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597A -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 Google Patents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597A
KR20210153597A KR1020217027048A KR20217027048A KR20210153597A KR 20210153597 A KR20210153597 A KR 20210153597A KR 1020217027048 A KR1020217027048 A KR 1020217027048A KR 20217027048 A KR20217027048 A KR 20217027048A KR 20210153597 A KR20210153597 A KR 2021015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heet
downstream
upstream
platen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나오 오프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5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출부(3)와, 인출부(3)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절단부(4)를 구비하고, 인출부(3)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이동 척(31A)과, 제1 이동 척(31A)을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 기구(31B)를 가지고, 절단부(4)는, 절단 날(41A)과,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을 갖는 정반(42)을 가지며,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A1)에는,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이동 척(31A)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42B2)가 형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conveyance failure when the protection sheet is taken out and conveyed before cutting and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process.
A lead-out portion 3 and a cut-out portion 4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the lead-out portion 3 are provided, and the lead-out portion 3 is an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It has a 1st moving chuck 31A for clamping the (端部), and a first slide mechanism 31B for slidingly moving the first moving chuck 31A in an extraction direction, and the cutting part 4 has a cutting blade ( 41A) and an upstream side plate 42A and a downstream side platen (42A) and downstream platen ( 42B), and on the upper surface 42A1 of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a first groove portion 42B2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moving chuck 31A can enter is formed. do.

Figure P1020217027048
Figure P1020217027048

Description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0001] 본 발명은 유리기판을 적층 곤포(梱包)할 때에 이용되는 보호시트를, 소정 치수로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그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를 사이에 끼워 적층하여 곤포된 복수의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for cutting a protective sheet used when stacking and packing a glass substrat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otective sheet cut by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by sandwiching the protective sheet between them. It relates to the techniqu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lass substrate package which consists of a several packaged glass substrate.

[0002]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에 이용되는 유리기판은, 보관이나 수송 시에 각 유리기판의 사이에 합지 등의 보호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레트(pallet) 위에 세로형 자세(대략 연직 자세) 또는 가로형 자세(대략 수평 자세)로 적층하여 곤포되는 것이 통례이다.Glass substrates used in flat panel displays (FPDs), such as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nd organic EL displays, place a protective sheet such as paper between each glass substrate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In this state, it is customary to stack and pack on a pallet in a vertical position (approximately vertical position) or horizontal position (approximately horizontal position).

유리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시트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미리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되며, 그 후,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근방에 배치되는 적재(積載)장치에 의해 유리기판과 함께 순차적으로 팔레트 상에 재치(載置)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The protective sheet positioned between the glass substrates is drawn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previously wound in a roll shape by a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continuously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placed in the vicinity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It is sequentially placed on a pallet together with a glass substrate by a stacking device to be arrang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93022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93022

[0004] 그런데, 상술한 보호시트 절단장치는,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는 척(chuck)과, 인출된 보호시트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과, 이들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의 상방에 각각 배치되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을 갖는다.[0004] By the way, 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 chuck (chuck) for drawing out a strip-shaped protective sheet formed in a roll-shaped wou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wn-out protective sheet an upstream platen and a downstream platen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in the withdraw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of the protective sheet, and the upstream platen and the downstream platen has an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and a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respectively disposed above it.

그리고,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우선 맨 먼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척에 의해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고, 이어서, 인출된 보호시트에 대하여, 상기 절단위치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절단위치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함으로써, 보호시트의 자세를 일시적으로 보지(保持)한 후, 절단부에 의해 보호시트를 절단한다.And, in the case of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first,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clamped with a chuck, and then the protective sheet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chuck, and then the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sheet, the upstream side of the cutting position is clamped by the upstream side plate and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cutting position is clamped by the downstream side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After temporarily holding (保持), the protective sheet is cut by the cutting part.

[0005] 여기서,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인출할 때,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절단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데, 해당 단부에 척을 근접시키는 것은, 하류 측 정반이 장해가 되어 불가능하다.[0005] Here, when the protection sheet is drawn out by the chuck, the end of the protection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usually located at the cutting position. become impossible

따라서,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조출(繰出, feeding) 롤러에 의해 보호시트를 일단 풀어내고,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하류 측 정반의 하류 측에 도달한 후, 척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the protective sheet is once unwound by a pair of feeding rollers, and after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drawing direction side reaches the down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platen, The end portion is clamped by a chuck and the protective sheet is pulled out.

[0006]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절단부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출 롤러에 의해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풀어 반송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는,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절단부에서의 절단 날이 출입하는 홈 내부로 구부러지는 등의 반송불량을 야기하기 쉬워,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0006]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protective sheet before cutting is unwound and transported by the feeding roller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ut portion,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feeding direction is static electricity Under the influence of friction or the like, it is easy to cause conveyance defects such as bending of the cutting blade at the cutting part into the entrance and exit grooves, which is a factor that leads to a decrease in productivity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process.

[0007] 본 발명은, 이상에서 나타낸 현 상황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0007]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ituation shown above, and after taking out the strip-shaped protectiv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conveyance failure when the protection sheet is taken out and conveyed before cutting as an apparatus, and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process.

또한,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를 사이에 끼워 적층 곤포된 복수의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 형태를 실현할 수 있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pack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glass substrates laminated and packed by sandwiching the protection sheet cut by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 glass substrate package capable of realizing a better packaging form of the glass substr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0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0008]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next,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will be described.

[0009] 즉,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상기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척(chuck)과, 상기 제1 척을 인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날과, 상기 절단 날에 의한 상기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상기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定盤) 및 하류 측 정반을 갖는 정반을 가지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09] That is,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protection sheet i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drawing out a band-shaped protection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ull-out portion for taking out the protective sheet, and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drawn out by the lead-out portion, wherein the lead-out portion clamps an end portion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drawing-out direction. a chuck and a slide mechanism for slidingly moving the first chuck in a drawing-out direction, wherein the cutting unit includes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protection sheet, and a cutting position of the protection sheet by the cutting blade and a surface plate having an upstream side plate and a downstream side plate for ho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sheet, respectively, on the upstream side and downstream side of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plat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a first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is formed.

[00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As such,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n.

따라서, 절단위치에 위치하는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에 대하여, 제1 척을, 제1 홈부 내에 침입시켜 근접시킬 수 있으며, 제1 척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protection sheet located at the cutting position on the withdrawal direction side, the first chuck can penetrate into the first groove to be close to it, and the end portion is clamped by the first chuck to stably hold the protection sheet. can be withdrawn with

그 결과,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와 같이, 한 쌍의 조출 롤러만으로 보호시트를 풀기 때문에,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가 구부러지는 등의 경우도 적어지며, 반송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As a result, like the conventional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since the protective sheet is unwound with only a pair of feeding rollers, it is affected by static electricity or friction, and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feeding direction is less bent. , it is possible to stably take out the protective sheet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fective conveyance.

[0011]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1]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tt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plate,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is formed. it is preferable

[001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척은, 제1 홈부에 침입하여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한 후에도, 상류 측 정반에 형성되는 제2 홈부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0012]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huck penetrates into the second groove formed in the upstream platen even after it penetrates the first groove and passes through the downstream platen, and further,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an move towards

따라서, 예컨대 예기치 않은 원인으로 인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해당 소정 위치에 비해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히 끼움 지지하여 인출할 수가 있다.Therefore, for example, due to an unexpected cause, even if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on the pull-out direction side does not reach the predetermined position and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pull-out direction compar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chuck It can be pulled out by firmly clamping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pulling-out direction.

[001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상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下限)위치 및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이격(離隔)되는 상류 측 상한(上限)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류 측 누름판과, 상기 하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 및 상기 하류 측 정반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하류 측 누름판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0013]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art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upstream side plate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upstream side platen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An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that can move between the upstream side upper limit position (離隔) and the downstream side platen that ar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downstream side platen,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downstream side platen in contact with the downstream side plate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have a downstream pressing plate that can move between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s.

[001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절단 날에 의한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보지하며, 또한 인출방향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인출된 보호시트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을 이동시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경우, 안정적인 커팅을 실현할 수가 있다.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of the protective sheet by the cutting blade, the upstream side of the withdrawal direction is held by the upstream side plate and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withdrawal direction is held downstream Since the pulled out protective sheet can be held by being clamped by the measuring plate and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stable cutting can be realized when the protective sheet is cut by moving the cutting blade.

[001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3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5] In addition, in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tting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the first chuck extend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enters.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groove that can be formed is formed.

[001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척은,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한 후, 상류 측 누름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상류 측 정반의 제2 홈부와, 상류 측 누름판의 제3 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0016]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positioned at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the first chuck passes through the downstream side platen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It penetrates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2nd groove part of , and the 3rd groove part of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and can further move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out direction of a protection sheet.

따라서,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척을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시켜, 보호시트에 충분히 근접시킨 다음, 상기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보지할 수가 있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drawing-out direction is held by the upstream side plate and the upstream pressing plate, the first chuck is moved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drawing out direction, and then sufficiently close to the protection sheet, The end portion can be securely clamped and held.

[0017]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4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7]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utting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the first chuck extend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 abutting state with the downstream side platen, the first chuck enters. It is preferable that a fourth groove that can be formed is formed.

