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768A -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768A
KR20210151768A KR1020217004130A KR20217004130A KR20210151768A KR 20210151768 A KR20210151768 A KR 20210151768A KR 1020217004130 A KR1020217004130 A KR 1020217004130A KR 20217004130 A KR20217004130 A KR 20217004130A KR 20210151768 A KR20210151768 A KR 2021015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tomization
power supply
battery modu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323B1 (ko
Inventor
메이팡 마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964930.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36686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82443.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52852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964381.6U external-priority patent/CN21358742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82555.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614142A/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10Control circuit supply, e.g.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H02J7/24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H02J7/24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J7/243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on/off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와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며, 전자 무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제어회로, 배터리모듈 및 제어 어셈블리와 외부에 설치된 무화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및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모듈 내부에 제1 와이어가 관통된다. 제1 인터페이스와 제어회로 중의 제1핀은 각각 배터리모듈의 전극 양단에 연결되고, 제2 인터페이스와 제어회로 중의 제2핀은 각각 제1 와이어의 양단에 연결된다. 그 중, 제1핀은 무화 핀이고, 제2핀은 전원 핀이거나; 또는 제1핀은 전원 핀이고, 제2핀은 무화 핀이거나; 또는 제1핀은 접지 핀이고, 제2핀은 무화 핀이거나; 또는 제1핀은 무화 핀이고, 제2핀은 접지 핀이다.

Description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482443.4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20964381.6이고, 고안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482555.X이고, 발명의 명칭이 "배터리 모듈 및 전자 무화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및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20964930.X이고, 고안의 명칭이 "배터리 모듈 및 전자 무화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구하며, 전체 내용을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하였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전자 무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건강과 환경보호 의식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갈수록 많은 사용자들이 전자 무화장치(예를 들어 전자담배를 담배의 대체품으로 사용하는 등)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자 무화장치의 시장 역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제품 품질과 생산 원가는 모두 업체가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현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제어회로(A)의 3개의 핀(즉 VDD핀, AT핀과 GND핀)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각각 배터리(S0) 및 무화기(R0)와 연결시켜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A)와 배터리(S0)(예를 들어 리튬전지)에 조립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제어회로(A)로부터 다수의 리드와이어(예를 들어 2가닥의 리드와이어)를 인출하여, 배터리 부근으로부터 관통시켜 무화기(R0)와 연결한다.
그러나, 제어회로는 PCB 면적이 작고 소자가 밀집되어 있어서, 기기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직접 본딩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수동으로 본딩해야 하며, 이는 인건비 상승을 초래해고, 또한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이 비교적 크다. 따라서,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는 생산 원가가 높고 제품의 신뢰성이 비교적 낮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중 하나는,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에 존재하는 생산 원가가 높고 제품의 신뢰성이 비교적 낮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 무화장치 및 그 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중 두 번째는,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에 회로 배선이 불합리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높지 않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채택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제어회로, 배터리모듈 및 제어 어셈블리를 외부에 설치된 무화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배터리모듈은 내부에 제1 와이어가 관통하며;
제1 인터페이스와 제어회로 중의 제1 핀은 각각 배터리모듈의 전극 양단에 연결되고, 제2 인터페이스와 제어회로 중의 제2 핀은 각각 제1 와이어의 양단에 연결되며;
그 중, 제1 핀은 무화 핀이고, 제2 핀은 전원 핀이거나; 또는 제1 핀은 전원 핀이고, 제2 핀은 무화 핀이거나; 또는 제1 핀은 접지 핀이고, 제2 핀은 무화 핀이거나; 또는 제1 핀은 무화 핀이고, 제2 핀은 접지 핀이다.
그 중, 제어회로는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무화모듈 및 첫 번째 측면의 어느 하나의 실시 가능한 방식에 따른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그 중, 제어 어셈블리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화모듈의 일단과 연결되고, 또한 제어 어셈블리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화모듈의 타단과 연결된다.
