가 접촉된다. 즉, 상기 제1세척 롤러(30)의 표면에 구비된 브러시(50)에 세제가 묻어서 신발 바닥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그 신발 바닥을 세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브러시(50)에는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이 옮겨 붙게 된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세제 수용함(60)은 서랍 형태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세제 수용함(60)에는 분해 및 조립시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상기 제2세척 롤러(3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세척수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세척수로는 수돗물과 같은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대동소이한 구조이다. 상기 제2세척 롤러(35)는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에 수용된 세척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구비된 브러시(50)에 세척수가 묻게 된다.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서랍 형태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분해 및 조립시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6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61)는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을 동시에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즉,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서로 일체로 제조되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 사이에는 제1 이물질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은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을 분리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은 상기 제1세척 롤러(30) 및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한다.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는 이물질 제거 부재(8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 부재(80)는 홈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홈부(85)는 복수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홈부(85)는 복수의 통과공(8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통과공(87)은 상기 홈부(85)의 바닥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과공(87)들은 상기 홈부(8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묻은 이물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홈부(85)에 브러시(50)가 걸리면서 그 브러시(50)에 묻은 이물질이 상기 홈부(85)에 수용되고 그 홈부(85)에 수용된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87)을 통하여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에 수용된다.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은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은 일체로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조립되거나 분해된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은 상기 제1헹굼 롤러(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은 헹굼수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헹굼수는 수돗물과 같은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헹굼 롤러(40)는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에 수용된 헹굼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헹굼 롤러(40)에 구비된 브러시(50)에 헹굼수가 묻게 된다. 즉, 상기 제1헹굼 롤러(40)의 표면에 구비된 브러시(50)에 세제가 묻어서 신발 바닥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그 신발 바닥을 세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브러시(50)에는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이 옮겨 붙게 된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은 서랍 형태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에는 분해 및 조립시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상기 제2헹굼 롤러(45)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헹굼수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의 구조는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제2헹굼 롤러(45)는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에 수용된 헹굼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헹굼 롤러(45)에 구비된 브러시(50)에 헹굼수가 묻게 된다.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서랍 형태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분해 및 조립시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7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71)는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을 동시에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서로 일체로 제조되며,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 사이에는 제2 이물질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은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을 분리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은 상기 제1헹굼 롤러(40) 및 상기 제2헹굼 롤러(45)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한다.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에는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 결합된 이물질 제거 부재(80)와 동일한 구조의 부재가 결합 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상기 제2헹굼 롤러(45)에 묻은 이물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홈부(85)에 브러시(50)가 걸리면서 그 브러시(50)에 묻은 이물질이 상기 홈부(85)에 수용되고 그 홈부(85)에 수용된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87)을 통하여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에 수용된다.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은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 사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은 일체로 상기 프레임(20)에 대해 조립되거나 분해된다.
이하 상기 신발 바닥 세정기(10)를 사용하여 신발 바닥을 세정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하고자 하는 신발을 착용한 착용자가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상기 제2세척 롤러(35)를 동시에 밟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감지 센서(90)가 신발 착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5)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상기 제2세척 롤러(3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세척 롤러(30)와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구비된 브러시(50)는 신발 바닥을 마찰하면서 그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세정한다. 그 과정에서 신발 바닥으로부터 브러시(50)시로 이동된 이물질은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 결합된 이물 제거 부재(80)에 마련된 홈부(85)에 걸려 그 홈부(85)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상기 홈부(85)의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은 상기 통과공(87)을 통하여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세척 롤러(30)에 구비된 브러시(50)는 상기 세제 수용함(60)에 수용된 세제와 접촉하여 세제가 묻은 상태로 신발 바닥을 세정한다. 한편,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구비된 브러시(50)는 상기 세척수 수용함(65)에 수용된 세척수와 접촉하여 세척수가 묻은 상태로 신발 바닥을 세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세척 롤러(30)에 의해 세제가 묻은 브러시(50)가 신발 바닥을 세정하고, 상기 제2세척 롤러(35)에 의해 세척수가 묻은 브러시(50)가 신발 바닥을 다시 세정하게 된다.
이어서, 신발 착용자가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상기 제2헹굼 롤러(45)를 동시에 밟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상기 제2헹굼 롤러(4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표면에 구비된 브러시(50)가 신발 바닥을 세정한다. 그리고, 신발 바닥에서 브러시(50)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에 수용된다.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에 이물질이 수용되는 과정은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 이물질이 수용되는 과정과 동일하다.
