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036A -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 Google Patents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036A
KR20210155036A KR1020200071781A KR20200071781A KR20210155036A KR 20210155036 A KR20210155036 A KR 20210155036A KR 1020200071781 A KR1020200071781 A KR 1020200071781A KR 20200071781 A KR20200071781 A KR 20200071781A KR 20210155036 A KR20210155036 A KR 20210155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sphalt
layer
waterproofing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riority to KR102020007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036A/ko
Publication of KR2021015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타포린 시트 하부면에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합지시킨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KS F 4911. 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 품질 성능 기준)의 하부에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KS F 4935. 점착 유연형 고무아스팔트계 누수 보수용 주입형 실링재 품질 성능 기준)이 함침된 복층 구조의 복층 방수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Sealant composition of adhesive flexible type and multi-layered waterproof sheet using it}
본 발명은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건축 구조물의 옥상, 지하 기초 바닥 및 지하 외벽,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방수와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전력구 및 통신구)와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에 적용되는 방수자재와 방수공법들의 종류를 분류해 보면, 1910년대~1970년대 까지는 고체의 방수공사용 아스팔트를 공사 현장에서 고온(220℃~250℃)가열 용융하여 방수 바탕면에 도포와 동시에 아스팔트 펠트 또는 아스팔트 루핑을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시공되는 열공법의 '아스팔트 3겹 8층 방수 공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다.
상기 '아스팔트 3겹 8층 방수 공법'의 시공은 아스팔트 프라이머 도포 1회-가열용융 아스팔트 도포 4회-아스팔트 펠트 깔기 1회-아스팔트 루핑 깔기 2회로 3겹 8층의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층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 방수 안전성으로 1970년대까지 오랜 기간 동안 적용 실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고체의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를 공사 현장에서 고온 가열시에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 등으로 인한 환경 공해 발생, 작업 인부들의 빈번한 화상 사고 발생 위험, 고온 가열 용융시킨 액상 아스팔트를 수직 벽체면 도포 시공 어려움, 3겹 8층의 복잡한 작업 공정으로 시공 숙련도가 있는 방수기능공의 확보 어려움과 무엇보다도 시공 인건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1980년대 이후 '아스팔트 3겹 8층 방수 공법'의 공사 현장 적용이 어려워졌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1970년대 후반, 아스팔트 시트 방수재가 외국으로부터 수입되어 국내 공사 현장에서 처음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초기 아스팔트 시트 방수재가 국내에서 생산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종래의 '아스팔트 3겹 8층 방수'에 비교하여 훨씬 간편한 시공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건설현장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한국 산업 표준 KS F 4917(개량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기준이 제정되었다.
하지만 상기 '아스팔트 시트 방수'의 문제점으로 시트 방수층이 콘크리트 바탕면과의 접착력 부족에 의한 방수층의 들뜸현상 발생, 방수 시트 겹침 연결 이음부위를 토우치(torch)사용 가열 용융 접합 시, 고무아스팔트 콤파운드의 연소, 산화에 의한 방수 시트 연결 이음 부위의 수밀성(水密性) 부족으로 방수 시트 연결 이음부위를 통해 누수된 물이 시트 방수층 아래로 흘러 다니면서 콘크리트 구조체 취약 부위 여러 개소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되어, 그에 따른 보수 범위가 광범위하며,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나타내면서 1990년대 이후로는 국내 건설 업체들이 '아스팔트 시트 방수'의 적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한국 산업 표준 KS F 4917(개량아스팔트 방수 시트)를 이용한 '아스팔트 시트 방수' 시공상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방수 시트 겹침 연결 이음 부위의 접합 안정 성능 험과 자착식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가 방수 바탕면과의 부착성능(peel-out) 시험 및 방수 시트의 내움푹패임 성능 시험 항목 등을 추가 하여 한국 산업 표준 KS F 4934(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규정이 제정되었으며, 이는 일반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성능 기준을 보다 강화하여 고급화한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로 보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시공의 간편성을 나타내는 아스팔트계 방수 시트 외에 한국 산업 표준 KS F 4911(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합성고분자를 주원료로 한 방수 시트로서, 방수 바탕면에 고정 철물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시트를 고정하거나, 바탕에 프라이머,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트를 전면 접착하는 방법으로 시공되며, 상온시공이 가능한 간편한 시공방법과 합성고분자계 시트 방수층의 인장 및 인열 강도가 뛰어나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방수층의 내후성 및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시트의 겹침 연결 접합부 처리가 어려워 시트 겹침 