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97Y1 -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 Google Patents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97Y1
KR200445997Y1 KR2020070020253U KR20070020253U KR200445997Y1 KR 200445997 Y1 KR200445997 Y1 KR 200445997Y1 KR 2020070020253 U KR2020070020253 U KR 2020070020253U KR 20070020253 U KR20070020253 U KR 20070020253U KR 200445997 Y1 KR200445997 Y1 KR 200445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hoe
dust
foreign matt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138U (ko
Inventor
고정원
Original Assignee
고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정원 filed Critical 고정원
Priority to KR2020070020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3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with moving or driven parts, also combined with suction cleaning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이나 주점, 당구장, 목욕탕, 사무실의 입구 등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이의 구두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에는 타공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스프링에 탄지되어 구두의 앞부분이 브러쉬에 밀착하도록 하는 발판을 구성한 몸체와, 상기 발판의 전방 상부에 구성되어 구두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브러쉬와, 상기 발판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구두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브러쉬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구두이 안착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덮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에 의해 구두에서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을 받는 흙받이를 구성한 구두를 자동으로 닦는 자치에 상기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가 유동하여 신속하고 더욱 세심하게 구두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어 음식점과 같은 서비스업종에 설치되어 손님의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그 업점의 서비스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를 제공한다.
구두, 구두, 스프링, 발판, 덮개, 브러쉬, 편심, 모터

