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41B1 - 신발 흙 털이 깔판 - Google Patents

신발 흙 털이 깔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441B1
KR101018441B1 KR1020100115697A KR20100115697A KR101018441B1 KR 101018441 B1 KR101018441 B1 KR 101018441B1 KR 1020100115697 A KR1020100115697 A KR 1020100115697A KR 20100115697 A KR20100115697 A KR 20100115697A KR 101018441 B1 KR101018441 B1 KR 10101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body
sides
handle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승
Priority to KR102010011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흙 털이 깔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을 털고 실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측으로 고정레일과 흙받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의 상측으로 상면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에 결합하며 고정볼트로 본체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에 결합하며 고정볼트로 본체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를 형성한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흙털이 부재는 상면의 한쪽으로 양쪽이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흙 털이 깔판{A mats}
본 발명은 신발 흙 털이 깔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을 털고 실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발 흙 털이 깔판의 경우 판형의 몸체에 단순하게 다수의 흙 털이용 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이거나, 서로 연결된 다수의 격자형 세로방향의 벽으로 형성되어 상하 관통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금속재질로 된 격자형 흙 털이 깔판의 경우는 운반 도중에 흙이 하측으로 떨어져 버리므로 모아진 흙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여 설치된 현장에서 쌓인 흙의 제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설치현장이 지저분해 지는 결점과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16618호(2003. 06. 04. 등록)과,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89-18829호(1989. 10. 05. 공개),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4-0005953호(1994. 08. 31. 공고), 특허등록번호 제0785320호(2007. 12. 06. 등록)가 있으며, 이중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16618호는 흙 털이용의 상부 돌출부와 용이한 운반을 위한 회전 손잡이를 구비하며, 다수의 깔판이 깔판 안치대에 안치되어 청소시에 깔판만을 운반하여 소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상부 돌출부가 일정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신발에 묻어 있는 흙이나 이물질이 제대로 털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고,
상기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89-18829호는 회전하는 솔을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고, 흡입팬에 연결하여 강제로 흡입하여 처리하는 것이나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어느 정도 사용하게 되면 쉽게 고장이 발생하고 매우 복잡하여 고가인 결점이 있으며,
상기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4-0005953호는 회전하는 로울러가 설치된 발판에 올라가 발을 전후로 문질러 주어 흙이나 이물질을 털어내는 것이지만 회전하는 로울러에 의해 흙이나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되지 못하고, 떨어진 흙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어서 흙이나 이물질의 처리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상기 특허등록번호 제0785320호는 신발 흙털이 깔판은 사각프레임, 전방과 후방홈이 연속하여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각프레임에 적층 결합하는 클리닝플레이트는 전방홈과 후방홈이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하방으로 일정패턴의 배출공을 형성하는 것이나, 벌집 모양의 플레이트가 신발의 바닥이 일자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흙이나 이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16618호(2003. 06. 04. 등록) 문헌 2.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89-18829호(1989. 10. 05. 공개) 문헌 3.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4-0005953호(1994. 08. 31. 공고)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785320호(2007. 12. 06.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흙 털이개에 연속해서 형성한 고정레일을 통하여 설치된 흙받이 홈에 흙털이 돌기가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흙털이 부재를 필요한 흙받이 홈에 줄로 설치하여 흙 털이개의 상측으로 돌출된 흙털이 돌기를 통하여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정레일의 사이에 형성한 흙받이 홈에서 흙털이 부재를 줄로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고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는 흙 털이 깔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흙털이 부재를 길게 형성하여 흙받이 홈에 결합하고, 흙털이 부재의 연결부분에 물구멍을 형성하여 물이 스며들도록 하며, 물구멍의 양쪽에 형성한 연결돌기가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 팽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상측으로 고정레일과 흙받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의 