연결 이음부의 수밀성(水密性) 확보에 대한 시공 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KS F 3211에서 규정하는 건설용 도막 방수재 중 '우레탄계 도막방수' 와 '고무아스팔트계 도막방수' 등은 로울러나 붓을 사용하는 간편한 도포 시공방법으로서 시공성이 좋으며, 방수층의 신장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미세 균열에도 대응하는 장점이 있으나, 콘크리트 바탕면의 평활도에 따라 균등한 두께의 도막 방수층 형성 어려움이 있으며 방수층의 경화과정에 부분적인 에어포켓(air pocket) 발생현상으로 전체 도막 방수층 중 결함부위가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방수자재와 방수 공법별로 각각의 장단점으로 가지고 있으나, 방수공사 시공이 작업 인부들의 인력에 의한 시공으로서 시공 부주의에 의한 하자 발생 또한 빈번하다는 것은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 부주의에 의한 방수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부터는 방수 공사비가 다소 많이 소요되더라도 종래의 '시트방수' 나 '도막방수'의 단층 방수공법을 보완하여 도막방수와 시트방수를 결합한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 또는 시트와 도막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방수공법 등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9641호에서는 고무 아스팔트층 상에 방수층이 포함된 자착식 복합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방수 시트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겹침 연결 이음 시공을 통해 방수성능 및 수밀성을 극대화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방수층은 고무아스팔트에 가소제, 점착 부여제 및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가소제를 10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방수층의 유연성이 높아지나 부착 성능의 저하 문제를 동시에 가져와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10-1469641(2014.12.01 공고) 한국 등록특허 10-1613305 (2016.04.11 공고)
이에 본 출원인은 가소제를 적게 사용하더라도 상온에서의 겔(gel) 상태를 유지하고 부착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KS F 4935에서 규정하는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여기에 인장 및 인열 강도가 뛰어나며 방수층의 내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KS F 4911에서 규정하는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는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를 설계하여 이 둘의 조합을 통해 KS F 4934에서 규정하는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복층 방수 시트를 개발하였고, 상기 복층 방수 시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종래 습윤면 부착 성능 불만족, 구조물 거둠 대응 성능 불만족, 수중 유실 저항 성능 불만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조성을 갖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로써 상온에서 겔 상태로 방수 시트에 함침 및 바탕면 등에 부착성능이 우수하며 KSF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피복된 복층 방수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온에서 겔(gel) 상태의 점성을 유지하도록, 아스팔트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 아스팔트 개질제 6 내지 15 중량%, 프로세스 오일 5 내지 10 중량% 미만, 점착 부여제 5 내지 15 중량%, 및 광물질 안정제 7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나프텐계 오일과 아로마틱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상온에서 겔 상태로 방수 시트에 함침이 가능하고, 바탕면 등에 부착성능이 우수함을 밝혀냈다.
또한, 본 발명은 타포린 시트와 이의 하면에 부직포가 배치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 및 상기 부직포의 하부에 실란트 방수층에 코팅된 복층 방수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실란트 방수층은 앞서 설명한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상기 부직포에 함침 및 피복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방수 시트는 목적하는 KSF 품질 기준을 모두 만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상온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며, 어떠한 바닥 바탕면에도 유연하게 부착되어 방수층의 들뜸이나 박리 현상 없이 밀착 접착되어 방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 또한, 인장 및 인열 강도가 뛰어나면서도 유연성이 있어 방수 바탕면의 돌출 부위나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코너 부위 등에서도 방수 바탕면에 따라 굴곡을 이루며 쉽게 접합되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방수 시트는 종래 습윤면 부착성능 불만족, 구조물 거둠 대응 성능 불만족, 수중 유실 저항 성능 불만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방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방수 시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아스팔트계 방수 시트와 관련된 복층 방수 시트 및 상기 복층 방수 시트에 방수층으로서 사용하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제시한다.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방수층으로 사용하는 실란트 조성물은 그 소재에 따라 부틸고무계, 천연고무계 및 고무 아스팔트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본 발명은 고무 아스팔트계와 관련된 것이다.
실란트 조성물은 그 성상에 따라 접착 경화형 및 점착 유연형으로 나뉜다. 상기 접착 경화형의 경우 동절기 경화불량, 습윤면 부착 불량, 콘크리트 거동에 의한 파단이나 들뜸 현상 등이 발생하고, 저온에선 수축 팽창에 대응하지 못해 방수층 균열이 생겨 누수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점착 유연형 소재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점착 유연형 소재는 상온에서 겔 상태로 존재하고 유연성으로 인해 피착면에 대한 밀착이 우수하고 탄성을 가져 저온에서 쉽게 경화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아스팔트계 소재를 갖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방수층으로 사용한다.