신발 바닥의 세정을 마친 착용자는 상기 프레임(20)의 난간을 잡고 상기 제1헹굼 롤러(40)와 상기 제2헹굼 롤러(45)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으로부터 신발 착용자가 벗어난 경우에 상기 감지 센서(90)가 착용자가 없음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5)를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2쌍의 롤러에 의해 신발 바닥을 효과적으로 세정하여 그 신발 바닥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과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 수용함(60)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65)과,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은 서랍 형태로 상기 프레임(20)에 결합 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제 수용함(60)에 세제를 공급하거나, 상기 세척수 수용함에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81)에 보관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70)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75)과, 상기 제2 이물질 보관함(8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쌍의 롤러에 의해 신발 바닥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 바닥 세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과 제2 이물질 보관함에 구비된 홈부에 의해 신발 바닥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을 롤러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 세정기는 신발의 위생적인 관리가 필수적인 식품제조 공장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신발 바닥 세정기 20 : 프레임
25 : 구동장치 30 : 제1세척 롤러
35 : 제2세척 롤러 40 : 제1헹굼 롤러
45 : 제2헹굼 롤러 50 : 브러시
60 : 세제 수용함 65 : 세척수 수용함
70 : 제1헹굼수 수용함 75 : 제2헹굼수 수용함
61, 71 : 손잡이 80 : 이물질 제거 부재
81 : 제1 이물질 보관함 82 : 제2 이물질 보관함
85 : 홈부 87 : 통과공
90 : 감지 센서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된 제1세척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세척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세척 롤러;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후 측에 배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헹굼 롤러;
    표면에 다수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헹굼 롤러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헹굼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헹굼 롤러;
    상기 제1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액상의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제1세척 롤러가 그 세제와 접촉하도록 된 세제 수용함;
    상기 제2세척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세척 롤러가 그 세척수와 접촉하도록 된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1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1헹굼수 수용함; 및
    상기 제2헹굼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고 헹굼수를 수용하며, 상기 제2헹굼 롤러가 그 헹굼수와 접촉하도록 된 제2헹굼수 수용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함과 상기 세척수 수용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세척 롤러 및 상기 제2세척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하는 제1 이물질 보관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물질 보관함은 상기 제1세척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는 그 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이물질 통과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함, 상기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은 서로 분리되어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수용함, 상기 세척수 수용함,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분리 및 결합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헹굼수 수용함과 상기 제2헹굼수 수용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헹굼 롤러 및 상기 제2헹굼 롤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관하는 제2 이물질 보관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세정할 신발을 착용한 사람을 감지하여 상기 제1세척 롤러, 상기 제2세척 롤러, 상기 제1헹굼 롤러, 상기 제2헹굼 롤러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감지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 세정기.
KR1020100005760A 2010-01-21 2010-01-21 신발 바닥 세정기 KR10105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760A KR101059224B1 (ko) 2010-01-21 2010-01-21 신발 바닥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760A KR101059224B1 (ko) 2010-01-21 2010-01-21 신발 바닥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89A KR20110085789A (ko) 2011-07-27
KR101059224B1 true KR101059224B1 (ko) 2011-08-25

Family

ID=4492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760A KR101059224B1 (ko) 2010-01-21 2010-01-21 신발 바닥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17B1 (ko) * 2013-02-27 2014-12-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바닥 청소 장치
CN105496340A (zh) * 2016-01-08 2016-04-20 包日龙 隐形智能清洁器
KR101891104B1 (ko) * 2018-01-05 2018-08-23 신만석 건축용 계단 논슬립
DE102018106387A1 (de) * 2018-03-19 2019-09-19 Frontmatec - Hygiene GmbH Schuhreinig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Schuhreinig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89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994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US5950269A (en) Boot and shoe sole cleaner
KR101059224B1 (ko) 신발 바닥 세정기
KR20110043150A (ko) 신발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08211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20150055743A (ko) 휴대용 수동 청소기
US8871029B1 (en) Shoe cleaning device and method
JP2006271908A (ja) ブラシベルト式、靴洗い機
KR101312884B1 (ko) 매트식 신발 오물 제거장치
KR200445997Y1 (ko)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CN114795010A (zh) 清洁系统、清洁基站及自清洁方法
EP1407708A1 (en) Device for cleaning shoe soles
AU2014215927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JP2018171316A (ja) 車椅子用車輪洗浄装置
JP2920758B1 (ja) 靴底洗浄装置
US6219873B1 (en) Device for cleaning shoe soles
WO2017042666A1 (en) Stairway and floor manual cleaning device
JP2015008886A (ja) 靴底清掃装置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JP6889316B1 (ja) 床洗浄装置
KR100495390B1 (ko) 전동 회전식 청소기
JP2003235782A (ja) 靴洗浄装置及び靴底用回転ブラシ手段
KR200379413Y1 (ko) 작업화 세척장치
KR20100003679A (ko) 신발 및 바지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60083468A (ko) 자동 신발 먼지 털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