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594Y1 - 신발용 살균 건조기 - Google Patents

신발용 살균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594Y1
KR200307594Y1 KR20-2002-0038265U KR20020038265U KR200307594Y1 KR 200307594 Y1 KR200307594 Y1 KR 200307594Y1 KR 20020038265 U KR20020038265 U KR 20020038265U KR 200307594 Y1 KR200307594 Y1 KR 200307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hoe
shoes
drye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석
송창신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송창신
박창석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신, 박창석, 김민호 filed Critical 송창신
Priority to KR20-2002-0038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의 건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밀폐시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고안된 신발 살균용 건조기로써, 자외선 램프와 열풍을 이용하여 살균과 건조가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신발의 오염으로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하는 기능을 첨가하여 좀더 위생적이게 사용할수 있도록 고안된 신발용 살균 건조기이다.
본 기기의 살균 건조 방법은 첫째, 자외선 램프를 신발 내부에 위치시켜 신발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박멸하고 고온의 열풍을 신발 내부로 주입시켜 살균과 건조를 하는 것이다.
둘째, 밀폐된 공간구조의 건조실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강제 송풍식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여, 원활한 공기의 순환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와 같은 원활한 공기 순환작용으로써, 신발의 건조효율을 극히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건조실의 오염된 공기를 순환,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상에 부가적인 구성 요소로서 탈취수단을 구비하여, 오염된 신발로부터 발산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부가적 수단으로 신발 내부에 방향물질을 주입시켜 탈취는 물론이고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섯째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위험을 방지 하기 위해 Door Lock(개폐부 잠김 확인장치)를 부착하여 신발 살균 건조 중, 신발 살균 건조기의 개폐부가 열렸을 경우 모든 작동을 중지 시켜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안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섯째 온도감지센서를 열풍방출구에 설치하여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 전열히터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하고, 열풍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복귀 되었을 때 전열히터에 전원을 재공급 하도록 고안 하여 고열에 의한 화재 발생에 대비 하였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개폐수단과, 제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본체 내부에 건조실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 열풍발생장치와, 열풍배출관과, 살균램프를 내설토록 하여 구성된 신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장치내에 방향제를 내설시키고;
상기, 열풍배출관 일측면에, 상기 살균램프를 수용하는 일체화된 고정구조로서 열풍유도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건조실 내측 일면에 탈취부와 복수개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살균 건조기{STERILIZING DRYER FOR SHOES}
본 고안은 신발용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와 각종 세균에 의해 오염된 신발을 고온의 열풍과 자외선 방출작용에 의해 건조 및 살균, 탈취 하여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주도록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자의 발을 보호하는 신체 보호수단의 일종으로서, 이와같은 신발은 통상, 착용자의 발 바닥면을 보호하는 신발창과, 발 등과 그 측면을 수용 보호되도록 하는 신발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같은 신발은 그 소재와 디자인, 그리고 사용 용도에 따라 운동화, 구두등 다양한 제품으로 양산되어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신발은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로서 항상 지면과 접촉되는 사용관계를 갖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발에서 분비되는 땀을 그대로 흡수하게 됨은 물론 , 외부 오염물질(각종 먼지 내지 빗물 등)등에 접촉될 경우, 그 오염물질 또한 쉽게 흡수되게 하여 신발을 항상 습하게 하는 것이었던바;
