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98A -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98A
KR20210152198A KR1020200068988A KR20200068988A KR20210152198A KR 20210152198 A KR20210152198 A KR 20210152198A KR 1020200068988 A KR1020200068988 A KR 1020200068988A KR 20200068988 A KR20200068988 A KR 20200068988A KR 20210152198 A KR20210152198 A KR 2021015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rigging
unit
cran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0228B1 (ko
Inventor
김경록
이동호
Original Assignee
김경록
(주)스페셜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록, (주)스페셜메이커 filed Critical 김경록
Priority to KR102020006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y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에 리깅되는 상부 고리가 상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크레인 리깅부; 상기 크레인 리깅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 트러스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고리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리깅부의 상부고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커버부재가 위치하는 트러스 리깅부;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중과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크레인 리깅부의 하부에 구동축이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APPARATUS FOR RIGGING ROTATABLE TRUSS AND PERFORMANCE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나 연극 등의 공연은 음향과 조명시설이 구비된 실내 무대, 공연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야외에서 공연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야외공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공연무대가 준비된다. 우선, 무대설치 업체가 플로어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음향장비 및 조명장비를 설치할 루프용 트러스를 설치한다. 그리고, 음향 및 조명업체가 설치된 무대바닥과 무대지붕(트러스)에 각종 음향 및 조명 장비들을 거치하고, 각 장비에 전원선과 신호선을 연결하여 무대 및 공연장비 설치를 완성한다. 또한, 행사와 축제 성격에 맞춘 상징적 이미지를 공중에 만들기 위해, 조명, 영상, 불꽃 사용등의 연출에 필요한 트러스 모듈을 활용하고 있다.
또한, 실내 또는 야외공연 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공중에 트러스 모듈을 띄워 다양한 공중 연출을 시연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제8850774호(발명의 명칭: Truss hinge for a stage truss)에서는 트러스부에 체인이 연결되어, 체인을 크레인의 고리에 연결하여, 트러스부를 공중에 부양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트러스부 공중부양 방법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 없이 외부요인에 의해 트러스부가 공중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이 엉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중에서의 독립적인 운영과 연출을 하는 트러스트 모듈을 제공하여 공중 연출의 혁신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제1 측면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에 리깅되는 상부 고리가 상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크레인 리깅부; 상기 크레인 리깅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에 트러스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고리가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리깅부의 상부고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커버부재가 위치하는 트러스 리깅부;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중과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크레인 리깅부의 하부에 구동축이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부는 상기 회전 감지 센서에서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회전이 감지될 경우,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트러스 리깅부로 힘을 가하여, 트러스 모듈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공연 시스템은,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연결되는 트러스 모듈; 상기 트러스 모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 장치부;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또는 효과 장치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부;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를 무선으로 컨트롤하는 무선 컨트롤러; 및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트러스 리깅부에 연결된 트러스 모듈이 외력에 의해 회전될 경우, 구동부를 통해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 트러스 모듈이 외적 요인으로 인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컨트롤러를 통해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 무대를 직접 보면서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들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컨트롤러를 사용함에 따라 각종 장치들 간에 연결되는 전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선을 통해 발생하는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러스 모듈의 움직임으로 인한 전선이 엉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트러스 모듈이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모듈에 효과 장치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에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트러스 모듈이 장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모듈에 효과 장치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연 시스템(1)은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트러스 모듈(20), 효과 장치부(12), 배터리부(11) 및 무선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는 트러스 모듈(20)을 공중에 부양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는 상부에 위치한 상부고리(110)에 크레인의 크레인 와이어(31) 또는 고리가 연결되고, 외주면에 위치한 측면 고리(210)에 트러스 와이어(32)가 연결되어, 트러스 와이어(32)의 단부에 트러스 모듈(2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트러스 모듈(20)은 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일자형 형상이나 십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효과 장치부(12)는, 도 4를 참조하면, 트러스 모듈(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조명 장치, 영상 장치, 특수 효과 장치, 불꽃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1)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또는 효과 장치부(12)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부(11)는 하나로 구성되어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및 효과 장치부(1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각각의 장치 즉,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에 연결되는 배터리 및 효과 장치부(12)의 각각의 장치에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효과 장치부(12)는 조명 장치, 영상 장치, 특수 효과 장치, 불꽃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 모듈(20)은 상술한 효과 장치부(12)의 간편하게 설치 및 바람에 의한 영향을 경감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레임들이 결합된 구조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러스 모듈(20)에는 효과 장치부(12) 뿐만 아니라, 공연자를 리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연자는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다양한 연출을 시연할 수 있다.
