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159A -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 Google Patents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159A
KR20210155159A KR1020200072322A KR20200072322A KR20210155159A KR 20210155159 A KR20210155159 A KR 20210155159A KR 1020200072322 A KR1020200072322 A KR 1020200072322A KR 20200072322 A KR20200072322 A KR 20200072322A KR 20210155159 A KR20210155159 A KR 2021015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area
trawl
net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832B1 (ko
Inventor
김성헌
윤홍근
박연주
손영삼
이진영
박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0007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8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은 상측부재, 우측부재, 하측부재, 좌측부재를 포함하는 강화부재와 상기 각 강화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형성되는 망구(網口)와, 상기 망구의 최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각 강화부재의 양 끝단에서 트롤망을 견인하는 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인 목줄 연결부와, 상기 망구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넓어지는 확장 영역과, 상기 확장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축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영역들은 다수의 일정한 크기의 마름모 그물코로 이루어지는 제1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1 그물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육각코 영역 및 상기 육각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마름모코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2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2 그물코 영역과 연결된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름모 그물코는 육각 그물코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밀도가 높아 파손시 변형이 적은 구조적인 장점이 있고, 따라서 마름모 그물코에 연결된 목줄 연결부는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쉽게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마름모 그물코가 추가됨에 따라 수중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있어서, 목줄 연결부의 위치를 트롤망의 최외각 부분이 아니라 중심을 향해 이격시키고 불필요한 면적을 제거하여 수중저항을 저감시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trawl for easy operation and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에 관한 것으로, 트롤망의 목줄 연결부가 파손되었을 경우에 쉽게 보수할 수 있거나, 어류를 포획하고 예망(曳網)하는 과정에서, 트롤망의 면적 최대화와 수중저항 최소화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기술적 사상의 트롤망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일반적인 트롤망을 이용한 조업의 개념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선박과 트롤망을 목줄로 연결하고 양망기를 이용하여 심해 중·저층에 트롤망을 풀어내고, 전개판을 이용하여 망구를 방사형으로 펼친 상태로 선박이 이동함에 따라 트롤망이 함께 이동한다. 그 후 트롤망의 내부로 어류가 포획됨에 따라 예망(曳網)하는 방식으로 조업활동이 진행된다.
이러한 트롤망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발명과 출원인이 같은 등록번호 제10-1798454호의 선출원특허가 있다(이하 "선행발명"이라 함). 상기 선행발명은 다수의 어류를 포획하기 위해 표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예망 시 발생하는 수중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설계를 하고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트롤망은 반복적인 수중 저항 환경에 놓이게 되고, 트롤망의 구성요소 중 목줄이 연결되는 부분이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상기 선행발명의 트롤망도 가장 취약한 부위인 목줄 연결부가 빈번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원활한 조업활동을 위해 파손부위를 손쉽게 보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나, 선행발명의 트롤망은 목줄 연결부가 육각 형상의 그물코에 연결되어 있어 파손 시 보수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파손된 목줄 연결부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롤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선행발명의 트롤망은 표면적과 수중저항 사이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최적화 된 구조로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하기 위하여 트롤망의 구조적인 변경을 할 경우에 상기 상관관계의 수정된 데이터가 필요하고 그것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나아가, 수정된 데이터를 통해 보수용이성은 높이고 표면적은 넓힘과 동시에 수중저항은 낮출 수 있는 최적화된 구조의 트롤망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은 상측부재, 우측부재, 하측부재, 좌측부재를 포함하는 강화부재와 상기 각 강화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형성되는 망구(網口)와, 상기 망구의 최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각 강화부재의 양 끝단에서 트롤망을 견인하는 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인 목줄 연결부와, 상기 망구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넓어지는 확장 영역과, 상기 확장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축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영역들은 다수의 일정한 크기의 마름모 그물코로 이루어지는 제1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1 그물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육각코 영역 및 상기 