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064A -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064A
KR20210153064A KR1020217033929A KR20217033929A KR20210153064A KR 20210153064 A KR20210153064 A KR 20210153064A KR 1020217033929 A KR1020217033929 A KR 1020217033929A KR 20217033929 A KR20217033929 A KR 20217033929A KR 20210153064 A KR20210153064 A KR 2021015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ole
display
display device
shie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조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쇼조 히라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조 히라야마 filed Critical 쇼조 히라야마
Publication of KR2021015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based on magnetophoret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 G02F1/09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magneto-optical elements, e.g. exhibiting Faraday effect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의 점묘를 행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있어서, 양면 착자된 착자 시트(11a)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판부(11)에 다수의 구멍부(16)가 형성되고, 자성체 볼을 포함하는 차광체(14)에 의해 구멍부가 개방·폐색되어, 투광 상태와 차광 상태가 위치를 절환 가능하게 되고, 차광체가 차광 상태로 이동할 때에, 양면 착자로 된 디스플레이 판부에 있어서 구멍부의 중심 지향성을 나타냄으로써, 표시를 확실하게 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하여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9년 3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9-055028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자는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 또는 유아용 그림 그리기 도구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허문헌 1로서 이미 출원하고 있다.
이 문헌에는 판부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마련하고, 판부 이면(裏面) 측에 광원을 마련함과 함께, 각 작은 구멍에 차광체를 마련하고, 이 차광체를 이동시켜 광 점묘를 행하는 것이 복수 종류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판형상의 자석에 뚫린 구멍부를, 구멍부보다 직경 치수가 큰 볼로 차폐 가능한 구성이 극히 발전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특허 제323624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구성에서는 다수 마련된 구멍부의 차폐 시, 또는 구멍부의 개방 시에서의 표시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구멍부를 차폐한 차광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당해 구멍부에 대하여 차광체인 볼이 구멍부의 중앙 위치(중심 위치)에 규정된 깊이로서 감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전면(前面)에서 보아서, 구멍부의 중심과 차광체의 중심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차광 상태에서 이 차광체가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확고하게 끼워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차광 상태에 있는 차광체에 표면 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또는 압압함으로써 차광체를 구멍부로부터 빼는데, 잘 빠지지 않아 깔끔한 표시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1. 개개의 구멍부에 대한 차광 상태의 정밀도를 향상 가능하게 하는 것.
2. 개개의 구멍부에서의 표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3.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
4. 시야각의 확대 등, 시인성 및 시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
본 발명자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 차광 성능을 향상시키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그 때문에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차광체(볼)가 위치하지 않았던 경우의 원인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구멍부가 형성된 판형상의 자석, 즉 플라스틱 마그넷 시트에서의 착자(着磁)의 형식(착자법)에 의해, 개선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함에 있어, 조작 성능을 향상시키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그 때문에 구멍부의 개구에 대한 차광체(볼)의 위치 및 구멍부에 대한 차광체(볼)의 끌어당김 상태의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그 결과, 차광체(볼)의 직경 치수와, 구멍부의 개구 직경 치수와, 판형상의 자석, 즉 플라스틱 마그넷 시트의 두께 치수와, 표시 상태에서의 판형상의 자석과 차광체(볼)와의 거리 치수를 포함하는, 이들의 관계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술한 치수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시인성의 향상 및 시각성의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또한, 시판하는 시트상의 마그넷에서 착자의 형식은 거의 편면 2극 착자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 판부에 마련한 구멍부의 피치와, 편면 2극 착자된 극간 피치와의 설정이 일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동시에 착자 시트의 극 위치와 구멍부의 형성 위치도 일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광 상태에서 차광체(볼)가 구멍부와 일치하지 않는, 즉 구멍부가 완전히 폐색되지 않기 때문에, 광이 완전히 차폐되지 않아, 표시가 불완전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 조건을 충족시키고자 한 경우, 시트 가공상의 조건이 번잡해지고, 가공 공정 수가 증가하고, 또한 가공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前面) 측에 다수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입설(立設)된 디스플레이 판부와,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차광체를 마련하고, 상기 차광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후면 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측으로의 광의 투과와 차광을 가능하게 하여, 광의 점묘를 행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가 착자된 착자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차광체가 구형상의 자성체 볼로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상기 후면 측에는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광체가 내부를 전동(轉動)하는 통부를 포함하는 투광성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차광체가, 상기 투광성 홀더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투광 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구멍부에 감입된 차광 상태 사이에서 위치를 절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차광체가 상기 차광 상태로 이동할 때에, 양면 착자로 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구멍부의 중심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광 상태에서,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차광체의 직경의 4분의 1로부터 직경의 3분의 1까지의 범위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구멍부의 개구 직경 치수의 비가 0.86~0.95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가 0.05mm~0.3mm의 범위로 설정되는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투광성 홀더의 상기 통부의 길이 치수의 비가 2.5~3.