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406A -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406A
KR20110136406A KR1020100056393A KR20100056393A KR20110136406A KR 20110136406 A KR20110136406 A KR 20110136406A KR 1020100056393 A KR1020100056393 A KR 1020100056393A KR 20100056393 A KR20100056393 A KR 20100056393A KR 20110136406 A KR20110136406 A KR 20110136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ignal
fluid supply
checking
bit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수 filed Critical 정용수
Priority to KR102010005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406A/ko
Publication of KR2011013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약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고 구두를 닦을 경우에만 상부브러쉬 또는 측면브러쉬로 공급되도록 한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먼저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발판(1113)에 구두가 위치해 있는지 포토센서(P)를 이용해 감지하여 구두가 없으면 대기상태가 되고 구두가 있으면 구두약공급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발위치확인단계와, 구두약공급신호가 제어수단(1600)으로 오면 구두약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연결된 센서스위치(1271)가 구두약 없음 신호를 보내오지 않으면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수용통(1201)에 구두약이 있음을 확인하여 작동신호를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보내고 구두약이 없으면 제어수단(1600)으로 에러신호를 보내도록 된 구두약확인단계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도록 본체(111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된 센서(1631,1632)로 확인하면 작동이 이루어지고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이동확인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발)를 교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구두(발)가 교체되었는지를 상기 포토센서(P)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발교체확인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으로 신호를 보내어 구두약을 공급하는 구두약공급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작동신호를 보내는 작동시작단계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닦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멘트를 하는 종료멘트단계와,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대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SHOE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두닦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약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고 구두를 닦을 경우에만 상부브러쉬 또는 측면브러쉬로 공급되도록 한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동식 구두닦이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특허 제10-0888658호로 공지되어 있는바, 광택용 구두약이 구두 표면이 아닌 브러쉬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구두약이 구두 표면에 직접 분사되는 과정에서 분사된 구두약이 비산하면서 사용자의 바지에 묻게 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구두 상면을 닦는 상부 브러쉬 및 구두 측면을 닦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 각각이 구두의 상면 및 측면과의 적절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두의 상면 및 측면을 적절히 압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두의 세정 및 광택효과를 극대화하며, 구두의 상면에 형성된 굴곡부위의 볼록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홈을 상부 브러쉬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볼록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목한 부분도 잘 닦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식 구두닦기 장치는 발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내구성이 약해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한편, 발판을 밟을 때 마다 구두약이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을 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작동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한편,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구두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먼저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발판에 구두가 위치해 있는지 포토센서를 이용해 감지하여 구두가 없으면 대기상태가 되고 구두가 있으면 구두약공급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발위치확인단계와, 구두약공급신호가 제어수단으로 오면 구두약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유체공급수단의 유체공급제어부에 연결된 센서스위치가 구두약 없음 신호를 보내오지 않으면 유체공급수단의 유체수용통에 구두약이 있음을 확인하여 작동신호를 유체공급수단과 이송수단 및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으로 보내고 구두약이 없으면 제어수단으로 에러신호를 보내도록 된 구두약확인단계와, 상기 이송수단의 베이스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도록 본체의 내부 측면에 설치된 센서로 확인하면 작동이 이루어지고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로 확인하는 이동확인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이 반복하면 구두(발)를 교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구두(발)가 교체되었는지를 상기 포토센서(P)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발교체확인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으로 신호를 보내어 구두약을 공급하는 구두약공급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과 이송수단 및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으로 작동신호를 보내는 작동시작단계와, 상기 이송수단의 베이스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로 확인하는 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이 반복하면 구두닦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멘트를 하는 종료멘트단계와,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대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발위치확인단계의 전에 구두를 닦기 위해서 금액을 지불하면 이를 확인하여 카운트하고 발위치를 확인하도록 제어수단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금액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이동확인단계의 전에 상기 유체공급수단과 이송수단 및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의 작동중 적어도 어느 한 수단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보내는 과전류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과전류확인단계는, 과전류가 들어오면 작동을 멈추고 대기하는 단계와, 대기시간이 지나면 과전류를 확인하여 과전류가 발생하면 에러멘트를 하고 대기모드로 가며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과전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센서가 구두를 확인하여 없으면 작동을 멈추고 구두가 있으면 원위치로 복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구두약확인단계를 지나 상기 유체공급수단의 작동신호는 모터의 나선축에 설치된 위치결정판의 회전위치를 위치결정판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센서가 감지하여 유체공급제어부로 보내어 적정량의 구두약을 공급하도록 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모터회전수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에 의하면, 센서를 이용하여 발을 감지한 후 작동하므로 