[001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하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를 향해 충분히 이동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제1 척은, 하류 측 정반의 제1 홈부 및 하류 측 누름판의 제4 홈부를 통해, 하류 측 누름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곧바로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하여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할 수가 있다.[0018]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ithout waiting until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positioned at the downstream lower limit position moves sufficiently toward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the first chuck is provided with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platen. Through the fourth groove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it is possible to directly pass the downstream platen and clamp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feeding direction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downstream pressure plate.

따라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for a series of operation procedures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is shortened, and thus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0019]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이 상기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이 상기 하류 측 상한위치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척은 상기 보호시트의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9] In addition, in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located at the upstream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located at the downstream side upper limit position, and b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protection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pressed, the first chuck may clamp and support the end of the protection sheet.

[002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는, 항상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에서, 제1 척에 의해 끼움 지지되게 된다.[0020]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always clamped by the first chuck while being held by the upstream pressing plate.

따라서, 제1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drawing-out direction can be reliably held by the first chuck.

[0021]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을 상기 하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付勢, bias)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을 상기 상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0021]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unit includes a first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toward the downstream platen, and the upstream pressing plat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cond biasing member biasing toward the upstream side platen.

[002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2 바이어스 부재에 의한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은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고, 또한, 제1 바이어스 부재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하류 측 누름판은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게 된다.[0022]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the biasing force by the second biasing member (付勢力, biasing force),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pres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platen, and also biased by the first biasing member By the force,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n.

즉, 이들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은, 항상 일정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에 각각 밀어붙여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보지할 수가 있다.That is, thes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plates are always pressed against the upstream platen and the downstream platen by a constant biasing force, so that the protective sheet can be stably held.

또한,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 및 하류 측 하한위치를 향해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상류 측 정반과 상류 측 누름판의 사이, 혹은 하류 측 정반과 하류 측 누름판의 사이에 예기치 않은 이물(異物)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이들 제1 바이어스 부재 또는 제2 바이어스 부재가 간섭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이들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 혹은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에 결손(缺損)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move toward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down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respectively, for example, between the upstream side platen and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or between the downstream side platen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When an unexpected foreign object is present, these first biasing members or second biasing members function as interference means, and these upstream and downstream pressure plates, or upstream and downstream platens are damaged (缺損)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002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 및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은,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0023] In addition, in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0024] 즉,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척(長尺)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의 경우, 자신의 휨으로 인해, 보호시트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하기는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이 각각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휨으로 인한 영향도 적어, 보호시트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0024] That is, in the case of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made of integrally formed long members, due to their bending, it is difficult to evenly apply a pressing force to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n , since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are each divided, the influence due to such bending is small, and the pressing force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002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상기 하류 측 정반으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은,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5] In addition,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plate is composed of separate members as the upstream platen and the downstream plate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n is the upstream platen. It is preferable to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002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보호시트를 인출할 때에,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다소 흔들렸다 하더라도, 상기 단부가 하류 측 정반과 간섭하여 구부러지는 경우도 적어, 반송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0026]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protective sheet is pulled out, even if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slightly sha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d is less likely to be bent by interfering with the downstream side plate. It is possible to stably take out the protective sheet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0027]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인출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인출부는,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가 상기 정지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척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 척이 상기 보호시트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제1 척은,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고, 당해 보호시트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절단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7] Further, in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heet cut by the cutting unit is conveyed by the withdrawing unit to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withdrawing direction, and the The lead-out un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uck for clamping both ends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the cut protective sheet reaches the stop position, and after the second chuck clamps the protective sh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huck opens the end of the cut protection sheet in the drawing direction side, and slide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rotection sheet toward the cut portion.

[002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로부터, 절단된 보호시트가 반출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상기 보호시트가 소정의 정지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곧바로 제1 척을 소정의 대기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0028]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chuck is immediately returned to a predetermined standby position when the protection sheet reaches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without waiting for the protection sheet to be cut out from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a series of operation procedures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an be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0029]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의 제조방법에서는, 상술한 어떠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와, 유리기판을 교대로 적재하여 곤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lass substrate laminated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sheet cut by any of 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s, and the glass substrate are alternately stacked and packed.

[003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의 단부가 구부러져 있는 등의 경우도 적어,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ase where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s bent, etc. is less,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better packing form of the glass substrate.

[0031]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둔다.[0031]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즉,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하면,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 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nveyance failure at the time of taking out and conveying the protective sheet before cutting,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lass substrate packag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better packing form of a glass substrate can be implement|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의 화살표 X1의 방향으로 본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 내의 화살표 X2의 방향으로 본, 동작 중인 절단부의 상태를 경시(經時)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상한위치에 정지해 있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이고, (b)는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에 정지해 있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하한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이며, (c)는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로 이동하여,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여,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제2 이동 척에 의해 절단된 매엽(枚葉)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절단된 매엽시트를 제1 이동 척 및 제2 이동 척에 의해 반출 섹션까지 반송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고정 척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매엽시트의 인출 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제1 이동 척을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절단된 매엽시트의 하방을 통과시켜 제1 이동 척을 제1 대기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i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1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ut part in opera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2 in FIG. 2 over time, (a) is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stopped at the upstream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downstream side It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is stopped at the upper limit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b) is the state in which the presser plate on the upstream side is stopped at the lower limit position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press plate is stopped at the lower limit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A cross-sectional side view, (c)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is moved to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and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clamped by the first moving chuck.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over time,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drawing-out direction is clamped by the first moving chuck, (b) is the second 1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sheet is cut by pulling out the protective shee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means of a moving chuck, and (c) is a plan view showing both ends of th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cut by the second moving chuck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being fitted.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over time,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t sheet sheet is conveyed to the discharging section by the first moving chuck and the second moving chuck, (b) )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chuck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sheet in the pull-out direction after clamping both ends of th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t sheet by a fixed chuck, (c) is the cut sheet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able chuck is returned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by passing under the seat.

[003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한편, 이하의 설명에 관해서는 편의상,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서의 화살표 A의 방향을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규정하여 기술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S. 1 and 3 to 5 is defined a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또한, 도 2 및 도 3의 상하방향을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하여 기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

[0034]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구성)[0034]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먼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구성에 관하여 도 1, 도 2, 도 3의 (a), (c) 및 도 4의 (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a), (c) and 4 (a).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는, 미리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S)를, 대략 수평 자세의 상태로 길이방향(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인출하고, 그 후, 인출된 보호시트(S)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소정의 외형 치수로 이루어지는 매엽(枚葉)의 보호시트(이하, 적절히 '매엽시트(S1)'라 기재함)를 제작하는 장치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cuts the band-shaped protection sheet S, which is previously wound in a roll shape,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1).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reafter, the pulled out protection sheet S is cut in the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eet protection sheet (hereinafter, appropriately It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heetfed sheet (S1)').

여기서, 제작된 매엽시트(S1)는, 별도로 제조된 최종 제품인 유리기판(G)을 곤포할 때의 보호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팔레트(Q) 상에서,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와, 유리기판(G)을, 대략 연직 자세로 이루어지는 세로형 자세, 또는 대략 수평 자세로 이루어지는 가로형 자세(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형 자세)로 번갈아 적재함으로써, 복수의 유리기판(G·G…)이 곤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100)가 형성된다.Here, the manufactured single-wafer sheet (S1) is used as a protective member when packing the glass substrate (G), which is a separately manufactured final product, and is cut by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on the pallet (Q). A plurality of glass substrates ( A glass substrate laminated package 100 in which G·G...) is packed is formed.

[0035]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S)는, 합지로 이루어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수지 시트나, 수지 시트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유리기판(G)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0035]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et (S) in this embodiment is made of laminated pa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has elasticity such as a foamed resin sheet made of foamed polyethylene or the like, a resin sheet, and the like and impacts from the outside.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protect the glass substrate (G), any material may be u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 곤포되는 유리기판(G)은,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유리기판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 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의 각종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기판이나, 각종 전자 표시 기능 소자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基材)로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을 채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glass substrate G packaged by this embodiment is a glass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s,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plasma display,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Field Emission Display), the surface General glass used as a glass substrate for various flat panel displays, such as a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and a substrate for forming various electronic display functional elements and thin films A substrate can be employed.

[0036] 보호시트 절단장치(1)는, 베이스부(基部)가 되는 기초대(基台, 2)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대(2)의 상면에는 인출부(3), 및 상기 인출부(3)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도 1 내이 화살표 A 방향)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절단부(4) 등이 설치된다.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 base (基台, 2) serving as a base (基部),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 has a lead-out portion (3), and the lead-out portion With respect to (3), a cut-out portion 4 or the lik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inner ear arrow A direction in Fig. 1) of the protective sheet S is provided.

[0037] 인출부(3)는,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절단부(4)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송하여, 소정의 섹션(후술하는 반출 섹션(S02))에서 상기 매엽시트(S1)를 보지하는 부위이다.The take-out unit 3 draws out the protective sheet S wound in a roll shape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veys the sheet S1 cut by the cutting unit 4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a portion for holding the sheet S1 in a predetermined section (a discharging section S02 to be described later).

인출부(3)는, 제1 이동 척 장치(31), 제2 이동 척 장치(32) 및 고정 척 장치(33) 등에 의해 구성된다.The lead-out part 3 is constituted by a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 a second movable chuck device 32 , a fixed chuck device 33 , and the like.