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에 대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의 비가 6~1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 측에 다수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입설된 디스플레이 판부와,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차광체를 마련하고, 상기 차광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후면 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측으로의 광의 투과와 차광을 가능하게 하여, 광의 점묘를 행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가 착자된 착자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차광체가 구형상의 자성체 볼로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상기 후면 측에는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광체가 내부를 전동하는 통부를 포함하는 투광성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차광체가 상기 투광성 홀더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투광 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상기 구멍부에 감입된 차광 상태와의 사이에서 위치를 절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차광체가 상기 차광 상태로 이동할 때에, 양면 착자로 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구멍부의 중심 지향성을 나타낸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양면 착자로 됨으로써, 착자된 디스플레이 판부에 의해 구멍부 부근에서 형성되는 자력은 구멍부의 중심 위치를 향하여 차광체를 흡인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구멍부 부근에서의 자력선이 구멍부의 중심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판부의 법선이 되는 축선에 대하여, 축 대칭인 형상이며, 또한 디스플레이 판부의 면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체가 투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 절환될 때에, 중심 지향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깔끔하게 감입될 수 있다.
또한 차광 상태에서 차광체가 중심 지향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감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차광체가 구멍부의 중심 위치에 감입된 상태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고, 다수 마련된 모든 구멍부에서 어느 것이나 광의 차폐를 확실하게 행하여,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광 상태에서,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차광체의 직경의 4분의 1로부터 직경의 3분의 1까지의 범위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차광 상태에서 구멍부로부터 돌출하는 구형상의 차광체에 맞닿는 것만으로 구멍부로부터 차광체가 빠지고 투광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투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 할 때에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만으로 구형상 자성체로 되는 차광체가, 구멍부에 감입된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표시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차광체의 직경의 4분의 1로부터 직경의 3분의 1까지의 범위에서 돌출하는 상태란,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와 접함으로써 형성되는 원의 중심 위치로부터, 구면으로 되는 상기 차광체의 외표면이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개소까지의 거리가, 상기 차광체의 직경의 4분의 1로부터 직경의 3분의 1까지의 범위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차광체의 반경의 절반 정도 돌출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구멍부의 개구 직경 치수의 비가 0.86~0.95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로써 차광 상태에서 차광체가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차광체의 반경의 절반 돌출하는 상태로 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차광 상태에서, 구멍부로부터 돌출하는 구형상의 차광체에 맞닿는 것만으로 구멍부로부터 차광체가 빠지고 투광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투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 할 때에,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만으로 구형상 자성체로 되는 차광체가 구멍부에 감입된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표시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가 0.05mm~0.3mm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로써, 착자 시트에서 차광체를 구멍부 부근에서 감입하여 차광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자력을 가질 수 있다. 