육각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마름모코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2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2 그물코 영역과 연결된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물코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그물코 영역의 길이의 1/4배 내지 1/3배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 영역의 길이는 상기 축소 영역의 길이의 1배 내지 1.2배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줄 연결부는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중심방향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그물코 영역의 표면적과 비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목줄 연결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다수의 마름모 그물코로 구성되는 제1 그물코 영역으로 구성함으로서 트롤망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이유는 마름모 그물코는 육각 그물코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재건이 쉽고, 밀도가 높아 파손시에도 변형이 적은 구조적인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목줄 연결부가 부착된 위치를 중심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있다. 이를 통해 수중저항이 특정 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막고 목줄 연결부의 양 측으로 수중저항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연결부재를 추가하고 목줄을 목줄 연결부에 2개의 갈래로 연결하는 구조변경을 통해 조업에 불필요한 그물망의 표면적을 작게하였다. 이를 통해서, 마름모 그물코로 이루어지는 제1 그물코 영역을 추가한 만큼 상승하게 되는 수중저항을 상쇄 및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는, 수중저항을 저감시키고 파손의 빈도를 낮출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선박의 연료를 포함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원활한 조업활동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업용 트롤 어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트롤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평면도(a-1) 내지 측면도(a-2)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a)와 선행발명의 비교예(3-b)의 저항 시뮬레이션 디스플레이를 정면도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저항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임계적 의의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조업활동으로 인해 트롤망이 파손될 경우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트롤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망구(100), 목줄 연결부(120), 제1 그물코 영역(140), 제2 그물코 영역(160) 및 포집망(18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트롤망에는 수중저항을 저감시키되 그물망의 표면적은 넓힐 수 있어야 하는 기술적 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물망의 표면적을 넓히면 수중저항은 증가한다'는 상관관계가 작용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물망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목줄 연결부(120)의 위치를 변경하고, 마름모 그물코 형상의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명의 주된 취지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의 연결 순서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망구(100)는 도 3의 (3-a)를 참조했을 때 시계방향 순서로 상측부재(102a), 연결부재(104), 우측부재(102b), 연결부재(104), 하측부재, 연결부재(104), 좌측부재 및 연결부재(104)로 연결된 계를 이루고 있다. 상기 계는 수중저항 환경에서도 방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전개판에 의해 망구(100)가 방사형으로 펼쳐지지만, 트롤망 전체가 수중저항을 받는 환경에 놓이기 때문에 망구(100)의 형상이 방사형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필요하고 본 발명에서는 강화된 부재를 구성하여 기술적 사상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 망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상측부재(102a), 우측부재(102b), 하측부재, 좌측부재를 강화된 부재(이하 "강화부재(102)" 라고 한다.)로 구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망구(100)의 형상을 방사형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구(100)와 연결되어 있는 마름모 그물코의 형상도 일정한 형상의 마름모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마름모 형상을 유지함으로서 포획된 어류가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수중저항의 분포에 있어서도 힘이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선행발명의 망구의 부재는 4측에만 강화부재로 구성되어 있던 반면, 본 발명의 경우 강화부재(102)의 사이사이인 4측 방사형의 귀퉁이에 연결부재(104)를 추가 구성하였다. 연결부재(104)를 추가 구성함으로 인해서 그물망의 표면적이 감소되는 음영 부분(104)이 형성된다.
음영 부분의 면적만큼 줄어든 표면적은 어종을 포획하는데 불필요한 공간이면서 수중저항은 증가시키는 면적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제1 그물코 영역(140)의 기재 부분에서 후술한다.
또한, 망구(100)의 최전방(최전방 방향은 도 2를 참조.)에 연결된 목줄 연결부(120)의 개수에 있어서 선행발명과 본 발명의 차이가 있다. 선행발명의 경우에는 4측 귀퉁이에 4개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각 강화부재(102)의 끝단에 8개의 목줄 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목줄 연결부(120)와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바로 아래의 목줄 연결부(120)의 기재부분에서 더 자세히 서술한다.
두 번째로, 목줄 연결부(120)는 상술하였듯이 8개로 구성되어 있고, 도 2를 참조하면, 유지 보수가 용이 하도록 마름모 형상의 그물코 영역(제1 그물코 영역(140))에 목줄 연결부가 형성되고 있다.
반면, 선행발명의 해당부분은 육각 형상의 그물코로 구성되어 있다. 마름모 형상의 그물코가 육각 형상의 그물코에 비해 보수가 더 용이하며, 마름모 형상이 보수가 용이한 이유는 제1 그물코 영역(140)의 기재부분에서 더 자세히 후술한다.