[0038] 제1 이동 척 장치(31)는,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한 후, 후술하는 제2 이동 척 장치(32)와 함께,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송하는 장치이다.[0038]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withdraws the protective sheet 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n together with a second movable chuck device 32 to be described later, the cut sheet S1 A device that transports

제1 이동 척 장치(31)는, 제1 척의 일례로서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인출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기구(31B·31B), 및 전동 모터나 유압(油壓)/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을 동조(同調)하여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 등을 갖는다.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is, as an example of the first chuck, a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for clamping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conveying direction side), these products 1 It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slide mechanisms 31B and 31B for sliding the moving chucks 31A and 31A along the drawing direction, respectively, and an electric motor, hydraulic pressure/pneumatic cylinder, and the like. It has an actuator (not shown) etc. which synchronize and move 1 moving chuck 31A and 31A.

[0039] 제1 이동 척(31A)은, 예컨대 도 3의 (a) 및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끼움 지지부(31A1), 및 상기 제1 끼움 지지부(31A1)를 상하이동(승강)시키는 승강부(31A2)를 갖는다.[0039] The first movable chuck 31A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 and 3 (c), a first clamping part 31A1 that opens and clo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clamping part It has an elevating part 31A2 which makes 31A1 move up and down (elevate|lower).

[0040] 그리고,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도 3의 화살표 A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0040] And,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has a first clamping portion 31A1·31A1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arrow A direction in FIG. 3) of the protective sheet S. They are respectively arranged so as to be opened.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와 대향되도록 하여 각각 배치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1,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are respectively disposed so as to fac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pull-out direction side.

[0041] 제1 슬라이드 기구(31B)는 예컨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1 끼움 지지 위치(P01, 도 4의 (a) 참조)와, 제1 퇴피(退避) 위치(P05, 도 5의 (b) 참조)의 사이에서, 각 제1 이동 척(31A)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0041] The first slide mechanism 31B is, for example, constituted by a linear guid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a first fitting position (P01, refer to (a) of FIG. 4) to be described later, and, Between the first retracted positions (P05, see FIG. 5B ), each of the first movable chucks 31A is supported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0042]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는 인출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다.[0042] In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fter the end por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clamped by a pair of first chucks 31A·31A, the actuator By moving these 1st moving chucks 31A·31A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roll-shaped protective sheet S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rawing direction.

또한, 절단부(4)에 의해 보호시트(S)가 절단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다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매엽으로 형성된 매엽시트(S1)는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된다.Further, after the protective sheet S is cut by the cutting part 4, the first moving chucks 31A and 31A are moved again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actuator, thereby forming a sheet formed of a single sheet. (S1) is conveyed toward the carrying out section (S02).

[0043] 한편,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1 슬라이드 기구(31B·31B)의 기기 수(基數)에 대해서는, 보호시트(S)를 안정적인 자세로 인출할 수 있는 한,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기(基)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3기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devices of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and the first slide mechanism 31B·31B, the protective sheet S can be withdrawn in a stable posture. As long as it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only one unit may be provided, and three or more units may be provided.

[004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4)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 상류 측에, 상기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을 향해 풀어내는, 상하 한 쌍(도 1에서는 평면도이므로 1개만 기재함)의 조출(繰出) 롤러(5·5)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보호시트(S)를 인출하고 있는 동안, 이들 조출 롤러(5·5)는 인출되는 보호시트(S)를 추종하여 회전된다.[0044]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with respect to the cut portion 4, a pair of upper and lower sides (top view in FIG. 1 ) to unwind the protection sheet S toward the conveying direction Therefore, only one feeding roller 5·5 is provided, and while the protective sheet S is taken out by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these feeding rollers 5·5 ) is rotated by following the drawn-out protection sheet (S).

[0045] 제2 이동 척 장치(32)는, 제1 이동 척 장치(31)와 함께,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하는 장치이다.[0045] The second moving chuck device 32 is a device that, together with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transports the cut sheet S1 toward the discharging section S02.

제2 이동 척 장치(32)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 상류 측을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 이들 제2 이동 척(32A·32A)을 반송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기구(32B·32B), 및 전동 모터나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을 동조하여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 등을 갖는다.The second movable chuck device 32 is a pair of clamping upstream sid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 2nd movable chuck 32A/32A of It has an actuator (not shown), etc. which consists of a cylinder etc. and which synchronizes and moves a pair of 2nd moving chucks 32A and 32A.

[0046] 제2 이동 척(32A)은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끼움 지지부(32A1)를 갖는다. [0046] The second movable chuck 32A has a second fitting support portion 32A1 that opens and clo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And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보호시트(S)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Moreover, a pair of 2nd movable chuck|chuck 32A*32A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2nd clamping part 32A1*32A1 may open toward the width direction center part of the protective sheet S, respectively.

[0047] 제2 슬라이드 기구(32B)는, 제1 슬라이드 기구(31B)와 평행하게(즉,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2 대기위치(P21)와, 제2 반송 정지위치(P22; 도 5의 (a) 참조)의 사이에서, 제1 이동 척(31A)의 가동에 추종하여 각 제2 이동 척(32A)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0047] The second slide mechanism 32B is constituted by a linear guide extending parallel to the first slide mechanism 31B (that is, i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2nd stand-by position P21 and the 2nd conveyance stop position P22 (refer FIG.5(a)), each 2nd moving chuck 32A is followed by the movement of 31A of 1st moving chucks. Support for sliding movement.

[0048]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 척 장치(32)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척(32A·32A)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의 폭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반송방향 상류 측을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2 이동 척(32A·32A)을, 제1 이동 척 장치(31)와 동조하면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절단된 매엽시트(S1)는, 제1 이동 척(31A) 및 제2 이동 척(32A)에 의해 보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된다.[0048] In the second movable chuck device 3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width direction both ends of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pair of second chucks 32A·32A , After clamping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second moving chucks 32A·32A are moved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synchronizing with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by the actuator. The used sheet S1 is conveyed toward the carrying out section S02 in a stable posture in the state held by the first moving chuck 31A and the second moving chuck 32A.

[0049] 고정 척 장치(33)는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매엽시트(S1)를 제1 이동 척 장치(31) 대신에 보지하는 장치이다.[0049] The stationary chuck device 33 is a device for holding the sheet S1 that has reached the discharging section S02 instead of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

고정 척 장치(33)에 의해 매엽시트(S1)를 보지함으로써, 상기 매엽시트(S1)는, 제2 이동 척 장치(32) 및 상기 고정 척 장치(33)에 의해 보지된 상태가 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의 제1 이동 척(31A)은, 곧바로 후술하는 제1 대기위치(P02)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By holding the sheet S1 by the fixed chuck device 33, the sheet S1 is held by the second movable chuck device 32 and the fixed chuck device 33, and the The first moving chuck 31A of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immediately returned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described later.

[0050] 고정 척 장치(33)는, 제2 척의 일례로서, 반출 섹션(S02)에 위치하는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 하류 측을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척(33A·33A) 등을 갖는다.[0050] The fixed chuck device 33, as an example of the second chuck, is a pair of fixings that clamp the downstream sides in the conveying direction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S1 positioned in the discharging section S02. It has chucks 33A·33A and the like.

[0051] 고정 척(33A)은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3 끼움 지지부(33A1)를 갖는다.The fixed chuck (33A) has a third fitting support (33A1) that opens and clo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대한 폭방향의 양측이며,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에 대한 반송방향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된다.And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are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and the convey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They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downstream side.

또한,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제2 끼움 지지부(33A1·33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Further, the pair of fixing chucks 33A·33A are respectively arranged so that the second clamping portions 33A1·33A1 are ope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S1.

[0052]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척 장치(33)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 척(33A·33A)에 의해,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끼움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지되고 있던 상기 매엽시트(S1)의 반송방향의 단부는, 고정 척(33A·33A)에 의해서도 보지되게 된다.[0052] In the fixed chuck device 3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heet S1 which has reached the carrying out section S02 is convey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By clamping the downstream side in the direction, the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heet S1 held by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is also held by the fixed chucks 33A·33A. do.

그 결과,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매엽시트(S)로부터 이격되어 곧바로 제1 대기위치(P02)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are separated from the sheet S and are in a state capable of being returned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immediately.

[0053] 절단부(4)는, 인출부(3)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매엽시트(S1)를 형성하는 부위이다.The cut portion 4 is a portion for forming the sheet (S1) by cutting the protection sheet (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lead-out portion (3) in the width direction.

절단부(4)는 절단장치(41), 정반(42), 누름판(43) 및 승강장치(44) 등에 의해 구성된다.The cutting part 4 is constituted by a cutting device 41 , a surface plate 42 , a pressing plate 43 , and a lifting device 44 , and the like.

[0054] 절단장치(41)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를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장치이다.The cutting device 41 is a device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in the width direction.

절단장치(41)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절단 날(41A), 및 상기 절단 날(41A)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1B) 등에 의해 구성된다.The cutting device 41 is constituted by a cutting blade 41A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S, and a moving mechanism 41B for moving the cutting blade 41A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

[0055] 절단 날(41A)은 예컨대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평면을 향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는, 예각으로 돌출된 커터(切刀, cutter; 41A1)가 형성되어 있다.The cutting blade 41A is, for example,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facing the plan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at its upper end, a cutter protruding at an acute angle (切刀) , cutter; 41A1) is formed.