무선 컨트롤러(40)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및 효과 장치부(1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및 효과 장치부(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컨트롤러(40)를 통해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 무선으로,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및 효과 장치부(12)를 제어함에 따라, 무대를 직접 보면서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 및 효과 장치들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장치들 간에 연결되는 전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선을 통해 발생하는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러스 모듈(20)의 움직임으로 인해 전선 엉키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이하,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은 크레인 리깅부(100), 트러스 리깅부(200), 스러스트 베어링(400), 구동부(300), 및 회전 감지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크레인 리깅부(100)는 크레인에 리깅되는 상부 고리(110)가 상부에 구비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리깅부(100)는 하부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크레인 리깅부(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에 크레인이 리깅되는 상부 고리(110)가 위치하고, 하부의 둘레부를 따라 단면이 상부보다 지름이 더 큰 원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되도록 돌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트러스 리깅부(200)는 크레인 리깅부(100)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트러스 모듈(20)에 트러스 와이어(22)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고리(210)가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부에 크레인 리깅부(100)의 상부 고리(11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측면 고리(210)는 서로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복수의 측면 고리(210)의 개수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측면 고리(210)에는 트러스 와이어(32)를 통해 트러스 모듈(20)이 리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각각 원형 트러스 모듈(21) 및 사각형 트러스 모듈(22)이 측면 고리(210)에 트러스 와이어(32)를 통해 리깅된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일자형 형상이나 십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트러스 모듈(20)이 리깅될 수있다.
또한, 트러스 리깅부(200)는 하부에 커버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러스 리깅부(200)는, 도 2를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230)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230)에 크레인 리깅부(100)가 삽입되며, 커버 부재(240)가 트러스 리깅부(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 부재(240)는 트러스 리깅부(200)의 하부에 개방된 부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또한, 트러스 리깅부(200)의 내부 공간(230)은 크레인 리깅부(100)의 돌출부(120)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러스 리깅부(200)의 상부홀(220)은 상부에 크레인 리깅부(100)의 상부의 단면 지름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레인 리깅부(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고리(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트러스 리깅부(200)는 전체적인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각 기둥형상일 수도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400)은 트러스 리깅부(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트러스 리깅부(200)의 하중과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러스트 베어링(400)은 하부면이 돌출부(12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상부면이 트러스 리깅부(200)의 내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트러스 리깅부(20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트러스 리깅부(200)의 하부에 고정되고, 크레인 리깅부(100)의 하부에 구동축(3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와 모터(310)에 연결되어 모터(310)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부(300)는 트러스 리깅부(200)에 고정되며, 구동축(330)이 트러스 리깅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커버부재(230)를 관통하여 크레인 리깅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를 작동시킬 경우, 크레인에 연결된 크레인 리깅부(10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레인 리깅부(100)에 연결된 구동축(330) 또한 회전되지 않게 되며, 모터(310)와 감속기(320)가 회전되게 되어, 감속기(320)의 상부에 고정된 트러스 리깅부(20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감지 센서는 트러스 리깅부(2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 감지 센서는 구동축(330)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3축 가속도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여 트러스 리깅부(200)의 회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는 회전 감지 센서에서 트러스 리깅부(200)의 회전이 감지될 경우, 구동부(300)를 작동시켜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트러스 리깅부(200)로 힘을 가해, 트러스 모듈(20)에 연결된 트러스 와이어(32)가 엉키게 되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리깅부(100)는 상부 고리(110)가 크레인 와이어(31)를 통해 고정되고, 트러스 리깅부(200)는 복수의 측면 고리(210)에 트러스 와이어(32)를 통해 트러스 모듈(20)이 고정된다. 이때, 외력에 의해 트러스 모듈(20)이 회전되어 트러스 리깅부(200)가 회전될 수 경우, 회전 감지 센서에서 트러스 리깅부(200)의 회전을 감지하며, 구동부(300)를 작동시켜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트러스 리깅부(200)로 힘을 가해, 트러스 모듈(2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트러스 모듈(20)이 모터(310)의 구동축(3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10)는 구동축(3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때, 구동축(330)은 크레인 리깅부(10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고, 트러스 리깅부(200)에 고정된 모터(310)와 감속기(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트러스 리깅부(200)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반대로, 트러스 모듈(20)이 모터(310)의 구동축(33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회전 트러스 리강 징치(10)는 구동축(3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때 구동축(330)은 크레인 리깅부(10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고, 트러스 리깅부(200)에 고정된 모터(310)와 감속기(320)가 시계 방향으로 트러스 리깅부(200)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외부 요인에 의해 트러스 모듈(20)이 회전될 경우, 트러스 모듈(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구동부(300)는 트러스 모듈(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트러스 모듈(2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모터(310)를 이용하여 구동축(33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명령할 경우, 구동부(300)에 고정된 트러스 리깅부(200)는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트러스 모듈(20)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100 : 크레인 리깅부