세 번째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며, 배터리모듈은 하우징, 셀 몸체 및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그 중, 셀 몸체와 제1 와이어는 하우징의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제1 와이어의 제1단 및 제2단은 각각 하우징의 상이한 측면에 설치되며; 그 중, 셀 몸체의 제1 전극단은 외부에 설치된 제어회로의 제1 핀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의 제2 전극단은 외부에 설치된 부하모듈의 일단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의 제1단은 제어회로의 제2핀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의 제2단은 부하모듈의 타단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어회로는 배터리모듈과 부하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제1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네 번째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회로, 무화모듈 및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며; 그 중, 셀 몸체의 제1 전극단은 제어회로의 제1 핀과 연결되고, 셀 몸체의 제2 전극단은 무화모듈의 일단과 연결되며; 제1 와이어의 제1단은 제어회로의 제2핀과 연결되고, 제1 와이어의 제2단은 무화모듈의 타단과 연결되며; 제어회로는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를 배터리모듈과 일체형으로 설계하여 성형하고, 그 중 제어회로의 2개의 핀을 각각 배터리모듈의 전극단 및 내장된 와이어를 통해 부하 인터페이스에 연결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무화기를 마주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에 편리하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제어회로에서 인출되는 본딩 와이어 수량을 3가닥에서 2가닥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기초로,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배선 설계를 추가적으로 최적화함으로써(예를 들어 담배 로드 내부의 긴 배선을 제거),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출원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배터리의 설계를 개선하여, 즉 배터리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하여, 전자 무화장치 중 회로 배선 설계의 최적화를 구현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 내부의 긴 배선을 감소시켜, 와이어가 배터리 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무화장치의 배터리 수명이 더욱 연장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며, 아래에 묘사된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과 도 2는 관련 기술이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 중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 중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 중의 보조기판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의 설명도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의 전자 무화장치 회로 중에서의 회로 연결관계 설명도이다.
도 26과 도 2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제어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 중의 보조기판의 설명도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연결도이다.
아래의 묘사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를 철저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해 여러 특정 시스템 구조, 기술류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기타 실시예에서도 본 출원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다른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내용이 본 출원의 내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지하는 시스템, 장치 및 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현재,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이하 "전자담배"를 예로 제시) 설계 방안에서, 배터리 및 무화기와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제어회로(제어칩 포함)에 3가닥의 연결 와이어를 본딩해야 한다. 제어회로로 제작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크기가 통상적으로 비교적 작고(예를 들어 원형 PCB의 직경은 약 4 mm ~ 8 mm 범위 이내이다), 소자가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직접 본딩할 수 없으며, 수동으로 본딩해야 한다. 여기서, 본딩해야 할 연결 와이어의 수량이 적을수록, 수동 본딩으로 야기되는 실효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 설계에 따라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면, 무화 핀(AT)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또한 부하(즉 무화기)에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회로 중의 소자(특히 제어칩)는 전체 작업 과정에서 리튬전지에 전기를 공급해야 하므로, 전원 핀(VDD)과 접지 핀(GND) 중의 어느 하나가 직접 차단되면 작동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의 표준 리튬이온 배터리에 설계된 정부극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측에서 인출되며, 즉 전체적인 회로 조립 시 다수 가닥(예를 들어 2가닥)의 본딩 와이어가 제어회로로부터 배터리 측변을 통과하여 부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전자 무화장치는 부피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배선은 리튬배터리의 크기 선택 및 회로의 전체적인 방수 등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리튬전지 설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거나 또는 흡연하는 과정에서 제어회로 중의 소자(특히 제어칩)에 정상적으로 전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제어회로의 전체 구조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으며, 예를 들어 제어칩을 개선하여, 전원 핀(VDD)과 접지 핀(GND) 중의 하나의 와이어를 생략함으로써,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칩이 2가닥의 와이어를 통해 배터리와 조립되는 상황에 대해, 배터리의 설계를 개선하여(예를 들어 배터리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함), 전자 무화장치의 담배 로드 중의 긴 배선을 제거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 어셈블리, 및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 및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제어 어셈블리 및 전자 무화장치는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하므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실시예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한다.
