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887A - 건축용 조립식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887A
KR20210152887A KR1020200069912A KR20200069912A KR20210152887A KR 20210152887 A KR20210152887 A KR 20210152887A KR 1020200069912 A KR1020200069912 A KR 1020200069912A KR 20200069912 A KR20200069912 A KR 20200069912A KR 20210152887 A KR20210152887 A KR 2021015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nstruction
concave
plate body
prefabrica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621B1 (ko
Inventor
조정태
Original Assignee
조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태 filed Critical 조정태
Priority to KR102020006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6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모르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일면에 모르타르가 부착되고 타면으로는 건축 구조물에 접하면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삼각형상의 요철부를 연속 형성하여 된 요철판체와; 상기 경사면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의 일부를 절취하여 마주보는 경사면측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하여 그 하측으로 모르타르가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라스와; 상기 라스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사면의 일부를 가압 성형하여 그 중심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굽힘되어 복수의 결합편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모르타르에 대한 결속을 하는 복수의 모르타르 응집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단일의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 양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 및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건축물의 내·외벽체 시공에 사용이 가능하고, 황토 등의 모르타르의 시공시에도 부착 안정성과 함께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판넬{Architectural prefabricated Panel}
본 발명은 황토를 비롯한 모르타르를 부착하여 건축물의 내·외벽을 구성하는 조립식 황토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로 이루어진 모르타르에 대한 부착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구조의 간소화를 실현하여 대량 양산과 경제적인 제작 및 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방법으로는 벽돌이나 블럭을 쌓을 바닥에 모르타르(Mortar)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 뒤에, 그 도포 된 모르타르의 상측에 벽돌이나 블럭을 각각 쌓고, 그렇게 쌓은 벽돌이나 블럭의 상부와 일측면에 모르타르를 다시 도포하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벽체를 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벽체 시공방법은 벽돌이나 블럭이 각각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모르타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르타르를 성형하는데에 따른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으며, 이외에도 시멘트 가루와 모르타르 부스러기가 작업현장에 흩어지거나 작업공간에 비산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벽돌로 벽체를 조적하는 경우에는 벽돌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벽돌을 쌓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품질에 많은 차이가 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시공용 조립식 판넬은 내부에 스티로폴, 우레탄 등과 같이 단열, 방음성 재질로 되는 중간부재 외부에 금속판을 접합한 샌드위치 판넬로서 양단에는 조립, 연결을 위한 암, 수 연결구조를 상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판넬은 건축물의 기동부재 사이를 종, 횡으로 설치한 벽골격부재의 양면에 볼트 또는 스크류, 못과 같은 고정부재로 부착하여 시공하였기 때문에 판넬, 벽골격부재 및 고정부재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시공공정이 복잡하여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그 시공된 상태는 벽골격부재 두께만큼 내,외 판넬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실내에 공명현상이 일어나고, 그 중공부에 곤충이나 쥐가 서식하여 위생상 문제점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면 시공용 조립식 판넬의 경우 마감 모르타르를 미장 시공하고 이에 석고보드, 타일, 합판, 목재, 벽지 등으로 된 마감재로 마감공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건축자재를 비롯하여 마감 모르타르나 마감재 등에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독성물질을 다량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등 실내 공기질과 거주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새집증후군이란 새집으로 이사를 하면 두통, 호흡곤란, 피로, 비염, 천식, 피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신축 건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나 건축자재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벤젠, 트리에틸렌,톨루엔,포름알데히드)로 인해서 거주자들이 일시적 혹은 만성적으로 각종 질환을 호소하는 증상을 일컫는다.
이외에도 건축자재의 주요 요소인 시멘트의 경우 암을 유발하는 6가 크롬을 비롯하여 다량의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시멘트 제조업체에서 건축 폐자재를 활용한 시멘트를 제조 유통함에 따라 그 유해성에 대해서는 그 논란이 커진 상태이다. 실제로 시멘트 제조업체의 산업폐기물과 부산물 사용량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렇게 폐자재를 혼합하여 제조된 시멘트는 내수물량의 90%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멘트는 유해물질과 내부의 수분이 증발(수화열)하면서 지속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을 방출하는데 대략 10여년 정도 경과하여야 독성물질이 방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건축물의 건축자재 및 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유해 독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재료에 대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황토 모르타르가 널리 알려 있다.