동시에, 착자 시트에서, 차광 상태의 차광체에 맞닿아 구멍부로부터 빼어내어 투광 상태로 할 때에 불필요하게 큰 자력을 갖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투광 상태와 차광 상태의 절환을 스무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자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후면 측으로부터 구멍부를 통과하여 표시되는 표시광이 착자 시트의 두께에 의해 시인할 수 없게 되는 범위를 삭감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판부의 표시에 대한 시야각을 넓히고,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시인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판부의 정면으로부터의 표시에 대한 시인 상태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투광성 홀더의 상기 통부의 길이 치수의 비가 2.5~3.0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로써 투광성 홀더의 통부에서의 전면 측이 되는 일단 측에서 디스플레이 판부에 차광체가 감입된 차광 상태와, 투광성 홀더의 통부에서의 후면 측이 되는 타단 측에 차광체가 위치하는 투광 상태를 절환하여,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를 명료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광성 홀더의 통부에서의 타단 측에 차광체가 위치하는 투광 상태에서, 후면 측으로부터 입사된 디스플레이 광을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판부의 전면 측으로 도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투광 상태에서 그림자가 되는 차광체를 이른바 화이트 아웃 상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판부의 전면 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정도를 낮게 하고,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를 명료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에 대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의 비가 6~10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로써 착자 시트와 차광체와의 관계가 차광체를 구멍부에 감입하여 차광 상태로 함과 함께, 차광 상태의 차광체를 구멍부로부터 빼내어 투광 상태로 양호하게 절환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 상태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상태와 차광 상태의 절환을 스무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착자 시트와 차광체와의 관계가, 디스플레이 판부에서의 표시의 시야각을 넓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투광성 홀더에는, 상기 후면 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와 평행하게 대향하여 상기 통부를 폐색하는 도광판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로써 후면 측으로부터의 광을 투광성 홀더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면 측으로 도광하고,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全面)에서 균일한 표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후면 측에 광원, 즉 백라이트를 설치한 경우에, 그 디스플레이 광을 감쇠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전면 측으로 도광함으로써, 백라이트의 소형화, 필요한 구동 전력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부에 의해 투광성 홀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판부의 변형 방지를 도모함으로써, 차광체가 구멍부에 감입되지 않은 상태를 방지하고, 표시의 확실성 및 조작의 확실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투광성 홀더의 강도 증강에 의해,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투광성 홀더의 상기 도광판부의 두께 치수의 비가 1.7~1.8의 범위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로써 충분한 도광 효과를 나타내고 그림자가 되는 차광체를 이른바 화이트 아웃 상태로 하여 디스플레이 판부의 전면 측으로부터 시인되는 정도를 낮게 하고,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를 명료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착자 시트의 전면 측에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커버 판부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로써 차광체와 착자 시트와의 자기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판부에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광체를 표시 상태로 절환할 때에, 디스플레이 판부의 전면 측에 묘화 수단이 맞닿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판부의 전면 측에서 착자 시트에 흠집이 생기는 것이나 구멍부가 변형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차광체를 확실하게 구멍부의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차광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투광 상태로의 절환을 스무드하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표시의 명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야각을 확대함과 함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을 가능한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디스플레이 판부와 차광체와 투광성 홀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각 치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투광성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착자 시트가 형성하는 자계와 차광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착자 시트가 형성하는 자계와 차광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착자 시트가 형성하는 자계와 차광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차광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차광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백라이트가 없는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투광성 홀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투광성 홀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판부와 차광체와 투광성 홀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에서, 부호 10은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 표시 보드가 되는 직사각형 윤곽의 디스플레이 판부(11)와,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부(11A)를 포함하는 판상으로 된다.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판부(11)가 위로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져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프레임부(11A)는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판부(11)의 후면 측에 배치된 투광성 홀더(12)와, 투광성 홀더(12)에 형성된 통부(13)의 내부에 수납된 차광체(14)와, 백라이트(15)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판부와 차광체와 투광성 홀더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판부(11)에는 다수의 구멍부(16)가 형성된다. 투광성 홀더(12)에는 다수의 통부(13)가 형성된다. 통부(13)에는 차광체(14)가 수납된다. 차광체(14)는 구형상의 자성체 볼로 된다.
디스플레이 판부(11)는, 통부(13) 측의 착자 시트(11a)와 전면 측의 커버 판부(11b)가 적층되어 있다.
커버 판부(11b)는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 측을 보호한다. 커버 판부(11b)는 자성체로 되고, 예컨대 스테인리스강(SUS430), SPCC(냉간 압연 강판)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착자 시트(11a)는 차광체(14)를 흡인하여 구멍부(16)에 감입하는 것이 가능한 자력을 갖는 것으로 된다.