제1 실시예: 제어 어셈블리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의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어셈블리(100)는 제어회로(1), 배터리모듈(2) 및 어셈블리(100)와 외부에 설치된 무화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d1) 및 제2 인터페이스(d2)를 포함한다. 배터리모듈(2) 내부에 제1 와이어(W)가 관통되며, 상기 제1 와이어(W)의 양단은 각각 w1과 w2로 표시한다. 또한, 배터리모듈(2)의 2개의 전극단은 s1과 s2로 표시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도시된 내용이 명확하고 간결하도록, 본 출원의 도면(예를 들어 도 3 등)에는 배터리모듈(2)의 간단한 구조만 도식적으로 묘사하였으나, 물론, 배터리모듈(2) 내부에는 셀 몸체와 보호회로가 더 포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어셈블리(100) 중, 제1 인터페이스(d1)와 제어회로(1) 중의 제1 핀(e1)은 각각 배터리모듈(2)의 전극 양단에 연결되고, 제2 인터페이스(d2)와 제어회로(1) 중의 제2 핀(e2)은 각각 제1 와이어(W)의 양단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회로(1)는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일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핀(e1)은 접지 핀(GND)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회로(1)는 전원 핀(VDD),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을 포함하며, 관련 기술에서 3가닥의 본딩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어칩과 배터리 및 무화기를 연결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1) 중의 2개의 핀을 통해, 상기 제어회로(1)와 배터리모듈(2) 간의 연결을 구현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어셈블리(100)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제어 어셈블리(10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무화모듈과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회로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담배로드 내부의 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내부 배선이 최적화되고,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2)의 2개의 전극단(s1, s2)은 각각 배터리모듈(2)의 제1측과 제2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1 와이어(W)의 양단(w1, w2) 역시 각각 배터리모듈(2)의 상기 제1측과 제2측에 위치한다. 그 중, 상기 제1측과 제2측은 배터리모듈(2)의 반대되는 양측이다. 그 중,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은 정극단과 부극단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전극단(s2)은 부극단이다. 또는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전극단(s2)은 정극단이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전극단의 배터리모듈(2)상에서의 설치 위치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2)의 2개의 전극단은 배터리모듈(2)의 상이한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2개의 전극단은 배터리모듈(2)의 이웃한 양측 또는 반대되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더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와이어(W)의 양단의 배터리모듈(2) 중에서의 설치 위치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W)의 양단은 배터리모듈(2)의 상이한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은 배터리모듈(2)의 이웃한 양측 또는 반대되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배터리모듈 중의 전극단과 제1 와이어의 양단 사이의 상대 위치관계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도시된 배터리모듈의 구조도로서, 실제 구현 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모두 도 3을 예로 들어, 도 3을 결합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모듈(2)은 리튬전지이거나, 또는 실제 사용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른 임의의 배터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배터리모듈은 신형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가 상기 배터리모듈을 사용한 후 획득할 수 있는 유익한 효과를 분석한다.
첫 번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원래 배터리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정부극 인터페이스를 배터리 양측에서 각각 인출되도록 설치한다. 도 3을 결합해보면 알 수 있듯이, 2선 연결법을 사용 시, 배터리모듈(2)측 전극은 제어회로(1)에 연결되고 타측 전극은 부하(즉 무화기)에 연결되므로, 이러한 배터리 설계 방식으로 변경하면 담배로드 내의 본딩 와이어가 더욱 짧아질 수 있어,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짧은 선은 와이어 상의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배터리 사용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의 체험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정부극을 분리하면 이송과 보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고온으로 인한 배터리의 변형이 가져오는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 내부에 배터리를 관통하는(배터리 양측 관통) 하나의 와이어를 추가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제어회로에 연결하고, 타단을 부하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와이어를 배터리 셀 부분과 독립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련 기술 중 배터리 측변으로부터 배선하여 배터리 수납 공간이 줄고 배터리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배터리 셀 부분은 관련 기술 중의 설계와 일치할 수 있다.
배터리 내부에 하나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이러한 설계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1. 담배로드 내의 배선을 감소시켜 안전하고 전기가 절약된다. 2. 내부 배선 방식을 통해 담배로드에 수납되는 배터리 크기가 커질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3. 내부 배선 설계를 이용하여 회로의 일부 별도 기능을 구현하기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효과적이다(예를 들어 방수 설계 등).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회로(1)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이하며, 즉 제어 어셈블리(100)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하여, 제어회로(1)와 배터리모듈(2)의 회로 연결 관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어회로(1)의 일종의 구조의 경우, 제어회로(1)는 전원 핀(VDD)와 무화 핀(AT)인 2개의 핀을 통해, 배터리모듈(2)과 연결되어 제어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며; 제어회로(1)의 다른 구조의 경우, 제어회로(1)는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인 2개의 핀을 통해 배터리모듈(2)과 연결되어 제어 어셈블리(100)를 구성한다. 이하 하기의 제1 실시방식과 제2 실시방식을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 어셈블리(100)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방식
제1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1)는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을 통해 배터리모듈(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 제어회로(1) 중의 부품 및 그 연결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및 제어칩(13)을 포함하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및 스위치관(K1)을 포함하고, 전원 핀(VDD),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제어칩(13) 중의 핀이다.