황토는 수분과 공기를 보유하였다가 방출함으로써 자연적인 습도조절과 공기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실내 거주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석재나 목재 등에 비하여 취성이 강하여 쉽게 파손되고 수분의 과부족에 의한 균열 및 박리 현상이 쉽게 일어나는 단점으로 인해 시공자재로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079호에 개시된 ‘조립식 건축물 판넬’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하나 이상의 판넬이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하는 통상의 조립 판넬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외향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돌기부 사이에는 중앙에 송곳부와 가장자리가 굽어진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결속보강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삽입돌기부와 삽입홈부를 형성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외향돌기부에 부착되는 메탈라스로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 판넬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조립식 건축물 판넬은 판체와 메탈라스로 구성되어 황토 등으로 된 충진물인몰탈층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 및 공기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으나, 판체에 외향돌기부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메탈라스를 용접으로 부착 구성하여야 하므로 용접 작업에 따른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번거로워 대량 양산이 곤란하고,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으로 인해 경제적인 생산과 보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로 된 판체와 메탈라스로 구성됨에 따라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취급과 시공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934호에 개시된 ‘건축용 황토 판넬’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하나 이상의 판체가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모르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판넬에 있어서,
금속판재로 되어 일면에 황토 모르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부착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띠부와; 상기 판체의 보강띠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부착된 황토 모르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관 형상의 요소로 상기 판체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지지돌출관부 및 상기 지지돌출관부의 돌출된 끝단 일부를 절단하여 방사상으로 분기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굽힘되는 복수의 결속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몰탈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 판넬.’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은 단일의 금속 판체의 부착면에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띠부와 황토 모르타르의 부착을 위한 몰탈 결속수단을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황토는 물에 혼합된 상태에서는 높은 점도를 유지하여 응집력이 유지되지만 완전히 건조되는 경우 수축 현상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판체의 부착면에서 황토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현상으로 인해 실내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떨어진 부분을 유지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01079호(2009.05.28.), ‘조립식 건축물 판넬’ 등록특허공보 제10-1429934호(2014.08.07.), ‘건축용 황토 판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의 결집력을 높여 균열 발생과 부착면에서 쉽게 떨어지는 탈락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시공품질을 균일화하여 양호한 시공성을 보장함으로써 대량 양산과 시공편의성을 통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독주택을 비롯하여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실내 벽면인 시멘트 벽면에 간단히 시공 설치하여 황토방을 꾸밀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모르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일면에 모르타르가 부착되고 타면으로는 건축 구조물에 접하면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삼각형상의 요철부를 연속 형성하여 된 요철판체와; 상기 경사면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의 일부를 절취하여 마주보는 경사면측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하여 그 하측으로 모르타르가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라스와; 상기 라스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사면의 일부를 가압 성형하여 그 중심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굽힘되어 복수의 결합편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모르타르에 대한 결속을 하는 복수의 모르타르 응집부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요철판체는 등 간격으로 접힘선과 절곡선을 반복 형성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산을 이루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라스의 상면이 서로 평탄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라스는 5~20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라스는 상기 요철판체의 일부에 라스절단선을 형성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절취되어 돌출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은 상기 접힘선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요철판체의 일부에 가압력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3~8개의 결합편이 절취되면서 그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원을 중심으로 2~7개의 교차되는 방사절단선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요철판체는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은 상기 건축구조물에 접하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반대되는 타측단부를 접어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1안착단부가 적층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요철부와 요철부를 연결하는 절곡선을 따라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단일의 금속판재를 성형 가공한 것이므로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 양산에 따른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벽체용으로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연결하여 실내 벽면용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건축용 모르타르 외에도 응집성이 취약한 황토에 대한 우수한 부착 유지성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공 후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 현상으로 인한 균열 발생이나 부착면에서 황토 덩어리가 탈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판넬들을 간소한 적층 끼움구조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므로 연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도에 상관없이 양호한 시공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완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가공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가공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니타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완성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 