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38Y1 - 자기 개폐형 변압기 - Google Patents

자기 개폐형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38Y1
KR200203638Y1 KR2020000017796U KR20000017796U KR200203638Y1 KR 200203638 Y1 KR200203638 Y1 KR 200203638Y1 KR 2020000017796 U KR2020000017796 U KR 2020000017796U KR 20000017796 U KR20000017796 U KR 20000017796U KR 200203638 Y1 KR200203638 Y1 KR 2002036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resent
transformers
self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20000017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압기의 고장시 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의 변압기 설치시 무정전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자체내에 개폐기를 내장하여 인접된 수용가의 배전선로를 정전하지 않고서 고장난 해당 변압기만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자기 개폐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케이블(C)을 통해 입력되는 고전압을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1차코일(W1)과 2차코일(W2)을 구비하여 수용가측에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에 휴즈들을 구비한 변압기(100)내부에 적어도 2개의 개폐기(HA,HB)를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변압기가 고장으로 인해 교체나 보수하고자 할 경우 인접된 좌우측의 변압기에 있는 개폐기를 오프시킴으로써 고장난 변압기의 수용가만을 정전상태로 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기 개폐형 변압기{Transformer having self opening/closing functions}
본 고안은 변압기의 고장시 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의 변압기 설치시 무정전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자체 내에 개폐기를 내장하여 인접된 수용가의 배전선로를 정전하지 않고서 고장난 해당 변압기만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자기 개폐형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상 배전선로는 저전압(약 220-350V)용과 고전압(약22.9KV)용이 있는바, 이러한 배전선로는 저압인 경우 도1에서와 같이 전주를 이용하여 주상변압기(20)에서 적절한 전압으로 변환된 뒤 각각의 저전압 수용가(30)측에 공급된다.
그런데 다중접지 배전선로 계통에 있어서는 천둥 번개를 수반한 낙뢰나, 수목과의 전선접촉 또는 완금 사이에 조류(특히 까치)가 둥지를 지을 경우 철사 등에 의한 혼촉으로 인해 합선이 발생하게 되어 변압기가 순간적으로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에 이러한 사고 시에는 주상변압기(20)의 전단에 설치된 차단기(COS)를 절체함으로써 그에 딸린 수용가들(30)을 제외한 나머지 수용가들은 정전하지 않고서 해당 주상변압기(20)를 무정전 상태로 보수 및 교체작업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1과는 달리 배전선로가 지상에 묻혀 있는 지중선로는 상기와 같은 낙뢰, 수목접촉, 또는 조류의 혼촉에 의한 사고가 적으나, 지중선로는 변압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변압기가 고장나면 전후선로의 개폐기에서만 개폐가 가능하고 계통 연결된 변압기는 전체적으로 일시정전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가 직렬로 연결된 지중선로에서는 도1에서와 같은 무정전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컨대 부하증가 또는 보수관계로 도3에 도시한 변압기(TR3)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스위치박스(SW-B)의 1번 단자를 오프에서 온시키고, 3번 단자를 오프시킨 다음 스위치박스(SW-A)의 4번 단자를 오프시키는바, 이때 변압기(TR1-TR7)는 모두 정전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TR2)의 HB측 엘보우(10)를 분리한 후 절연캡(도시하지 않았음)을 시공하고 난뒤 동일한 방법으로 변압기(TR4)의 HA측 엘보우(10)를 분리한 후 절연캡을 시공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박스(SW-A)의 4번 단자를 온시켜 변압기(TR1,TR2)에 전원을 공급하고 나서 스위치박스(SW-B)의 3번 단자를 온시켜 나머지 변압기(TR4-TR7)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비로써 변압기(TR3)의 교체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인바, 작업 완료 후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작업을 함으로써 원하는 변압기(TR3)를 교체 보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2 및 도3에 도시된 지상형의 종래의 변압기에 있어서는 정전범위가 매우 넓어 정확한 정전통보가 용이하지 않고 절체 순서가 매우 복잡하며 양단 개폐기에서만 절체가 가능하며 사고 구간 변압기에 엘보(10)분리 및 절연캡의 시공 및 복구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며 작업 시마다 정전이 2회가 되므로 전기공급의 신뢰성이 저하되며 더욱이 광범위한 정전범위로 인해 민원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압기 자체내에 개폐기를 내장하여 인접된 수용가의 3상 배전선로를 정전하지 않고서 고장난 해당 변압기만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수용가에게만 정전통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민원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장시간의 보수공사로 인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기 개폐형 변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가공선로에 병렬로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구성예,
도2는 종래의 지상형 변압기의 구성도,
도3은 지중선로에 설치되는 종래의 지상형 변압기의 구성예에 있어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자기 개폐형 변압기의 구성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자기 개폐형 변압기의 전면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지중선로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 개폐형 변압기의 구성예에 있어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00 : 변압기 TR1-TR7 : 변압기
W1 : 변압기의 1차권선 W2 : 변압기의 2차권선
HA,HB : 개폐기 101 : 변압기 본체
102 : 여닫이용 손잡이 103 : 패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기 개폐형 변압기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고전압을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구비하여 수용가측에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에 휴즈들을 구비한 변압기 내부에 적어도 2개의 개폐기를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변압기가 고장으로 인해 교체나 보수하고자 할 경우 인접된 좌, 우측의 변압기에 있는 개폐기를 오프시킴으로써 고장난 변압기의 수용가 만을 정전상태로 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기 개폐형 변압기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5에는 본 고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4에 있어서 도2와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 부품들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필수적인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기 개폐형 변압기(100)는 변압기 (100)내부에 적어도 2개의 개폐기(HA,HB)를 더 설치함으로서 고장난 변압기에 수반되는 수용가측(30)만이 정전된 상태에서 교체 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00)의 본체(101)에는 각종 개폐기(HA,HB)가 설치되는바, 여기에서 개폐기(HA,HB)는 도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온/오프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면패널(103)에는 전력케이블(C)(도4 참조)의 인입선을 꽂을 수 있도록 인입용 부싱(A1,A2,B1,B2,C1,C2)이 형성되어 있고 출력단자용 1차부싱(X0,X1,X2,X3)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02)는 전면패널(103)을 열고자 할 경우 잡아당기면 하측의 힌지(104)를 중심으로하여 전면패널(103)이 화살표방향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6을 참조하여 교체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에 변압기(TR3)가 어떤 원인에 의해 고장이 나서 교체하고자할 경우에는 스위치박스(SW-B)의 1번 단자를 오프에서 온시키고 변압기(TR2)의 개폐기(HB)를 오프시키며 인접된 변압기(TR4)의 개폐기(HA)를 오프시킴으로써 변압기(TR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기타의 변압기(TR1,TR2),(TR4-TR7)에 관련된 수용가(30)는 전혀 정전이 됨이 없이 안전하고도 신속하게 변압기(TR3)를 교체 보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변압기 자체 내에 개폐기를 내장하여 인접된 수용가의 3상 배전선로를 정전하지 않고서 고장난 해당 변압기만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대상 수용가에게만 정전통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민원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장시간의 보수공사로 인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1)