착자 시트(11a)는 양면 착자로 된다. 즉, 착자 시트(11a)의 전면이 N극인 경우에는 착자 시트(11a)의 후면이 S극으로 된다. 또는 착자 시트(11a)의 전면이 S극 인 경우에는 착자 시트(11a)의 후면이 N극으로 된다.
착자 시트(11a)는 수지 본드 자석 시트, 즉 플라스틱 착자 시트 또는 고무 착자 시트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제조에서는, 먼저, 착자 시트(11a)와 커버 판부(11b)를 첩합시킨다. 그 후, 다수의 구멍부(16)를 펀칭 등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착자 시트(11a)를 소정의 상태가 되도록 착자한다.
구멍부(16)는 디스플레이 판부(11)를 관통한다. 구멍부(16)의 개구 윤곽은 원형으로 되고, 구형상으로 되는 차광체(14)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성 홀더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투광성 홀더(12)에는 다수의 통부(13)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투광성 홀더(12)는 통부(13)를 형성하는 측벽부(12a)와 후면 측의 도광판부(12b)를 포함한다. 측벽부(12a)와 도광판부(12b)는 일체로서 형성된다.
도광판부(12b)는 디스플레이 판부(11)와 평행하게 대향하는 판형상으로 된다. 도광판부(12b)는 통부(13)의 바닥면이 되어 통부(13)를 폐색한다.
측벽부(12a)는 도광판부(12b)로부터 디스플레이 판부(11)를 향하여 입설된다.
측벽부(12a)는 통부(13)가 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측벽부(12a)는 디스플레이 판부(11)의 표시면이 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측벽부(12a)는 인접하는 통부(13)를 분리하도록 연속한 상태로 형성된다.
통부(13)의 개구는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각각 구멍부(16)와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의 통부(13)의 축선이 구멍부(16)의 개구 중심과 일치하도록 투광성 홀더(12)와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위치가 설정된다.
통부(13)는 원통 형상의 통부(13)의 축선이 디스플레이 판부(11)의 법선 방향과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다수의 통부(13)는 어느 것이나 원통 형상의 통부(13)의 축선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통부(13)는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과 평행한 단면 윤곽이 원형으로 되고, 구형상으로 되는 차광체(14)보다 큰 직경 치수를 갖도록 설정된다. 통부(13)의 단면 형상은 통부(13)의 내부에서 착자 시트(11a)에 맞닿는 개구 측과 도광판부(12b) 측과의 사이에서 차광체(14)가 전동(轉動)하여 이동 가능하면,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부(13)는 착자 시트(11a)에 맞닿는 개구 측으로부터 도광판부(12b) 측까지 동등한 단면 형상으로 된다. 통부(13)의 단면 형상은, 통부(13)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차광체(14)가, 도광판부(12b) 측에 머무름으로써, 후술하는 투광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투광성 홀더(12)는 투명한 수지제로 되고, 예컨대 ABS 수지제로 된다. 투광성 홀더(12)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차광체(14)는 예컨대 철구(鐵球), 구체적으로는 카본강구 등으로 할 수 있다.
백라이트(15)는 LED, 냉음극관 등 디스플레이 광을 조사 가능한 광원으로 되고, 디스플레이 판부(11)의 표시면이 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백라이트(15)는 디스플레이 판부(11)에 형성된 모든 구멍부(16)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광을 투과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15)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접속되어 발광 가능하다.
도 5~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착자 시트가 형성하는 자계와 차광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개시 상태로서는, 모든 차광체(14)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판부(11)에서의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고, 구멍부(16)에 감입된 차광 상태로 된다.
그리고 특정의 차광체(14)가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 측으로부터 압압되고, 착자 시트(11a)의 자력으로부터 개방됨으로써, 구멍부(16)로부터 이간하고, 통부(13) 내부를 전동하여 도광판부(12b) 측으로 이동한다. 통부(13)의 도광판부(12b) 측에 위치한 차광체(14)는 도광판부(12b)로 유도된 백라이트(15)(도 3 참조)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광에 의해 이른바 화이트 아웃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차광체(14)의 그림자가 구멍부(16)의 전면 측으로부터 거의 시인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투광 상태로 절환된다.
