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051A -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051A
KR20210156051A KR1020200073723A KR20200073723A KR20210156051A KR 20210156051 A KR20210156051 A KR 20210156051A KR 1020200073723 A KR1020200073723 A KR 1020200073723A KR 20200073723 A KR20200073723 A KR 20200073723A KR 20210156051 A KR20210156051 A KR 2021015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transformer
busbar
circu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찬
김건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051A/ko
Publication of KR2021015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2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모선 사이의 차단기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모선 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 발생 시 건전 모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폐장치는 변압기와 제 1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상기 변압기와 제 2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SUBSTATION SWITCHGEA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모선 사이의 차단기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모선 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 발생 시 건전 모선측 부하를 공급할 수 있는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전력 계통도 대용량화되며, 이에 따라 전력설비의 안정화와 신뢰도를 위해 개폐장치의 설비수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 계통에서 개폐장치가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 모선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는 별도의 보호 계전기를 구비하지 않아 모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변압기 트랩으로 인해 변압기가 공급하고 있는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기 위한 과제는 모선 사이의 차단기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모선 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 발생 시 건전 모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변전소 개폐장치는 변압기와 제 1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상기 변압기와 제 2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 1 모선과 연결된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과 연결된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포함하는 변전소 개폐장치의 동작 방법은, 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변전소 개폐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모선 사이의 차단기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모선 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 발생 시 고장이 발생된 모선 만을 차단함으로써 건전 모선을 이용한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전력 공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종래의 개폐장치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개시물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전자기력을 이용한 전기적 시퀀스 회로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몇몇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변전소 개폐장치의 예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구성은 고체절연 개폐장치, 공기절연 개폐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개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및 제 2 모선 차단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개폐장치(100)에는 전술한 구성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제 1 모선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제 2 모선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변압기의 인출측에 구비되며 제 1 모선 회로와 변압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제 1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제 1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선에 대한 고장 발생 시,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제 2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폐쇄(또는 유지)되는 상태에서 제 1 모선과 변압기의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고,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인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제 2 모선에 대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 2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제 1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인 제 1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변압기의 인출측에 구비되며 제 2 모선 회로와 변압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제 2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제 2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모선에 대한 고장 발생 시,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제 1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폐쇄되는 상태에서 제 2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고,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인 제 1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제 1 모선에 대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 1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이 개방되는 상태에서 제 2 모선과 변압기 사이의 연결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인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참조부호 150과 같이, 개폐장치(100)는 변압기(140) 2 차측 제 1 모선(101)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와 변압기(140) 2 차측 제 2 모선(103)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제 1 모선(101)에 연결되어 제 1 모선(101)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1 차단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제 2 모선(103)에 연결되어 제 2 모선(103)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2 차단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차단기(112)와 제 2 차단기(122)는 제 1 모선(101)과 제 2 모선(10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제 1 모선(101)과 제 2 모선(103)이 활선 (on line) 상태일 때, 다시 말해서, 제 1 모선(101)과 제 2 모선(103)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제 1 차단기(112)와 제 2 차단기(1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폐쇄된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배전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고, 폐쇄된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배전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 1 모선(101)으로 공급되는 전력과 제 2 모선(103)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부하로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참조부호 160과 같이,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모선측 차단기만 개방시켜 고장으로부터 변압기(140)를 보호하고,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선(101)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개폐장치(100)는, 제 1 차단기(112)를 개방시켜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배전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배전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는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 1 모선(101)을 통해 고장전류가 부하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며 제 2 모선(103)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정상적으로 부하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모선(103)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개폐장치(100)는, 제 2 차단기(122)를 개방시켜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배선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배전선로(109)측 차단기(130)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는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 2 모선(103)을 통해 고장전류가 부하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며 제 1 모선(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정상적으로 부하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회로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변압기(140) 2 차측 제 1 모선(101)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와 변압기(140) 2 차측 제 2 