판재를 삼각형상의 요철부(2)를 연속하여 형성하여 된 요철판체(1′)와, 이 요철판체(1′)의 경사면(2a,2b)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등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측으로 모르타르(o)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라스(10)와, 이 라스(10)의 하측 경사면(2a,2b)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모르타르(o)에 대한 결속과 응집을 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진 복수의 결합편(21)을 형성한 모르타르 응집부(20)로 이루어진 건축용 조립식 판넬(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일부에 요철부를 가공형성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금속으로 된 판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힘선(a)과 절곡선(b)을 구분 또는 형성하고, 이 접힘선(a)과 절곡선(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굽힘성형하는 것에 의해 삼각형상을 갖는 복수의 요철부(2)가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2)를 이루는 한 쌍의 경사면(2a,2b)에는 라스(10)와 모르타르 응집부(20)가 상·하로 한 조로 배치되어 연속하여 복수 형성되는 요철판체(1′)를 포함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가공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금속판재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접힘선(a)과 절곡선(b)을 구분 또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철부(2)의 높은 부분인 산 부분을 형성하는 접힘선(a)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라스(10)가 배치되고, 이 라스(10)의 일측으로는 모르타르 응집부(20)가 배치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스(10)는 돌출되었을 때 그 상면이 상기 요철부(2)의 접힘선(a)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힘선(a)에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레이저장비나 기타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라스절단선(10a)이 미리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레스 등의 가압장비를 이용하여 라스(10) 부분에 대한 지그를 사용하여 가압력을 작용하면, 라스절단선(10a)을 따라 요철판체(1′)에서 분리되면서 라스돌출편(11)이 굽힘되어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마찬가지로 모르타르 응집부(20)는 상기 라스(10)의 하측 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요철판체(1′)의 가압력에 의해 복수의 결합편(21)이 분할 절취되면서 그 끝단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을 중심으로 2~7개의 서로 교차되는 방사절단선(20a)을 미리 절단 성형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건축 구조물(f)측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절곡선(b) 상에는 나사, 또는 고정용 앵커 등의 나사부재(s)를 사용하여 요철판체(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h)이 관통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요철부(2)를 연속하여 굽힘 가공한 요철판체(1′)가 되시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2)를 형성하는 경사면(2a,2b)은 상측으로 라스(10)가 수평 배치되고, 그 하측으로는 모르타르 응집부(20)가 배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라스(10)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요철부(2) 사이에 서로 수평으로 배치되되 이들 사이에 절곡선(b)을 중심으로 굽힘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5~20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성이며, 절곡선(b)을 따라 관통 형성된 고정홀(h)에는 나사부재(s)의 일단이 삽입되어 건축 구조물(f)에 결속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요철판체(1′)를 구성하는 복수의 요철부(2)는 건축 구조물(f)과의 사이에 뜬 구조인 단열공간(c)이 형성되며, 이 단열공간(c)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성능을 높이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발생시 전달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끝으로 요철판체(1′)는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은 상기 건축 구조물(f)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를 굽힘 성형하여 접어서된 제1안착부(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3)와 반대되는 타측단부에는 상기 제1안착부(3)가 적층구조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착홈(4a)이 형성된 제2안착부(4)가 굽힘 성형으로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서 요철부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삼각형상의 요철부(2)가 연속하여 형성된 요철판체(1′)는 요철부(2)의 상단부분인 접힘선(a)과 라스(10)의 라스돌출편(11)이 동일한 수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가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모르타르(o)의 미장 시공시 시공면에 대한 평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가공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니타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모르타르(o)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구비하는 요철판체(1′)와, 이 요철판체(1′)의 부착면측으로 연속하여 돌출 구비되어 강성을 보강하고 건축 구조물(f)과의 사이에 단열공간(c)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삼각형상이 되게 양측으로 경면을 형성하여 된 요철부(2)와, 상기 요철부(2)의 경사면(2a,2b) 상측에 돌출 구비되는 라스(10)와, 상기 라스(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중심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굽힘되어 복수의 결합편(21)을 형성하여 된 모르타르 응집부(20) 그리고 상기 요철판체(1′)를 건축 구조물(f)에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부재(s) 삽입용 고정홀(h)과, 상기 요철판체(1′)를 연속하여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적층 끼움구조를 갖는 제1안착부(3)와 제2안착부(4)로 구성된다.
요철판체(1′)는 금속으로 된 판재가 사용되며, 일면에는 황토 등의 모르타르(o)가 부착되는 부착면으로 사용되고, 타면은 건축 구조물(f)에 접하는 시공면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공면적에 따라 연속하여 조립되어 벽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천장 또는 바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판체(1′)는 삼각형상의 요철부(2)를 연속하여 형성된 것으로, 직사각 형상의 금속판재에 접힘선(a)과 절곡선(b)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한 뒤 이들 접힘선(a)과 절곡선(b)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힘성형하여 양측으로 경사면(2a,2b)을 형성하는 삼각형상의 요철부(2)를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요철부(2)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금속판재에 접힘선(a)과 절곡선(b)을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마킹하여 구분하거나, 또는 레이저나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홈을 형성한 상태에서 공지의 벤딩머신이나 절곡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접힘선(a)이 도면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돌출되게 하측에서 가압하고, 상기 절곡선(b)은 하방향으로 요입되게 상측에서 가압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요철판체(1′)는 모르타르(o)가 부착되는 일면으로는 라스(10)와 모르타르 응집부(20)가 구비되고, 시공대상인 건축 구조물(f)에 접하는 타면으로는 삼각형상의 단열공간(c)을 형성하는데, 이때의 상기 단열공간(c)은 공기층에 의한 단열 작용과 함께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게 된다.