  1. 케이블(C)을 통해 입력되는 고전압을 코일의 권선비에 의해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1차코일(W1)과 2차코일(W2)을 구비하여 수용가측에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에 휴즈들을 구비한 변압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100)내부에 적어도 2개의 개폐기(HA,HB)를 설치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개폐형 변압기.
KR2020000017796U 2000-06-22 2000-06-22 자기 개폐형 변압기 KR2002036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796U KR200203638Y1 (ko) 2000-06-22 2000-06-22 자기 개폐형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796U KR200203638Y1 (ko) 2000-06-22 2000-06-22 자기 개폐형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38Y1 true KR200203638Y1 (ko) 2000-11-15

Family

ID=1966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796U KR200203638Y1 (ko) 2000-06-22 2000-06-22 자기 개폐형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799B1 (ko) * 2003-08-18 2005-09-28 (주)한백 특고압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내장한지중선로용 변압기.
KR100740913B1 (ko) 2006-06-21 2007-07-19 신영중전기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가 설치된 지상변압기
KR20080050716A (ko) * 2006-12-04 2008-06-10 풍산전기 주식회사 개폐기일체형 지상변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799B1 (ko) * 2003-08-18 2005-09-28 (주)한백 특고압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내장한지중선로용 변압기.
KR100740913B1 (ko) 2006-06-21 2007-07-19 신영중전기 주식회사 배선용차단기가 설치된 지상변압기
KR20080050716A (ko) * 2006-12-04 2008-06-10 풍산전기 주식회사 개폐기일체형 지상변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43590A (ru) Панель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встроенный в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щит
CN110829390B (zh) 测量负荷侧电压与备自投配合的110kV断线保护方法
Agüero et al.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power distribution systems through single-phase tripping
KR200203638Y1 (ko) 자기 개폐형 변압기
Leeuwerke et al. Developments in ring main unit design for improved MV network performance
CN105140878A (zh) 高压跌落式熔断器过流切换保护装置
KR102277042B1 (ko)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EA021000B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Chernoskutov et al. Analysis of SF6 Circuit Breakers Failures Related to Missing Current Zero-Part I
CN211017992U (zh) 一种多端口直流断路器不停电检修系统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0460622B1 (ko) 개폐장치가 내장된 지상변압기
KR20210156051A (ko) 변전소 개폐장치 및 동작 방법
Deschamps et al. Reduce the number of outage by introducing circuit breaker in the distribution network, dream or reality?
KR200262224Y1 (ko) 3상 지상변압기용 2차측 케이블의 소손 방지구조
KR200293404Y1 (ko) 부하개폐형 지상변압기
WO2014201475A1 (en) Ring main unit
Koeppi et al. Short-circuit current partitioning in HV substations in ring-bus arrangement with redundancy
CN220043053U (zh) 一种高温堆母线电源开关闭锁结构及其高温气冷堆系统
CN220306827U (zh) 一种箱式变电站
CN202534944U (zh) 无备品低压开关上并联连接有旁路开关的变电系统
CN202534945U (zh) 设有0.4千伏低压开关的变电系统
Lowsley et al. Automatic low voltage intellegent networks (ALVIN)
KR100959521B1 (ko) 진공 인터럽터 방식 부하개폐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큐비클형 개폐장치
Singh et al. A Review on Selection of Proper Busbar Arrangement for Typical Substation (Bus-Bar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