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405A - 구두닦이장치 - Google Patents

구두닦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405A
KR20110136405A KR1020100056392A KR20100056392A KR20110136405A KR 20110136405 A KR20110136405 A KR 20110136405A KR 1020100056392 A KR1020100056392 A KR 1020100056392A KR 20100056392 A KR20100056392 A KR 20100056392A KR 20110136405 A KR20110136405 A KR 20110136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oe
brush
hous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수 filed Critical 정용수
Priority to KR102010005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405A/ko
Publication of KR2011013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모양에 따라 솔과 구두의 마찰을 높여 광택을 낼 수 있도록 된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약을 일정량씩 상부브러쉬수단 또는 측면브러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유체공급수단(120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된 이송수단(13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의 상부면을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을 매개로 상부브러쉬(1450)가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관절구조로 된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측면과 뒷면을 닦도록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측면브러쉬수단(1500)과,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로 구두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 및 유체공급수단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수단(1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두닦이장치{SHO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모양에 따라 솔과 구두의 마찰을 높여 광택을 낼 수 있도록 된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그 사용 양태에 따라 물에 젖게 되거나 흙 기타 오물이 묻게 되는데, 그와 같은 경우,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게 되는 공간인 자동차나 건물 등의 실내를 더럽히게 되며, 또한 그와 같이 불결한 상태의 구두를 신고 있는 사용자의 품위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두는 가급적 물에 젖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방수기능을 갖는 광택제와 같은 구두약으로 구두 표면을 보호해 주어야 하며, 또한 구두 표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구두약을 고르게 도포하여 윤기나게 잘 문질러주어야 한다.
보통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간단한 솔과 구두약을 마련해 놓고, 구두를 주기적으로 닦아줌으로써 전술한 바를 달성할 수 있지만, 외출시 상기 솔과 구두약을 일일이 휴대할 수 없으므로, 장시간 외출중에는 구두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물론 장시간 외출중에도 구두닦이 업소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지만, 기다리는 시간 등 비교적 긴 시간을 허비해야 하고, 값도 저렴하지 않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4-0004376호에는 동전을 투입하면 주어진 시간 동안 구두에 묻은 먼지를 털어낸 후, 구두약을 분사하여 구두 표면에 광을 내는 일련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그에 의하면 사용자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간편하게 구두를 닦아 구두의 청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994-0004376호에 따른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의 경우, 먼지털이용 및 광택용 솔이 단지 구두에 대하여 직선운동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솔 역시 구두 표면의 형상을 반영하지 못한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구두 표면의 윤곽은 직선이 아닌 굴곡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볼록한 부분에서는 솔과의 마찰이 심하여 손상의 우려가 있는 반면, 오목한 부분의 경우 솔에 의한 마찰이 약해 먼지가 제대로 털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광택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솔 등의 구성요소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솔에 의해 털어진 먼지 기타 이물질이 비산됨으로써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는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상태로 구두를 닦도록 작동하는데 비해, 광택을 위한 액상의 구두약은 구두 표면에 직접 분사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분사된 구두약이 비산하면서 사용자의 바지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제10-0888658호로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광택용 구두약이 구두 표면이 아닌 브러쉬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구두약이 구두 표면에 직접 분사되는 과정에서 분사된 구두약이 비산하면서 사용자의 바지에 묻게 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구두 상면을 닦는 상부 브러쉬 및 구두 측면을 닦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 각각이 구두의 상면 및 측면과의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두의 상면 및 측면을 적절히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두의 세정 및 광택효과를 극대화하며, 구두의 상면에 형성된 굴곡부위의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홈을 상부 브러쉬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볼록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목한 부분도 잘 닦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는 작동중에 흔들리면서 구두윗면의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곤란하고, 발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내구성이 약해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한편, 발판을 밟을 때 마다 구두약이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인보드로 먼지가 쉽게 투입되어 모터의 노이즈와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며 수리에 곤란하고, 내구성과 온도에 약하며, 먼지제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 상부브러쉬의 작동불량이 발생하며, 구두약이 노즐에 뭉쳐서 솔에 뭉친 상태로 공급되거나 또는 작동중 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절구조로 설계되어 작동중에 흔들리지 않아서 구두윗면의 먼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센서를 이용하여 발을 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작동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한편,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구두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구두닦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보드로 먼지가 쉽게 투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모터의 노이즈와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수리도 간편하고, 측면브러시와 상부브러쉬가 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므로 내구성과 온도에 강하고, 먼지제거가 용이하도록 된 구두닦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솔 구조를 변경하여 구두약이 노즐에 뭉쳐서 솔에 공급되지 않도록 된 구두닦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약을 일정량씩 상부브러쉬수단 또는 측면브러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유체공급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된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의 상부면을 다단 링크로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닦도록 된 상부브러쉬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측면과 뒷면을 닦도록 된 측면브러쉬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구두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 및 유체공급수단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유체공급수단과 제어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수단은 하우징의 상부에 별도의 독립공간으로 구비된 챔버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하우징은,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면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채로 발판지지대에 의해 설치된 발판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면서 상측 내부를 개폐함과 더불어 지폐나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요금지불수단의 요금지불부와 연통하는 요금지불구를 갖춘 본체커버도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사용후 구두에서 떨어지거나 또는 유체등의 이물질을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오물제거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유체공급수단은, 유체가 수용된 유체수용통을 수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가 개구된 구두약수용본체와,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고정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으로 