그 중,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됨과 아울러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며;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 기류센서(11)의 제2단(a2)과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고;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부극은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은 전원모듈과 무화모듈을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제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전원 핀(VDD),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에서 2선(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으로 감소시켰다.
이하 도 4를 결합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신호가 각 모듈 사이에서 흐르는 방향을 분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는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류 통로가 형성된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방전 방식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가 전류 통로를 형성한 상황에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미리 충전될 필요가 있으며(예를 들어 전원모듈로 충전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3선 본딩 와이어를 2선 본딩 와이어로 감소시킨 경우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히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 중의 제어칩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에 대한 설계를 다음과 같이 최적화하였다: 제어회로에 별도의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단방향 전도성튜브(예를 들어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단방향 전도성튜브로 부트스트랩(전원공급) 루프를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한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 스위치관(K1) 및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부트스트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흡연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가 논리 컨트롤러를 향해 정상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의 전기 공급 문제를 해결하였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갖는 기타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방향 전도성 기능을 갖는 기타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다음과 같은 기술 효과를 갖는다: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을 때 회로의 도통을 구현하며, 이 상황에서 배터리모듈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에 충전하고,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방전 루프를 제한하며, 이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는 전적으로 제어칩(13)에 전기를 공급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이후 기류센서(11)는 기류 강도를 기류 강도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제1단(a1)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기류센서(11)의 제2단(a2)을 통해 흡연하는 상황에서, 기류센서(11)가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기류센서(11)는 기류의 유무 및 크기를 검출하고,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칩(13)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 중, 기류센서(11)는 마이크 스위치(microphone switch), 공압 스위치 또는 마이크 센서라 칭할 수도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는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를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는 스위치관(K1)이 일정 시간 내에 도통되는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스위치관(K1)의 듀티비란 하나의 펄스 사이클 내에서, 총 시간에 대해 도통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그 중, 상기 사전 설정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MOS)관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관(K1)은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에서, 스위치관(K1)은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온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간단히 말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사용자가 미흡연 시 개방되고, 사용자가 흡연 시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연 신호를 처리를 통해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 중의 무화선(atomization wire)이 열을 받아 담배 액상(E-liquid)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거나, 또는 N형 MOS관일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상이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연결 관계도 상이하며, 이하 각각 설명한다.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온인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소스극)으로부터 제3단(b3)(드레인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제3단(b3)은 소스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온인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드레인극)으로부터 제3단(b3)(소스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1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제어칩의 접지 핀(GND)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1)를 바탕으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어 어셈블리(100) 중의 제1 핀(e1)은 무화 핀(AT)일 수 있고, 제2 핀(e2)는 전원 핀(VDD)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이고, 제2 핀(e2)은 무화 핀(AT)일 수 있다. 이하 하기의 방식 1과 방식 2를 통해, 핀이 상이한 상황에서, 제어 어셈블리(100) 중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관계를 각각 설명한다.
방식 1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인 경우, 제1 핀(e1)(도 5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s1)과 정극단(s2)을 통해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5 중 VD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제2 인터페이스(d2)에 연결된다.
방식 2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이고, 제2 핀(e2)은 무화 핀(AT)인 경우, 제1 핀(e1)(도 6에서 VD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s1)과 부극단(s2)을 통해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6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제2 인터페이스(d2)에 연결된다.
제2 실시방식
제2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1)는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을 통해 배터리모듈(2)과 연결된다. 이하 도 7을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 제어회로(1) 중의 소자 및 그 연결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와 스위치관(K1)을 포함하며, 전원 핀(VDD),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제어칩(13) 중의 핀이다.
그 중,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과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되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은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 기류센서(11)의 제2단(a2)과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은 전원모듈과 무화모듈을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전원 핀(VDD),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에서 2선(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으로 감소시켰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제2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와 제1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의 부품은 동일하며, 다른 점은 소자 간의 연결 관계가 상이하다는데 있다. 제2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가닥의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제어칩의 전원 핀(VDD)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1)를 바탕으로, 상기 도 3에 도시된 제어 어셈블리(100) 중의 제1 핀(e1)은 접지 핀(GND)일 수 있고, 제2 핀(e2)는 무화 핀(AT)일 수 있으며; 또는,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일 수 있다. 이하 하기의 방식 3과 방식 4를 통해, 핀이 상이한 상황에서, 제어 어셈블리(100) 중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관계를 각각 설명한다.