상측으로 상면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에 결합하며 고정볼트로 본체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에 결합하며 고정볼트로 본체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를 형성한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흙털이 부재는 상면의 한쪽으로 양쪽이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흙 털이개에 연속해서 형성한 고정레일을 통하여 설치된 흙받이 홈에 흙털이 돌기가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흙털이 부재를 필요한 흙받이 홈에 줄로 설치하여 흙 털이개의 상측으로 돌출된 흙털이 돌기를 통하여 신발의 구석구석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레일의 사이에 형성한 흙받이 홈에서 흙털이 부재를 줄로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설치하지 않고 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다양한 형태로 적용하여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이 용이하게 제거되는 흙 털이 깔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 털이 깔판을 건물의 출입구의 바닥을 성형할 때 함께 고정 설치하여 바닥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출입구에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나 흙을 제거하여 건물을 청결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흙털이 부재를 길게 형성하여 흙받이 홈에 결합하고, 흙털이 부재의 연결부분에 물구멍을 형성하여 물이 흙받이 홈으로 스며들도록 하며, 물구멍의 양쪽에 형성한 연결돌기가 열팽창계수에 의한 수축 팽창에도 다른 부분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우측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본체(11)는 소정의 간격에서 상측으로 "T"자 형태를 갖도록 고정레일(12)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레일(12)의 사이에는 흙받이 홈(1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흙받이 홈(13)에는 흙털이 부재(20)를 일렬로 삽입하고 흙받이 홈(13)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마감부재(30)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흙받이 홈(13)에 결합하는 흙털이 부재(20)는 한 칸을 건너서 결합하거나 두 칸을 결합하고 한 칸을 건너뛰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흙받이 홈(13)에 흙턱이 부재(20)를 결합하거나 빈 홈을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흙털이 부재(20)의 상면(23)에는 흙털이 돌기(24)가 일정한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흙털이 돌기(24)는 고정레일(12)의 상측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본체(11)의 하측에는 크고 작은 다수의 하측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는 가로방향은 넓고 세로방향은 가로방향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장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를 1∼5개의 범위에서 서로 결합하여 흙 털이개(10)로 세트화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흙털이 부재(20)는 양쪽으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돌출부(21)의 사이에 홈(22)을 형성하여 흙받이 홈(13)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흙털이 부재(20)의 상면(23)에는 흙털이 돌기(24)가 일정한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흙털이 돌기(24)는 원형으로 돌출되다가 끝 부분에서 가늘어 지도록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2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한쪽 방향으로 상측에서 돌출부(25)가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흙털이 돌기(24)는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돌기(27)가 돌출되며, 상기 중앙돌기(27)의 양쪽으로 2개의 사이에 각각 하나씩의 외측돌기(28)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돌기(28)는 중앙돌기(27)의 간격에 비해 2배의 간격이 더 넓게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4개가 일정한 형태로 일정한 간격에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바닥에 묻은 흙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흙털이 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돌출부(2)의 사이에 홈(22)이 형성되는 상면(23)을 길게 형성하고, 상면(23)의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 돌기(27)가 형성되며, 중앙 돌기(27)의 사이에서 2칸 사이에 하나씩의 외측 돌기(28)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흙털이 돌기(24)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23)을 흙받이 홈(13)의 길이에 3∼7개의 범위가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하고, 상면(23)의 양쪽 끝 부분 중앙에 사각형이나 원형의 물구멍(29)이 형성되며, 상기 물구멍(29)의 양쪽으로 연결돌기(29a)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흙털이 부재(20a)를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마감부재에 대한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감부재(30)는 흙털이개(10)의 양쪽에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에 형성한 손잡이홈(35)의 안쪽에 손가락을 넣어 흙털이개(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36)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13)과 일치하는 홈(31)과 고정레일(12)과 일치하는 돌기(32)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36)의 한쪽에는 하측 결합돌기(38)를 형성하여 본체(11)의 하측 결합홈(15)에 결합하고, 홈(31)의 일측으로 형성한 상측 결합돌기(37)는 흙받이 홈(13)에 결합한다.