또한, 절단 날(41A)은 측면에서 볼 때 보호시트(S)와 직교하며, 또한 절단 날(41A)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상기 보호시트(S)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utting blade 41A is orthogonal to the protection sheet S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is disposed such that the protection sheet S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utting blade 41A in the vertical direction.

[0056] 그리고, 후술하는 이동기구(41B)에 의해, 보호시트(S)에서의 폭방향의 일방(一方) 측(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부터 타방(他方) 측(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을 향해 절단 날(41A)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호시트(S)는 커터(41A1)를 통해 폭방향으로 절단된다.[0056] Then, by a moving mechanism 41B to be described later,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for example,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is embodiment) to the other side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by moving the cutting blade 41A toward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protective sheet S is cut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cutter 41A1.

[005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절단 날(41A)의 커터(41A1)는, 폭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보호시트(S)를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41A)의 이동방향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 측으로부터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폭방향의 타방 측으로부터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since the cutter 41A1 of the cutting blade 41A in this embodiment can cut the protective sheet 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tting blade 41A is, Any of the direction which goes to the one side from the direction which goes to the other side from the one side of the said width direction, or the other side of the said width direction may be sufficient.

[0058] 이동기구(41B)는, 예컨대 축심방향을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하고,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 측 풀리(pulley)(41B1), 상기 구동 측 풀리(41B1)와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종동(從動) 측 풀리(41B2), 및 이들 구동 측 풀리(41B1)와 종동 측 풀리(41B2)에 감기는 무단(無斷, endless)의 타이밍 벨트(41B3)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된다.[0058] The moving mechanism 41B is, for example, a driving-side pulley 41B1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y driven with respect to the axial center a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in the axial center direction, the driving A driven side pulley 41B2 disposed to face the side pulley 41B1 in the width direction and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center, and these driving side pulleys 41B1 and driven side pulley 41B2 ) is constituted by a conveying conveyor consisting of an endless timing belt 41B3, etc.

또한, 타이밍 벨트(41B3)의 상방 측의 외주면에는, 홀더(41B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41B4)를 통해 절단 날(41A)은 타이밍 벨트(41B3)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Further, a holder 41B4 is fixed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timing belt 41B3, and the cutting blade 41A is detachably fixed to the timing belt 41B3 via the holder 41B4.

[0059]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측 풀리(41B1)가 정회전(正轉)방향 또는 역회전(逆轉)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타이밍 벨트(41B3)가 이동하여 절단 날(41A)이 폭방향으로 이동된다.An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as the driving side pulley 41B1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direction, the timing belt 41B3 moves and The cutting blade 41A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0060] 정반(42)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의 하면을 보지하는 것이다.The surface plate 42 is to hol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정반(4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L)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며, 인출된 보호시트(S)의 하면에서의 상기 상류 측 및 하류 측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surface plate 42 is on the upstream side and downstream of the drawing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L of the protection sheet S by the cutting blade 41A. It has an upstream side plate (42A) and a downstream side plate (42B)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side and holding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n-out protective sheet (S), respectively.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절단위치(L)'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와, 절단장치(41)의 절단 날(41A)이 이동할 때의 궤적이 교차하는 교선(交線)의 위치를 의미한다.Here, the 'cutting value (L)'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and the cutting blade 41A of the cutting device 41 when moving. It means the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line where the trajectories intersect.

[006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이 서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0061]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stream platen 42A and the downstream platen 42B are configured to be divided from each other,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이들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이 서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 절단 날(41A)이 절단위치(L)를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긴 구멍(長孔)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For example, thes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downstream side platen 42B are integrally configured with each other, and in the central part, a long hole allowing the cutting blade 41A to reciprocate along the cutting position L.孔) may be formed.

[0062]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은 예컨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수지제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면서 또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기초대(2)의 상면에 설치된다.[0062]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are made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amide resin, for example, in a horizontal state 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 to extend to.

또한, 상류 측 정반(42A)의 길이방향의 치수(L1) 및 하류 측 정반(42B)의 길이방향의 치수(L2)는, 모두 보호시트(S)의 폭방향의 치수(Lw)에 비해 크도록 설정되어 있으며(L1>Lw, L2>Lw),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 및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서 보호시트(S)를 보지할 때에, 상기 보호시트(S)가 이들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의 폭방향 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L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stream plate 42A and the dimension L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plate 42B are both larger than the dimension L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L1>Lw, L2>Lw), when holding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upper surface 42A1 of the upstream platen 42A and the upper surface 42B1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the protec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heet|seat S may not protrude toward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s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downstream side platen 42B.

[0063]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정반(42A)의 두께 치수(H1)에 비해 하류 측 정반(42B)의 두께 치수(H2)가 작도록 설정되어 있으며(H1>H2),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은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3 (a), the thickness dimension H2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H1 of the upstream plate 42A (H1) >H2), the upper surface 42B1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is configured to be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42A1 of the upstream plate 42A.

H1과 H2의 차는 1㎜~20㎜가 바람직하고, 1㎜~10㎜가 보다 바람직하며, 1㎜~4㎜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difference between H1 and H2 is preferably 1 mm to 20 mm, more preferably 1 mm to 10 mm, and most preferably 1 mm to 4 mm.

[006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보호시트(S)를 인출할 때, 상기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다소 흔들렸다 하더라도, 상기 단부가 하류 측 정반(42B)과 간섭하여 구부러지는 경우도 적어, 반송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며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인출할 수가 있다.[0064]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protective sheet S is drawn out by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f it is slightly shaken, the end portion is less likely to be bent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downstream platen 42B,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fective conveyance and stably withdrawing the protective sheet S.

[0065]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 홈부(42B2·42B2)가 형성되어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1, on the upper surface 42B1 of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it extends in the drawing direction (transport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in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A pair of first groove portions 42B2 and 42B2 into which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can enter are formed.

여기서, 후술하는 제2 홈부(42A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반(42)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부'란,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정반(42)의 하면에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홈부의 바닥면이 정반(42)의 하면의 하방에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홈부에 의해 정반(42)이 분단되어 있는 경우(절결 형상)도 포함된다.Here, similarly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42A2 to be described later, th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42 in this embodiment means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does not reach the low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42. In addition,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reaches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rface plate 42 and the surface plate 42 is divided by the formed groove portion (cut-out shape) is also included.

[0066] 구체적으로는 제1 홈부(42B2)는, 상방에서 볼 때(平面視, planar view)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의 궤적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반송방향의 상류 측 단면으로부터 하류 측 단면에 걸쳐, 하류 측 정반(42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0066] Specifically,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trajectory of the first movable chuck 31A in a planar view, and an upstream end fa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downstream side plate 42B from the downstream end face.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홈부(42B2)는 예컨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단면(斷面)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폭방향의 치수(W1)는 제1 이동 척(31A)의 폭방향의 치수(W2)에 비해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W1>W2).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is formed to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dimension W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movable chuck ( 31A)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mension W2 in the width direction (W1>W2).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부(42B2)의 바닥면이, 하류 측 정반(42B)의 하면의 하방에까지 도달해 있고, 상기 제1 홈부(42B2)에 의해 하류 측 정반(42B)은 분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reaches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stream surface plate 42B, and the downstream surface plate 42B is divided by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is made up of

[0067]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동 척(31A)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42B2)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 형성되어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1st groove part 42B2 into which the 1st moving chuck 31A can enter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42B1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따라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되기 직전의 보호시트(S)에 있어서, 절단위치(L)에 위치하는 상기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에 대하여, 제1 이동 척(31A)을, 제1 홈부(42B2, 도 1 참조) 내에 침입시켜 근접시킬 수 있으며, 제 이동 척(31A)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S)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a), in the protection sheet S just before being pulled out by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the protection sheet S located at the cutting position L is With respect to the en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the first movable chuck 31A can be brought into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refer to Fig. 1) to approach the end, and the end is closed by the first movable chuck 31A. It is possible to stably withdraw the protective sheet (S) by being clamped.

[0068] 그 결과, 예컨대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와 같이, 한 쌍의 조출 롤러만으로 보호시트(S)를 풀어냄에 따라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보호시트(S)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가 구부러지는 등의 경우도 적어, 반송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인출할 수가 있다.As a result, for example, as in the conventional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s the protective sheet (S) is released only by a pair of feeding rollers, it is affected by static electricity or friction, such as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the end is bent, and the protective sheet S can be stably taken out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 conveyance defect.

[0069]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에도,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2 홈부(42A2·42A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in this embodiment, it extends also in the upper surface 42A1 of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in the drawing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A pair of second groove portions 42A2·42A2 into which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in 31 can enter are formed.

또한, 제2 홈부(42A2)의 형상 및 배치위치는, 상술한 제1 홈부(42B2)의 형상 및 배치위치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2nd groove part 42A2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1st groove part 42B2 mentioned above, description of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007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이동 척(31A)은, 제1 홈부(42B2)에 침입하여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한 후에도, 상류 측 정반(42A)에 형성되는 제2 홈부(42A2)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0070]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movable chuck 31A penetrates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and passes through the downstream platen 42B, eve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in the upstream platen 42A. It penetrates into 42A2 and can further move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따라서, 예컨대 예기치 않은 원인으로 인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소정 위치(즉, 절단위치(L))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소정 위치에 비해 상기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이동 척(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인출할 수가 있다.Therefore, for example, due to an unexpected cause, the end of the protection sheet S on the withdrawal direction (transport direction) side does not reach the predetermined position (ie, the cut position L), and thus the extraction direction (transportation direction) compar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ull out the protective sheet S by securely clamping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in the drawing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by the first moving chuck 31A.

