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449A -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449A
KR20210154449A KR1020200071462A KR20200071462A KR20210154449A KR 20210154449 A KR20210154449 A KR 20210154449A KR 1020200071462 A KR1020200071462 A KR 1020200071462A KR 20200071462 A KR20200071462 A KR 20200071462A KR 20210154449 A KR20210154449 A KR 2021015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using
mirror
vehicle
elastic part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홍준
정영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449A/ko
Publication of KR2021015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가 구비된 미러 하우징의 폴딩 및 언폴딩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는, 미러 하우징; 및 상기 미러 하우징이 베이스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Mirro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러가 구비된 미러 하우징의 폴딩 및 언폴딩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인사이드 미러가 설치되고, 차량의 양측 프론트 도어에 아웃 사이드 미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는 인사이드 미러나 아웃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보되는 시야를 통해 차량의 후진, 추월 및 차선 변경 등과 같은 상황에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을 파악하게 된다.
이 중에서 아웃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필요에 의해 차량의 주차 시 접어 놓거나 좁은 공간을 지나가는 경우 일시적으로 접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운전자는 수동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접어 놓거나 모터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윈도우를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아웃 사이드 미러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아웃 사이드 미러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설치 공간으로 인하여 아웃 사이드 미러이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들을 미러 하우징 내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아웃 사이드 미러에 위치되는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6509호(2006.01.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러 하우징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미러 하우징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는, 미러 하우징; 및 상기 미러 하우징이 베이스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관통 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관통 홀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타단부에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삽입 홈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부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홈은,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와 언폴딩된 상태의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의 일측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이전에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부 중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맞닿도록 위치한 탄성부의 타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로 복귀되는 경우 복귀 지점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미러 하우징의 폴딩 및 언폴딩 시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복수의 탄성부에 의해 미러 하우징의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에 의한 탄성력이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으로 구동부가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되어 미러 하우징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 시 미러 하우징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시 미러 하우징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폴딩 시 구동부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의 언폴딩 시 구동부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될 때 구동부의 위치가 변화가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외부 충격에 의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미러 하우징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외부 충격에 의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구동부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 상태인 경우 스토퍼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이 외부 충격에 의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스토퍼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1)는 미러 하우징(100) 및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1)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 또는 프론트 도어 부근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 또는 측후방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아웃 사이드 미러의 용도로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1)는 차량 주변의 다양한 방향에 대한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미러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미러 하우징(100)은 도 3과 같이 차량의 미주행 시 접촉 사고에 의한 파손 방지나 주차 공간 확보 등을 위하여 미러(110)가 차체를 향하도록 접히도록 위치하거나 도 4와 같이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미러(110)가 시야 확보를 위한 방향(예를 들어, 후방)을 향하도록 펴질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러 하우징(100)이 접히는 동작을 "폴딩(Folding)"이라 칭하기로 하고, 미러 하우징(100)이 펴지는 동작을 언폴딩(Unfolding)"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미러 하우징(100)의 일면에 미러(110)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110) 대신 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미러 하우징(100)은 구동부(200)에 의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차량의 프론트 도어 또는 프론트 도어 부근에 설치되는 베이스(30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구동부(200)는 미러 하우징(100)의 내부에 미러 하우징(10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로서, 도 6 및 도 8은 구동부(200)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우징(240)의 일부가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00)는 모터(210), 전달 기어(221, 222, 223), 및 구동 기어(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210), 전달 기어(221, 222, 223), 및 구동 기어(230) 중 적어도 일부는 위치 고정이나 보호 등을 위하여 하우징(240)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미러 하우징(1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러 하우징(100)의 폴딩 또는 언폴딩 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미러 하우징(100) 및 구동부(20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되고, 미러 하우징(100) 및 구동부(200)가 일체로 회전된다는 것은 서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결합되어 회전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터(210)는 미러 하우징(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모터(210)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은 