모선(103)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변압기(140)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 1 변류기(111), 제 1 변류기(111)와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차단기(112) 및 제 1 변류기(111)와 연결되어 제 1 차단기(112)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계전기(11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변압기(140)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 2 변류기(121), 제 2 변류기(121)와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차단기(121) 및 제 2 변류기(121)와 연결되어 제 2 차단기(122)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계전기(123)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차단기(112)와 제 2 차단기(122)는 제 1 모선(101)과 제 2 모선(103)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참조부호 170과 같이, 제 1 모선(101)과 제 2 모선(103)이 활선 (on line) 상태일 때, 제 1 차단기(112)와 제 2 차단기(12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폐쇄된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제 1 변류기(111)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하고, 폐쇄된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제 2 변류기(121)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 1 모선(101) 및 제 2 모선(10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참조부호 180과 같이,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모선측 차단기만 개방시켜 고장으로부터 변압기(140)를 보호하고,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건전 모선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변류기(111, 121)는 변압기 (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고장전류를 감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계전기(113, 123)는 차단기(112, 122)의 개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선(101)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개폐장치(100)는, 제 1 차단기(112)를 개방시켜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제 1 변류기(111)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차단기(122)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제 2 변류기(121)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전류가 제 1 모선(101)으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며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 2 모선(103)으로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모선(103)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개폐장치(100)는, 제 2 차단기(122)를 개방시켜 제 2 모선(103)측 단로기(107)와 제 2 변류기(121) 사이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차단기(112)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모선(101)측 단로기(105)와 제 1 변류기(111) 사이의 전력 공급 경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전류가 제 2 모선(103)으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며 변압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제 1 모선(101)으로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2차측 개폐장치의 구조 및 보호방식 개선으로 배전선로 고장파급이나 모선 고장시에도 변압기의 정전이 발생되지 않고 50% 부하를 정상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200)(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개폐장치(200)는 제 1 변압기, 제 1 차단기 및 제 1 단로기를 포함하는 제 1 전력 설비와 제 2 변압기, 제 2 차단기 및 제 2 단로기를 포함하는 제 2 전력 설비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모선에 대한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200)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제 2 모선 차단회로(120) 및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도 1b 및 도 1c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모선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차단기(예: 제 1 차단기(112) 및 제 2 차단기(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 1 전력 설비의 모선(예: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제 2 전력 설비의 모선(예: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 1 전력 설비의 모선(예: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제 2 전력 설비의 모선(예: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부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개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 1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제 2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개방시켜 제 1 전력 설비(또는 제 2 전력 설비)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전류가 제 2 전력 설비(또는 제 1 전력 설비)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전력은 해당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을 계통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계통에서 분리된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는 해당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에 연결된 차단기를 차단시켜 고장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고,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해당 전력 설비의 건전 모선인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계통에서 분리된 전력 설비의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된 경우,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는 해당 전력 설비의 제 2 모선에 연결된 차단기를 차단시켜 고장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고,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해당 전력 설비의 건전 모선인 제 1 모선을 통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설비(230)와 제 2 전력 설비(240)는 개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설비(230)와 제 2 전력 설비(240)는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으로 연결되며,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은 모선 연결 차단기(220)(예: 제 1 모선 연결 차단기 및 제 2 모선 연결 차단기)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는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개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을 계통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 1 전력 설비(23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선 차단 회로(예: 제 1 및/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232) 및/또는 제 2 전력 설비(24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선 차단 회로(예: 제 1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신호(242)를 수신하여 제 1 모선 연결 차단기 및 제 2 모선 연결 차단기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OR 게이트(212, 21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OR 게이트로 구성된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하나의 실시 예로,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소자 또는 두 개 이상의 다양한 소자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설비(230) 및 제 2 전력 설비(240)의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을 감지한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로 제 1 전력 설비(230)와 제 2 전력 설비(240)의 분리(또는 트립)를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는 제 1 모선 연결 차단기 및 제 2 모선 연결 차단기를 개방시켜 제 1 전력 설비(230)와 제 2 전력 설비(240)를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력 설비(230) 및 제 2 전력 설비(240) 중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는 계통으로부터 분리되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다른 전력 설비는 모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장이 발생되어 계통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고장이 발생된 모선측 차단기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전류가 고장이 발생된 모선으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으로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전력 공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전력 설비(310)와 제 2 전력 설비(330)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변압기 2차측 모선에 고장 발생된 상황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변압기 2차측 전력 설비에 모선연결차단기용 한시과전류계전기(51)가 추가로 설치되고, 시스템에 설치된 계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계전기가 동작하면 모선 연결 차단기(320)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설비(310)의 