다음으로, 목줄 연결부(12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에서부터 연결되는 목줄은 1개 가닥으로 구성하고 있고, 목줄 연결부(120)와 연결되는 지점에서는 2개 가닥으로 나뉘어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줄의 꼬임을 방지하는 등 연결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고, 각 목줄 및 그물망에 걸리는 부하를 1/2로 분산시켜 목줄 연결부(120)가 파손될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목줄 연결부(120)가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이격거리(20)를 두고 형성되고 있다. 반면, 선행발명에서는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 목줄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격거리(20)는 아래에 더 자세히 서술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격거리(20)는 제1 그물코 영역(140)의 표면적과 비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사용에 있어서 전체 크기가 큰 트롤망을 사용하면 표면적도 증가되고, 그에 비례되게 이격거리(20)도 증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수중저항을 양측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격거리(2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바로 아래의 제1 그물코 영역(140)의 기재부분에서 더 자세히 서술한다.
세 번째로, 도 2를 참조하여 제1 그물코 영역(140)을 설명하고자 한다. 제1 그물코 영역(140)은 확장 영역(142) 및 축소 영역(144)으로 구성되어 있고 망구(100)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정한 형상의 마름모 그물코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그물코 영역은 목줄 연결부(120)가 부착되는 영역으로 트롤 조업의 특성상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이면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제1 그물코 영역은 보수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선행발명의 경우에는 목줄이 연결되는 영역에 육각 형상의 그물코를 구성하고 있던 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를 마름모 형상의 그물코로 대체하였다. 아래에서는 마름모 형상이 육각 형상에 비해 보수가 용이한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마름모 형상은 꼭짓점이 4개로 육각 형상에 비해서 그 형상이 단순하다. 따라서 그물망이 파손 되어 형태를 재건하는 경우에 마름모 형상을 보수 하는 것이 육각 형상을 보수하는 것에 비해 훨씬 용이하다.
또한, 마름모 형상은 육각 형상에 비해 원형(circle)에 덜 가까운 형상으로서 그물망을 형성했을 때 밀도가 높게 형성된다. 높은 밀도로 인해, 그물망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마름모 형상의 그물코끼리 단단하게 결합되며, 그물망이 파손되는 정도가 적고, 마름모 형상을 최대한으로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그물코 영역(140)은 확대 영역(142)과 축소 영역(144)으로 구획하여 망폭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선행발명의 경우에는 일관적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구조로만 구성되어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그물코 영역(14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은 선행발명에 비해 마름모 그물코로 구성된 제1 그물코 영역(140)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트롤망에 마름모 그물코를 과도하게 추가하게 되면 수중저항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반면, 마름모 그물코를 과도하게 적게 추가하게 되면 마름모 그물코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확장 영역(142)의 길이를 과도하게 길게 형성하거나 과도하게 짧게 형성하게 되면 수중저항이 양측으로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없어서 수중저항이 되려 특정 영역으로 집중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정량적 분석을 토대로 하여 실험을 통해 얻은 임계적 의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3과 도4의 실험예를 살펴보면, 제1 그물코 영역(140)의 길이와 이격거리(20)의 적절한 값을 대입하여 반복적으로 실험을 수행 하였고, 수중저항과 표면적에 있어서 임계적 의의가 있는 값을 제공하고 있다. 즉 표면적은 최대한으로 넓히고 오히려 수중저항은 저감시킨 결과를 산출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그물코 영역(140)의 길이는 제2 그물코 영역(160)의 길이의 1/4배 내지 1/3배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확장 영역(142)의 길이는 축소 영역(144)의 길이의 1배 내지 1.2배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의 실험예에는 상기 확장영역의 길이의 수치한정의 범위 내의 값으로 확장 영역의 길이를 축소 영역의 길이의 1.15배로 구성하였을 경우에 표면적과 수중저항의 임계적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험예를 통해 상기 수치한정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표면적이 감소하고 수중저항은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육각코 영역(162)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는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마름모 그물코를 기준으로, 후방으로는 마름모 그물코 1개, 전방방향으로는 마름모 그물코 3개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방향으로 3번째 마름모 그물코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 되도록 한다.
