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934B1 - 건축용 황토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황토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934B1
KR101429934B1 KR1020130016860A KR20130016860A KR101429934B1 KR 101429934 B1 KR101429934 B1 KR 101429934B1 KR 1020130016860 A KR1020130016860 A KR 1020130016860A KR 20130016860 A KR20130016860 A KR 20130016860A KR 101429934 B1 KR101429934 B1 KR 10142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mortar
clay
bui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태
Original Assignee
조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태 filed Critical 조정태
Priority to KR102013001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황토 판넬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황토 판넬은, 하나 이상의 판체가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금속판재로 되어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부착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띠부와; 상기 판체의 보강띠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관 형상의 요소로 상기 판체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지지돌출관부 및 상기 지지돌출관부의 돌출된 끝단 일부를 절단하여 방사상으로 분기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굽힘되는 복수의 결속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몰탈 결속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용 황토 판넬은 단일의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 양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 및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황토 판넬은 건축물의 내·외벽체 시공에 사용이 가능하고, 황토 몰타르의 시공시 부착성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황토 판넬{Pressure treatment 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황토로 된 몰타르를 부착하여 건축물의 내·외벽을 구성하는 황토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로 이루어진 몰타르에 대한 부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구조의 간화를 실현하여 대량양산과 경제적인 제조 및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운반과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벽돌이나 블럭을 쌓을 바닥에 몰타르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 뒤에, 그 도포 된 몰타르의 상측에 벽돌이나 블럭을 각각 쌓고, 그렇게 쌓은 벽돌이나 블럭의 상부와 일측면에 몰타르를 다시 도포하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벽체를 쌓는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은 벽돌이나 블럭이 각각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몰타르를 사용함으로서, 몰타르를 성형하는데에 따른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폐단과, 시멘트가루와 몰타르 부스러기가 작업현장에 흩어져 있어서 현장을 지저분하게 하는 폐단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벽돌로 벽체를 쌓을 경우에는 벽돌의 크기가 적기 때문에 벽돌을 쌓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시공용 조립식 판넬은 내부에 스티로폴, 우레탄 등과 같이 단열, 방음성 재질로 되는 중간부재 외부에 금속판을 접합한 샌드위치 판넬로서 양단에는 조립, 연결을 위한 암, 수 연결구조를 상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판넬은 건축물의 기동부재 사이를 종, 횡으로 설치한 벽골격부재의 양면에 볼트 또는 스크류, 못과 같은 고정부재로 부착하여 시공하였기 때문에 판넬, 벽골격부재 및 고정부재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시공공정이 복잡하여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그 시공된 상태는 벽골격부재 두께만큼 내, 외 판넬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실내에 공명현상이 일어나고, 그 중공부에 곤충이나 쥐가 서식하여 위생상 문제점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1079호를 통해 개량된 조립식 건축물 판넬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제안한 조립식 건축물 판넬은 하나 이상의 판넬이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하는 통상의 조립 판넬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외향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돌기부 사이에는 중앙에 송곳부와 가장자리가 굽어진 결합편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결속보강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삽입돌기부와 삽입홈부를 형성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외향돌기부에 부착되는 메탈라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조립식 건축물 판넬은 판체와 메탈라스로 구성되어 황토 등으로 된 충진물인몰탈층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여 시공의 편의성 및 공기단축을 가능하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상기 조립식 건축물 판넬은 판체에 외향돌기부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메탈라스를 용접으로 부착 구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번거롭고 대량 양산이 곤란하여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으로 인해 경제적인 보급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금속재로 된 판체와 메탈라스로 구성됨에 따라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취급과 시공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시멘트 몰타르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재료에 대한 대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물질 중 황토 몰타르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황토는 수분과 공기를 보유하였다가 방출함으로써 자연적인 습도조절과 공기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실내거주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황토 몰타르는 석재나 목재 등에 비하여 취성이 강하여 쉽게 파손되고 수분의 과부족에 의한 균열 및 박리 현상이 쉽게 일어나는 단점으로 인해 시공자재로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86247호, 8쪽, 청구항 1, 도면 7. 