상기 하측 결합돌기(38)와 상측 결합돌기(37)는 본체(11)에서 구멍을 천공하여 고정볼트(39)로 나사식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마감부재(30)의 하측에는 하측 결합홈(15)이 돌출된 높이를 맞추기 위한 바닥돌기(34)를 돌기(32)와 같은 위치에서 하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홈(31)의 전방으로 막힌 부분의 하측에는 배수구(33)가 형성되어 흙받이 홈(13)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본체(11)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에서 고정레일(12)이 "T"자가 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레일(12)의 사이에 흙 받이홈(13)이 형성되도록 하는 흙 털이개(10)를 알루미늄 재질로 압출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레일(12)의 사이에 형성한 흙 받이홈(13)에는 흙털이 부재(20)를 일렬로 결합하는 것이며, 흙털이 부재(20)는 흘 받이홈(13)의 한쪽에서 하나씩 결합하여 밀어 넣으면 고정레일(12)의 상측에서 양쪽으로 "T"자가 되도록 돌출되어 있으므로 고정레일(12)의 하측으로 돌출부(21)를 밀어 넣어 상면(23)이 고정레일(12)의 상측에서 걸려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상기 흘털이 부재(20)의 돌출부(21)를 흙 받이홈(13)에 결합할 때, 흙 받이홈(13)에 흙털이 부재(20)를 모두 채우지 않고 흙털이 부재(20)를 결합하지 않는 빈 공간의 흙 받이홈(13)이 형성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흙 받이홈(13)에 한 칸씩 건너 띠면서 흙털이 부재(20)를 결합하거나, 흙 받이홈(13)에 두 줄로 흙털이 부재(20)를 결합하고 한 칸씩 빈 줄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흙 털이개(10)는 5∼15줄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며, 흙 털이개(10)를 하나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필요한 경우 2개 또는 3개 등 다수 개를 연속해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흙 털이개(10)는 바닥에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건물의 바닥 공사를 시행할 때 바닥면과 흙 털이개(10)의 상측면이 일자가 되도록 매립형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흙 털이개(10)의 고정레일(12) 상측으로 흙털이 부재(20)의 상면(23)에서 돌출된 중앙 돌기(27)와 외측 돌기(28)로 이루어진 흙털이 돌기(24)가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 돌출되어 있으므로, 실내로 진입하기 이전에 흙털이 돌기(24)의 상측에 신발을 대고 문지르거나 털게 되면 흙털이 돌기(24)가 신발 바닥에 묻어있는 흙이나 이물질을 털어내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신발의 흙이나 이물질이 흙털이 돌기(24)가 접촉하면서 제거되는 것이다.
흙이나 이물질이 제거된 후 흙털이 돌기(2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나 흙털이 부재(20, 20a)가 결합된 공간이나, 흙털이 부재(20, 20a)가 결합되지 않은 흙 받이홈(13)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흙털이 부재(20)는 상면(23)의 한쪽으로 형성한 돌출부(25)의 양쪽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흙받이 홈(13)에 일자형태로 결합하는 경우에도 물이나 흙 및 이물질 등이 침투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어서, 상기 공간으로 침투되는 것이다.
상기 흙털이 부재(20a)는 길게 형성되어 흙털이 부재(20)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양쪽의 끝 부분에 형성한 물구멍(29)으로 외부에서 발생한 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물구멍(29)의 양쪽으로 형성한 연결돌기(29a)는 열팽창계수에 의해 흙털이 부재(20a)가 수축하게 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는 연결돌기(29a)에 집중되면서 물구멍(29)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팽창에 의한 영향을 해소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흙털이 부재(20, 20a)의 흙털이 돌기(24)가 신발에 묻은 흙을 털어내어 마모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흙털이 부재(20, 20a)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흙 털이개(10)는 양쪽 측면으로 조립개수에 따라서 마감부재(3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흙 털이개(10)의 본체(11) 양쪽에서 마감부재(30)의 상측 결합돌기(37)와 하측 결합돌기(38)를 연결하되, 상측 결합돌기(37)는 마감부재(30)의 양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흙받이 홈(13)의 양쪽에서 각각 결합되고, 하측 결합돌기(38)는 본체(11)의 하측으로 형성한 하측 결합홈(15)에 양쪽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상측 결합돌기(37)와 하측 결합돌기(38)를 각각 결합한 후에는 상측 결합돌기(37)와 하측 결합돌기(38)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본체(11)에 구멍을 천공한 후 고정볼트(39)로 나사식 결합하여 마감부재(30)를 흙 털이개(10)에 고정한다.