고정된 모터수용하우징과,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에 수용되어 안착됨과 더불어 모터수용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회전하도록 된 나선축을 갖춘 모터와,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에 고정된 위치결정판과,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된 유체공급제어부와, 상기 유체공급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판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로 보내도록 된 센서와, 상기 나선축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가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외주면 단부에는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을 갖춘 가압부재와,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두약수용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핀을 안내하도록 된 장공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발판지지대의 좌/우측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된 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이 하부면 단부에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나선블록과, 상기 나선블록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본체와 고정된 하부지지브라켓과, 상기 하부지지브라켓에 고정된 이송모터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된 이송모터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스크류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이송모터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송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상부브러쉬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브라켓과, 상기 프레임브라켓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제어수단의 신호로 제어되도록 된 상부브러쉬구동모터와, 상기 상부브러쉬구동모터의 회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제2차회동브라켓에 설치된 상부브러쉬와, 상기 상부브러쉬와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노즐을 세척하도록 설치된 세척브러쉬와,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 일단이 끼워지고 제2차회동브라켓에 타단이 끼워져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쉬로 공급되는 구두약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된 비산방지브러쉬와, 상기 제2차회동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베이스가 전후이동할 때 본체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두약을 좌우로 이송하면서 공급하도록 된 유체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유체분사수단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과, 타측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전 노즐가이드봉과, 상기 노즐가이드봉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노즐뭉치와, 상기 제1브라켓과 노즐뭉치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과,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술한 와이어를 안내하여 상기 노즐뭉치에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뭉치의 노즐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으로 삽입되어 상부브러쉬의 중심까지 유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는, 상기 측면브러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베이스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링크설치브라켓과, 상기 링크설치브라켓에 비틀림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면브러쉬아암과,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측면브러쉬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중에서 일측의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면에는 상기 세척브러쉬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세척브러쉬털이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에 의하면, 관절구조로 설계되어 작동중에 흔들리지 않아서 구두윗면의 먼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센서를 이용하여 발을 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작동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한편,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구두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에 의하면, 메인보드로 먼지가 쉽게 투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모터의 노이즈와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수리도 간편하고, 측면브러시와 상부브러쉬가 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므로 내구성과 온도에 강하고, 먼지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에 의하면, 솔 구조를 변경하여 구두약이 노즐에 뭉쳐서 솔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본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토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의 구두닦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두닦이장치의 먼지제거판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를 구성하는 유체공급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수단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브러쉬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브러쉬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1000)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두약을 일정량씩 후술하는 상부브러쉬수단 또는 측면브러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된 이송수단(1300)과, 이 이송수단에 관절구조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의 상부면을 닦도록 된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측면과 뒷면을 닦도록 된 측면브러쉬수단(1500)과,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로 유입된 구두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 및 유체공급수단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수단(1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0)에 요금지불수단(1700)이 설치되면 상기 제어수단(1600)에 상기 요금지불수단에서 제어수단(1600)으로 신호를 보내야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은, 후술하는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면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채로 후술할 발판(1113)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부(1111)가 형성된 본체(1110)와, 이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면서 상측 내부를 개폐함과 더불어 지폐나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요금지불수단(1700)의 요금지불부(1710)와 연통하는 요금지불구(1121)를 갖춘 본체커버도어(112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사용후 구두에서 떨어지거나 또는 유체등의 이물질을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오물제거판(1130)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개 갖춘 다리(1140)를 구비한다. 또 1112는 본체(1110)를 잡고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0)의 상부에 구비된 별도의 챔버(1101)에 상기 제어수단(1600)의 메인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므로 모터의 노이즈와 정전기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10)에는 상기 발판(1113)을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발판지지대(1114)가 상기 본체(1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은 도 4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10)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된 구두약수용본체(1210)와, 브라켓트(1220), 모터수용하우징(1230), 모터(1240), 위치결정판(1250), 유체공급제어부(1260), 센서(1270), 가압부재(1280) 및 덮개(1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는, 유체가 수용된 유체수용통(12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가 설치된 쪽 구두약수용본체의 하부는 모터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구된 절취부(1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가압부재(1280)에 끼워진 유체수용통(1201)의 단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유체수용통안착홈(1212)을 갖춘 유체수용통안착고정부(12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에는 상기 브라켓트(1220)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트고정홀(1214)이 더 형성되고, 또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연결되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한 구멍(1215)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6은 덮개(1290)의 회동을 위한 힌지구멍이다.