[0071] 누름판(43)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상기 보호시트(S)를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인출할 수 없는 상태로 보지하는 것이다.[0071] The pressing plate 43 presses the protective sheet S drawn out by the first moving chuck device 31 from above, so that the protective sheet S cannot be withdrawn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ransport direction). to see

누름판(43)은 상류 측 정반(42A)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정반(42B)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하류 측 누름판(43B)을 갖는다.The pressure plate 43 has an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43A disposed directly above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a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43B disposed directly above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0072]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은 예컨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수지제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이고 또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술한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과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다.[0072]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are made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amide resin, in a horizontal state, 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to extend to, and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described above.

[0073]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은 후술하는 상류 측 승강장치(44A)에 의해 상하이동(승강)하는 동시에, 하류 측 누름판(43B)은 후술하는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 의해 상하이동(승강)한다.[0073] In additio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moves up and down (elevating) by an upstream lifting device 44A to be described later, while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is moved up and down by a downstream lifting device 44B to be described later. move (elevate).

구체적으로는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위치(H01; 도 3의 (b) 또는 도 3의 (c) 참조), 및 상류 측 정반(42A)과 이격되는 상류 측 상한위치(H02; 도 3의 (a) 참조)의 사이를 이동(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H03; 도 3의 (b) 참조), 및 하류 측 정반(42B)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H04; 도 3의 (a) 또는 도 3의 (c) 참조)의 사이를 이동(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has an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t the same time configured to be movable (elevating) between the spaced upstream upper limit positions H02 (see Fig. 3 (a)),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has a downstream lower limit in contact with the downstream platen 42B. position (H03; see Fig. 3 (b)), and the downstream side upper limit position (H04; It is designed to be lifted).

[007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L)에 대하여, 인출방향(반송주행)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42A) 및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또한 인출방향(반송주행)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42B)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인출된 보호시트(S)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41A)을 이동시켜 상기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경우, 안정적인 커팅을 실현할 수가 있다.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L) of the protective sheet (S) by the cutting blade (41A), the upstream side of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travel) the upstream side plate (42A) and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in the withdrawal direction (transport run) is clamped by the downstream side plate 42B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so that the pulled out protective sheet S can be held Therefore, when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S) by moving the cutting blade (41A), it is possible to realize stable cutting.

[0075] 상류 측 누름판(43A)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상류 측 정반(42A)의 길이방향의 치수(L1)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하류 측 정반(42B)의 길이방향의 치수(L2)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0075] Th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L1 of the upstream side plate 42A, and the lengthwise dimension of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is ,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mension L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이로써,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상방으로부터 눌러붙인 경우에, 상기 보호시트(S)는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의 폭방향 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일 없이 정반(42) 및 누름판(43)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확실하게 보지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rotection sheet S drawn out b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is pressed from above, the protection sheet S is applied to thes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s 43A and the downstream side. It is clamped by the surface plate 42 and the press plate 43 without protruding to the width direction side of the press plate 43B, and it comes to be hold|maintained reliably.

[0076] 그런데, 상류 측 누름판(43A)의 하면(43A1, 도 3 참조)에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류 측 정반(42A)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3 홈부(43A2·43A2)가 형성되어 있다.[0076] By the way, on the lower surface (43A1, see FIG. 3)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it extend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on sheet S, an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ide plate 42A, A pair of third groove portions 43A2·43A2 into which the pair of first chucks 31A·31A in the one-moving chuck device 31 can enter are formed.

여기서, 후술하는 제4 홈부(43B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누름판(43)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부'란,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누름판(43)의 상면에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홈부의 바닥면이 누름판(43)의 상면의 상방에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홈부에 의해 누름판(43)이 분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Here, also with respect to the fourth groove portion 43B2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43 means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does not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43 . Not only the case, but also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part reaches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43, and the pressing plate 43 is divided by the formed groove part is included.

[0077] 구체적으로는 제3 홈부(43A2)는, 상방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의 궤적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반송방향의 상류 측 단면으로부터 하류 측 단면에 걸쳐, 상류 측 누름판(43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0077] Specifically,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i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trajectory of the first moving chuck 31A when viewed from above, and spans from the upstream end fac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o the downstream end face, upstream It is formed so that it may penetrate through 43 A of side press plates.

또한, 제3 홈부(43A2)는 예컨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방향의 치수는 상술한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에서의 폭방향의 치수(즉, 하류 측 정반(42B)의 제1 홈부(42B2)에서의 폭방향의 치수(W1))와 대략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is formed to have, for exampl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width direction thereof i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42A2 of the upstream platen 42A described above. It is set to about the same degree as the dimension of (that is, the dimension W1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1st groove part 42B2 of the downstream platen 42B).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홈부(43A2)의 바닥면이,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면의 상방에까지 도달해 있으며, 상기 제3 홈부(43A2)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43A)은 분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reache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pressing plate 43A, and the upstream pressing plate 43A is divided by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is made up of

[007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위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이동 척(31A)은,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한 후, 상류 측 누름판(43A)과 간섭하는 일 없이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와, 상류 측 누름판(43A)의 제3 홈부(43A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0078]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even whe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is located at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the first moving chuck 31A passes through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the second groove portion 42A2 of the upstream side plate 42A and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penetrate into the space formed by, Furthermore, it can move toward the upstream of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0079] 따라서, 상류 측 정반(42A) 및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을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시켜, 보호시트(S)에 충분히 근접시킨 다음, 해당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보지할 수가 있다.[0079]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withdrawal direction side is held by the upstream side plate 42A and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the first moving chuck 31A is mov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 conveyance direction), and after bringing it close enough to the protective sheet S, it can clamp and hold the said edge part reliably.

[0080]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측 누름판(43B)의 하면(43B1, 도 3의 (a) 참조)에도,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류 측 정반(42B)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4 홈부(43B2·43B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43B1, see Fig. 3 (a)) of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also extend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the downstream side platen In a state in contact with 42B, a pair of fourth groove portions 43B2 and 43B2 into which a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in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can enter are formed. have.

또한, 제4 홈부(43B2)의 형상 및 배치위치는, 상술한 제3 홈부(43A2)의 형상 및 배치위치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hap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4th groove part 43B2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the 3rd groove part 43A2 mentioned above,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0081]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 위치하고 있던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상한위치(H04)를 향해 충분히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제1 이동 척(31A)은 하류 측 정반(42B)의 제1 홈부(42B2)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의 제4 홈부(43B2)를 통해, 하류 측 누름판(43B)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곧바로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하여, 보호시트(S)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할 수가 있다.[0081]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first moving chuck 31A does not wait until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located at the downstream lower limit position H03 moves sufficiently toward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H04. ) through the first groove portion 42B2 of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and the fourth groove portion 43B2 of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while avoid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directly downstream side platen 42B ), it is possible to clamp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in the drawing direction side.

따라서,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for a series of operation procedures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can be shorten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0082] 승강장치(44)는 누름판(43)을 상하이동(승강)시키는 장치이다.The lifting device 44 is a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elevating) the pressing plate 43 .

승강장치(44)는 절단위치(L)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상류 측 승강장치(44A), 및 상기 인출방향(반송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하류 측 승강장치(44B) 등에 의해 구성된다.The lifting device 44 includes an upstream lifting device 44A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pull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L, and downstream of the pull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It is constituted by a downstream hoisting device 44B or the like disposed on the side.

[0083]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류 측 승강장치(44A) 및 하류 측 승강장치(44B)는 대략 동등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 대해 기재하고, 상류 측 승강장치(44A)의 기재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도록 한다.[0083] Here, the upstream-side lifting device 44A and the downstream-side lifting device 44B in the present embodimen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ownstream-side lifting device 44B will be mainly described, The description of the upstream-side lifting device 44A is appropriately omitted.

[0084] 하류 측 승강장치(44B)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누름판(43B)의 상방에 배치되는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 및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을 승강 가동시키는 한 쌍의 하류 측 액추에이터(44B3·44B3) 등에 의해 구성된다.[0084] The downstream lifting device 44B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ownstream lifting frame 44B1 and the downstream lifting frame 44B1 disposed above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It is composed of a supported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a hydraulic/pneumatic cylinder, etc., and is constituted by a pair of downstream actuators 44B3·44B3 and the like that move the downstream lifting frame 44B1 up and down.

또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하면에 있어서 하류 측 누름판(43B)을 고정 설치하는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 및 상기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의 상부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44B2b…) 등에 의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includes a downstream side fixed mounting member 44B2a for fixing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on the lower surface, and a vertical direction above the downstream side fixed mounting member 44B2a. It is comprised by several downstream guide shaft 44B2b, 44B2b... etc. which are installed upright.