방식 3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인 경우, 제1 핀(e1)(도 9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s1)과 정극단(s2)을 통해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8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제2 인터페이스(d2)에 연결된다.
방식 4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인 경우, 제1 핀(e1)(도 9에서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s1)과 부극단(s2)을 통해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9 중 GN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제2 인터페이스(d2)에 연결된다.
현재, 종래의 전자 무화장치는 설계상 각 부분 사이에 가요선(flexible wire)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본딩해야 함과 동시에, PCB 부분은 면적이 작기 때문에, 비교적 가는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두 가지 폐단이 수반되는데, 하나는 가늘고 짧은 와이어 본딩은 난이도가 비교적 커서 기기로는 조작을 할 수 없으며, 수동 본딩은 효율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두 번째는 가는 와이어는 등가저항값이 비교적 커,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흡연 시 발생하는 발열량이 크며, 한편으로는 회로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격렬한 발열이 본딩점을 탈락시킬 수 있어, 회로의 작동 이상, 심지어 배터리의 단락을 초래하여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보조기판을 사용하여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즉 PCB에 본딩해야 할 핀에 삽입핀을 추가하여, 와이어가 본딩된 보조기판에 연결시킨다. 또한, 본 출원은 제어회로에서 바깥으로 인출되는 와이어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켰으며, 이와 같이 하면 삽입핀이 정확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으며, 보조기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제어회로와 배터리를 조립 시의 완전한 기기 생산을 구현할 수 있어, 수동 본딩으로 야기되는 불량을 제거함과 동시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어셈블리는 보조기판(F)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기판은 제어회로(1)와 배터리모듈(2)을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기판(F)은 제1 본딩패드(f1) 및 제2 본딩패드(f2)를 포함한다.
그 중, 제1 핀(e1)은 제1 본딩패드(f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본딩패드(f1)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정극단 또는 부극단)에 연결된다. 제2 핀(e2)은 제2 본딩패드(f2)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본딩패드(f2)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제1 와이어(W)의 일단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딩패드(f1)에는 제1 핀(e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홀(g1)을 포함한다. 제2 본딩패드(f2)는 제2 핀(e2)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홀(g2)을 포함한다.
그 중, 보조기판(F) 중의 2개의 원형 홀(g1과 g2)은 제어회로(1) 중 인출해야 할 핀(예를 들어 접지핀(GND)과 무화핀(AT))과 대응된다. 제1 본딩패드(f1)와 제2 본딩패드(f2)는 직접 가압본딩 방식을 통해 배터리모듈의 대응되는 측과 함께 연결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가압본딩 면적은 본딩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본딩점에 수반되는 기생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설계를 통해,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 사이를 단선(short wire)으로 연결할 필요가 전혀 없고, 이와 동시에 완전한 기계 생산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의 일체화 설계를 통해 성형되며, 그 중 제어회로의 2개의 핀을 각각 배터리모듈의 전극단 및 내장된 와이어를 통해 부하 인터페이스에 연결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무화기와 마주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에 편리하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제어회로에서 인출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기초로, 더 나아가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배선의 설계를 최적화(예를 들어 담배로드 내부의 긴 배선 제거)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예: 전자 무화장치
도 3을 결합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제어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무화모듈(3)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제어 어셈블리(100)는 제1 인터페이스(d1)를 통해 무화모듈(3)의 일단(h1)과 연결되고, 제어 어셈블리(100)는 제2 인터페이스(d2)를 통해 무화모듈(3)의 타단(h2)과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는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담배와 같은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고, 흡입형 에너지바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 임의의 가능한 전자 무화장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전자 무화장치는 전자담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모듈(3)(카트리지 또는 무화기(atomizer)라고도 칭할 수 있음)은 무화선(부하 전열선이라고도 칭함)과 담배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며,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모듈(3)은 2개의 접점(즉 h1과 h2)을 포함하고, 제어 어셈블리(100) 역시 2개의 접점(즉 d1과 d2)을 포함하며, 각 접점을 자력으로 흡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무화모듈(3)을 제어 어셈블리(100)에 조립하여 회로의 완전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즉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이 도통하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이하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가능한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가능한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12는 도 5를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드레인극(D)으로부터 소스극(S)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13은 도 6을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소스극(S)으로부터 드레인극(D)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14는 도 8을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드레인극(D)으로부터 소스극(S)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15는 도 9를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소스극(S)으로부터 드레인극(D)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이하 도 15를 결합하여,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이 상기 제어회로(1)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과정을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1) 사용자가 미흡연 상태에서, 배터리모듈92)의 정극은 무화모듈(3)과 제어회로(1) 중의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를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부 극판에 연결되고,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하부 극판은 배터리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어, 배터리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한다. 그 중,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압차는 배터리모듈(2)의 전압값과 거의 같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이 경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도선 역할을 하여 담배 액상을 무화시키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센서(11) 상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의 흡연 동작 명령에 대기한다.