전달 기어(221, 222, 223)를 통해 구동 기어(2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달 기어(221, 222, 223)로서 3개의 기어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 아웃이나 설계 상의 이유 등에 따라 전달 기어(221, 222, 223)의 개수나 종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모터(210)의 구동력이 직접 구동 기어(230)로 전달되는 경우 전달 기어(221, 222, 2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 기어(230)는 모터(210)의 구동 시 전달 기어(221, 222, 223)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베이스(300)에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3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샤프트(310)의 중심축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동 기어(230)는 샤프트(310)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중공(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 기어(230) 및 샤프트(310) 사이에는 양단부가 각각 구동 기어(230) 및 샤프트(310)에 접촉되도록 위치하여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320)는 구동 기어(230) 및 샤프트(320)가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 기어(230) 및 샤프트(310)에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320)는 샤프트(310)의 단부가 관통하는 관통 홀(331)이 형성되는 지지부(330)에 일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330)는 관통 홀(3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32)에 샤프트(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311)가 삽입되어 샤프트(310)에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샤프트(310)와 함께 복수의 탄성부(320)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330)에 결합 홈(332)이 형성되고, 샤프트(310)에 결합 돌기(311)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320)가 샤프트(310)에 결합되는 지지부(330)에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의 개수나 형성 변경 시 지지부(330)의 교체만으로 용이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의 일단부가 샤프트(310)에 결합되는 지지부(3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탄성부(320)는 샤프트(310)의 외주면에 일단부가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탄성부(320)의 일단부가 샤프트(31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지지부(3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일단부가 지지부(330)에 연결되는 경우와 샤프트(310)의 외주면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를 샤프트(310)에 연결되는 것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에는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삽입 홈(232)이 형성될 수 있고,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경우와 언폴딩된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는 복수의 삽입 홈(232)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 홈(232)은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경우와 언폴딩된 경우의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탄성부(320)도 복수의 삽입 홈(232)과 마찬가지로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경우와 언폴딩된 경우의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경우와 언폴딩된 경우에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는 복수의 삽입 홈(232)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삽입 홈(232) 및 복수의 탄성부(320)가 각각 4개씩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복수의 삽입 홈(232) 및 복수의 탄성부(32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은 일단부에 비하여 타단부가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양단부가 구동 기어(230) 및 샤프트(310)에 접촉되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에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일단부에 비하여 타단부가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과 가깝게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은 일단부에 비하여 타단부가 구동 기어(230)의 중공(231) 내주면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복수의 삽입 홈(232)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복수의 탄성부(32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복수의 삽입 홈(232) 각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상태 또는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샤프트(310)는 베이스(300)에 고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320)의 위치도 고정되고, 미러 하우징(100)과 구동부(200)가 일체로 회전되는 경우 구동 기어(230)의 회전으로 인하여 복수의 삽입 홈(232) 각각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경우와 언폴딩된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달라지게 된다.
즉, 복수의 탄성부(320) 및 복수의 삽입 홈(232)은 미러 하우징(100)의 폴딩 및 언폴딩 시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되는 경우와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서 폴딩되는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현재 삽입된 삽입 홈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삽입 홈에 삽입됨에 따라 미러 하우징(100)의 폴딩 상태 및 언폴딩 상태에서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폴딩되는 경우, 도 13과 같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미러 하우징(100)의 폴딩 시 구동 기어(230)의 회전으로 인하여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이 탄성 변형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위치하는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삽입 홈에 삽입되어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3은 구동부(200)의 회전에 따른 복수의 탄성부(320) 및 복수의 삽입 홈(23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나타나도록 하우징(240)을 구성하는 제1 케이스(241)와 제2 케이스(242) 중 제2 케이스(242)가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242)가 제1 케이스(24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 케이스(241) 및 제2 케이스(242)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케이스(241) 및 제2 케이스(242)의 결합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제1 케이스(241) 및 제2 케이스(2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도 13에서는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폴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상태에서 언폴딩되는 경우에도 구동부(200)의 회전 방향에서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은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32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복수의 탄성부(32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게 되어 구동부(200)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복수의 탄성부(32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삽입 홈(232)도 복수의 탄성부(320)를 기준으로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구동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게 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 방향으로 