상기의 수치한정으로 인한 효과는 도3 내지 도4에 의해서 입증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그물코 영역(160) 및 상기 포집망(180)은, 상기 제1 그물코 영역(140)과 연결되어 있고, 육각코 영역(162), 마름모코 영역(164), 포집망(180)의 순서로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선행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으로 이미 공중에 공개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용이하게 유지 보수 할 수 있는 트롤망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이격거리
100: 망구
102a, 102b, 102c, 102d: 상측부재, 우측부재, 하측부재, 좌측부재
102, 104: 강화부재, 연결부재
104a: 음영 부분
120: 목줄 연결부
140: 제1 그물코 영역
142, 144: 확장 영역, 축소 영역
160: 제2 그물코 영역
162, 164: 육각코 영역, 마름모코 영역
180: 포집망

Claims (4)

  1. 상측부재, 우측부재, 하측부재, 좌측부재를 포함하는 강화부재와 상기 각 강화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형성되는 망구(網口)와;
    상기 망구의 최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각 강화부재의 양 끝단에서 트롤망을 견인하는 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인 목줄 연결부와;
    상기 망구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넓어지는 확장 영역과, 상기 확장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축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영역들은 다수의 일정한 크기의 마름모 그물코로 이루어지는 제1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1 그물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육각코 영역 및 상기 육각코 영역과 연결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망폭이 좁아지는 마름모코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제2 그물코 영역과;
    상기 제2 그물코 영역과 연결된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물코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2 그물코 영역의 길이의 1/4배 내지 1/3배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영역의 길이는 상기 축소 영역의 길이의 1배 내지 1.2배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 연결부는 망폭이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중심방향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그물코 영역의 표면적과 비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KR1020200072322A 2020-06-15 2020-06-15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KR10239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22A KR102399832B1 (ko) 2020-06-15 2020-06-15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322A KR102399832B1 (ko) 2020-06-15 2020-06-15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59A true KR20210155159A (ko) 2021-12-22
KR102399832B1 KR102399832B1 (ko) 2022-05-19

Family

ID=7916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322A KR102399832B1 (ko) 2020-06-15 2020-06-15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8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247U (ko) * 1985-01-09 1986-07-25
JPH0741337Y2 (ja) * 1989-11-28 1995-09-27 函館製網船具株式会社 トロール網
KR19990064222A (ko) * 1995-10-13 1999-07-26 오션 트롤 테크날러지 리서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트롤 시스템 셀 설계 및 방법
US20060272196A1 (en) * 1996-10-11 2006-12-07 Sherif Safwat Cell design for a trawl system and methods
JP2018524968A (ja) * 2015-02-11 2018-09-06 ジーエックス・テクノロジ・カナダ・リミテッド 商業漁撈用トロール網の索具構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247U (ko) * 1985-01-09 1986-07-25
JPH0741337Y2 (ja) * 1989-11-28 1995-09-27 函館製網船具株式会社 トロール網
KR19990064222A (ko) * 1995-10-13 1999-07-26 오션 트롤 테크날러지 리서치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트롤 시스템 셀 설계 및 방법
EP0859546B1 (en) * 1995-10-13 2001-12-12 OTTER Ultra-Low-Drag, Ltd. Trawl system cell design and methods
US20060272196A1 (en) * 1996-10-11 2006-12-07 Sherif Safwat Cell design for a trawl system and methods
JP2018524968A (ja) * 2015-02-11 2018-09-06 ジーエックス・テクノロジ・カナダ・リミテッド 商業漁撈用トロール網の索具構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832B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120B1 (ko) 해파리 포획장치
KR102399832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트롤망
KR101798454B1 (ko) 트롤망
JP3706829B2 (ja) 魚を選別するデバイス
CN106087870B (zh) 一种抗洪抢险专用钢筋笼
CN110663651A (zh) 一种水下非缠绕可降解型人工集鱼装置
JP2005027510A (ja) 生簀内における魚体選別方法および魚体選別システム
KR101642777B1 (ko) 해상 가두리 중간 육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KR101708685B1 (ko) 트라이포드 인공어초
CN207948603U (zh) 一种六面体型保护增殖型人工鱼礁
CA1229731A (en) Net fabric for trawling
JP3830155B1 (ja) 底曳漁業用網
CN104938440A (zh) 双列式多窗口组合型竹筴鱼拖网选择性试验装置
CN212787079U (zh) 一种具有兼捕与释放的南极磷虾拖网
KR102108270B1 (ko) 예인망
CN203457654U (zh) 一种渔用软筛及应用其的组合式渔用软筛
CN114617092A (zh) 一种促进库区产粘沉性卵鱼类自然增殖的立体式人工鱼巢
AU2013203731B2 (en) A submersible structure
KR101686856B1 (ko) 복합형어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JP3196446U (ja) 支持枠を増強した貝類の円筒状養殖篭
CN105941357B (zh) 利用配对漂流人工集鱼装置围捕金枪鱼的方法
KR102437440B1 (ko) 새꼬막의 유생 포착용 그물
JP2005160344A (ja) 被覆材付き人工魚礁
CN114051964B (zh) 一种大口黑鲈苗种筛选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