고무 아스팔트계 실란트 조성물은 방수 기능을 위한 아스팔트를 기본 조성으로 하고, 여기에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아스팔트 개질제, 프로세스 오일, 점착 부여제, 광물질 안정제 및 첨가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무 아스팔트계 실란트 조성물의 조성을 선정하고, 이의 함량을 한정함으로써 점착 유연 특성을 가지면서도 방수층으로서의 기능, 구체적으로 KS F 4935(점착 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 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에서 규정하는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시킨다.
<KS F 4935>
KS F 4935는 콘크리트 지하구조물, 건축물 등의 지붕, 외벽, 바닥 등에서 누수가 발생한 균열 및 접합부 조인트의 보수를 목적으로 기존 방수층의 계면 혹은 균열 및 조인트의 틈새에 주입하여 방수층을 재형성하는 점착 유연형 고무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에 대하여 규정한다.
<품질 기준>
점착 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의 품질 기준은 하기 표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시험항목 품질 성능 기준
투수 저항 성능 투수 되지 않을 것
습윤면 부착 성능 60초 이내에 시험체 밑판이 탈락하지 않을 것
구조물 거동 대응 성능 투수 되지 않을 것
수중 유실 저항 성능 질량 변화율이 -0.1% 이내일 것
내화학
성능
산처리 염산 질량 변화율이
-0.1% 이내일 것
질산
황산
염화나트륨 처리
알카리 처리
온도 의존 성능(내열/내한성) 투수 되지 않을 것
다양한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제시되었으나, 실제 KS F 4935를 만족하는 조성은 많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아스팔트 개질제, 프로세스 오일, 점착 부여제, 광물질 안정제 및 첨가제의 조성 및 함량을 특정하여 KS F 4935를 만족시키고, 후속하는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에 적용하여 복층 방수 시트로서의 물성을 확보한다.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상온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여 자착식의 시공이 가능하고,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바닥 바탕면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편리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겔 상태의 유지를 위해 조성, 즉 아스팔트의 연질화를 수행하고 이를 위해 가소제가 사용되고 있다.
가소제는 통상적으로 프로세스 오일을 비롯한 오일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연질화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전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시공시 실란트 조성물이 시트 밖으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아스팔트 및 점착 부여제의 부착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함량을 조절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프로세스 오일의 함량은 아스팔트 대비 1/2 수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소 10 중량% 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방수 시트에서 방수성은 아스팔트의 함량에 의존한다. 높은 함량으로 아스팔트를 사용할 경우 상기 아스팔트의 취성으로 인해 온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고, 수분 침투로 인하여 2차 파손 및 하중에 의해 피로 균열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방수성을 얻기 위해 아스팔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함께 사용하는 상기 프로세스 오일의 함량 또한 증가한다. 이 경우 방수능은 증가하더라도 프로세스 오일에 의한 연질화에 의해 오일 계면을 발생시키고, 방수 시트와의 접착력이 낮아져 상기 방수 시트와의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습윤면이나 저온에서 부착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KS F 4935에서 정의하고 있는 투수 저항 성능, 습윤면 부착 성능, 구조물 거동 대응 성능, 수중 유실 저항 성능, 내화학성능 및 온도의존 성능(내열/내한성)에 대한 요구 물성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함량으로 아스팔트를 사용하면서도 프로세스 오일의 함량을 10 중량% 미만으로 적게 사용하더라도 높은 방수성과 함께 상온에서 겔(gel) 상태의 점성을 유지하는 점착 유연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상기 KS F 4935에서 정의하고 있는 물성을 만족할 수 있는 조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아스팔트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 아스팔트 개질제 6 내지 15 중량%, 프로세스 오일 5 내지 10 중량% 미만, 점착 부여제 5 내지 15 중량%, 및 광물질 안정제 7 내지 20 중량%와, 추가로 첨가제 2 내지 3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프로세스 오일로서 나프텐계 오일과 파라핀계 오일을 특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의 가소제로 사용하는 프로세스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아로마틱계 오일 등이 알려져 있다.
오일을 구성하는 성분은 통상적으로 분자 구조 내에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는 아로마틱(aromatic) 성분,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는 나프텐(naphthenic) 성분, 및 선형구조를 가지는 파라핀(paraffinic) 성분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 상기한 세 가지의 성분 중 아로마틱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아로마틱계 오일"이라고 부르고, 나프텐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나프텐계 오일"이라고 부르며, 파라핀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파라핀 오일"이라고 부른다.