110 : 상부 고리
200 : 트러스 리깅부
210 : 측면고리 220 : 상부홀
230 : 내부 공간 240 : 커버 부재
300 : 구동부
310 : 모터 320 : 감속기
330 : 구동축
400 : 스러스트 베어링
20 : 트러스 모듈
21 : 원형 트러스 모듈 22 : 사각형 트러스 모듈
31 : 크레인 와이어 32 : 트러스 와이어
1 : 공연 시스템
11 : 배터리부 12 : 효과 장치부
40 : 무선 컨트롤러

Claims (8)

  1.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에 리깅되는 상부 고리가 상부에 구비된 원기둥 형상의 크레인 리깅부;
    상기 크레인 리깅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트러스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측면 고리가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리깅부의 상부고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홀이 형성되고, 하부에 커버부재가 위치하는 트러스 리깅부;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중과 회전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크레인 리깅부의 하부에 구동축이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 감지 센서에서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회전이 감지될 경우,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트러스 리깅부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리깅부는 하부의 둘레부를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은 하면이 상기 돌출부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상부면이 상기 트러스 리깅부의 내부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것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 센서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엔코더인 것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 고리는 서로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고리에 각각 연결되는 트러스 와이어를 통해 고정되는 트러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트러스 모듈은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인 것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7. 공연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에 연결되는 트러스 모듈;
    상기 트러스 모듈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 장치부;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또는 효과 장치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부;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를 무선으로 컨트롤하는 무선 컨트롤러; 및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상기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효과 장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효과 장치부는 조명 장치, 영상 장치, 특수 효과 장치, 불꽃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공연 시스템.
KR1020200068988A 2020-06-08 2020-06-08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KR10246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88A KR102460228B1 (ko) 2020-06-08 2020-06-08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88A KR102460228B1 (ko) 2020-06-08 2020-06-08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98A true KR20210152198A (ko) 2021-12-15
KR102460228B1 KR102460228B1 (ko) 2022-10-31

Family

ID=7886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88A KR102460228B1 (ko) 2020-06-08 2020-06-08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51A1 (ko) 2021-11-08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폿팅 수지의 누액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51A (ja) * 2011-08-08 2013-02-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回転治具及び吊荷旋回装置
JP2016532836A (ja) * 2013-08-28 2016-10-20 リープヘル−コンポーネンツ ビーベラッハ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イベル
KR101970101B1 (ko) * 2018-02-14 2019-04-17 손영옥 무대 기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5651A (ja) * 2011-08-08 2013-02-2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回転治具及び吊荷旋回装置
JP2016532836A (ja) * 2013-08-28 2016-10-20 リープヘル−コンポーネンツ ビーベラッハ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イベル
KR101970101B1 (ko) * 2018-02-14 2019-04-17 손영옥 무대 기계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551A1 (ko) 2021-11-08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폿팅 수지의 누액 방지 기능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228B1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1B (zh) Lighting lifting device
KR102460228B1 (ko) 회전 트러스 리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연 시스템
EP2954134B1 (en) Visually flying platform with visually transparent flexible support members
US20130230378A1 (en) Winch apparatus
WO2022099898A1 (zh) 桌面机械臂驱动结构、桌面机械臂及机器人
JPS6246894A (ja) 吊下物体水平方位制御装置
JP6516798B2 (ja) 昇降装置
CN110789629B (zh) 可越障的爬绳机器人及其越障方法
US6038816A (en) Blinder
JPH1034587A (ja) 工業用ロボット
KR101942409B1 (ko) 다양한 형태의 현장 시공이 가능한 무대설비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설비
JPH0682567A (ja) センサ回転装置
JP2006311927A (ja) 観覧車
KR100317506B1 (ko) 전방위 자유도를 갖는 트러스트구조를 이용한 광고장치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JP2003184217A (ja) 開閉式ドーム屋根及びその開閉駆動装置
KR102085026B1 (ko) 타워크레인용 윈치의 감속장치
JP6728018B2 (ja) 巻上機及び巻上機の据付方法
US20120126190A1 (en) Winch apparatus
JP4594915B2 (ja) 照明用昇降装置
JPH05227727A (ja) 索道用駆動装置
JP4185242B2 (ja) 電動式吊りマイクロホン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2018126249A (ja) 巻き取り装置及び電動ローマンシェード装置
KR20220144572A (ko) 트러스형 바튼 승강 구동장치
JPH0384142A (ja) 開閉式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