Description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Shoes automatic dust exclusion device}
본 고안은 음식물이나 주점, 당구장, 목욕탕, 사무실의 입구 등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이의 구두표면에 묻어 있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판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구두의 앞부분을 브러쉬에 밀착하고, 상부브러쉬가 구두의 앞표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하고, 측면브러쉬를 구두의 길이에 맞게 간격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더욱 세심하게 구두의 먼지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측면브러쉬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먼지가 많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를 깨끗하면서도 광택이 나도록 유지하는 것은 사회생활, 특히 거래상 많은 사람과 빈번하게 접촉하거나, 다른 사무실을 방문해야 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기본적으로 지켜야할 에티켓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구두의 수명을 보다 오랫동안 연장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구두를 자주 닦아주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시간에 쫓겨 구두를 제대로 닦아주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구두를 닦는 업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에게 맡겨 구두를 닦는 경우에 적잖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구두닦이 장치가 제시되었으나, 상기 구두닦이 장치의 경우 구조가 상대적으로 매우 복잡한 것은 물론, 브러쉬와 구두의 표면과의 접촉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설정된 시간 동안에 구두가 제대로 닦이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그 결과 닦여진 후 구두의 광택이 매우 불량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구동에 의해 발생한 먼지뭉치나 이물질뭉치가 장치에서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잔존하는 먼지뭉치나 이물질뭉치에 의해 브러쉬를 구동하는 모터가 손상되거나, 습기가 먼지뭉치나 이물질뭉치와 함께 장치에 달라붙어 장치에 녹이 빠르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면에는 타공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스프링에 탄지되어 구두의 앞부분이 브러쉬에 밀착하도록 하는 발판을 구성한 몸체와, 상기 발판의 전방 상부에 구성되어 구두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브러쉬와, 상기 발판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구두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브러쉬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구두가 안착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구두가 삽입되는 절개부를 중앙에 형성하고, 몸체의 상면을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덮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에 의해 구두에서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을 받는 흙받이를 구성한 구두를 자동으로 닦는 장치에 상기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가 유동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구두 자동 먼지털이장치는 발판이 스프링에 탄지되어 구두의 앞부분을 브러쉬에 밀착하고, 상부브러쉬와 측면브러쉬가 구두의 표면까지 세심하게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측면브러쉬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어 먼지가 많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털어 내기에 음식점과 같은 서비스업종에 설치되어 손님의 구두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그 업점의 서비스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고안이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삭제
상면에는 타공(1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스프링(21)에 탄지되어 구두(100)의 앞부분이 브러쉬에 밀착하도록 하는 발판(20)을 구성한 몸체(10)와;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되어 구두(100)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브러쉬(30)와;
상기 발판(20)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구두(100)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브러쉬(40)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구두(100)가 안착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50)와;
상기 구두가 삽입되는 절개부를 중앙에 형성하고, 몸체(10)의 상면을 힌지(12)를 축으로 회동하여 덮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덮개(6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에 의해 구두(100)에서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을 받는 흙받이(70);를 포함하여 구두를 자동으로 닦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한 상부브러쉬(30)를 구두(100)의 앞표면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도록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80)를 모터의 자중에 의해 편심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80)의 종단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캠(9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측면브러쉬(40)를 회동하는 모터(A)의 축이 전,후 왕복하도록 가이드홀(43)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브러쉬(40)의 모터(A)를 고정하는 고정체의 하부에는 몸체(10)의 외부에 구성한 손잡이(42)의 조작에 의해 고정체가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수단(41)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A)를 절개부 상측에 구성하고, 상기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A)에 원판형의 상부브러쉬(30)를 결합하며, 상부브러쉬(30)가 Y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구두(100) 앞부분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 브러쉬를 구동하는 모터들과 제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박스형으로 구성하되, 그 상면에는 타공(11)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중앙에는 구두(100)에 묻은 먼 지나 이물질의 제거작업을 하기 위해 구두를 안착하는 발판(20)을 구성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20)은 회동하도록 일측에 힌지를 구성하고, 스프링(21)에 탄지되어 구두(100)의 앞부분이 브러쉬에 밀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두(100)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브러쉬(30)는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A)와 결합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모터(A)의 구동에 따라 상부브러쉬(30)가 회동하여 구두(100)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상부브러쉬(30)는 구두(100) 앞부분의 표면을 더욱 세밀하게 닦기 위해 브러쉬를 융과 같은 천으로 형성하는데, 구두(100)의 굴곡진 표면에 대응하여 맞닿도록 상부브러쉬도 내향으로 굴곡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구두(100)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브러쉬(40)는 상기 발판(20)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A)와 결합하여 구성하는데, 상기 모터(A)의 구동에 따라 측면브러쉬(40)가 구두(100)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는 발판(20)에 구두(100)가 안착 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동하는데, 이때 포토센서(50)를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구성하여 구두(100)가 안착 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구두가 안착되었는지 알려주는 신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덮개(60)는 구두가 삽입되어 발판(20)에 올려질 수 있도록 중앙에 절개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절개부는 발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10) 의 상면을 힌지를 축으로 회동하여 덮도록 구성하며,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구성한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흙받이(7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에 의해 구두(100)에서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을 받도록 한다.
브러쉬(30,40)에 의해 제거된 먼지나 이물질은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타공(11)을 통해 몸체 내부로 떨어져 몸체(10) 내에 구성된 유도격판(13)에 의해 상기 흙받이(70)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흙받이(70)를 슬라이딩으로 몸체(10)에서 빼내어 모여진 먼지뭉치나 이물질뭉치를 털어 제거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80)를 모터의 자중에 의해 편심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80)의 종단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캠(90)을 구성하여,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한 상부브러쉬(30)를 구두(100)의 앞표면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A)를 절개부 상측에 구성하고, 상기 모터(A)에 원판형의 상부브러쉬(30)를 결합하며, 상부브러쉬(30)가 Y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구두(100) 앞부분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A)와 상부브러쉬(30) 사이에 구두(100) 앞부분의 높이에 따라 상부브러쉬(30)의 높이를 보정하는 완충기(31)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 구두의 구두약을 즉시 발라 닦을 수 있도록 상기 덮개(60)의 일측에 수납함(110)을 구성하여 구두솔이나 구두약을 수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두의 길이에 따라 측면브러쉬(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측면브러쉬(40)를 회동하는 모터(A)의 축이 전,후 왕복하도록 가이드홀(43)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브러쉬(40)의 모터(A)를 고정하는 고정체의 하부에는 랙과 피니언과 같은 이송수단(41)을 구성하는데, 상기 이송수단(41)은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구성한 손잡이(42)와 연결되어 손잡이(42)의 조작에 의해 고정체가 전,후 이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Y축으로 회동하는 상부브러쉬를 구성한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덮개에 수납부를 구성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측면브러쉬가 전후로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타공 20: 발판
21: 스프링 30: 상부브러쉬 40: 측면브러쉬
50: 포토센서 60: 덮개 70:흙받이
100: 구두

Claims (4)