따라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의 상부로 끼워진 브라켓트(1220)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트에 고정된 모터수용하우징(1230) 및 모터(1240)와 위치결정판(1250) 및 가압부재(1280)가 본체에 수용된 상태로 유체수용통(1201)이 가압부재(1280)에 끼워지면 상기 모터(1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1280)의 가이드핀(1282)이 덮개(1290)의 장공(1291)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280)가 나사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수용통(1201)을 가압하게 되므로 유체수용통(1201)의 유체를 일정량씩 토출하게 된다.
또 상기 브라켓트(1220)는,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나 키이나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240)의 나선축(1241)방향으로 관통구멍(12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하우징(1230)은,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이면서 상기 모터(1240)의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나선축(1241)과 모터(1240)가 순착적으로 끼워져 안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모터(1240)는,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에 수용되어 안착됨과 더불어 모터수용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회전하도록 된 나선축(1241)을 갖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판(1250)은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일체로 고정되어 나선축(1241)과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판(1250)은 등각도로 다수의 홈(12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판(1250)의 홈(1251)을 센서(1270)가 인식하면서 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보내게 되면 모터(1240)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유체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는, 모터수용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12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센서(1270)는 상기 유체공급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로 보냄으로써 토출량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1280)는 상기 나선축(1241)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1281)가 체결되어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외주면 단부에는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1282)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240)의 나선축(1241)이 회전할 때 가압부재(1280)는 가이드핀(1282)이 덮개(1290)의 장공(1291)을 따라 안내되므로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핀이 접촉하면 접촉신호를 보내도록 센서스위치(127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스위치(1271)는 상기 가압부재(128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핀(1282)이 센서스위치(1271)와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를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보내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1280)가 모터(1240)의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체수용통(1201)의 교환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또 상기 덮개(1290)는 단부에 구두약수용본체(1210) 또는 브라켓트(1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동부(1292)가 구비되고, 상기 장공(1291)의 주변에는 스위치고정홀(1293)이 형성되며, 미설명부호 1294는 와이어고정홀이고 1295는 제어부도피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1290)의 회동부(1292)는 구두약수용본체(1210)의 힌지구멍(121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1290)의 길이 방향 양측면과 힌지된 반대쪽의 단부는 상부로 절곡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절곡되지 않아도 되지만, 회동시 접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 양측면을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회전부의 반대쪽 단부를 절곡하게 되면 덮개(1290)를 잡고 들어올리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1000)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10)에 설치된 보포토센서(P)에서 발판(1113)으로 구두가 들어온 것을 감지한 신호가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모터의 작동신호가 들어오면 이를 감지한 유체공급제어부에서는 모터(1240)의 작동신호를 내리게 되어 일정한 회전량을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센서(1270)가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유체공급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모터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축(1241)과 나선결합된 가압부재(1280)는 회전력이 상기 장공(1291)과 가이드핀(1282)에 의해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면서 유체수용통(1201)을 가압하게 되므로 유체수용통(1201)의 유체인 