[0085] 여기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하방에 있어서, 복수의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44B2b…)를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관통시킨 상태로 배치된다.[0085] Here,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ownstream guide shafts 44B2b, 44B2b... are passed through the downstream-side lifting frame 44B1 under the downstream-side lifting frame 44B1. is placed as

또한, 각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에 있어서,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선단부에는 하류 측 접촉부재(44B4)가 설치되는 동시에,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하면과,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의 상면의 사이에는,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이어스 부재의 일례인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가 상기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와 대략 동축(同軸) 상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downstream guide shafts 44B2b, a downstream contact member 44B4 is provided at the tip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elevation frame 44B1,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stream elevation frame 44B1;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fixing member 44B2a, a downstream biasing member 44B5, which is an example of the first biasing member, made of, for example, a compression coil spring or the like, is substantially coaxial with the downstream guide shaft 44B2b. ) is placed on the

[0086] 그리고,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복수의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44B5…)에 의해, 항상 하방을 향해 가세(付勢, bias)된 상태로 되어 있다.And,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side lifting frame 44B1,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is always biased downward by the plurality of downstream side biasing members 44B5·44B5... is in a state of being

이로써,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을 통해 복수의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44B5…)에 의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항상 하류 측 정반(42B)을 향해 가세되게 된다.Thereby,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always holds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side lifting frame 44B1 by the plurality of downstream side biasing members 44B5·44B5... via the downstream side movable frame 44B2. will be pushed towards

[008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하방 측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복수의 하류 측 접촉부재(44B4·44B4…)가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상면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으로부터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0087]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moves downwar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elevation frame 44B1, the plurality of downstream contact members 44B4, 44B4... It is set so that it may contact|abut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side raising/lowering frame 44B1, and it has become a structure which prevents that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falls off from the downstream-side raising/lowering frame 44B1.

[0088] 한편, 상류 측 승강장치(44A)는, 상술한 하류 측 승강장치(44B)와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 및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을 승강 가동시키는 한 쌍의 상류 측 액추에이터(44A3·44A3; 도 1 참조) 등에 의해 구성된다.[0088] On the other hand, the upstream-side lifting device 44A has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the downstream-side lifting device 44B described above,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n upstream-side elevating frame 44A1, an upstream movable frame 44A2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the upstream-side elevating frame 44A1, and a hydraulic/pneumatic cylinder, and the upstream-side elevating frame 44A1 is lifted and moved. The actuator is constituted by a pair of upstream actuators 44A3·44A3 (refer to FIG. 1) and the like.

또한, 이들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 및 상류 측 액추에이터(44A3)는, 상술한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서의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 및 하류 측 액추에이터(44B3)와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se upstream raising/lowering frame 44A1, upstream movable frame 44A2, and upstream actuator 44A3 are downstream-side raising/lowering frame 44B1 and downstream movable frame in the downstream raising/lowering device 44B mentioned above. Since i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44B2 and the downstream actuator 44B3,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0089] 그리고, 상류 측 승강장치(44A)에서도,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은, 복수(도 3에서는 측면도이므로 1개만 기재됨)의 제2 바이어스 부재의 일례인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44A5…)에 의해, 항상 하방을 향해 가세(付勢, bias)된 상태로 되어 있다.[0089] Also in the upstream lifting device 44A, with respect to the upstream lifting frame 44A1, the upstream movable frame 44A2 has a plurality of second biasing members (only one is described in FIG. 3 because it is a side view) By the upstream biasing members 44A5·44A5 ... which are an example of

이로써,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을 통해 복수의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44A5…)에 의해,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항상 상류 측 정반(42A)을 향해 가세되게 된다.Thereb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always holds the upstream side surface plate 42A with respect to the upstream side lifting frame 44A1 by the plurality of upstream side biasing members 44A5·44A5... through the upstream side movable frame 44A2. will be pushed towards

[009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고, 또한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게 된다.[0090]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plate 42A by the biasing force by the upstream side biasing member 44A5, and further, the downstream side biasing member 44B5 ),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43B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 42B.

즉,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항상 일정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에 각각 밀어붙여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보지할 수가 있다.That is, thes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s 43A and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s 43B are always pressed against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by a constant biasing force, respectively, and stably the protective sheet (S). can see

[0091]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 및 하류 측 하한위치(H03)를 향해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상류 측 정반(42A)과 상류 측 누름판(43A)의 사이, 혹은 하류 측 정반(42B)과 하류 측 누름판(43B)의 사이에 예기치 않은 이물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이들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 또는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가 간섭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 혹은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에 결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0091] Further, when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43B respectively move toward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and the down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3, for example,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 and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43A, or between the downstream side platen 42B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43B, when an unexpected foreign material exists, these upstream side biasing members 44A5 or downstream side biasing members The member 44B5 functions as an interference mean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fect or the like from occurring in thes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s 43A and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s 43B, or upstream side platens 42A and downstream side platens 42B. .

[0092]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누름판(43B)은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하류 측 판 조각(板片)(43b·43b…)이 상기 폭방향을 향해 일직선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0092] By the way, as shown in Fig. 2,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has a structure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a plurality of (for example, 5 in this embodiment) pieces of the downstream side plate. (板片) 43b·43b...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on a straight line toward the width direction.

또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에 관해서도, 예컨대 이들 하류 측 판 조각(板片)(43b·43b…)에 맞추어 3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각각 단독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downstream movable frame 44B2 is also composed of, for example, a configuration divided into three according to these downstream plate pieces 43b, 43b..., and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side lifting frame 44B1, each alone 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0093] 한편, 상류 측 누름판(43A)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을 향해 일직선 상에 배치된 복수(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상류 측 판 조각(板片)(43a·43a…; 도 1 참조)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이들 상류 측 판 조각(板片)(43a·43a…)에 맞추어 3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을 통해,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각각 단독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0093] On the other hand, the upstream side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similarly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and arranged on a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5 in this embodiment). Upstream movable frame 44A2 made of plate pieces 43a·43a...; see Fig. 1), for example, having a configuration divided into three according to these upstream side plate pieces 43a·43a... ),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upstream-side lifting frame 44A1,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dependently.

[009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척(長尺)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의 경우, 자신의 휨으로 인해 보호시트(S)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하기 어려우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이 각각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휨으로 인한 영향도 적어 보호시트(S)에 대해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0094]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and a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made of an integrally formed elongated member, an equally pressing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on sheet S due to its own bending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ppl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are each divided in a configuration, the influence due to such bending is small, and the protection sheet S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width direction. pressure can be applied.

[0095]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0095] (Operation procedure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에 관하여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o 5 .

[0096] 우선 맨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부(3)에 있어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이동 척(31A·31A)은, 하류 측 정반(42B)의 반송방향 하류 측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First of all, as shown in FIG. 1, in the lead-out part 3, the pair of movable chucks 31A and 31A in the first movable chuck device 31 are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plate 42B. It is in the state stopped at the 1st standby position P02 located in the vicinity on the downstream side of a conveyance direction.

또한, 제2 이동 척 장치(32)에서의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반송방향의 최상류 측에 위치하며, 제1 이동 척(31A·31A)과 이웃하는 제2 대기위치(P21)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Moreover, a pair of 2nd moving chuck 32A*32A in the 2nd moving chuck apparatus 32 is located in the most upstream side of a conveyance direction, and the 1st moving chuck 31A*31A and the 2nd air|standby adjacent to it. It is in a stopped state at the position P21.

[0097] 또한,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모두 개방상태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0097] In addition, the pair of the first movable chuck 31A·31A and the second movable chuck 32A·32A are both in an open state and in a stopped state.

또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서는, 승강부(31A2·31A2; 도 3의 (c) 참조)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상한위치까지 이동(승강)하여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31A1 is moved to the upper limit position by the lifting unit 31A2·31A2 (refer to Fig. 3C) (lifting). It is in a stopped state.

[0098] 나아가, 인출부(3)에 있어서, 고정 척 장치(33)에서의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개방상태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0098] Furthermore, in the lead-out part 3,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in the fixed chuck device 33 is in a stopped state in an open state.

[0099] 한편,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부(4)에 있어서,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과 근접하는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c), in the cut portion 4,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is stopped at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close to the upstream side plate (42A). is made of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방에 위치하는 소정의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wnstream-side pressing plate 43B is in a stopped state at a predetermined downstream-side upper limit position H04 located above the downstream-side platen 42B.

나아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장치(41)에서의 절단 날(41A)은, 폭방향의 일방 측(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서 대기한 상태로 되어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 41 A of cutting blades in the cutting device 41 are in a waiting state from one side (right side in a front view) of the width direction.

[0100] 그리고,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는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선단이 절단위치(L)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0100] And, the protective sheet (S) wound in a roll shape is in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conveying direction side) is located on the cutting position (L), the end of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carrying direction side) is, It is in the state pressed and held b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0101] 이러한 상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 있어서, 이미 절단된 매엽(枚葉)의 보호시트(S; 매엽시트(S1))가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반출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곧바로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0101] In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1 in this state, when the protection sheet (S; sheet sheet (S1)) of the sheet already cut is taken out from the protection sheet cutting device 1,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move directly toward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0102] 반송방향 상류 측으로 이동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그 후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볼 때 각 제1 이동 척(31A·31A)에서의 제1 끼움 지지부(31A1)의 선단부와,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겹치는 제1 끼움 지지 위치(P01)에 도달하여 정지한다.[0102]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moved to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reafter, as shown in FIG. 4(a), when viewed from above, each of the first moving chucks 31A·31A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 in , and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withdrawal direction side (conveying direction side) reaches the first clamping position P01 and stops.