디스플레이 판부(11)를 전면(前面) 측으로부터 보면, 차광체(14)가 어긋난 구멍부(16)는 백라이트(15)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광이 투과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차광체(14)가 압압되지 않고 차광체(14)가 감입된 채의 구멍부(16)에서는 백라이트(15)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광은 차폐된다. 따라서, 투광 상태에 있는 구멍부(16)의 배치에 의하여 소정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착자 시트(11a)가 양면 착자되어 있기 때문에,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력선이 착자 시트(11a)의 전면과 후면과의 사이에서, 구멍부(16)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착자 시트(11a)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선은 구멍부(16)의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착자 시트(11a)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선은 구멍부(16)의 축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착자 시트(11a)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선은 구형상의 차광체(14)에 대하여 구멍부(16)의 중심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이로 인해, 통부(13)에 있는 차광체(14)는 투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 절환할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6)의 축선을 따라 흡인된다. 따라서, 차광체(1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6)의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로는 이동하지 않고 중심을 향하여 이동한다. 차광체(1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6)의 중심 위치에 용이하게 감입된다.
이 결과,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에서 착자 시트(11a)에 흡착된 어중간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모든 구멍부(16)에서 완전한 차광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광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차광 상태의 차광체(14)를 투광 상태로 절환하여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러시(묘화 수단)(21)에 의해, 해당 개소의 구멍부(16)에 끼여있는 차광체(14)를 압압한다. 이로써 착자 시트(11a)의 자력으로부터 개방되어 구멍부(16)로부터 이간하여, 투광 상태로 절환된다.
또한 투광 상태로의 절환은 브러시(묘화 수단)(2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붓, 손가락, 또는 머리부가 유연한 봉상 부재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광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투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 절환하여 표시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도광판부(12b) 측에 위치한 차광체(14)를 착자 시트(11a)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광 상태의 통부(13)에서 도광판부(12b) 측에 위치한 차광체(14)를, 지우개(소거 수단)(22)에 의해 착자 시트(11a) 측으로 흡인하여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지우개(소거 수단)(22)는 커버 판부(11b)에 대향시키는 측의 면이 착자 시트(11a)에서의 전측면과 상이한 자극이 되도록 형성된 자석으로 된다.
이로써 차광체(14)가 통부(13)의 내부를 착자 시트(11a)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멍부(16)에 감입한다. 이로써 차광 상태로 절환되고, 표시가 소거된다.
또한, 도 9에서 N은 자석의 N극, S는 S극을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착자 시트(11a)의 전면 측이 S극으로 되고, 지우개(소거 수단)(22)의 대향면이 N극으로 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각각의 자극이 반대가 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全面)에서 표시를 소거하는 경우에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 그 자체를 상단(上端)의 프레임부(11A)가 앞쪽이 되도록 경사지게 하고, 투광 상태에 있는 차광체(14)를 한 번에 착자 시트(11a)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멍부(16)에 감입한다.
또한 지우개(소거 수단)(22)로서 디스플레이 판부(11)의 폭 방향 전체 길이와 동등하거나 약간 큰 치수를 갖는 것을 형성하고, 이 지우개(소거 수단)(22)를 디스플레이 판부(11)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판부(11)의 전면(全面)에서 표시를 일괄적으로 소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의 각 부의 치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부호는 다음의 각각의 치수를 나타낸다.
T11a는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
T11b는 커버 판부(11b)의 두께 치수
T12b는 도광판부(12b)의 두께 치수
T12a는 측벽부(12a)의 높이 치수 즉 통부(13)의 길이 치수(깊이 치수)
T13은 통부(13)의 직경 치수
T14는 차광체(14)의 직경
T1416은 차광 상태에서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치수
T16은 구멍부(16)의 개구 직경 치수
T16p는 구멍부(16)의 피치 치수(인접하는 구멍부(16)의 중심 간 거리)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치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에 대한, 차광 상태에서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치수(T1416)의 비 T1416/T14가 0.2~0.3의 범위로 된다. 즉, 차광체(14)가 구멍부(16)의 개구로부터 차광체(14)의 반경 T14/2의 절반으로부터 2분의 3의 범위가 되는 길이만큼 돌출하는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 T1416/T14가 이 범위보다 크면 차광체(14)를 압압할 때에 구멍부(16)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 조작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 T1416/T14가 이 범위보다 작으면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차광체(14)가 확실하게 흡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어, 완전한 차광 상태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에 대한 구멍부(16)의 개구 직경 치수(T16)의 비 T16/T14가 0.86~0.95의 범위로 된다.