작동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한편,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구두약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본체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토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의 구두닦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두닦이장치의 먼지제거판을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9은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를 구성하는 유체공급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수단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공급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브러쉬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브러쉬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닦이장치의 과전류확인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1000)는, 내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0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두약을 일정량씩 후술하는 상부브러쉬수단 또는 측면브러쉬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된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된 이송수단(1300)과, 이 이송수단에 관절구조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두의 상부면을 닦도록 된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상기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측면과 뒷면을 닦도록 된 측면브러쉬수단(1500)과, 상기 하우징(1100)의 내부로 유입된 구두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브러쉬수단과 측면브러쉬수단 및 유체공급수단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수단(1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0)에 요금지불수단(1700)이 설치되면 상기 제어수단(1600)에 상기 요금지불수단에서 제어수단(1600)으로 신호를 보내야만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0)은, 후술하는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외형을 이루면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채로 후술할 발판(1113)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부(1111)가 형성된 본체(1110)와, 이 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면서 상측 내부를 개폐함과 더불어 지폐나 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요금지불수단(1700)의 요금지불부(1710)와 연통하는 요금지불구(1121)를 갖춘 본체커버도어(112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사용후 구두에서 떨어지거나 또는 유체등의 이물질을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오물제거판(1130)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복수개 갖춘 다리(1140)를 구비한다. 또 1112는 본체(1110)를 잡고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0)의 상부에 구비된 별도의 챔버(1101)에 상기 제어수단(1600)의 메인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므로 모터의 노이즈와 정전기를 방지하고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10)에는 상기 발판(1113)을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발판지지대(1114)가 상기 본체(1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은 도 4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10)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된 구두약수용본체(1210)와, 브라켓트(1220), 모터수용하우징(1230), 모터(1240), 위치결정판(1250), 유체공급제어부(1260), 센서(1270), 가압부재(1280) 및 덮개(1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는, 유체가 수용된 유체수용통(1201)을 수용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가 설치된 쪽 구두약수용본체의 하부는 모터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구된 절취부(1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가압부재(1280)에 끼워진 유체수용통(1201)의 단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유체수용통안착홈(1212)을 갖춘 유체수용통안착고정부(12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에는 상기 브라켓트(1220)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트고정홀(1214)이 더 형성되고, 또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연결되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한 구멍(1215)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6은 덮개(1290)의 회동을 위한 힌지구멍이다.
따라서 상기 구두약수용본체(1210)의 상부로 끼워진 브라켓트(1220)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트에 고정된 모터수용하우징(1230) 및 모터(1240)와 위치결정판(1250) 및 가압부재(1280)가 본체에 수용된 상태로 유체수용통(1201)이 가압부재(1280)에 끼워지면 상기 모터(12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1280)의 가이드핀(1282)이 덮개(1290)의 장공(1291)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280)가 나사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체수용통(1201)을 가압하게 되므로 유체수용통(1201)의 유체를 일정량씩 토출하게 된다.
또 상기 브라켓트(1220)는, 상기 구두약수용본체의 일단부에 안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나 키이나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240)의 나선축(1241)방향으로 관통구멍(12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하우징(1230)은,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이면서 상기 모터(1240)의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나선축(1241)과 모터(1240)가 순착적으로 끼워져 안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모터(1240)는, 상기 모터수용하우징에 수용되어 안착됨과 더불어 모터수용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동기회전하도록 된 나선축(1241)을 갖춘고 있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판(1250)은 상기 나선축의 일단부 소정위치에 일체로 고정되어 나선축(1241)과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판(1250)은 등각도로 다수의 홈(12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결정판(1250)의 홈(1251)을 센서(1270)가 인식하면서 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보내게 되면 모터(1240)의 회전량을 조정하여 유체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는, 모터수용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12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센서(1270)는 상기 유체공급제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유체공급제어부로 보냄으로써 토출량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1280)는 상기 나선축(1241)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1281)가 체결되어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외주면 단부에는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1282)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240)의 나선축(1241)이 회전할 때 가압부재(1280)는 가이드핀(1282)이 덮개(1290)의 장공(1291)을 따라 안내되므로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이드핀이 접촉하면 접촉신호를 보내도록 센서스위치(127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스위치(1271)는 상기 가압부재(128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핀(1282)이 센서스위치(1271)와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를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보내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1280)가 모터(1240)의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체수용통(1201)의 교환시기를 알려주게 된다.