제 2 모선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342), 고장점으로 고장전류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점 주변에 배치된 2번 차단기(348)에 설치된 P계전기(344)가 먼저 동작하여 5,6번 모선연결차단기(32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 2 변압기(#2변압기)가 공급하는 고장전류(청색 라인)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변압기(#1변압기)에서 공급하는 고장전류(녹색 라인)에 의해 B계전기(346)의 동작으로 인해 2번 차단기(348)가 개방되어 고장 모선이 계통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변압기 2차측 4개의 모선 중 고장 모선만 차단되고 나머지 건전 모선으로는 정상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전력 설비(310)와 제 2 전력 설비(330)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변압기 1차측 모선에 고장 발생된 상황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 1차측 제 2 모선에 고장이 발생되면(410), 제 1 모선 차단기(412, 414)가 개방되어 제 2 변압기(#2 변압기)의 운전이 중단되며, 제 1 변압기(#1 변압기)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건전 모선인 제 1 모선을 통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변압기(#2 변압기)의 운전이 중단되더라도, 제 1 변압기(#1 변압기)에 의해서 제 2 변압기(#2 변압기)가 공급하던 전력까지 정상적으로 공급되어 부하의 정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변전소 개폐장치(예: 개폐장치(100))는 변압기(예: 변압기(140))와 제 1 모선(예: 제 1 모선(101))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예: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및
상기 변압기와 제 2 모선(예: 제 2 모선(103))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예: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2 모선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모선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2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예: 제 1 변류기(111) 및 제 2 변류기(121)), 상기 변류기와 모선측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기(예: 제 1 차단기(112) 및 제 2 차단기(122)) 및 상기 변류기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예: 제 1 계전기(113) 및 제 2 계전기(123))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전력 설비 및 제 2 전력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모선 연결 차단 회로(예: 모선 차단 회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상기 제 2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OR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 중 고장이 발생된 모선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510 동작과 같이, 고장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모선고장 및 배전선로 파급고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520 동작과 같이, 고장 모선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고장전류가 제 1 모선에서 발생되었는지 또는 제 2 모선에서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530 동작과 같이,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 중 고장 모선과 관련된 차단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제 1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제 1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고장전류가 제 1 모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개폐장치(100)는 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는 건전 모선인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제 2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고장전류가 제 2 모선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개폐장치(100)는 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류는 건전 모선인 제 1 모선을 통해 공급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실시 예에서 각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610 동작과 같이, 제 1 전력 설비와 제 2 전력 설비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고장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620 동작과 같이, 제 1 전력 설비 또는 제 2 전력 설비에서 고장전류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선 연결 차단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제 1 전력 설비의 모선과 제 2 전력 설비의 모선을 개방시킴으로써 제 1 전력 설비(230)와 제 2 전력 설비(24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전력은 해당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630 동작과 같이, 고장이 전력 설비에 대한 고장 모선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100)는, S640 동작과 같이,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 중 고장 모선과 관련된 차단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폐장치(100)는, 고장 모선을 계통으로부터 분리시켜 고장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건전 모선을 통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개폐장치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장치(예: 변전소 개폐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에 발생한 고장을 검출하여 정확히 해당설비 또는 해당 구간을 판단하도록 인접 설비 또는 인접 구간 보호 계전기는 서로 협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종래의 개폐장치는 보호방식에서 배전선로와 변압기 보호 계전기의 동작시간 여유가 0.5초(30cycle) 이상 존재하므로 변압기 보호 계전기 동작 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변압기 2차측 이중차단기 및 모선 연결 차단기를 개방하는데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모선(예: 제 1 모선)과 연결된 제 1 모선 차단 회로(예: 제 1 모선 차단 회로(110)) 및 제 2 모선(예: 제 2 모선)과 연결된 제 2 모선 차단 회로(예: 제 2 모선 차단 회로(120))를 포함하는 개폐장치(예: 개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변압기(예: 변압기(14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 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2 모선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 2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모선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예: 제 1 변류기(111) 및 제 2 변류기(121)), 상기 변류기와 모선측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기(예: 제 1 차단기(112) 및 제 2 차단기(122)) 및 상기 변류기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예: 제 1 계전기(113) 및 제 2 계전기(123))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는 제 1 전력 설비, 제 2 전력 설비 및 모선 연결 차단 회로(예: 모선 연결 차단 회로(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상기 제 2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OR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 중 고장이 발생된 모선을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직접 및/또는 간접적이든, 원시 상태, 포맷화된 상태, 조직화된 상태 또는 임의의 다른 액세스 가능한 상태이든 관계없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in-memory)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제어기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분산형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는, 1차 저장 장치(storage), 2차 저장 장치, 3차 저장 장치, 오프라인 저장 장치, 휘발성 저장 장치, 비휘발성 저장 장치, 반도체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광학 저장 장치, 플래시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 장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또는 다른 적절한 데이터 저장 매체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개폐장치에 있어서,
    변압기와 제 1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상기 변압기와 제 2 모선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2 모선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모선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2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된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 상기 변류기와 모선측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기 및 상기 변류기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로 구성되는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설비 및 제 2 전력 설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모선 연결 차단 회로를 더 포함하는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개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상기 제 2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키는 개폐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OR 게이트로 구성되는 개폐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 중 고장이 발생된 모선을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개폐장치.