비 T16/T14가 이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비 T1416/T14의 값이 상술한 범위로부터 벗어나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가 0.02mm~0.3mm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mm~0.1mm의 범위로 된다.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투광 상태에서 구멍부(16)를 투과하여 오는 광량이 감쇠함과 함께, 표시의 시야각이 좁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차광체(14)를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커버 판부(11b)의 두께 치수(T11b)가 0.01mm~0.1mm의 범위로 된다.
커버 판부(11b)의 두께 치수(T11b)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투광 상태에서 구멍부(16)를 투과하여 오는 광량이 감쇠함과 함께, 표시의 시야각이 좁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커버 판부(11b)의 두께 치수(T11b)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착자 시트(11a)와 커버 판부(11b)를 첩착할 때의 핸들링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에 대한 투광성 홀더(12)에서의 통부(13)의 길이 치수(T12a)의 비 T12a/T14가 2.5~3.0의 범위로 된다.
비 T12a/T14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투광 상태에서 통부(13)의 도광판부(12b) 측에 위치하는 차광체(14)를 구멍부(16)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 T12a/T14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투광 상태에서 통부(13)의 도광판부(12b) 측에 위치하는 차광체(14)의 그림자가 구멍부(16)의 전면 측으로부터 시인되어 버린다. 즉, 충분한 화이트 아웃이 아니게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표시 상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에 대한 도광판부(12b)의 두께 치수(T12b)의 비 T12b/T14가 0.7~2.8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1.8의 범위로 된다.
비 T12b/T14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투광성 홀더(12)를 형성하는 수지량이 과도하게 증가함과 함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두께 치수가 불필요하게 증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 T12b/T14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투광성 홀더(12)의 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에 대한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의 비 T14/T11a가 5~5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10의 범위로 된다.
비 T14/T11a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차광체(14)가 확실하게 흡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 T14/T11a가 이 범위보다 작으면 차광체(14)를 압압할 때에 구멍부(16)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고 조작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멍부(16)의 개구 직경 치수(T16)에 대한 구멍부(16)의 피치 치수(T16p)의 비 T16p/T16이 1.7~1.8의 범위로 된다.
비 T16p/T16이 이 범위보다 커지면 표시의 도트가 과도하게 성글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 T16p/T16이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구멍부(16) 주위의 착자 시트(11a)의 면적이 과도하게 작아져, 착자 시트(11a)의 자력에 의해 차광체(14)가 확실하게 흡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착자 시트(11a)는 착자의 상태로서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도 있다. 착자 시트(11a)의 자력으로서는 구멍부(16)에 차광체(14)를 감입하는 동작이 확실하게 행하여지기 위해 충분하고, 또한, 접촉된 차광체(14)가 구멍부(16)로부터 용이하게 이탈 동작이 가능한 크기로 된다. 또한, 이들은 주로 차광체(14)의 질량 등에 의해 변동하지만, 개 구멍부(16) 주변의 자력이 15가우스로부터 25가우스의 범위로 될 수도 있다.
착자 시트(11a)에 착자된 자력이 이 범위보다 커지면 차광체(14)를 투광 상태로 할 때에 차광체(14)를 이간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압력이 과도하게 커져, 차광체(14)가 이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차광체(14)를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는 상술한 범위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자 시트(11a)의 착자의 크기와, 차광체(14)의 직경 치수(T14)로서도, 상기의 동작 조건을 충족시켜 설정할 수도 있다.