프로세스 오일을 이용한 아스팔트의 연질화는 아스팔트 사이를 침투하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상기 아스팔트와 함께 사용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는 합성 고무 종류가 사용되며 아스팔트에 용해되어 실란트 조성물의 점착 및 접착력을 높이며, 상기 아스팔트의 취성을 낮추고 저온에서 균열 저항성 증진과 고온에서의 소성 변형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는 아스팔트에 용해되는 아스팔트 개질제의 용해력이 높을수록 보다 우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용해력과 더불어 고무 재질인 아스팔트 개질제와의 상용성이 양호하여야만 조성물의 도포 후 오일이 스며나오지 않아 오일 계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하는 고무 재질의 경우 아로마틱계 오일보다는 나프텐계 오일 및 파라핀계 오일이 혼합되어 사용될 경우, 유화력과 점도가 조절되어 상기 고무 재질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특히, 나프텐계 오일은 내한성을 가지고, 파라핀계 오일은 높은 점도 및 양호한 유화력을 보여 이 둘을 혼합 사용할 경우 단독 사용시 아스팔트의 연질화와 함께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용해력과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높여 기존 대비 적은 함량으로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나프텐계 오일은 동점도(Kinematic Viscosity)가 15cST 내지 36cST를 갖는 것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오일은 동점도(Kinematic Viscosity)가 25 내지 35cST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점도는 KS M 2014에 따른 40℃에서 측정된 동점도를 가리킨다. 나프텐계 오일 및 파라핀계 오일이 상기 동점도 범위 내에 선택될 경우, 상온에서 겔 상태가 유지되고 후술할 부직포에 함침이 보다 완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기로,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은 1:0.3 내지 0.3:1 중량비, 1:0.5 내지 0.5:1, 1:0.9 내지 0.9:1, 바람직하기로 1:1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만약, 나프텐계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하면 합성 고무, 즉 아스팔트 개질제의 용해력이 충분치 못하여 개질제로서의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파라핀계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분산성 및 낮은 상용성으로 인해 아스팔트의 연질화 효과가 충분치 않다. 따라서, 나프텐계 오일과 파라핀계 오일을 상기 혼합비로 사용함에 따라 적은 함량의 사용만으로도 충분한 가소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오일은 전체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내에서 5 내지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때 아스팔트는 50 내지 70 중량%, 55 내지 68 중량%, 60 내지 67 중량%의 높은 범위로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아스팔트 대비 프로세스 오일은 1:0.08 내지 1:0.19, 1:0.1 내지 1:0.14의 중량비 범위로 사용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와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할 경우 KS F 4935에서 정의하고 있는 물성을 만족할 수 있다. 과도한 아스팔트의 사용은 높은 취성으로 인해 KS F 4935에서의 구조물 거동 대응 성능 및 온도의존 성능(내열/내한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적은 함량의 아스팔트 사용은 투수 저항 성능, 습윤면 부착 성능, 내화학성능, 수중 유실 저항 성능 등의 저하를 야기한다.
본 발명에서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런 아스팔트(Straight Run Asphalt),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스트레이트 런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는 스트레이트 런 아스팔트가 가능하다.
아스팔트 개질제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고무, SIS(styrene isoprene styrene)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고무, CM(염화 폴리에틸렌)고무, PIB(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는 SBS와 CM고무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6 내지 15 중량%, 6.5 내지 12 중량%, 6.9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 함량 범위 내에서 실란트 조성물의 점착 및 접착력이 구현 될 수 있으며, 방수층의 방수성과 내구성 증대 효과를 나타낸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점착력과 신장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점착 부여제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보조하여 점착력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방향족계 석유수지(C9), 파라핀계 석유수지(C5), 폴리부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석유수지(P120) 및 EL-100(점착부여제)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5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점착력과 신장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광물질 안정제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의 증점 효과와 함께 흐름 방지 효과, 저장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고령토, 석고(calcium sulfate), 플라이 애쉬(fly ash)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상기 광물질 안정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7 내지 2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전술한 바의 효과를 확보할 수 없고,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성들에 더해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로는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또는 스테아린산 바리움 중에서 선택된 열안정제; 페놀계 또는 방향족 아민계 산화방지제;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비닐 알콜 또는 소디움 퍼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기능성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들 첨가제는 습윤 바탕면에서도 방수 시트의 점착 및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체 조성물 내에서 2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KS F 4935(점착 유연형 고무아스팔트계 누수 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에서 규정하는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하며, 고형분 99% 이상(KS M 3705 시험기준), 점도 2,000,000cps 이상(KS M ISO 2555 시험기준)을 가짐에 따라, 후술할 복층 방수 시트에 함침 및 피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부착성능이 우수하다.