흙 털이개(10)의 양쪽으로 마감부재(30)가 연결되면 마감부재(30)의 중앙에서 손잡이홈(35) 안쪽에 형성된 손잡이(36)에 양손의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흙 털이개(10)를 간편하게 들어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30)의 홈(31) 외측으로 형성한 배수구(33)는 흙받이 홈(13)에 발생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흙받이 홈(13)의 내부에 물이 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람의 출입이 많은 출입구에 설치하여 신발에 묻어 있는 흙이나 이물질 및 물 등을 털어 흙털이 돌기에 의해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제거한 흙이나 이물질 및 물 등을 보관하면서 일부는 외부로 배출하고, 양쪽에 설치한 마감부재를 통하여 편리하게 옮기거나 출입구에 매립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 : 흙 털이개 11 : 본체
12 : 고정레일 13 : 흙받이 홈
15 : 하측 결합홈 20, 20a : 흙털이 부재
21 : 돌출부 22 : 홈
23 : 상면 24 : 흙털이 돌기
25 : 돌출부 27 : 중앙 돌기
28 : 외측 돌기 29 : 물구멍
29a : 연결돌기 30 : 마감부재
31 : 홈 32 : 돌기
33 : 배수구 34 : 바닥돌기
35 : 손잡이 홈 36 : 손잡이
37 : 하측 결합돌기 38 : 상측 결합돌기
39 : 고정볼트

Claims (5)

  1. 삭제
  2. 본체(11)의 상측으로 고정레일(12)과 흙받이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15)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13)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22)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상면(23)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23)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24)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20, 20a)와, 상기 본체(11)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36)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13)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37)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6)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15)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38)를 형성한 마감부재(30)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흙털이 부재(20)는 상면(23)의 한쪽으로 양쪽이 경사지게 형성한 돌출부(2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
  3. 본체(11)의 상측으로 고정레일(12)과 흙받이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15)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13)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22)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상면(23)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23)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24)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20, 20a)와, 상기 본체(11)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36)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13)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37)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6)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15)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38)를 형성한 마감부재(30)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흙털이 돌기(24)는 상면(23)의 중앙으로 중앙 돌기(27)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돌기(27) 2개의 사이에서 양쪽에 외측 돌기(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
  4. 본체(11)의 상측으로 고정레일(12)과 흙받이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15)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13)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22)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상면(23)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23)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24)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20, 20a)와, 상기 본체(11)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36)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13)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37)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6)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15)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38)를 형성한 마감부재(30)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흙털이 부재(20a)는 양쪽 끝 부분의 중앙에 물구멍(29)을 형성하고, 상기 물구멍(29)의 양쪽으로 연결 돌기(29a)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
  5. 본체(11)의 상측으로 고정레일(12)과 흙받이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하측으로 하측 결합홈(15)을 형성하되; 상기 흙받이 홈(13)에 삽입되며 중앙의 홈(22) 양쪽으로 형성한 돌출부(21)의 상측으로 상면(23)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23)의 상측에 흙털이 돌기(24)를 형성한 흙털이 부재(20, 20a)와, 상기 본체(11)의 양쪽으로 결합하며 손잡이(36)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흙받이 홈(13)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상측 결합돌기(37)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6)의 일측으로 하측 결합홈(15)에 결합하며 고정볼트(39)로 본체(11)에 고정하는 하측 결합돌기(38)를 형성한 마감부재(30)로 이루어진 신발 흙 털이 깔판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30)는 손잡이(36)의 전방으로 손잡이 홈(35)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6)의 양쪽으로 홈(31)과 돌기(32)를 형성하며, 상기 홈(31)의 전방에는 배수구(33)가 돌기(32)의 하측에는 바닥 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흙 털이 깔판.