[0103] 제1 끼움 지지 위치(P01)에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폐쇄 상태로 가동시켜,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다. 도 3의 (c)에서는, 제1 이동 척(31A1·31A1)이 상류 측 정반(42A)과 하류 측 정반(42B) 사이의 절단 날(41A)이 드나드는 개구부 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 내부와, 상류 측 누름판(43A)의 제3 홈부(43A2) 내부로 제1 이동 척(31A1·31A1)을 진입시킴으로써, 제1 이동 척(31A1·31A1)이 상류 측 정반(42A) 측에서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해도 된다.[0103] As shown in FIG. 3(c),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stopped at the first clamping position P01 close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31A1 in a closed state. and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i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clamped. In Fig. 3(c), the first movable chuck 31A1·31A1 is located on the opening through which the cutting blade 41A between the upstream platen 42A and the downstream platen 42B enters and exits, but in this form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by entering the first movable chuck 31A1·31A1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portion 42A2 of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and the inside of the third groove portion 43A2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the first movable chuck (31A1·31A1) may clamp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conveying direction side) from the upstream side platen 42A side.

[0104]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위치하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상기 보호시트(S)의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0104]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upstream pressure plate 43A is located at the upstream lower limit position H01, and the downstream pressure plate 43B is located at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H04. In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pressed by 43A, a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clamp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is composed of

[0105]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는, 항상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에서,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끼움 지지되게 된다.[0105]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on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always pressed and held by the upstream pressing plate 43A, the first movable chuck 31A·31A to be fitted and supported by

따라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가 있다.Accordingly, the end portion of the protective sheet S in the drawing-out direction can be reliably held by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0106]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상류 측 누름판(43A)은 곧바로 상방으로 이동(상승)하여,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정반(42A)의 상방에 위치하는 소정의 상류 측 상한위치(H02)에 도달해 정지한다.[0106] When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S is clamped by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the upstream pressing plate 43A moves directly upward (rising), and in FIG. 3 ( As shown in a), it reaches a predetermined upstream-side upper limit position H02 positioned above the upstream-side platen 42A and stops.

[0107]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승과 함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제1 중간 정지 위치(P03)에 도달하면 일단 정지한다.[0107] Further, with the rise of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mov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4(b),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first intermediate stop position (P03) is reached, it stops once.

이로써, 보호시트(S)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되게 된다.Accordingly, the protective sheet S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drawing-out direction side (conveying direction side) by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0108]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중간 정지 위치(P03)에서 정지하면, 상류 측 누름판(43A)은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강)하여,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도달해 정지한다.[0108] When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stop at the first intermediate stop position P03,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moves downward again (falls down), as shown in FIG. 3(b) As shown in , it reaches the upstream lower limit position (H01) and stops.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과 함께, 하류 측 누름판(43B)도 동시에 하강하여, 하류 측 정반(42B)과 근접하는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 도달해 정지한다.Further, together with the upstream pressure plate 43A, the downstream pressure plate 43B also descends at the same time to reach the downstream lower limit position H03 close to the downstream plate 42B and stop.

이로써, 보호시트(S)는 절단위치(L, 도 1 참조)에 대하여 반송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있어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각각 눌려 보지된 상태가 된다.Thereby, the protective sheet S is pressed and held by the upstream pressure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pressure plate 43B o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convey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L, see FIG. 1), respectively. becomes

[0109]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하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서 정지하면, 절단 날(41A)은 폭방향의 타방 측(정면에서 볼 때 좌측)을 향해 이동한다.[0109] When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stops at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stops at the down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3, the cutting blade 41A is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t moves toward the side (left when viewed from the front).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날(41A)은 보호시트(S)를 통과하여 폭방향의 타방 측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한다.And as shown in FIG.4(b), when 41A of cutting blades pass through the protective sheet S and reach|at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it will stop.

이로써, 보호시트(S)는 절단위치(L)에서 절단 날(41A)에 의해 폭방향으로 절단된다.Accordingly, the protective sheet (S) is cut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cutting blade (41A) at the cutting position (L).

[0110] 절단 날(41A)이 폭방향의 타방 측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를 폐쇄상태로 가동시켜, 절단된 매엽시트(S1)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다. 또한, 제2 이동 척(32A·32A)은, 상술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한 보호시트(S)의 보지와 대략 동시에 행해도 된다.[0110] When the cutting blade 41A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is, as shown in FIG. 4(c), the second clamping part ( 32A1·32A1) is operated in a closed state, and both ends of the cut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are clamped. In addition, you may perform 2nd moving chuck|zipper 32A*32A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with holding|maintenance of the protection sheet S by the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43A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43B which were mentioned above.

[0111]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하류 측 누름판(43B)은 상승하며,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 도달하여 정지한다.[0111] Whe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eet S1 are clamped by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rises, and the downstream side upper limit position (H04) reached and stopped.

한편,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도 3의 (c) 참조).On the other hand,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43A maintains a stopped state at the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1 (see Fig. 3(c)).

[0112]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의 상승과 함께,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함께 동조하면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0112] Further, with the rise of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43B,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and second moving chucks 32A·32A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Move.

[0113] 그리고,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소정의 제1 반송 정지 위치(P04)에 도달하고,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이 소정의 제2 반송 정지 위치(P22)에 도달하면,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다시 일단 정지한다.[0113] Then, as shown in Fig. 5(a),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reach the predetermined first conveyance stop position P04, and the pair of second movement chucks When the chuck 32A·32A reaches the predetermined second conveyance stop position P22,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 31A·31A and the second moving chuck 32A·32A stops once again.

이렇게 하여, 매엽시트(S1)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절단된 직후의 위치의 절단 섹션(S01, 도 4의 (b) 참조)으로부터,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의 반출 작업이 행해지는 반출 섹션(S02)으로 반송되게 된다.In this way, the sheet S1 is cut by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and the second moving chucks 32A·32A, the cutting section S01 at the position immediately after being cut, in Fig. 4(b). ) from), it is conveyed to the carrying out section S02 where the carrying out operation from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is performed.

[0114]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반송 정지 위치(P04)에서 정지하고,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이 제2 반송 정지 위치(P22)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제3 끼움 지지부(33A1·33A1)를 폐쇄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다.[0114] A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stops at the first conveying stop position P04, and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stops at the second conveying stop position P22. When stopped at ,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move the third clamping portions 33A1·33A1 in a closed state to clamp both ends of the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0115] 한 쌍의 고정 척(33A·33A)에 의해,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한다.[0115] When both ends of the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are clamped by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is formed with the first clamping portion ( 31A1·31A1) is operated in the open state, and the end of the single-wafer sheet S1 i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opened.

그 후,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다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이동 척(31A·31A)에서의 제1 끼움 지지부(31A1)의 선단부와, 매엽시트(S1)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선단이 이격된 상태가 되는 제1 퇴피 위치(P05)에 도달하여 정지한다.Thereafter,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moves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gain, and as shown in FIG. 5B , in each of the first moving chucks 31A·31A, The distal end of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 and the distal end of the sheet S1 in the withdrawal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reach the first retracted position P05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and stop.

[0116] 제1 퇴피 위치(P05)에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승강부(31A2·31A2; 도 3의 (a) 참조)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곧바로 하한위치까지 하강시킨다.[0116]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stopped at the first retracted position P05 is a first clamping portion ( 31A1·31A1) is immediately lowered to the lower limit position.

[0117] 그리고,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하한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매엽시트(S1)의 하방을 통과하여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0117] And, when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31A1 reaches the lower limit position and stops,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passes under the sheet S1 and up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move towards the side

그 후,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다시 제1 대기위치(P02)에 도달하여 정지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5C,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again reach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and stop.

[0118]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4)의 절단 날(41A)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가, 인출부(3)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인출방향(반송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즉, 반출 섹션(S02))까지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0118]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eet S1 cut by the cutting blade 41A of the cutting part 4 is a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installed in the lead-out part 3 ) and the second moving chucks 32A·32A, it is configured to be conveyed to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namely, discharging section S02)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withdrawing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그리고, 인출부(3)는, 절단된 매엽시트(S1)가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후, 상기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을 더 구비하며, 이들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이 매엽시트(S1)를 끼움 지지한 후,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절단된 매엽시트(S1)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며, 상기 매엽시트(S1)의 하방을 통과하여 절단부(4) 측(즉, 반송방향의 상류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n, the lead-out unit 3 includes a pair of fixed chucks 33A·33A for clamping both ends of the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the cut sheet S1 reaches the discharging section S02. ), and after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clamp the sheet S1,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are cut sheet sheet (S1) I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 portion on the drawing-out direction (conveying direction) side is opened, and it slide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sheet S1 to the cut portion 4 side (ie,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0119]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절단된 매엽시트(S1)가 반출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상기 매엽시트(S1)가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시점에서, 곧바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을 제1 대기위치(P02)까지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0119] By having this configuration, without waiting for the cut sheet S1 to be taken out from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at the point when the sheet S1 reaches the discharging section S02, immediately Since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can be returned to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the time required for a series of operation procedures in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improvement can be achieved.

[0120]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승강부(31A2·31A2)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곧바로 상한위치까지 상승시킨다.[0120] The pair of first movable chucks 31A·31A stopped at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directly move the first clamping portion 31A1·31A1 to the upper limit position by the elevating portion 31A2·31A2. rise to

[0121] 한편,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개방한다.[0121]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first moving chucks 31A·31A stops at the first standby position P02, the pair of second moving chucks 32A·32A, the second clamping part 32A1· 32A1) is moved in an open state to open both ends of the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제3 끼움 지지부(33A1·33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개방한다.Moreover, at the same time, the pair of fixed chucks 33A·33A moves the third clamping portions 33A1·33A1 in an open state to open both ends of the sheet S1 in the width direction.