복층 방수 시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복층 방수 시트의 제작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층 방수 시트는 KS F 4934(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서 규정하는 품질 기능을 충족한다.
"자착식형"이란 방수재의 접착 방법이 토치, 버너 등을 이용한 불꽃 가열이나 접착용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방수재(고무화 아스팔트)가 보유하고 있는 접착성을 이용하여 바탕체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는 상기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의 사용을 통해 달성이 가능하다.
<KS F 4934>
① 적용 범위
이 규격은 구조물 바탕체의 방수를 위하여 가열 도구 및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등의 표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연질의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에 대하여 규정한다.
② 품질 기준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품질 기준은 하기 표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시험항목 단위 품질 성능 기준
굴곡 저항 성능 - -20℃에서 시트에 잔금, 박리 현상이 생기지 않을 것
접합 안정
성능
내정수압 성능 - 투수 되지 않을 것
벗김 저항 성능 N/㎜ 1.5 이상
부착 성능(peel-out) N/㎜ 1.5 이상
내움푹 패임 성능 - 48시간 정치후 투수 되지 않을 것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 시트로 여러 종류의 시트가 제안되었으나, 실제 KS F 4934를 만족하는 시트는 많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KS F 4934에서 명시된 물성 항목을 모두 만족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의 복층 방수 시트, 즉 KS F 4911(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보강복합형)의 품질 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방수 시트와 KS F 4935(점착 유연형 고무 아스팔트계 누수 보수용 주입형 실링재)의 품질 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실란트 방수층으로 구성된 시트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복층 방수 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이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복층 방수 시트는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 및 이의 하부에 위치한 실란트 방수층(40); 및 이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이형 필름(60)을 포함한다.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는 타포린 시트(10), 및 이의 하면에 부직포(20)가 합지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이와 관련된 KS F 4911(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보강복합형)의 품질 성능 기준을 만족한다.
<KS F 4911>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KS F 4911)
① 적용 범위
이 규격은 건축 및 그 밖의 구조물 방수 공사에 사용되는 합성 고분자를 주원료로 한 방수 시트 및 이에 섬유 등을 복합한 방수 시트에 대하여 규정한다.
② 품질 기준
합성 고분자계 방수 시트의 품질 기준은 표의 규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시험항목 단위 품질 성능 기준
인장 성능 인장강도 N/㎜ 24 이상
신장율 % 15 이상
인열 성능 인열강도 N 50 이상
온도 의존성 시험온도 60℃ 인장강도 N/㎜ 10 이상
시험온도-20℃ 신장율 % 7.5 이상
가열 신축 성상 신축량 신장 2.0 이하
수축 4.0 이하
열화처리
후의
인장 성능
인장강도 가열처리 % 80 이상
알카리처리 % 80 이상
신장율 가열처리 % 70 이상
알카리처리 % 80 이상
신장 시의 열화성상 가열처리 - 어느 시험편에도 잔금이 없을 것
도 1에서 나타낸 위해 타포린 시트(10), 및 이의 하면에 부직포(20)가 합지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는 상기 KS F 4911에 의거한 품질 기준을 만족하여, 방수 성능은 물론이고, 가볍고 유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인장 및 인열 강도가 탁월하여 얇은 두께로 충분한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타포린 시트(10)는 100g/㎡~250g/㎡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시트가 사용되며, 부직포(20)로는 60g/㎡~200g/㎡의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사용한다. 상기 타포린 시트(10) 및 부직포(20)의 질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인장 및 인열 강도가 떨어지고, 반대로 상기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시트의 유연성이 없어 방수 시트로서의 기능을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부직포의 경우 질량이 60g/㎡ 미만일 경우, 겔 상태의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부직포에 완연하게 함침 및 피복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실란트 방수층(40)은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의 하부, 즉 부직포(20)에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하며, 상온에서 겔(gel) 상태를 가짐에 따라 상기 부직포(20)가 실란트 방수층(40)에 함침 및 피복된 형태로 존재한다.