구두약을 일정량씩 토출하게 되는 것을 정확하게 제어하게 되고, 유체수용통(1201)의 교환시기가 되면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서는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어서 발판(1113)에 구두를 올려 놓을 때마다 구두약을 토출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또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수용통(1201)에서 상부브러쉬수단(1400)의 유체분사수단(1490)에 구비된 노즐까지의 거리가 짧아서 구두약공급튜브의 길이게 짧게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130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발판지지대(1114)의 좌/우측에 상기 본체(1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된 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0)과, 이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록(1320)과, 이 가이드블록이 하부면 단부에 설치된 베이스(1330)와, 이 베이스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나선블록(1340)과, 이 나선블록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본체(1110)와 고정된 하부지지브라켓(1350)과, 이 하부지지브라켓에 고정된 이송모터설치브라켓(1361)을 매개로 설치된 이송모터(136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3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스크류설치브라켓(1371)을 매개로 상기 이송모터(136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송스크류(13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모터(1360)로 제어수단(1600)에서 정회전과 역회전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이송모터(1360)의 회전은 상기 이송스크류(1370)에 동기적으로 전달되고 이때 이송스크류(1370)에 체결된 나선블록(1340)이 베이스(1330)와 일체로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 및 한 쌍의 측면브러쉬수단(1500)를 장착하여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330)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0)을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 상기 베이스(1330)가 이송스크류(1370)에 의해 이송되므로 견고하고 정확하게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송스크류로 이송을 하게 되므로 벨트로 장착하여 늘어짐이나 응축되는 등의 내구 장착성이나 온도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도 6과 도 8 및 도 9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30)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브라켓(1410)과, 이 프레임브라켓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과, 이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과, 이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제어수단(1600)의 신호로 제어되도록 된 상부브러쉬구동모터(1440)와, 이 상부브러쉬구동모터의 회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제2차회동브라켓에 설치된 상부브러쉬(1450)와, 이 상부브러쉬와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술하는 노즐을 세척하도록 설치된 세척브러쉬(1460)와,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 일단이 끼워지고 제2차회동브라켓에 타단이 끼워져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비틀림스프링(1470)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쉬로 공급되는 구두약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된 비산방지브러쉬(1480)와, 상기 제2차회동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수단(1300)에 의해 베이스(1330)가 전후이동할 때 본체(111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97)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두약을 좌우로 이송하면서 공급하도록 된 유체분사수단(14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4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브라켓(1411a,1411b)과 제2프레임브라켓(1412a,1412b)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좌우에 각각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브러쉬(1450)는 구두를 상부에서 하부로 쓸어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털어진 먼지 기타 이물질이 사용자의 바지에 묻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척브러쉬(1460)는 상부브러쉬(1450)의 강도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솔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노즐의 대기장소에서 노즐의 선단에 있는 잔량의 구두약(유체)을 사전에 제거하여 구두약이 뭉친 상태로 상부브러쉬(145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부브러쉬의 수명이 오래가게 된다.
미설명부호 1421은 힌지핀이고, 1422는 힌지핀으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의 상부에 끼워지는 간격유지편이며, 이때 상기 힌지핀으로 간격유지편과 비산방지브러쉬가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1420a는 상기 비틀림스프링(1470)의 일단이 끼워지는 구멍이고, 1431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에 체결되어 비틀림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고정구이다.