등록특허공보 제10-0901079호, 2쪽, 청구항 1, 도면 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대량 양산을 통한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 및 보급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시공 및 운반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건축용 황토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은, 하나 이상의 판체가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금속판재로 되어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의 부착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띠부와; 상기 판체의 보강띠부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관 형상의 요소로 상기 판체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지지돌출관부 및 상기 지지돌출관부의 돌출된 끝단 일부를 절단하여 방사상으로 분기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판체와 평행하게 굽힘되는 복수의 결속지지편으로 이루어진 몰탈 결속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은 단일의 판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소하여 대량 양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품질의 표준화와 경제적인 제조 및 보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황토 판넬은 건축물의 내·외벽체 시공에 사용이 가능하고, 황토 몰타르의 시공시 부착성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의 전체적인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금속판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10′)을 제공하는 판체(10)와, 상기 판체(10)의 부착면(10′)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보강띠부(20)와, 상기 보강띠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게 부착면(10′)측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되게 하는 몰탈 결속수단(30)으로 구성된 건축용 황토 판넬(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의 요부 구성인 몰탈 결속수단(30)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로서, 도면에는 판체(10)의 부착면(10′)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지지돌출관부(31)와, 이 지지돌출관부(31)의 끝단부에서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결속지지편(35)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몰탈 결속수단(30)과, 이들 몰탈 결속수단(30)의 사이에 배치되어 판체(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띠 형상의 보강띠부(20)로 이루어진 건축용 황토 판넬(1)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황토 판넬은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10′)을 구비하는 판체(10)와, 이 판체(10)의 부착면(10′)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요소인 보강띠부(20)와, 상기 보강띠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게 구비되는 것으로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요소인 몰탈 결속수단(30)으로 구성된다.
판체(10)는 금속으로 된 판재가 사용되며, 일면에는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10′)이 구비된다. 이때의 부착면(10′)으로는 후술할 보강띠부(20) 및 몰탈 결속수단(30)이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판체(10)는 연속하여 조립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 부호 (15)는 구멍으로서 타 구조물과의 조립이나 결속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보강띠부(20)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길이재의 보강요소로서, 상기 판체(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보강띠부(20)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경제적인 제조와 구성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판체(10)의 일부를 굽힘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대안으로는 별도의 강선이나 금속 파이프재를 용접으로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보강띠부(20)는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시에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격자 형태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몰탈 결속수단(30)은 상기 판체(10)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보강띠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크게 지지돌출관부(31)와 결속지지편(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돌출관부(31)는 상기 보강띠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관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요소로서, 상기 황토 몰타르를 도포하였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돌출 된다. 이러한 지지돌출관부(31)는 판체(10)의 후면 일부분을 가압성형하는 것에 의해 부착면(10′)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끝단부에는 후술할 결속지지편(35)이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결속지지편(35)은 상기 지지돌출관부(31)의 돌출된 끝단이 분기되어 방사상으로 굽힙되는 길이재의 요소로서, 상기 판체(1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판체(10)의 부착면(10′)에 부착된 황토 몰타르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즉, 상기 결속지지편(35)은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것에 의해 이들 결속지지편(35)과 상기 판체(10)의 부착면(10′) 사이에 충진된 황토 몰타르가 외부로 쉽게 떨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러한 구성의 결속지지편(35)은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판체(10)와 지지돌출관부(31)의 일부를 절단하여 떼어낸 뒤 상기 판체(1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굽힘 성형하는 것에 의해 