KR1020100115697A 2010-11-19 2010-11-19 신발 흙 털이 깔판 KR10101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97A KR101018441B1 (ko) 2010-11-19 2010-11-19 신발 흙 털이 깔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97A KR101018441B1 (ko) 2010-11-19 2010-11-19 신발 흙 털이 깔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441B1 true KR101018441B1 (ko) 2011-03-02

Family

ID=4393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697A KR101018441B1 (ko) 2010-11-19 2010-11-19 신발 흙 털이 깔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49A (ko) 2017-02-24 2018-09-03 성백상 신발 털이용 매트
KR102145587B1 (ko) * 2020-01-17 2020-08-18 김우진 신발 먼지털이용 발판
KR20210158770A (ko)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33Y1 (ko) 2002-05-06 2002-08-13 미성산업 주식회사 흙받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선반을 갖는 신발장
KR200316650Y1 (ko) 2003-03-19 2003-06-18 이수동 신발털이용 깔개
KR200437588Y1 (ko) 2006-12-22 2007-12-13 주식회사에넥스 수납장용 선반 구조체
KR20080005794U (ko) * 2007-05-28 2008-12-03 류창환 신발바닥 털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233Y1 (ko) 2002-05-06 2002-08-13 미성산업 주식회사 흙받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선반을 갖는 신발장
KR200316650Y1 (ko) 2003-03-19 2003-06-18 이수동 신발털이용 깔개
KR200437588Y1 (ko) 2006-12-22 2007-12-13 주식회사에넥스 수납장용 선반 구조체
KR20080005794U (ko) * 2007-05-28 2008-12-03 류창환 신발바닥 털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49A (ko) 2017-02-24 2018-09-03 성백상 신발 털이용 매트
KR102145587B1 (ko) * 2020-01-17 2020-08-18 김우진 신발 먼지털이용 발판
KR20210158770A (ko) 2020-06-24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8587A (en) Roll-up floor mat with rigid rails
CA1056110A (en) Floor mat having parallel rails joined by ball and socket structures
RU2391040C2 (ru) Модульный мат
US7832044B2 (en) Floor mat with scraping and wiping characteristics
SG175385A1 (en) Modular entrance floor system
KR101018441B1 (ko) 신발 흙 털이 깔판
JP4755654B2 (ja) モジュール式マット
KR100382595B1 (ko) 풋그릴
KR200447495Y1 (ko) 흙,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발판
KR101293164B1 (ko) 배수유도로를 구비하는 목재데크 보도
EP2962555A1 (en) Mats for slatted floors of animal houses
KR102145587B1 (ko) 신발 먼지털이용 발판
JP2003239509A (ja) 敷き材
EP3064058A1 (en) Mats for slatted floors
KR20020097328A (ko) 건축물 현관바닥의 시공구조
KR200316618Y1 (ko) 신발 흙털이깔판
GB2354165A (en) Entrance matting
JPS6023389Y2 (ja) 出入口装置
JP3084487U (ja) ペットの砂・ドロおとし器
EP2688456A1 (en) Profile for floor mats and mats produced thereof
US20100239809A1 (en) Matting
KR200312558Y1 (ko) 테두리가 부착된 현관매트
KR102420093B1 (ko) 청소의 원활성과 연속 설치의 탁월성을 겸비한 발판
KR102615754B1 (ko) 반려동물용 단일 매트
JP3827591B2 (ja) 簀の子形床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