이에, 이와같은 사용관계를 갖는 신발은 신발에 흡수된 신체분비물(땀) 내지 오염물질의 부패작용에 의해 각종 세균을 번식되게 하고, 이러한 각종 세균의 번식으로서 심한 악취를 발생되게 함은 물론, 심지어 사용자 신체에 질병(무좀 등)을 유발되게 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생활의 필수품인 신발을 좀더 효율적이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많은 신발 건조기 및 살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인 바, 이에 그 개발된 기술의 일예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015492호 "신발건조기"가 선출원 창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기술인 신발건조기는 외부로 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의 구성은 있으나,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출 수단은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이에 건조실 내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이와같은 원할치 못한 공기의 흐름으로서 과다한 건조시간과 함께 그에 따른 전력을 소모시켜야 하는 상당한 건조효율 저하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또한, 상기 선출원 기술인 신발 건조기는 공기배출수단이 없는 밀폐된 공간내에서 신발의 건조작용이 이루어 짐에 따라, 오염된 신발로 부터 발산되는 악취가 건조실내에 그대로 잔류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었던바, 이에, 사용자 요구에 만족할 만한 탈취효과는 결코 기대할수 없는 한정적 기능,구조상의 문제점 또한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 다수의 신발건조기들은 고온의 열풍과 자외선을 방출시키는 구성으로서, 그 사용관계에 있어, 건조기의 문이 항상 밀폐된 구성을 취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신발건조기의 문이 개방될 경우, 그 작동관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었던바, 이에 신발을 건조하기 위한 고온의 열풍 내지 자외선 램프(오존발생)등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키게 되는 안전상의 폐단 또한 갖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신발 건조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의 건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밀폐된 공간구조의 건조실 내에 외부와 통하는 강제 송풍식 공기 배출구를 형성되도록하여, 원할한 공기의 순환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와같은 원할한 공기 순환작용으로써, 신발의 건조효율을 극히 상승시킬수 있도록 한 신발용 살균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실의 공기를 순환,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상에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탈취수단을 구비되도록하여, 오염된 신발로 부터 발산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수 있도록 한 신발용 살균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개폐수단이 개방되었을 경우, 혹은 건조실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었을 경우, 자동 전원차단 작용에 일련의 기기 작동을 정지되도록 하여 안전한 사용관계를 갖을수 있도록 한 신발용 살균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개폐수단과, 제어부를 일체로 구비한 본체 내부에 건조실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실 내부에 열풍발생장치와, 열풍배출관과, 살균램프를 내설토록 하여 구성된 신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배출관 일측면에, 상기 살균램프를 수용, 보호하는 일체화된 고정구조로서 열풍유도구를 형성시키고;
상기 건조실 내측 일면에 탈취부와 복수개의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배출구의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건조실 3 : 열풍발생장치
4 : 열풍배출관 5 : 살균램프 6 : 열풍유도구
7 : 공기배출구 31 : 흡입팬 32 : 전열히터
33 : 방향제 41 : 온도감지센서 71 : 탈취부
72,72' : 송풍팬 111 : 도어록 112 : 개폐감지센서 711,711' : 동판격막 712 : 탈취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공기배출구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1) 내부로 형성되는 건조실(2), 그리고 상기 건조실(2)에 내설되는 일련의 구성요소로서, 열풍발생장치(3)와, 열풍배출관(4)과, 살균램프(5)와, 열풍유도구(6)와, 공기배출구(7)를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먼저 상기 본체(1)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일측면에 하향 경사구조로서 도어록(Door Lock)을 구비한 개폐수단(11)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수단(11)과 근접한 일면에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작동상태, 즉 기기의 온/오프, 건조온도, 건조시간, 건조시간 완료신호 등을 설정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형성하며, 그 측면 일측에 외부 전원선을 연결하는 콘센트(13)를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1)으로 형성된 도어록(111)은 개폐감지센서(112)를 일체로 구비한 형태로서, 개폐수단(11) 닫힘시 전원을 연결하고, 개폐수단(11) 열림시 전원을 자동단속되게 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실(2)은 신발의 건조 및 살균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이와같은 건조실(2)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본체 내측면에 소정의공간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발생장치(3)는 신발을 건조하기 위한 일종의 열원발생수단으로,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소정길이의 관상체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열풍발생장치(3)는 소정길이를 갖는 관상체 내부에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설치구성으로서 흡입팬(31)과, 전열히터(32)와, 방향제(33)를 내설되도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배출관(4)은 전술한 열풍발생장치(3)의 연장구성으로서,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하향 절곡되는 소정길이의 관상체 