라스(10)는 상기 요철부(2)를 구성하는 경사면(2a,2b)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2a,2b)의 일부를 절취하여 마주보는 경사면측을 향하여 굽힘 성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라스(10)는 상기 요철판체(1′)의 일부에 직사각 형상의 라스돌출편(11)의 일부가 경사면(2a,2b)에 연결된 상태에서 나머지는 분리되어 돌출된 것으로, 이를 위해 도면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접힘선(a)에 인접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절단선으로 이루어진 라스절단선(10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2a,2b)의 뒤쪽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라스절단선(10a)을 따라 절취되면서 라스돌출편(11)의 돌출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라스(10)의 상단은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접힘선(a)과 수평면을 이루로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황토 등의 모르타르(o)의 미장작업시 시공면에 대한 평탄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인접하게 배치된 요철부(2)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라스(10)는 5~20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본 발명의 요철판체(1′)는 라스(10)와 모르타르 응집부(20)를 먼저 성형한 상태에서 삼각형상의 요철부(2)를 형성하기 때문이며, 이때의 요철부(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라스(10)가 형성된 상태에서 절곡선(b)에 지그를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의 라스(10)는 그 하측으로 모르타르(o)가 충전되는 충전공간을 제공하며, 충전된 모르타르(o)는 복수의 라스(10)가 형성하는 그물망 형태의 구조에 의하여 외부로 쉽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쉽게 부스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모르타르 응집부(20)는 상기 라스(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2a,2b)의 일부를 가압 성형하여 그 중심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굽힘되어 복수의 결합편(21)을 형성한 것으로, 이러하 모르타르 응집부(20)는 상기 라스(10)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부착된 모르타르(o)에 대한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르타르 응집부(20)는 결합편(21)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요철판체(1′)의 경사면(2a,2b) 일측에 가압력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3~8개의 결합편이 절취되면서 그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성형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경사면(2a,2b)의 일부에 원을 중심으로 3~7개의 교차되는 절단선을 형성하여 된 방사절단선(20a)을 마련하고, 이 방사절단선(20a)이 형성된 경사면(2a,2b)의 뒤쪽에서 지그를 사용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절단선을 따라 각 결합편(21)이 분리되면서 외측으로 벌어져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모르타르 응집부(20)의 결합편(21)을 형성함에 있어 본 발명은 요철판체(1′)의 경사면(2a,2b) 일부를 돌출시킨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결합편(21)을 별도로 제작한 뒤 요철판체(1′)의 경사면(2a,2b)에 용접으로 접합하거나 또는 끼움구조로 조립하여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1)은 시공대상 건축물의 형태나 면적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복수 연결시에는 제1안착부(3)와 제2안착부(4)를 적층 끼움구조로 연결하여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제1안착부(3)는 요철판체(1′)의 양 측단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 구조물(f)에 접하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를 접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4)는 상기 제1안착부(3)와 반대되는 타측단부를 접어서 형성한 것으로 복수의 요철판체(1′)들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안착부(3)의 높이에 대응되는 안착홈(4a)을 형성하여 적층 끼움이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삼각 형상의 요철부(2)를 연속하여 형성된 요철판체(1′)는 복수의 라스(10)가 그물구조를 이룸에 따라 모르타르(o)에 대한 부착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모르타르 응집부(20)는 라스(10)의 하측으로 충전된 모르타르(o)를 응집하여 결속시킴으로서 모르타르(o)가 시공된 후 경과 과정에서 부피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삼각형상의 요철부(2)는 별도의 강성보강을 위한 구조물을 적용하지 않아도 구조적인 강성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단일의 금속판재를 단순히 라스(10)와 모르타르 응집부(20)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선을 형성한 뒤 가압성형하는 비교적 간소한 공정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대량 양산을 통한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하고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양호한 시공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건축용 황토 판넬 2 : 요철부
2a,2b : 경사면 3 : 제1안착부
4 : 제2안착부 4a : 안착홈
10 : 라스 11 : 라스돌출편
10a : 라스절단선 20 : 모르타르 응집부
20a : 방사절단선 21 : 결합편
20 : 보강띠부 30 : 몰탈 결속수단
a : 접힘선 b : 절곡선
c : 단열공간 s : 나사부재
o : 모르타르

Claims (5)

  1.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모르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일면에 모르타르가 부착되고 타면으로는 건축 구조물에 접하면서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삼각형상의 요철부를 연속 형성하여 된 요철판체;
    상기 경사면의 상부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의 일부를 절취하여 마주보는 경사면측을 향하도록 굽힘 성형하여 그 하측으로 모르타르가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라스와;