따라서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을 매개로 상부브러쉬(1450)가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관절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작동중에 흔들리더라도 구두 윗면의 먼지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분사수단(1490)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1491)과, 타측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1492)과,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전 노즐가이드봉(1493)과, 이 노즐가이드봉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노즐뭉치(1494)와, 상기 제1브라켓과 노즐뭉치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1495)과,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술한 와이어를 안내하여 상기 노즐뭉치에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울러(149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노즐뭉치(1494)의 노즐(1494a)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에 형성된 장공(1430a)으로 삽입되어 상부브러쉬(1450)의 중심까지 유입되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494b는 구두약공급호스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뭉치(1494)가 노즐가이드봉(1493)에 의해 상부브러쉬(145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구두약을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노즐뭉치(1494)의 노즐(1494a)에 구두약이 뭉치거나 굳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브러쉬수단(1500)은 도 6 내지 도 9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링크설치브라켓(1510)과, 이 링크설치브라켓에 비틀림스프링(15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면브러쉬아암(1530)과, 이 측면브러쉬아암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540)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측면브러쉬(15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브러쉬아암(1530)중에서 일측의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면에는 상기 세척브러쉬(1460)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세척브러쉬털이편(156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1300)이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측면브러쉬(1550)가 상기 비틀림스프링(1520)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구두의 측면을 감싸면서 구두를 닦게 되고, 구두의 앞면과 뒷면에 측면브러쉬(1550)가 위치하게 되면 비틀림스프링(1520)에 의해서 맞닿으면서 앞코와 뒤축을 닦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발판(1113)에 안착되는 구두 상면과의 회전마찰을 통해 구두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털어냄과 동시에 유체공급장치(1200)을 통해 공급되는 광택용 구두약을 이용하여 광택을 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세척브러쉬털이편(1560)에 의해 세척브러쉬(1460)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600)은 상기 베이스(13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한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방리미트스위치(1631)와 후방리미트스위치(1632)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리미트스위치(1631)와 후방리미트스위치(1632)는 접촉식 또는 포토타입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117는 상기 오물제거판(1130)을 안내하는 가이드이고, 1118은 음성안내 스피커, 1119는 배기팬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구두닦이장치 1100 : 하우징
1101 : 챔버 1110 : 본체
1120 : 본체커버도어 1130 : 오물제거판
1200 : 유체공급장치 1300 : 이송수단
1370 : 이송스크류 1400 : 상부브러쉬수단
1450 : 상부브러쉬 1460 : 세척브러쉬
1490 : 유체분사수단 1493 : 노즐가이드봉
1500 : 측면브러쉬수단 1560 : 세척브러쉬털이편
1600 : 제어수단 1700 : 요금지불수단
1710 : 요금지불부

Claims (8)

  1.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약을 일정량씩 상부브러쉬수단 또는 측면브러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유체공급수단(120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된 이송수단(1300)과,
    상기 이송수단의 베이스(1330)에 설치되어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의 상부면을 닦을 때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을 매개로 상부브러쉬(1450)가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관절구조로 된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측면과 뒷면을 닦도록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측면브러쉬수단(1500)과,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로 구두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 및 유체공급수단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수단(1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제어수단(1600)은 상기 하우징(1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수단(1600)은 하우징(1100)의 상부에 별도의 독립공간으로 구비된 챔버(1101)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0)은,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면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채로 발판지지대(1114)에 의해 설치된 발판(1113)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부(1111)가 형성된 본체(111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면서 상측 내부를 개폐함과 더불어 지폐나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요금지불수단(1700)의 요금지불부(1710)와 연통하는 요금지불구(1121)를 갖춘 본체커버도어(112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사용후 구두에서 떨어지거나 또는 유체등의 이물질을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오물제거판(11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은,
    유체가 수용된 유체수용통(12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가 개구된 구두약수용본체(1210)와,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고정된 브라켓트(1220)와,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으로 고정된 모터수용하우징(1230)과,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에 수용되어 안착됨과 더불어 모터수용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회전하도록 된 나선축(1241)을 갖춘 모터(1240)와,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에 고정된 위치결정판(1250)과,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1240)를 제어하도록 된 유체공급제어부(160)와,
    상기 유체공급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로 보내도록 된 센서(1270)와,
    상기 나선축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181)가 체결되어 나선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외주면 단부에는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1282)을 갖춘 가압부재(1280)와,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두약수용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핀(1282)을 안내하도록 된 장공(1291)이 형성된 덮개(1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300)은,