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은 열풍배출관(4)은 그 하단부에 열풍의 설정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1)를 창착토록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램프(5)는 자외선 방출기능에 의해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통상의 자외선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은 살균램프(5)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유동성 갖는 소정길이의 전원선(51)에 의해 연결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유도구(6)는 사용자 신체, 즉 발의 모양을 형상화 한 절곡된 형태의 구조물로서, 이에 이와같은 열풍유도구(6)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일련의 구성을 다수개의 통기공(P)을 갖는 망상체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7)는 전술한 건조실(2) 내부의 공기를 강제 송풍방식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인바, 이에 이와같은 공기배출구(7)는 탈취부(71)를 중심으로, 그 좌, 우측면에 상호 대칭되는 복수개의 구조로서 한쌍의 송풍팬(72)(72')을 설치토록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탈취부(71)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통기공(P)을 형성한 한쌍의 동판격막(711)(711')을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대칭구조로 설치하고, 이와같이 설치된 동판격막(711)(711')의 이격된 공간부위에 숯 내지 활성탄등의 탈취제(712)를 충진토록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본체(1)로 형성된 건조실(2)의 상측 일면에 관상체 구조를 취하는 열풍발생장치(3)를 설치하되, 상기 설치되는 열풍발생장치(3)가 본체(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수 있도록, 그 설치되는 구조를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건조실(2)의 내측 벽면을 통해 본체(1) 외부로 연결되도록 하고;
또한 이와같이 설치된 열풍발생장치(3)의 연장 구성으로서, 상기 열풍발생장치(3)의 일측면에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연결구성으로서, 온도감지센서(41)를 장착한 열풍배출관(4)과 열풍유도구(7)를 일체화된 고정구조로 설치하며;
재차,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건조실(2)의 내측 일면에 본체(1) 외부로 연결되는 공기배출구(7)를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을 갖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의 콘센트(13)에 외부 전원플러그(도시생략)를 연결하여, 기기작동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되도록 한 상태하에, 제어부(12)를 통하여 신발의 건조 및 살균에 필요한 온도와, 시간을 설정되도록 하고, 이와같이 설정된 본체(1)의 개폐수단(11)을 개방하여 건조 및 살균을 요하는 신발(100)을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건조실(2) 내에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건조실(2) 내로 투입된 신발(100)은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신발(100) 내측으로 열풍배출관(4)과, 열풍유도구(6)와, 살균램프(5)가 수용된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건조실(2) 내에 신발(100)이 투입된 상태로서, 개폐수단(11)을 닫힘되게 하고, 이어, 신발용 살균 건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열풍발생장치(3)는 흡입팬(31)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그 흡입된 공기를 전열히터 (32)의 발열작용에 의해 열풍으로 변환시키게 되고, 이와같이 변환된 열풍은 재차 열풍배출관(4)을 통해 신발(100) 내측면으로 유입되어 열풍유도구(6)를 통해 흐름됨으로서 신발의 건조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신발(100) 건조작용이 진행될 경우, 살균램프(5)는 점등된 상태로서 자외선 방출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같이 방출되는 살균램프(5)의 자외선은 망상체를 취하는 열풍유도구(6)의 통기공(P)을 통해 신발(100)로 전달되어 살균 소독 작용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상기 방향제(33)는 열풍에 의한 방향작용으로서, 건조되는 신발(100)내에 향기 부여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 살균작용이 진행될 경우, 건조실(2) 내부에는신발(100)로 부터 방출되는 습기와 악취가 일정량 잔류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와같이 건조실(2)내에 잔류하게 되는 습기와 악취는 공기배출구(7)의 송풍팬(72) (72')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됨으로써, 일련의 신발 건조 및 살균작용을 이루어 지게 하는 것이며, 또 다르게 상기 열풍배출관(4)에 장착된 온도감지센서(41)는 건조실(2) 내로 공급되는 열풍이 설정된 온도 이상의 범위로 가열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2)에 전달함으로써 일련의 기기(신발용 살균 건조기)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1)는 신발건조작용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 그 완료시점을 일정한 신호음으로 전달하는 부가적인 기능 또한 병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와 같은 신발의 건조 및 살균 작용이 진행됨에 있어, 상기 열풍유도구(6)는 열풍배출관(4)으로 부터 유입되는 열풍을 한곳에 치우침 없이 신발(100) 내부에 골고루 전달되도록하여 효과적인 건조작용을 행하게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7)으로 형성된 탈취부(71)는 건조실(2)로 부터 배출되는 습기와 악취를 탈취제(숯 내지 활성탄 등)(712)에 의해 깨끗하게 정화되도록하여, 신발(100)의 건조 및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는 