착자 시트(11a)에 착자된 자력과 치수와의 관계가, 이 범위보다 커지면, 차광체(14)를 투광 상태로 할 때에, 차광체(14)를 이간하기 위해 필요한 압압력이 과도하게 커져, 차광체(14)가 이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착자 시트(11a)의 두께 치수(T11a)가 이 범위보다 작아지면, 차광체(14)를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각 부의 치수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하는 것에 의해, 표시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고, 조작성을 향상시키여, 제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나 액정 등의 발광체에 의한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미리 입력한 내용밖에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소하고, 자유 자재로 기입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형상의 차광체(14)에 의해 구멍부(16)를 개폐하는 광 점묘식이기 때문에 실내의 밝기에 좌우되지 않고 어느 각도로부터도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다.
보는 각도에 따라 생기는 판면의 반사에 의한 보기 어려움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또한 액정 등에 비하여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백묵이나 화이트 보드용 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분진 등의 발생 및 손가락의 불쾌함을 없앨 수 있다.
화이트 보드용 펜 등 속건성 잉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용제의 악취가 없고 위생적이며, 또한 용이하게 기입 및 소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라이트(15)를 갖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 측은, 예컨대 태양광이 조사된 상태 등 밝은 상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홀더(12)에 원통 형상의 오목부로서의 통부(13)를 형성하였지만, 다른 단면 형상의 통부(13)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의 오목부로서의 통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측벽부(12a)로서 연속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도광판부(12b)와는 별체로서 형성한 격자 형상으로 조합된 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부(12b)로부터, 입설된 다수의 봉상부(12c)에 의해 통부(13)가 형성되고, 이 내부에서 차광체(14)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상부(12c)는, 서로 이간하여, 서로 평행 상태로서 입설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봉상부(12c)를 도광판부(12b)와는 별체로서 형성하고, 봉상부(12c)를 도광판부(12b)에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통부(13)를 디스플레이 판부(11)의 법선과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판부(11)가 위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사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13)의 축선이 디스플레이 판부(11)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판부(11)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아래를 향하여 경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서 다수의 통부(13)에서 어느 것이나 원통 형상의 통부(13)의 축선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이면, 디스플레이 판부(11)를 연직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부(13)의 축선과 디스플레이 판부(11)의 법선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및 구멍부(16)에 대한 차광체(14)의 폐색 개방 동작이 가능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 칠판이나 화이트 보드의 대체 사용품, 태블릿 단말의 대체 사용품, 어린이 완구, 옥외 사용의 표시판 등을 들 수 있다.
10…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판부
11A… 프레임부
11a… 착자 시트
11b… 커버 판부
12… 투광성 홀더
12a… 측벽부
12b… 도광판부
12c… 봉상부
13… 통부
14… 차광체
15… 백라이트
16… 구멍부
21… 브러시(묘화 수단)
22… 지우개(소거 수단)

Claims (6)

  1. 전면(前面) 측에 다수의 구멍부를 포함하는 입설(立設)된 디스플레이 판부와,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차광체를 마련하고, 상기 차광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후면 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측으로의 광의 투과와 차광을 가능하게 하여, 광의 점묘를 행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가 착자된 착자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차광체가 구형상의 자성체 볼로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상기 후면 측에는 각 구멍부에 대응하여 상기 차광체가 내부를 전동(轉動)하는 통부를 포함하는 투광성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차광체가, 상기 투광성 홀더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있는 투광 상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의 자력에 의하여 흡인되어 상기 구멍부에 감입된 차광 상태 사이에서 위치를 절환 가능하게 되며,