또 상기 덮개(1290)는 단부에 구두약수용본체(1210) 또는 브라켓트(1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회동부(1292)가 구비되고, 상기 장공(1291)의 주변에는 스위치고정홀(1293)이 형성되며, 미설명부호 1294는 와이어고정홀이고 1295는 제어부도피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1290)의 회동부(1292)는 구두약수용본체(1210)의 힌지구멍(1216)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1290)의 길이 방향 양측면과 힌지된 반대쪽의 단부는 상부로 절곡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절곡되지 않아도 되지만, 회동시 접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 양측면을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회전부의 반대쪽 단부를 절곡하게 되면 덮개(1290)를 잡고 들어올리기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두닦이장치(1000)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110)에 설치된 보포토센서(P)에서 발판(1113)으로 구두가 들어온 것을 감지한 신호가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모터의 작동신호가 들어오면 이를 감지한 유체공급제어부에서는 모터(1240)의 작동신호를 내리게 되어 일정한 회전량을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센서(1270)가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유체공급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모터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선축(1241)과 나선결합된 가압부재(1280)는 회전력이 상기 장공(1291)과 가이드핀(1282)에 의해 나선축(1241)의 축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면서 유체수용통(1201)을 가압하게 되므로 유체수용통(1201)의 유체인 구두약을 일정량씩 토출하게 되는 것을 정확하게 제어하게 되고, 유체수용통(1201)의 교환시기가 되면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체공급제어부(1260)에서는 구두약을 작동중에 토출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어서 발판(1113)에 구두를 올려 놓을 때마다 구두약을 토출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또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수용통(1201)에서 상부브러쉬수단(1400)의 유체분사수단(1490)에 구비된 노즐까지의 거리가 짧아서 구두약공급튜브의 길이게 짧게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130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발판지지대(1114)의 좌/우측에 상기 본체(1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된 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0)과, 이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블록(1320)과, 이 가이드블록이 하부면 단부에 설치된 베이스(1330)와, 이 베이스의 중앙 하부에 고정된 나선블록(1340)과, 이 나선블록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본체(1110)와 고정된 하부지지브라켓(1350)과, 이 하부지지브라켓에 고정된 이송모터설치브라켓(1361)을 매개로 설치된 이송모터(1360)와, 상기 하부지지브라켓(135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한 쌍의 스크류설치브라켓(1371)을 매개로 상기 이송모터(136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이송스크류(13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모터(1360)로 제어수단(1600)에서 정회전과 역회전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이송모터(1360)의 회전은 상기 이송스크류(1370)에 동기적으로 전달되고 이때 이송스크류(1370)에 체결된 나선블록(1340)이 베이스(1330)와 일체로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 및 한 쌍의 측면브러쉬수단(1500)를 장착하여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330)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0)을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 상기 베이스(1330)가 이송스크류(1370)에 의해 이송되므로 견고하고 정확하게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송스크류로 이송을 하게 되므로 벨트로 장착하여 늘어짐이나 응축되는 등의 내구 장착성이나 온도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도 6과 도 8 및 도 9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30)의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프레임브라켓(1410)과, 이 프레임브라켓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과, 이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과, 이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에 설치되어 제어수단(1600)의 신호로 제어되도록 된 상부브러쉬구동모터(1440)와, 이 상부브러쉬구동모터의 회동력으로 회전하도록 제2차회동브라켓에 설치된 상부브러쉬(1450)와, 이 상부브러쉬와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후술하는 노즐을 세척하도록 설치된 세척브러쉬(1460)와,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 일단이 끼워지고 제2차회동브라켓에 타단이 끼워져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에서 제2차링크회동브라켓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 비틀림스프링(1470)과,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브라쉬로 공급되는 구두약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된 비산방지브러쉬(1480)와, 상기 제2차회동브라켓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수단(1300)에 의해 베이스(1330)가 전후이동할 때 본체(111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97)의 타단이 연결되어 구두약을 좌우로 이송하면서 공급하도록 된 유체분사수단(14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브라켓(1410)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브라켓(1411a,1411b)과 제2프레임브라켓(1412a,1412b)이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좌우에 각각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브러쉬(1450)는 구두를 상부에서 하부로 쓸어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털어진 먼지 기타 이물질이 사용자의 바지에 묻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척브러쉬(1460)는 상부브러쉬(1450)의 강도 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솔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노즐의 대기장소에서 노즐의 선단에 있는 잔량의 구두약(유체)을 사전에 제거하여 구두약이 뭉친 상태로 상부브러쉬(145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부브러쉬의 수명이 오래가게 된다.