외부의 환경오염을 예방되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살균 건조기는 밀폐된 공간구조의 건조실 내부에 강제 송풍방식을 갖는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원할한 공기 순환작용을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써, 이는 신발의 건조효율을 극히 상승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건조실의 공기를 순환, 배출토록 하는 공기 배출구에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탈취부를 구비되도록하여, 오염된 신발로 부터 발산되는 습기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정화처리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개폐수단(11)과, 제어부(12)를 일체로 구비한 본체(1) 내부에 건조실(2)을 형성하고, 상기 건조실(2) 내부에 열풍발생장치(3)와, 열풍배출관(4)과, 살균램프 (5)를 내설토록 하여 구성한 신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장치(3) 내에 방향제(33)를 내설하고;
    상기, 열풍배출관(4) 일측면에, 상기 살균램프(5)를 수용하는 일체화된 고정구조로서 열풍유도구(6)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실(2) 내측 일면에 탈취부(71)와 복수개의 송풍팬(711)(711')으로 이루어진 공기배출구(7)를 형성되도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1)상에 개폐감지센서(112)를 갖는 도어록(111)을 구비토록 하여, 상기 개폐수단(11) 열림시 전원을 차단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배출관(4) 하단에 온도감지센서(41)를 장착하여, 건조실(2)의 과열을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유도구(6)는 다수개의 통기공(P)을 갖는 망상체구조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71)는 통기공(P)을 갖는 한쌍의 동판격막 (711)(711')을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대칭구조로 설치하고, 상기 동판격막(711) (711')의 이격된 공간부위에 탈취제(숯, 활성탄등)(712)를 충진토록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살균 건조기.
KR20-2002-0038265U 2002-12-24 2002-12-24 신발용 살균 건조기 KR200307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265U KR200307594Y1 (ko) 2002-12-24 2002-12-24 신발용 살균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265U KR200307594Y1 (ko) 2002-12-24 2002-12-24 신발용 살균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594Y1 true KR200307594Y1 (ko) 2003-03-17

Family

ID=4933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265U KR200307594Y1 (ko) 2002-12-24 2002-12-24 신발용 살균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5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45B1 (ko) 2010-11-16 2011-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살균 처리 장치
KR20200068114A (ko) * 2018-12-04 2020-06-15 전민숙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WO2021261749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WO2021261747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45B1 (ko) 2010-11-16 2011-05-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살균 처리 장치
KR20200068114A (ko) * 2018-12-04 2020-06-15 전민숙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102297550B1 (ko) 2018-12-04 2021-09-03 전민숙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WO2021261749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WO2021261747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3086B2 (en) Footwear sanitizing system
US8466433B2 (en) Integrated footwear sanitizing and deodorizing system
US20090193676A1 (en) Shoe Drying Apparatus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101500909B1 (ko) 소형 신발 건조살균탈취기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20090037759A (ko) 발 건강관리기
KR200307594Y1 (ko) 신발용 살균 건조기
KR100416317B1 (ko) 신발용 자외선 소독기
WO2012174238A2 (en) Integrated footwear sanitizing and deodorizing system
KR200460472Y1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JP3114157U (ja) 靴浄化装置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170097315A (ko) 신발 소독 장치
KR200205439Y1 (ko) 신발 건조기
WO2019019544A1 (zh) 一种用于除臭的干鞋器
KR20010085054A (ko) 신발 건조기
KR200371087Y1 (ko) 신발 자동 건조 살균장치
KR200283178Y1 (ko) 신발 관리기
KR102057703B1 (ko) 방수구조의 살균램프와 소독기능을 가진 전기건조기
KR200229428Y1 (ko) 주방용 종합위생처리장치
KR20190070123A (ko)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KR200340566Y1 (ko) 가구용 탈취장치
KR200250731Y1 (ko) 신발 건조기
CN212729737U (zh) 一种臭氧杀菌干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