[0122]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적재(積載)장치에 의해, 매엽시트(S1)가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반출되면, 제2 이동 척(32A)은 곧바로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제2 대기위치(P21)에 도달해 정지한다.[0122] And, when the sheet S1 is taken out from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by a loading device (not shown), the second moving chuck 32A moves straight up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us, as shown in FIG. 1, it again reaches the second standby position P21 and stops.

이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는 일단 종료되게 되며, 새롭게 매엽시트(S1)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다시 상술한 동작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1 is once ended, and when the sheet S1 is newly manufactured, the above operation procedure is repeated again.

1 보호시트 절단장치
3 인출부
4 절단부
31A 제1 이동 척(제1 척)
31B 제1 슬라이드 기구(슬라이드 기구)
33A 고정 척(제2 척)
41A 절단 날
42 정반(定盤)
42A 상류 측 정반
42A1 상면
42A2 제2 홈부
42B 하류 측 정반
42B1 상면
42B2 제1 홈부
43A 상류 측 누름판
43A1 하면
43A2 제3 홈부
43B 하류 측 누름판
43B1 하면
43B2 제4 홈부
44A5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제2 바이어스 부재)
44B5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제1 바이어스 부재)
100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
G 유리기판
H01 상류 측 하한위치
H02 상류 측 상한위치
H03 하류 측 하한위치
H04 하류 측 상한위치
L 절단위치
S 보호시트
S1 매엽시트
S02 반출 섹션
1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3 draw-out
4 cut
31A first moving chuck (first chuck)
31B 1st slide mechanism (slide mechanism)
33A Fixed Chuck (2nd Chuck)
41A cutting blade
42
42A Upstream Surface Plate
42A1 top view
42A2 second groove
42B downstream platen
42B1 top view
42B2 first groove
43A Upstream side pressure plate
If 43A1
43A2 3rd groove
43B Downstream side pressure plate
If 43B1
43B2 4th groove
44A5 Upstream bias member (second bias member)
44B5 downstream bias member (first bias member)
100 Glass substrate laminated package
G glass substrate
H01 Upstream side lower limit position
H02 Upstream side upper limit position
H03 downstream low limit position
H04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L cutting position
S protection sheet
S1 sheet sheet
S02 export section

Claims (11)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상기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척(chuck)과,
상기 제1 척을 인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날과,
상기 절단 날에 의한 상기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상기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保持)하는 상류 측 정반(定盤) 및 하류 측 정반을 갖는 정반을 가지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A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i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withdrawing the strip-shaped protective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aw-out part for drawing out the protective sheet;
and a cutting part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drawn out by the lead-out part;
The withdrawal unit,
A first chuck for clamping an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a slide mechanism for slidingly moving the first chuck in a drawing direction;
The cut part,
A cutting blade for cutting the protective sheet,
With respect to the cutting position of the protective sheet by the cutting blade,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in the pull-out direction, the surface plate having an upstream side surface plate and a downstream side surface plate for ho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ection sheet, respectively has,
A first groov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n.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ut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platen, a second groov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is formed.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상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下限)위치 및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이격(離隔)되는 상류 측 상한(上限)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류 측 누름판과,
상기 하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 및 상기 하류 측 정반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하류 측 누름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ut part,
An upstream-side pressure plate disposed directly above the upstream-side platen and capable of moving between an upstream-side lower limi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upstream-side platen and an upstream-side upper limit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stream-side platen. class,
It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downstream platen and further includes a downstream pressing plate capable of moving between a lower limit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in contact with the downstream platen and an upper limit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platen.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3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ut pa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stream pressure plate,
a third groov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while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platen is formed;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4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In the cut pa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ressing plate,
a fourth groove extending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first chuck can enter while in contact with the downstream platen is formed;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이 상기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이 상기 하류 측 상한위치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척은 상기 보호시트의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In a state in which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located at the upstream lower limit position,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is located at the downstream upper limit position,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s pressed by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The first chuck is configured to clamp and support the end of the protective sheet.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을 상기 하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付勢, bias)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을 상기 상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The cut part,
a first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downstream-side pressing plate toward the downstream-side platen;
and a second biasing member for biasing the upstream-side pressing plate toward the upstream-side platen.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 및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은,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The upstream side pressing plate and the downstream side pressing plate,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sheet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상기 하류 측 정반으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은,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surface plate is composed of separate members as the upstream surface plate and the downstream surface plate,
The upper surface of the downstream platen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upstream platen.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인출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인출부는,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가 상기 정지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척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 척이 상기 보호시트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제1 척은,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며,
당해 보호시트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절단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protective sheet cut by the cutting unit is conveyed by the withdrawing unit to a predetermined stop position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withdrawing direction,
The withdrawal unit,
After the cut protective sheet reaches the stop position,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huck for clamping both ends of the protectiv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After the second chuck clamps and supports the protective sheet,
The first chuck is
Open the cut-out end of the protective sheet,
It slid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sheet and moves toward the cut part.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와, 유리기판을 번갈아 적재(積載)하여 곤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의 제조방법.
A protective sheet cut by the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glass substrate are alternately stacked and pack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lass substrate laminated packag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17027048A 2019-04-18 2020-03-30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KR2021015359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9618 2019-04-18
JP2019079618 2019-04-18
PCT/JP2020/014536 WO2020213377A1 (en) 2019-04-18 2020-03-30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pac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597A true KR20210153597A (en) 2021-12-17

Family

ID=7283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048A KR20210153597A (en) 2019-04-18 2020-03-30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28180B2 (en)
KR (1) KR20210153597A (en)
CN (1) CN113474136B (en)
TW (1) TW202104108A (en)
WO (1) WO2020213377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022A (en) 2008-10-07 2010-04-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glass substrate packag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5508B (en) * 1972-04-10 1977-08-15 Brev Etudes S I B A Sa Soc Ind CARBURETOR
CH645294A5 (en) * 1980-03-21 1984-09-28 Grapha Holding Ag BOOK BLOCK CUTTER.
JPS5948391A (en) * 1982-09-09 1984-03-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Drive for hydraulic winch
JPH0719736Y2 (en) * 1991-05-13 1995-05-10 山橋工業株式会社 Web cutting equipment
JPH0826513B2 (en) * 1993-04-19 1996-03-13 株式会社バルダン Towel cloth cutting equipment
JP2807216B2 (en) 1996-10-24 1998-10-08 大蔵省印刷局長 Method of forming stacking block from strip printing paper
JP4796673B2 (en) 2005-06-14 2011-10-19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Long film substrate cutting device
NL1033452C2 (en) 2007-02-26 2008-08-27 Vmi Epe Holland Cutting device.
DE102009037506B4 (en) 2009-08-17 2011-09-15 Karl Eugen Fischer Gmbh Cutting device for cutting a thin and sticky strip, in particular a cord band
CN104144345B (en) 2013-09-18 2016-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Carry out real time imaging at mobile terminal and know method for distinguishing and this mobile terminal
JP6427952B2 (en) 2014-05-23 2018-11-28 株式会社Ihi Transport device
JP6303811B2 (en) * 2014-05-23 2018-04-04 株式会社Ihi Transport device
CN109335790A (en) * 2018-10-17 2019-02-15 安徽柏昂新材料有限公司 A kind of non-woven fabrics rotation traction Sciss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022A (en) 2008-10-07 2010-04-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substrate packaging apparatus and glass substrate packag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213377A1 (en) 2020-10-22
WO2020213377A1 (en) 2020-10-22
CN113474136B (en) 2024-04-26
CN113474136A (en) 2021-10-01
TW202104108A (en) 2021-02-01
JP7428180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27B1 (en) Glass substrate packaging system, protecting-sheet loading device, protecting-sheet feeding device, and glass substrate packaging method
CN110087999B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plate manufacturing device
KR101686065B1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a thin and sticky tape, in particular a cord strip
TWI610874B (en) Sheet material supplying apparatus
JP5146903B2 (en) Glass substrate packing equipment
KR101419991B1 (en) Waste ejection unit with easy tool adjustment in a machine for producing packaging
KR101219288B1 (en) Cutting device for material
EP4108608A2 (en) Withdrawal system for withdrawing items from packaging box
KR102156351B1 (en) System for Aligning Items taken from Packaging Box
CZ298650B6 (en) Feeding device
KR20210153597A (en) Protective sheet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substrate package
JP2006256769A (en) Slip sheet supply device for plate glass products
KR101633211B1 (en) Module for supplying a strip to be stamped
WO20210705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JP4012899B2 (en) Laminate core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6326813A (en) Automatically assembling device for thin-wall component laminate, and packing type structure equipped with thin-wall component
CA27803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stacks of bags
JP2012214297A (en) Laminate forming device
KR101736495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rotective cover to the coil
JPH10181884A (en) Article stack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JP5071627B2 (en) Protective sheet loading device
JP5086715B2 (en) Goods packaging equipment
US11203484B2 (en) Flat-packing machine for innerspring units
JP3478956B2 (en) Carton sheet separation equipment
JP2622470B2 (en) Core alignment body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