미설명부호 1421은 힌지핀이고, 1422는 힌지핀으로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의 상부에 끼워지는 간격유지편이며, 이때 상기 힌지핀으로 간격유지편과 비산방지브러쉬가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1420a는 상기 비틀림스프링(1470)의 일단이 끼워지는 구멍이고, 1431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에 체결되어 비틀림스프링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고정구이다.
따라서 상기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을 매개로 상부브러쉬(1450)가 구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관절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작동중에 흔들리더라도 구두 윗면의 먼지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분사수단(1490)은, 상기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1491)과, 타측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1492)과,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양단이 고정전 노즐가이드봉(1493)과, 이 노즐가이드봉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노즐뭉치(1494)와, 상기 제1브라켓과 노즐뭉치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1495)과,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술한 와이어를 안내하여 상기 노즐뭉치에 연결하도록 설치된 로울러(149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노즐뭉치(1494)의 노즐(1494a)은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에 형성된 장공(1430a)으로 삽입되어 상부브러쉬(1450)의 중심까지 유입되어 설치된다. 미설명부호 1494b는 구두약공급호스이다.
따라서 상기 노즐뭉치(1494)가 노즐가이드봉(1493)에 의해 상부브러쉬(1450)에 대해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구두약을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노즐뭉치(1494)의 노즐(1494a)에 구두약이 뭉치거나 굳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브러쉬수단(1500)은 도 6 내지 도 9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링크설치브라켓(1510)과, 이 링크설치브라켓에 비틀림스프링(15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측면브러쉬아암(1530)과, 이 측면브러쉬아암의 하부에 설치된 모터(1540)와, 상기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동기적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측면브러쉬(15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브러쉬아암(1530)중에서 일측의 측면브러쉬아암의 상부면에는 상기 세척브러쉬(1460)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세척브러쉬털이편(156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수단(1300)이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측면브러쉬(1550)가 상기 비틀림스프링(1520)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구두의 측면을 감싸면서 구두를 닦게 되고, 구두의 앞면과 뒷면에 측면브러쉬(1550)가 위치하게 되면 비틀림스프링(1520)에 의해서 맞닿으면서 앞코와 뒤축을 닦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발판(1113)에 안착되는 구두 상면과의 회전마찰을 통해 구두의 상면에 존재하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털어냄과 동시에 유체공급장치(1200)을 통해 공급되는 광택용 구두약을 이용하여 광택을 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상기 세척브러쉬털이편(1560)에 의해 세척브러쉬(1460)와 접촉하여 세척브러쉬에 묻은 구두약을 비산시켜 세척브러쉬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600)은 상기 베이스(13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한되는 위치에 설치된 전방리미트스위치(1631;센서)와 후방리미트스위치(1632;센서)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리미트스위치(1631)와 후방리미트스위치(1632)는 접촉식 또는 포토타입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1117는 상기 오물제거판(1130)을 안내하는 가이드이고, 1118은 음성안내 스피커, 1119는 배기팬이다.