    상기 차광체가 상기 차광 상태로 이동할 때에, 양면 착자로 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구멍부의 중심 지향성을 나타내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상태에서, 상기 차광체가 상기 구멍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차광체의 직경의 4분의 1로부터 직경의 3분의 1까지의 범위에서 돌출하는 상태로 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구멍부의 개구 직경 치수의 비가 0.86~0.95의 범위로 설정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판부에서,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가 0.05mm~0.3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에 대한 상기 투광성 홀더의 상기 통부의 길이 치수의 비가 2.5~3.0의 범위로 설정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자 시트의 두께 치수에 대한 상기 차광체의 직경 치수의 비가 6~10의 범위로 설정되는,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7033929A 2019-03-22 2020-03-18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53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5028A JP7277195B2 (ja) 2019-03-22 2019-03-22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JP-P-2019-055028 2019-03-22
PCT/JP2020/011919 WO2020196143A1 (ja) 2019-03-22 2020-03-18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064A true KR20210153064A (ko) 2021-12-16

Family

ID=7255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3929A KR20210153064A (ko) 2019-03-22 2020-03-18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44222A4 (ko)
JP (1) JP7277195B2 (ko)
KR (1) KR20210153064A (ko)
CN (1) CN113811937B (ko)
WO (1) WO20201961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244A (ja) 1990-02-14 1991-10-2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6924A (en) * 1975-06-11 1976-12-16 Sasuke Ogata Device for notes display
JPS54138747U (ko) * 1978-03-16 1979-09-26
JPH06102830A (ja) * 1991-02-06 1994-04-15 Hitachi Vlsi Eng Corp 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3236244B2 (ja) * 1996-09-02 2001-12-10 章三 平山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ATE292837T1 (de) * 1997-05-29 2005-04-15 Shozo Hirayama Optische punktbildanzeigevorrichtung
JP2000259083A (ja) * 1999-03-11 2000-09-22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の背面光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3756A (ja) * 2003-07-24 2005-02-17 Towa Meccs Corp 表示装置
JP2005084345A (ja) * 2003-09-09 2005-03-31 Towa Meccs Corp Led表示装置
JP4803820B2 (ja) * 2007-02-13 2011-10-26 ナガシマ工芸株式会社 背光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99230A (ja) * 2007-06-04 2008-12-11 Nissin Distribution:Kk 表示装置
CN201364397Y (zh) * 2009-01-08 2009-12-16 华宇光能股份有限公司 具有图案切换装置的导光板
JP4724872B2 (ja) * 2009-05-28 2011-07-13 明 河崎 拭消可能な描画材で描かれた手書きの文字や絵を発光表示させる発光表示板
JP2011027815A (ja) 2009-07-22 2011-02-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機器
JP5576348B2 (ja) * 2011-10-19 2014-08-20 旭化成テクノプラス株式会社 発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
JP6107292B2 (ja) * 2013-03-25 2017-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スキャナーの製造方法、光スキャナ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9055028A (ja) 2017-09-21 2019-04-11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6244A (ja) 1990-02-14 1991-10-22 Fujitsu Ltd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9249A1 (en) 2022-06-09
JP2020154237A (ja) 2020-09-24
EP3944222A4 (en) 2022-12-21
CN113811937A (zh) 2021-12-17
WO2020196143A1 (ja) 2020-10-01
JP7277195B2 (ja) 2023-05-18
CN113811937B (zh) 2023-09-22
EP3944222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015B1 (ko) 모바일 장치의 터치키 어셈블리 및 라이트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US8480285B2 (en) Light guide plat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884568B (zh) 显示部件和显示装置
WO2012090591A1 (ja) 表示装置
CN103672741A (zh) 导光模块及电子装置
US20140254194A1 (en) Light guide for improving device lighting
KR20210153064A (ko) 광 점묘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2032233B2 (en) Light stippling display device
JP5796312B2 (ja) 面光源装置
CN204596681U (zh) 键盘背光模块的防侧漏结构
JP2013117940A (ja) 発光キーボードとその光源モジュール
JP2011248113A (ja) 液晶表示装置
WO2019200992A1 (zh) 导光结构、壳体及电子装置
KR101520544B1 (ko) 자석화소판 기록 및 감지 장치
KR20100003661U (ko) 디스플레이와 필기가 가능한 칠판
KR102230719B1 (ko) 투명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조명장치 및 구동방법
CN220419761U (zh) 反射式模组及显示设备
JP2008084223A (ja) 電磁誘導型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13105575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CN201331656Y (zh) 具导光效果的相机结构
CN201191469Y (zh) 光反射定律实验装置
CN209641529U (zh) 一种具有背光按键的遥控器
JP2014022047A (ja) 照光表示構造
US20140306932A1 (en) Electronic whiteboard
WO2010018784A1 (ja) 照光式キー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