  1. 삭제
  2. 상면에는 타공(1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스프링(21)에 탄지되어 구두(100)의 앞부분이 브러쉬에 밀착하도록 하는 발판(20)을 구성한 몸체(10)와;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되어 구두(100)의 앞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부브러쉬(30)와;
    상기 발판(20)의 좌,우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구두(100)의 좌,우 옆부분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측면브러쉬(40)와;
    상기 발판(20)의 일측에 구성되어 구두(100)가 안착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토센서(50)와;
    상기 구두가 삽입되는 절개부를 중앙에 형성하고, 몸체(10)의 상면을 힌지(12)를 축으로 회동하여 덮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덮개(6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상부브러쉬(30)와 측면브러쉬(40)에 의해 구두(100)에서 제거된 먼지와 이물질을 받는 흙받이(70);를 포함하여 구두를 자동으로 닦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전방 상부에 구성한 상부브러쉬(30)를 구두(100)의 앞표면을 따라 좌,우로 유동하도록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80)를 모터의 자중에 의해 편심하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80)의 종단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캠(9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측면브러쉬(40)를 회동하는 모터(A)의 축이 전,후 왕복하도록 가이드홀(43)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브러쉬(40)의 모터(A)를 고정하는 고정체의 하부에는 몸체(10)의 외부에 구성한 손잡이(42)의 조작에 의해 고정체가 이송하도록 하는 이송수단(4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A)를 절개부 상측에 구성하고, 상기 상부브러쉬(30)를 구동하는 모터(A)에 원판형의 상부브러쉬(30)를 결합하며, 상부브러쉬(30)가 Y축을 축으로 회동하여 구두(100) 앞부분의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KR2020070020253U 2007-12-17 2007-12-17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KR200445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3U KR200445997Y1 (ko) 2007-12-17 2007-12-17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3U KR200445997Y1 (ko) 2007-12-17 2007-12-17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38U KR20090006138U (ko) 2009-06-22
KR200445997Y1 true KR200445997Y1 (ko) 2009-09-17

Family

ID=4129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53U KR200445997Y1 (ko) 2007-12-17 2007-12-17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438B1 (ko) * 2015-12-31 2017-06-19 이종업 신발 털이기
KR102094801B1 (ko) * 2020-01-07 2020-03-30 김운열 신발 청소 장치
KR102353373B1 (ko) * 2021-07-28 2022-01-20 (주)이온코리아 음이온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11B1 (ko) * 2010-04-20 2012-05-16 주식회사 연무기술 신발 털이 장치
CN109984708B (zh) * 2019-04-26 2021-10-08 安徽润丰电气有限公司 一种矿用洗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61Y1 (ko) * 1999-08-14 2000-03-15 박성엽 전동식 구두광택기
KR20050089178A (ko) * 2004-03-04 2005-09-08 성봉석 구두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61Y1 (ko) * 1999-08-14 2000-03-15 박성엽 전동식 구두광택기
KR20050089178A (ko) * 2004-03-04 2005-09-08 성봉석 구두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438B1 (ko) * 2015-12-31 2017-06-19 이종업 신발 털이기
KR102094801B1 (ko) * 2020-01-07 2020-03-30 김운열 신발 청소 장치
KR102353373B1 (ko) * 2021-07-28 2022-01-20 (주)이온코리아 음이온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38U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997Y1 (ko)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US10046920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sanitation of conveyer belts
KR101115344B1 (ko) 맨 바닥면 습건식 청소기
EP1917898B1 (en) Floor cleaning machine
US5638572A (en) Electric broom
US20120096671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employing a combined sweeper and vaccum assembly
JP2007000602A (ja) 水掃除機能を備えた真空掃除機
AU2002313986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US20080289127A1 (en) Shoe cleaning device
AU2019236758B2 (en) A head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JP4683621B2 (ja) 循環型飲食容器搬送装置用清掃装置
US6964081B1 (en) Soft floor scrubber
JP4896122B2 (ja) 硬質及び軟質床清掃ツール及び機械
JP5380092B2 (ja) 床面等用清掃機のブラシ装置
KR100517930B1 (ko)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높이조절장치
WO2005079652A1 (en) Disc cleaner
KR101059224B1 (ko) 신발 바닥 세정기
KR101691942B1 (ko) 빠른 분리 스퀴지 조립체를 구비한 표면 정비 차량
KR101035684B1 (ko) 석쇠 세척기
US3597785A (en) Cleaning device
WO2019205992A1 (zh) 地刷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KR20110136405A (ko) 구두닦이장치
KR200432031Y1 (ko) 자동 구두닦이장치
US6219873B1 (en) Device for cleaning shoe soles
KR200409294Y1 (ko) 당구대 청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