타포린 시트(10) 및 부직포(20)가 합지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는 그 두께가 0.8㎜ 내지 1.2㎜의 범위를 가지고, 부직포(20)의 하면에 부착된 실란트 방수층(8)의 두께는 1.8㎜ 내지 2.2㎜로 하여, 최종 복층 방수 시트의 두께는 2.6㎜ 내지 3.4㎜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의 하부면에 피복되는 실란트 방수층(40)과 박리 없이 완전한 접합을 이루는 기능을 나타내어 얇은 두께로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방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30) 및 실란트 방수층(40) 각각의 구성 및 조성이 새로이 설계되고, 이들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종래보다 우수한 접착성, 방수 성능 및 내구성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층 방수 시트는 전술한 바의 KS F 4934 시험 (자착식형 고무화아스팔트 방수 시트 품질 성능 시험 기준) 결과 부착 성능(peel-out)은 1.5N/㎜ 이상, 접합 안정 성능(벗김저항 성능) 1.5N/㎜ 이상의 수치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방수 시트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란트 방수층(40)의 하부 측에 하부 이형 필름(60)을 부착하여 자착식 구조(self-adhesive type)로 이루어진다.
하부 이형 필름(60)은 복층 방수 시트의 시공 전에 방수 시트 간의 엉겨붙음을 방지하고 실란트 방수층(40)의 열화를 방지하며 박리의 편의성을 부여한다. 상기 하부 이형 필름(60)의 재질 및 형상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이형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P) 외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ET), 종이 이형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후 및 사용용도에 따라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는 일반 이형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합지력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엠보싱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두께는 0.30μm 내지 0.27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그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실란트 방수층(40)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해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두꺼울 경우에는 방수 시트를 롤 형태로 보관시 부피 및 무게가 증가 되어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수 시공시 박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층 방수 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옥상, 지하 기초 바닥 및 지하 외벽, 지하 주차장 상부 슬라브 방수와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전력구, 통신구) 등과 같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에 요구하는 한국 표준 협회에서 규정하는 품질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시험예 1 :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KS F 4935 시험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제조)
반응기에 하기 표의 조성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한 물질은 하기와 같다.
아스팔트 화합물: AP-3(SK에너지)
아스팔트 개질제: SBS(LG화학, LG501S), CPE-135B(L) (Weifang Tianrui Chemical Co., Ltd)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오일(극동유화, KD N 2A), 파라핀계 오일(극동유화, P31), 아로마틱 오일(극동유화, KD A 30)
점착부여제: 석유수지(코오롱인더스트리, P-120S), EL-100(에너리얼, Chlorosulfonated polyethylene synthetic ruber, Diisononyl phthalate)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아스팔트 화합물
AP-3
60 60 60 60 60 60 60 60 60 55.6
아스팔트 개질제 SBS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CPE-135B(L)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프로세스 오일 나프텐계 오일 3.3 2.2 4.4 0.6 6.0 6.6 - - 2.2 5.5
파라핀계 오일 3.3 4.4 2.2 6.0 0.6 - 6.6 - 2.2 5.5
아로마틱계 오일
- - - - - - - 6.6 2.2 -
점착 부여제 석유수지(P120) 5.5 5.5 5.5 5.5 5.5 5.5 5.5 5.5 5.5 5.5
EL-10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광물질 안정제 탄산칼슘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14.4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KS F 4935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항목 기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투수 저항 성능 투수 되지 않을 것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발생
습윤면 부착 성능 60초 이내에 시험체
밑판이 탈락하지 않을 것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발생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안됨 탈락 발생
구조물 거동 대응 성능 투수 되지 않을 것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발생 투수 안됨 투수발생
수중 유실 저항 성능 질량 변화율이
-0.1% 이내일 것
0.0 0.0 -0.05 -0.12 -0.14 -0.20 -0.25 -0.30 -0.01 -0.30
내화학
성능
산처리(염산) 질량 변화율이
-0.1% 이내일 것
-0.06 -0.05 -0.05 -0.09 -0.07 -0.15 -0.09 -0.15 -0.1 -0.2
산처리(질산) -0.06 -0.05 -0.06 -0.12 -0.08 -0.15 -0.1 -0.2 -0.12 -0.2
산처리(황산) -0.07 -0.06 -0.08 -0.12 -0.08 -0.20 -0.1 -0.2 -0.12 -0.4
염화나트륨 처리 -0.04 -0.06 -0.09 -0.06 -0.15 -0.15 -0.07 -0.25 -0.13 -0.2
알칼리 처리 -0.03 -0.06 -0.09 -0.08 -0.15 -0.15 -0.1 -0.25 -0.13 -0.3
온도 의존 성능(내열/내한성) 투수 되지 않을 것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 안됨 투수발생 투수발생 투수 안됨 투수발생