이하에서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1113)에 구두가 위치해 있는지 포토센서(P)를 이용해 감지하여 구두가 없으면 대기상태가 되고 구두가 있으면 구두약공급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발위치확인단계(S2)와, 이후 구두약공급신호가 제어수단(1600)으로 오면 구두약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연결된 센서스위치(1271)가 구두약 없음 신호를 보내오지 않으면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수용통(1201)에 구두약이 있음을 확인하여 작동신호를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보내고 구두약이 없으면 제어수단(1600)으로 에러신호를 보내도록 된 구두약확인단계(S3)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의 작동중 적어도 어느 한 수단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과전류확인단계(S4)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도록 본체(111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된 센서(1631,1632)로 확인하면 작동이 이루어지고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는 이동확인단계(S5)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이동확인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S6)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발)를 교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S7)와, 구두(발)가 교체되었는지를 상기 포토센서(P)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발교체확인단계(S8)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으로 신호를 보내어 구두약을 공급하는 구두약공급단계(S9)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작동신호를 보내는 작동시작단계(S10)와, 작동중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과전류확인단계(S11)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이동확인단계(S12)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S13)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닦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멘트를 하는 종료멘트단계(S14)와,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대기 단계(S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을 구두닦기장치(1000)에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발판(1113)에 한 쪽 구두가 위치해 있는지 포토센서(P)를 이용해 감지하여 구두가 있으면 구두약공급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어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공급제어부(1260)에서 모터(1240)를 작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센서(1270)가 유치결정판(125)의 위치를 감지하여 회전량을 제어하면서 공급되는 구두약의 량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과전류단계(S4,S11)는 기구의 구성과 교류 전류 또는 충전식 밧데리에 의한 직류 전류의 공급방식에 따라 넣을 수도 있고 뺄 수도 있다.
또 상기 이송수단(1300)의 이송모터(1360)이 작동되면 이송스크류(1370)가 스크류설치브라켓(1371)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전후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브러쉬수단(1400)은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에 의해 전후로 이송되면서 상부브러쉬구동모터(1440)가 제어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두의 상부면을 닦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프레임브라켓(1410)에 제1차링크회동브라켓(1420)과 제2차링크회동브라켓(1430)가 2단 링크의 형태로 탄력적으로 연결구성되어 이동하면서 구두의 상부며에 중력과 탄성력으로 밀착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의 적어도 어느 한 수단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을 멈추게 된다.
또 상기 센서(1631,1632)에 의해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면 작동이 이루어지고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게 된다. 이후 지정된 행정수 만큼 이송한 뒷 발 바꿈 안내멘트가 나오면 발을 바꾸어 발판(1113)에 올려 놓으면 이를 확인하여 구두약을 공급하면서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작동을 멈추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이동을 확인하여 행정수를 계산하여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가 센서(1631,1632)의 감지하에 반복하여 구두닦이가 완료되면 완료 멘트를 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
여기서 구두를 닦기 위해서 금액을 지불하면 이를 확인하여 카운트하고 발위치를 확인하도록 제어수단(1600)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금액확인단계(S1)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금액확인단계(S1)가 추가되면 구두닦이장치(1000)를 사용시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두약확인단계(S3)를 지나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의 작동신호는 모터(1240)의 나선축(1241)에 설치된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위치를 위치결정판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센서(1270)가 감지하여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보내어 적정량의 구두약을 공급하도록 모터(1240)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모터회전수제어단계(S3a)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1270)가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량을 미세하게 감지하므로 구두약을 적정량 구두에 공급하게 됨은 물론, 구두약의 낭비가 불필요 하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과전류확인단계(S4,S11)는 과전류가 들어오면 10초 정도 작동을 멈추는 단계(S4a,S11a)와, 대기시간이 지나면 과전류를 확인하여 과전류가 발생하면 에러멘트를 하고 대기모드로 가며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과전류를 확인하는 단계(S4b,S11b)와, 센서가 구두를 확인하여 없으면 작동을 멈추고 구두가 있으면 원위치로 복귀 하는 단계(S4c,S11c)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전류확인단계(S4,S11)에 의해서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 구두닦이장치 1100 : 하우징
1101 : 챔버 1110 : 본체
1120 : 본체커버도어 1130 : 오물제거판