    상기 라스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사면의 일부를 가압 성형하여 그 중심부가 방사상 방향으로 찢어지면서 굽힘되어 복수의 결합편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경사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모르타르에 대한 결속을 하는 복수의 모르타르 응집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판체는 등 간격으로 접힘선과 절곡선을 반복 형성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굽힘 가공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산을 이루는 접힘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라스의 상면이 서로 평탄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라스는 5~20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는 상기 요철판체의 일부에 라스절단선을 형성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절취되어 돌출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상단은 상기 접힘선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응집부는 상기 요철판체의 일부에 가압력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3~8개의 결합편이 절취되면서 그 끝단부가 돌출되도록 원을 중심으로 2~7개의 교차되는 방사절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판체는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양 끝단 중 어느 한쪽 끝단은 상기 건축구조물에 접하는 방향으로 일측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제1안착부 및 상기 제1안착부와 반대되는 타측단부를 접어서 형성한 것으로 상기 제1안착단부가 적층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요철부와 요철부를 연결하는 절곡선을 따라 건축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20200069912A 2020-06-09 2020-06-09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248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12A KR102484621B1 (ko) 2020-06-09 2020-06-09 건축용 조립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912A KR102484621B1 (ko) 2020-06-09 2020-06-09 건축용 조립식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87A true KR20210152887A (ko) 2021-12-16
KR102484621B1 KR102484621B1 (ko) 2023-01-03

Family

ID=7903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912A KR102484621B1 (ko) 2020-06-09 2020-06-09 건축용 조립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682Y1 (ko) * 2000-11-29 2001-05-15 주식회사동양산기 몰탈 미장을 위한 내력벽체용 금속판넬
KR100901079B1 (ko) 2009-02-10 2009-06-03 조정태 조립식 건축물 판넬
KR101426829B1 (ko) * 2013-03-19 2014-08-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구들용 데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9934B1 (ko) 2013-02-18 2014-09-22 조정태 건축용 황토 판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682Y1 (ko) * 2000-11-29 2001-05-15 주식회사동양산기 몰탈 미장을 위한 내력벽체용 금속판넬
KR100901079B1 (ko) 2009-02-10 2009-06-03 조정태 조립식 건축물 판넬
KR101429934B1 (ko) 2013-02-18 2014-09-22 조정태 건축용 황토 판넬
KR101426829B1 (ko) * 2013-03-19 2014-08-06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토구들용 데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621B1 (ko)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895B2 (en) Integral composite shuttering panel and monolithic wall building system
US20070137128A1 (en) Modular stone panel
US20080104913A1 (en) Lightweight Concrete Wall Panel With Metallic Studs
AU2006246443B2 (en) A Wall Panel and Wall Structure
EP2483487B1 (en) A building construction for making transpirable walls and floors
US20100236177A1 (en) Solar/stud block
JP2006037711A (ja) 建物の室内の角部位の構造物,及び,建物の室内の角部位の仕上げ用モルタル施工方法
CN103603451B (zh) 一种双向密肋空腔楼盖的施工方法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CA2944427A1 (en) Building structure in which korean-style house and wooden house are introduced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KR20210152887A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100806646B1 (ko) 건축 구조물의 조립형 황토벽판
RU16544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102355122B1 (ko) 건축용 조립식 황토 판넬
KR102214758B1 (ko) 건축물의 외단열에 사용되는 pf석재패널 등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패널 시공법
KR101429934B1 (ko) 건축용 황토 판넬
IES20080702A2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spaced apart formwork panels, a formwork assembly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formwork assembly
KR101193547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에스엠씨 쪽매식 대리석
RU176827U1 (ru) Брус строительный сборный
JP2010059630A (ja) 打ち込み型枠と仮設材を使用しない連結方法
WO2009006716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a modular structural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30130307A (ko) 차음 및 통기패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슬래브구조
JP2006112049A (ja) 型枠を兼ねた外断熱壁材と、型枠を兼ねた外断熱壁材を利用した外断熱壁の構築方法
KR200243188Y1 (ko) 스티로폼이 내재된 벽돌
CN217325952U (zh) 隔墙管线一体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