구비되며, 미설명 부호 (35′)는 지지돌출관부(31)를 형성하기 위해 절취한 절취부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몰탈 결속수단(30)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판체(10)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돌출 성형하여 지지돌출관부(31)를 형성하고, 이 지지돌출관부(31)와 판체(10)의 일부를 떼어내어 굽힘 성형하여 결속지지편(35)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몰탈 결속수단(30)을 별도로 제작한 뒤 판체(10)에 용접으로 접합하거나 또는 끼움구조로 조립하여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몰탈 결속수단(30)의 용접 및 끼움조립구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축용 황토 판넬(1)은 시공 대상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단일의 금속으로 된 판체(10)의 부착면에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띠부(20)와, 황토 몰타르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몰탈 결속수단(30)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대량 양산을 통한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며,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함에 따라 양호한 시공 편의성의 제공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건축용 황토 판넬
10 : 판체
20 : 보강띠부
30 : 몰탈 결속수단

Claims (4)

  1. 하나 이상의 판체가 조합되어 복수개 연속 조립 구성되는 것으로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건축용 황토 판넬에 있어서,
    금속판재로 되어 일면에 황토 몰타르가 부착되는 부착면(10′)을 형성하는 판체(10)와;
    상기 판체(10)의 부착면(10′)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띠부(20)와;
    상기 판체(10)의 보강띠부(20)와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부착된 황토 몰타르에 대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띠부(2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관 형상의 요소로 상기 판체(10)의 일부를 가압하여 형성되는 지지돌출관부(31) 및 상기 지지돌출관부(31)의 돌출된 끝단 일부를 절단하여 방사상으로 분기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판체(10)와 평행하게 굽힘되는 복수의 결속지지편(35)으로 이루어진 몰탈 결속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 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16860A 2013-02-18 2013-02-18 건축용 황토 판넬 KR101429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60A KR101429934B1 (ko) 2013-02-18 2013-02-18 건축용 황토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860A KR101429934B1 (ko) 2013-02-18 2013-02-18 건축용 황토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934B1 true KR101429934B1 (ko) 2014-09-22

Family

ID=517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860A KR101429934B1 (ko) 2013-02-18 2013-02-18 건축용 황토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9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87A (ko) 2020-06-09 2021-12-16 조정태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210153827A (ko) 2020-06-11 2021-12-20 조정태 건축용 조립식 황토 판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30U (ja) * 1991-07-19 1993-02-09 宇部興産株式会社 成形板材用補強板
KR100901079B1 (ko) 2009-02-10 2009-06-03 조정태 조립식 건축물 판넬
KR101079374B1 (ko) 2009-03-03 2011-11-02 안상준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30U (ja) * 1991-07-19 1993-02-09 宇部興産株式会社 成形板材用補強板
KR100901079B1 (ko) 2009-02-10 2009-06-03 조정태 조립식 건축물 판넬
KR101079374B1 (ko) 2009-03-03 2011-11-02 안상준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87A (ko) 2020-06-09 2021-12-16 조정태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210153827A (ko) 2020-06-11 2021-12-20 조정태 건축용 조립식 황토 판넬
KR102355122B1 (ko) * 2020-06-11 2022-01-24 조정태 건축용 조립식 황토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055B2 (en) Building element
EP2483487B1 (en) A building construction for making transpirable walls and floors
RU113757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101429934B1 (ko) 건축용 황토 판넬
JP369612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外断熱構造物
KR100901079B1 (ko) 조립식 건축물 판넬
CN212926687U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
CN202492946U (zh) 轻钢肋筋内模网中空水泥隔墙
US7700024B1 (en) Corrugated concrete wall panel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209924195U (zh) 一种中空内模金属网水泥自保温内外隔墙
RU47924U1 (ru) Армо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RU47926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RU2335605C1 (ru) Стена
RU172419U1 (ru) Стена из блоков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CN111075104A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及其建造方法
RU78825U1 (ru) Модуль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172351Y1 (ko) 건축용 거푸집을 겸한 단열패널
CN212926685U (zh) 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制件
JP348552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施工方法とその構造体
JP3135218U (ja) 棟構造
KR100456227B1 (ko) 조립식 물탱크
CN211007090U (zh) 一种装配式外墙墙板固定结构
CN212926575U (zh) 基于竹材与混凝土结合的墙板构造的房屋
RU98202U1 (ru) Монолит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или сооружения "блисс хау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