1200 : 유체공급장치 1300 : 이송수단
1370 : 이송스크류 1400 : 상부브러쉬수단
1450 : 상부브러쉬 1460 : 세척브러쉬
1490 : 유체분사수단 1493 : 노즐가이드봉
1500 : 측면브러쉬수단 1560 : 세척브러쉬털이편
1600 : 제어수단 1700 : 요금지불수단
1710 : 요금지불부

Claims (5)

  1. 먼저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발판(1113)에 구두가 위치해 있는지 포토센서(P)를 이용해 감지하여 구두가 없으면 대기상태가 되고 구두가 있으면 구두약공급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발위치확인단계와,
    구두약공급신호가 제어수단(1600)으로 오면 구두약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공급제어부(1260)에 연결된 센서스위치(1271)가 구두약 없음 신호를 보내오지 않으면 유체공급수단(1200)의 유체수용통(1201)에 구두약이 있음을 확인하여 작동신호를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보내고 구두약이 없으면 제어수단(1600)으로 에러신호를 보내도록 된 구두약확인단계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도록 본체(111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된 센서(1631,1632)로 확인하면 작동이 이루어지고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이동확인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발)를 교체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단계와,
    구두(발)가 교체되었는지를 상기 포토센서(P)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발교체확인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으로 신호를 보내어 구두약을 공급하는 구두약공급단계와,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으로 작동신호를 보내는 작동시작단계와,
    상기 이송수단(1300)의 베이스(133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여 확인되지 않으면 멈추도록 제어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이동확인단계와,
    상기 센서(1631,1632)로 확인하는 단계에서 행정수를 계산하여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행정수확인단계와,
    일정한 횟수 이송수단(1300)이 반복하면 구두닦이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멘트를 하는 종료멘트단계와,
    대기 상태로 돌아가는 대기 단계를 포함하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위치확인단계의 전에 구두를 닦기 위해서 금액을 지불하면 이를 확인하여 카운트하고 발위치를 확인하도록 제어수단(1600)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금액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확인단계의 전에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과 이송수단(1300) 및 상부브러쉬수단(1400)과 측면브러쉬수단(1500)의 작동중 적어도 어느 한 수단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작동을 멈추도록 신호를 제어수단(1600)으로 보내는 과전류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확인단계(S4,S11)는, 과전류가 들어오면 10초 정도 작동을 멈추는 단계(S4a,S11a)와, 대기시간이 지나면 과전류를 확인하여 과전류가 발생하면 에러멘트를 하고 대기모드로 가며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과전류를 확인하는 단계(S4b,S11b)와, 센서가 구두를 확인하여 없으면 작동을 멈추고 구두가 있으면 원위치로 복귀 하는 단계(S4c,S1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약확인단계(S3)를 지나 상기 유체공급수단(1200)의 작동신호는 모터(1240)의 나선축(1241)에 설치된 위치결정판(1250)의 회전위치를 위치결정판의 주연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센서(1270)가 감지하여 유체공급제어부(1260)로 보내어 적정량의 구두약을 공급하도록 모터(1240)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모터회전수제어단계(S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KR1020100056393A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KR20110136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93A KR20110136406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393A KR20110136406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06A true KR20110136406A (ko) 2011-12-21

Family

ID=4550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393A KR20110136406A (ko) 2010-06-15 2010-06-15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4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421A (zh) * 2016-10-14 2017-01-04 成都卡美奇鞋业有限公司 一种自动快速清洁鞋面的清洁烘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421A (zh) * 2016-10-14 2017-01-04 成都卡美奇鞋业有限公司 一种自动快速清洁鞋面的清洁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3222T3 (es) Aparato de limpieza de superficies y método para controlar el caudal para un aparato de limpieza de superficies
KR100988959B1 (ko) 자동 구두닦기 장치
KR100888658B1 (ko) 전동식 구두닦이 장치
KR102122861B1 (ko) 로봇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2021B1 (ko) 로봇청소기
EP2730204B1 (en) Robot cleaner
US10390672B2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7408711U (zh) 表面清洁设备和刷辊
KR101330734B1 (ko)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US6572711B2 (en) Multi-purpose position sensitive floor cleaning device
KR20110136405A (ko) 구두닦이장치
US20140067116A1 (en) Side brush assembly,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of robot cleaner
EP2166913B1 (en) Cleaning apparatus with motor-driven endless belt
CN112754371B (zh) 机器人洗地系统
CN110881903B (zh) 自主行走式电动吸尘器
JP2014094289A (ja) ロボット掃除機
KR101295282B1 (ko) 창문청소용 로봇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KR20110136406A (ko) 구두닦이장치의 작동방법
JP2006158814A (ja) 自走式清掃システム
CN116035483A (zh) 表面清洁系统
CN211187075U (zh) 一种具有杀菌装置的手持式洗地机
KR200432031Y1 (ko) 자동 구두닦이장치
CN115474875B (zh) 地面清洁系统
JP3750623B2 (ja) 車輪洗浄機
CN218852563U (zh) 抽吸头和无绳真空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