구동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을 가지는 미러 하우징(100)의 공간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가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탄성부(320)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이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면서도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 방향으로 구동부(2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축(Ax)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미러 하우징(100)이 폴딩된 상태 또는 언폴딩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미러 하우징(10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미러 하우징(100) 및 구동부(20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동부(200)가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러 하우징(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차량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미러 하우징(100)에 충돌하여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 비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미러 하우징(100)이나 구동부(20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도 14와 같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 비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15와 같이 미러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구동부(20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이 경우 복수의 탄성부(320)가 탄성 변형되어 복수의 탄성부(320) 각각의 타단부가 복수의 삽입 홈(232)으로부터 이탈되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 비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미러 하우징(100)이나 구동부(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충격에 의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 비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경우 운전자는 미러 하우징(100)에 힘을 가하여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40)에는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100)이 의도치 않게 폴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언폴딩 상태의 미러 하우징(100)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운전자가 정상적인 언폴딩 상태로 복귀시킬 때 복귀 지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복귀 지점을 정의하는 스토퍼(2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부(320) 중 어느 하나의 탄성부의 타단부에 스토퍼(243)가 맞닿게 위치하도록 스토퍼(243)가 제2 케이스(242)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토퍼(243)는 도 16과 같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의도치 않은 폴딩이 방지되도록 하고, 도 17과 같이 외부 충격에 의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 비하여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된 경우, 운전자가 전술한 도 16과 같이 미러 하우징(100)이 언폴딩 상태에 대응되는 위치로 돌아도록 회전시킬 때 스토퍼(243)에 걸리는 위치를 언폴딩 상태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미러 하우징
110: 미러
200: 구동부
210: 모터
221, 222, 223: 전달 기어
230: 구동 기어
231: 중공
232: 삽입 홈
240: 하우징
241: 제1 케이스
242: 제2 케이스
243: 스토퍼
300: 베이스
310: 샤프트
311: 결합 돌기
320: 탄성부
321: 돌출부
330: 지지부
331: 관통 홀
332: 결합 홈

Claims (11)

  1. 미러 하우징; 및
    상기 미러 하우징이 베이스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모터; 및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샤프트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 내주면에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 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관통 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관통 홀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타단부에 상기 구동 기어의 중공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복수의 삽입 홈 각각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홈은,
    상기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와 언폴딩된 상태의 각도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된 상태와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중 어느 하나의 타단부의 일측에 맞닿도록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미러 하우징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이전에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탄성부 중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위치한 탄성부의 타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미러 하우징이 언폴딩된 상태로 복귀되는 경우 복귀 지점을 정의하는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KR1020200071462A 2020-06-12 2020-06-12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KR20210154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62A KR20210154449A (ko) 2020-06-12 2020-06-12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62A KR20210154449A (ko) 2020-06-12 2020-06-12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49A true KR20210154449A (ko) 2021-12-21

Family

ID=7916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462A KR20210154449A (ko) 2020-06-12 2020-06-12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4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509A (ko)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509A (ko)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5294A (en) Wide-angle side-mirror device
CN110588525A (zh) 一种车载显示装置及具有车载显示装置的汽车
US11479179B2 (en) Camera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11027668B2 (en) Camera monitoring system
KR20210154449A (ko)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KR100976923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US11377032B2 (en) Actuator, sub-assembly with actuator and mirror head, rear view device, door and vehicle
KR20140008555A (ko) 차량용 미러의 액추에이터
KR20230057718A (ko) 차량용 미러 어셈블리
JPH1178698A (ja) 広角ミラー
KR102654582B1 (ko)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JP3028088B2 (ja) 広角サイドミラー装置
KR20200072995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미러
US20230421880A1 (en) Camera monitoring system disposed on a panel of a vehicle body
CN220764255U (zh) 车载显示屏及新能源汽车
CN219749670U (zh) 一种可旋转伸缩的后视镜
KR20150080465A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모듈
KR102500757B1 (ko) 자동차 외부미러용 액츄에이터
KR100512446B1 (ko) 차량의 전측방 관측용 다면경
CN214295783U (zh) 遮挡结构和车辆
KR1005242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230140190A (ko) 차량용 구동 장치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KR20220052220A (ko) 차량용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KR100950827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