상기 표를 보면, 나프텐계 오일과 파라핀계 오일을 가소제로서 혼합 사용할 경우 투수 저항 성능을 비롯한 다른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나프텐계 오일을 단독 사용할 경우 내한성이 우수하여 온도 의존성이 높았으나, 습윤면이나 수중 유실 저항 성능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비교예 2의 파라핀계 오일 단독의 경우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나 온도 의존 성능 및 일부 내화학 성능에서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의 아로마틱계 오일을 단독 사용할 경우 KS F 4935를 거의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예 4와 같이 3종류의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 사용할 경우 투수 저항 성능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물성이 향상되었으나, 일부 물성 면에서는 KS F 4935에 부합되지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비교예 5의 결과를 보면 나프텐계 오일과 파라핀계 오일을 혼합 사용하더라도 이들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을 넘어갈 경우 오일 계면이 발생하여 오히려 KS F 4935의 요구물성에 부합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 및 KS F 4911 시험
하기 표와 같이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를 제작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KS F 4911에 의거하여 품질 성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구조 PE 타포린 A 150 g/㎡ (질량) PE 타포린A/
PET 부직포A
PE 타포린B/
PET 부직포B
PE 타포린A/
PET 부직포B
PE 타포린B/
PET 부직포A
B 80 g/㎡
PET 부직포 A 150g/㎡
B 50g/㎡
인장 성능 인장강도 N/㎜ 24 이상 36 22 23 22
신장율 % 15 이상 16 12 11 12
인열 성능 인열강도 N 50 이상 76 35 45 46
온도 의존성 시험온도 60℃ 인장강도 N/㎜ 10 이상 36 8 12 15
시험온도
-20℃
신장율 % 7.5 이상 11.5 5.5 7.0 7.5
가열 신축 성상 신축량 신장 2.0 이하 -0.2 2.1 1.5 1.5
수축 4.0 이하 -0.2 4.5 2.1 2.3
열화처리
후의
인장 성능
인장강도 가열처리 % 80 이상 108 75 82 85
알카리처리 % 80 이상 104 75 83 85
신장율 가열처리 % 70 이상 109 55 65 68
알카리처리 % 80 이상 95 45 78 79
신장 시의 열화성상 가열처리 - 어느 시험편에도 잔금이 없을 것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잔금발생
상기 표를 보면, 타포린/부직포가 합지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의 경우 그 중량에 따라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유연성 면에서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관련하여 KS F 4911에 의거하여 품질 성능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선, 실시예 6과 같이 질량이 조절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 복층 방수 시트 및 KS F 4934 시험
(복층 방수 시트 제작)
상기 시험예에서 제조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의 부직포 면에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겔층을 형성한 후,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복층 방수 시트를 제작하였다.
제작예 1: 점착 유연형 실란트(실시예 1)/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실시예 6)
제작예 2: 점착 유연형 실란트(비교예 3)/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실시예 6)
제작예 3: 점착 유연형 실란트(비교예 4)/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실시예 6)
제작예 4: 점착 유연형 실란트(비교예 5)/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실시예 6)
제작예 5: 점착 유연형 실란트(실시예 1)/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실시예 7)
(KS F 4934 시험)
이와 관련하여 KS F 4934에 의거하여 품질 성능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품질 성능 기준 제작예 1 제작예 2 제작예 3 제작예 4 제작예 5
굴곡 저항 성능 - -20℃에서 시트에 잔금, 박리 현상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박리
발생
박리 발생 박리 발생 박리 발생
접합
안정
성능
 
내정수압 성능 - 투수 되지 않을 것 이상없음 투수 발생 투수 발생 투수 발생 투수 없음
벗김 저항
성능
N/㎜ 1.5 이상 2.4 1.2 1.2 1.5 0.5
부착 성능(peel-out) N/㎜ 1.5 이상 2.5 1.3 1.3 1.3 0.5
내움푹 패임 성능 - 48시간 정치후 투수되지 않을 것 이상없음 투수 발생 투수 발생 투수 발생 투수 없음
상기 표를 참조하면, 제작예 1 내지 4를 비교할 때 점착 유연형 실란트의 조성에 따라 복층 방수 시트의 물성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작예 5를 보면, 실시예 1의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사용하더라도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의 물성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접합 안정성능 및 부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작예 5의 경우 PET 부직포의 질량이 50g/m2을 사용하는 경우,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이 PET 부직포에 충분히 함침되지 않아 전체적인 부착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작예 2 내지 4는 부착성능을 포함 대부분의 KS F 4935의 요구물성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KS F 4935에 부합되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과 KS F 4911을 만족하는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서 KS F 4934를 만족할 수 있는 복층 방수 시트의 제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타포린 시트
20: 부직포
30: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
40: 실란트 방수층
50: 복층 방수 시트
60: 하부 이형 필름

Claims (14)

  1. 상온에서 겔(gel) 상태의 점성을 유지하도록
    아스팔트 화합물 50 내지 70 중량%,
    아스팔트 개질제 6 내지 15 중량%,
    프로세스 오일 5 내지 10 중량% 미만,
    점착 부여제 5 내지 15 중량%, 및
    광물질 안정제 7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오일이 나프텐계 오일 및 파라핀계 오일의 혼합물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화합물은 스트레이트 런 아스팔트(Straight Run Asphalt),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스트레이트 런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고무, SIS(styrene isoprene styrene)고무,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고무, CM(염화 폴리에틸렌)고무, PIB(폴리이소부틸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나프텐계 오일 및 파라핀계 오일이 1:0.3 내지 0.3: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방향족계 석유수지(C9), 파라핀계 석유수지(C5), 폴리부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 안정제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고령토, 석고, 플라이 애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또는 스테아린산 바리움 중에서 선택된 열안정제; 페놀계 또는 방향족 아민계 산화방지제;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비닐 알콜 또는 소디움 퍼설페이트 중에서 선택된 기능성 첨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전체 조성물 내에 2 내지 3 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은