    상기 발판지지대(1114)의 좌/우측에 상기 본체(1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된 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0)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록(1320)과,
    상기 가이드블록이 하부면 단부에 설치된 베이스(1330)와,
    상기 베이스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나선블록(1340)과,
    상기 나선블록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본체(1110)와 고정된 하부지지브라켓(1350)과,
    상기 하부지지브라켓에 고정된 이송모터설치브라켓(1361)을 매개로 설치된 이송모터(136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3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스크류설치브라켓(1371)을 매개로 상기 이송모터(136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송스크류(1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상기 베이스(1330)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브라켓(1410)과,
    상기 프레임브라켓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과,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제어수단(1600)의 신호로 제어되도록 된 상부브러쉬구동모터(1440)와,
    상기 상부브러쉬구동모터의 회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제2차회동브라켓에 설치된 상부브러쉬(1450)와,
    상기 상부브러쉬와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노즐을 세척하도록 설치된 세척브러쉬(1460)와,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 일단이 끼워지고 제2차회동브라켓에 타단이 끼워져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비틀림스프링(1470)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쉬로 공급되는 구두약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된 비산방지브러쉬(1480)와,
    상기 제2차회동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수단(1300)에 의해 베이스(1330)가 전후이동할 때 본체(111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97)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두약을 좌우로 이송하면서 공급하도록 된 유체분사수단(14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수단(1490)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1491)과,
    타측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1492)과,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전 노즐가이드봉(1493)과,
    상기 노즐가이드봉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노즐뭉치(1494)와,
    상기 제1브라켓과 노즐뭉치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1495)과,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술한 와이어를 안내하여 상기 노즐뭉치에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울러(1496)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뭉치(1494)의 노즐(1494a)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에 형성된 장공(1430a)으로 삽입되어 상부브러쉬(1450)의 중심까지 유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브러쉬수단(1500)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링크설치브라켓(1510)과,
    상기 링크설치브라켓에 비틀림스프링(15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면브러쉬아암(1530)과,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540)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측면브러쉬(1550)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1530)중에서 일측의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면에는 상기 세척브러쉬(1460)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세척브러쉬털이편(15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
KR1020100056392A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 KR20110136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92A KR20110136405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92A KR20110136405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05A true KR20110136405A (ko) 2011-12-21

Family

ID=4550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392A KR20110136405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40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74A (zh) * 2012-02-13 2012-07-04 海尔集团公司 一种全自动水流冲刷式洗鞋机
CN103251227A (zh) * 2013-04-27 2013-08-21 蒋海丹 一种具有清洁功能的鞋柜
CN106264416A (zh) * 2016-08-20 2017-01-04 温州巨纳鞋业有限公司 一种皮鞋面清洁润色装置
CN110192836A (zh) * 2019-07-16 2019-09-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净鞋机
CN113116272A (zh) * 2020-01-15 2021-07-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鞋设备的洗鞋方法及洗鞋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74A (zh) * 2012-02-13 2012-07-04 海尔集团公司 一种全自动水流冲刷式洗鞋机
CN103251227A (zh) * 2013-04-27 2013-08-21 蒋海丹 一种具有清洁功能的鞋柜
CN106264416A (zh) * 2016-08-20 2017-01-04 温州巨纳鞋业有限公司 一种皮鞋面清洁润色装置
CN106264416B (zh) * 2016-08-20 2018-12-04 温州市左罗皮鞋有限公司 一种皮鞋面清洁润色装置
CN110192836A (zh) * 2019-07-16 2019-09-03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净鞋机
CN113116272A (zh) * 2020-01-15 2021-07-1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鞋设备的洗鞋方法及洗鞋设备
CN113116272B (zh) * 2020-01-15 2024-04-19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鞋设备的洗鞋方法及洗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58B1 (ko)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
KR100988959B1 (ko) 자동 구두닦기 장치
KR20110136405A (ko) 구두닦이장치
US11122946B2 (en) Brushrol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451513B2 (en) Back-scrubbing and cleansing apparatus
EP2166913B1 (en) Cleaning apparatus with motor-driven endless belt
CN112351715A (zh) 地面清洁器
WO2014152464A1 (en) Improved steamer mop having quick change cleaning pad
JP2014094289A (ja) ロボット掃除機
CN112312811A (zh) 地面清洁器
CN114144104A (zh) 地面清洁机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KR200445997Y1 (ko) 구두 자동먼지털이장치
CN112384118A (zh) 地面清洁器
JP2006158814A (ja) 自走式清掃システム
KR20110136406A (ko)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CN214041920U (zh) 一种水源双向流动式隐形眼镜用清洗盒
KR200432031Y1 (ko) 자동 구두닦이장치
JP3750623B2 (ja) 車輪洗浄機
KR100647868B1 (ko) 차량 정비용 패드의 세척장치
CN116035483A (zh) 表面清洁系统
JP3809128B2 (ja) 車輪洗浄機及び車輪洗浄方法
KR20100079264A (ko) 좌변기용 비데
KR102439727B1 (ko) 융과 심지 탈부착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 스팀 청소기
CN216876218U (zh) 一种洗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