  9. 제 1 모선과 연결된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과 연결된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포함하는 개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공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모선 또는 상기 제 2 모선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또는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이 발생된 모선만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상기 제 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2 모선으로 공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2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모선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모선을 상기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는, 상기 변압기 인출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 상기 변류기와 모선측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기 및 상기 변류기와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의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계전기로 구성되는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제 1 전력 설비, 제 2 전력 설비 및 모선 연결 차단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된 전력 설비를 계통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전력 설비 또는 상기 제 2 전력 설비 중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을 통해 상기 변압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상기 제 1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과 상기 제 2 전력 설비의 제 1 모선 및 제 2 모선 사이의 연결을 개방시키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연결 차단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OR 게이트로 구성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선 차단 회로 및 제 2 모선 차단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계통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설비의 모선 중 고장이 발생된 모선을 분리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73723A 2020-06-17 2020-06-17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10156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23A KR20210156051A (ko) 2020-06-17 2020-06-17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23A KR20210156051A (ko) 2020-06-17 2020-06-17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051A true KR20210156051A (ko) 2021-12-24

Family

ID=7917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723A KR20210156051A (ko) 2020-06-17 2020-06-17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333A (ko) 2022-07-15 2024-01-23 한국전력공사 전력 고객측 고장 표시 단말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333A (ko) 2022-07-15 2024-01-23 한국전력공사 전력 고객측 고장 표시 단말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2066C2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защиты системы
US20150137915A1 (en)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circuit breakers for local and/or remote control
US20050002152A1 (en) Fault current limiting system and method
US20220037917A1 (en) Hybrid switching apparatus of the withdrawable type
EP2622699B1 (en) Integrated photovoltaic source circuit combiner and protection subsystem
CN201549868U (zh) 低压开关智能控制器
US9954352B2 (en) Power system including a circuit providing smart zone selective interlocking communication
KR20210156051A (ko)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KR20130047316A (ko) 배전용 변압기 부하 자동 절체 계전기
JP3925846B2 (ja) 電力系統連系システム
CN213754084U (zh) 一种采用不同接地方式电源的双电源供电系统
CN113346481A (zh) 110kV链式结构变电站的自愈系统及自愈方法
KR102596616B1 (ko) 차단 실패시 변전소 자동 복구 시스템 및 방법
JP3248962B2 (ja) インバータ配電系統の保護方法
KR20100074829A (ko) 고압 수전반 차단기
JPH03265413A (ja) 配電線の保護装置
KR200203638Y1 (ko) 자기 개폐형 변압기
CN211018386U (zh) 一种基于T接110kV线路的厂用应急电源
RU2695643C1 (ru) Способ трансформации систем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TN-C-S и ТТ и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с защитным вводным разнономинальным коммутационным аппаратом (ВРКА)
TWI686833B (zh) 具有自力跳脫斷電的高壓斷路器
KR100419261B1 (ko) 스폿 네트워크 시스템의 저압 모선 지락고장보호장치
KR20000051401A (ko) 주 보호순시요소 활성화 및 정전축소시퀀서를 구비하는 전력 시설물의 보호시스템
KR20160122503A (ko) 모선보호계전기의 오작동 방지 시스템
JP2000166084A (ja) 配電システム
JPH1014100A (ja) 地絡自己遮断型自動区分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