    고형분 99% 이상, 점도 2,000,000cps 이상(KS M ISO 2555 시험기준)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9. 타포린 시트와 이의 하면에 부직포가 배치된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 및
    상기 부직포의 하부에 실란트 방수층에 코팅되고,
    상기 실란트 방수층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층 방수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포린 시트는 100 내지 250g/㎡의 폴리에틸렌 타포린 시트인, 복층 방수 시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60 내지 200g/㎡의 폴리에스터 부직포인, 복층 방수 시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복합형 합지 시트는 KS F 4911(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에서 규정하는 인장 및 인열 품질 성능 기준을 충족하는 복층 방수 시트.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방수 시트는 실란트 방수층 하부에 이형 필름이 더욱 적층된 자착식 복층 방수 시트인, 복층 방수 시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방수 시트는 부착 성능(peel-out)은 1.5N/㎜ 이상, 접합 안정 성능(벗김저항 성능) 1.5N/㎜ 이상인, 복층 방수 시트.

KR1020200071781A 2020-06-12 2020-06-12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KR20210155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81A KR20210155036A (ko) 2020-06-12 2020-06-12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81A KR20210155036A (ko) 2020-06-12 2020-06-12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036A true KR20210155036A (ko) 2021-12-22

Family

ID=7916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781A KR20210155036A (ko) 2020-06-12 2020-06-12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651A (zh) * 2022-03-04 2022-06-07 安徽凯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屋面自修复免维修防水系统及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41B1 (ko) 2013-12-30 2014-12-05 배문옥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13305B1 (ko) 2015-12-15 2016-05-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점착형 친환경 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641B1 (ko) 2013-12-30 2014-12-05 배문옥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613305B1 (ko) 2015-12-15 2016-05-02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점착형 친환경 복합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651A (zh) * 2022-03-04 2022-06-07 安徽凯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屋面自修复免维修防水系统及施工方法
CN114592651B (zh) * 2022-03-04 2024-03-12 安徽中科凯辰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屋面自修复免维修防水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183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KR101976185B1 (ko)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673B1 (ko)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KR102006275B1 (ko)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NO166880B (no) Laminert, bituminoes takmembran.
KR101484093B1 (ko)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2865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시트 복합 방수재
CN202913577U (zh) 稳定型钢结构屋面防水保温一体化板
US20110183100A1 (en) Solvent-free adhesive for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olvent-free adhesiv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KR102006272B1 (ko) 부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KR100533231B1 (ko) 도막방수층 보강을 위한 스트레치 고무 아스팔트 펠트 및그를 이용한 도막 및 펠트 적층방수재
KR20090095993A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US7823355B1 (en) Nonmetallic masonry flashing
KR102088103B1 (ko) 복합 방수층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0744727B1 (ko)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CN108454193A (zh) 一种新型外露复合防水卷材
KR101184220B1 (ko) 환경 친화적인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폴리올레핀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방수/방근용 복합시트의 시공방법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1176591B1 (ko)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941747B1 (ko) 교면용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52689B1 (ko) 점접착제를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0607154B1 (ko)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10155036A (ko) 점착 유연형 실란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층 방수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