(2) 사용자가 흡연 시, 기류센서(11)는 기류를 검출하여, 이를 레벨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칩(13) 내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달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이 발열하기 시작하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무화 효과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논리 컨트롤러(M1)는 사용자가 흡연하는 힘에 따라 PWM 조절 방식을 통해 무화선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비록 이때 배터리모듈(2)이 계속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없으나, 다이오드(D1)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관(K1)이 폐쇄된 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위차가 여전히 배터리의 전압과 같으며, 이때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배터리모듈(2)을 대신하여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여, 흡연 과정 중 논리 컨트롤러(M1)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스위치관(K1)이 개방되며, 이때 배터리모듈(2)은 다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며, 이러한 충전 과정은 매우 신속하여, 설사 사용자가 두 번 흡연 동작을 하는 시간 간격이 짧더라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충전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칩의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전원 공급 및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전자 무화장치는 하우징 및 전기제어기판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상기 제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전기제어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제어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다.
현재,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이하 전자담배를 예로 든다) 설계 방안에서는,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전지)와 무화기를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어회로(제어칩 포함)에 3가닥의 연결 와이어를 본딩해야 한다. 도 1과 도 2를 결합하면, 현재의 표준 리튬전지에 설계된 정부극 포트가 동일한 측에서 인출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회로 조립 시 다수(예를 들어 2선)의 본딩와이어가 제어회로로부터 배터리 측변을 관통하여 부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전자 무화장치는 부피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배선이 리튬배터리의 크기 선택 및 회로의 전체적인 방수 등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딩 와이어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기초로, 종래의 리튬배터리의 설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미흡연 및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제어회로 중의 소자(특히 제어칩)에 정상적으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전자 무화장치 회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즉 전원 핀(VDD)과 접지 핀(GND) 중의 하나의 와이어를 생략하여 본딩 와이어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켰다. 이를 기초로, 본 출원은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한 상황에서, 배터리의 설계를 개선하여(예를 들어 배터리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 전자 무화장치 중의 배선을 감소시켜, 배터리 측변으로부터 관통되는 와이어가 배터리에 미치는 영향을 방지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출원이 제공하는 배터리모듈 및 상기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배터리 모듈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의 회로도이고, 도 1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모듈(2)은 하우징(H), 셀 몸체(S) 및 제1 와이어(W)를 포함한다. 셀 몸체(S)은 정, 부극을 포함하는 단일한 화학전지(electrochemical cell)일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배터리모듈(2) 내부는 보호회로와 같은 기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그 중, 셀 몸체(S)와 제1 와이어(W)는 하우징(H) 내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과 제2단(w2)은 각각 하우징(H)의 상이한 측면에 설치된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W)의 제1단(w1)과 제2단(w2)은 각각 하우징(H)의 이웃한 두 측면에 설치된다.
다른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W)의 제1단(w1)과 제2단(w2)은 각각 하우징(H)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설치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 중 제1 와이어가 하나의 와이어인 것을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하며, 실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모듈에 하나의 와이어를 설치하는 방안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모듈에 다수의 와이어를 설치하는 방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가 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 중의 배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배터리모듈 외부로부터 배선되어 배터리모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리튬전지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배터리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제2 전극단(s2)은 각각 하우징(H)의 상이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제2 전극단(s2)은 각각 하우징(H)의 이웃한 2개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제2 전극단(s2)은 각각 하우징(H)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중, 배터리모듈(2)의 제1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제2 전극단(s2)은 부극단이다. 또는, 배터리모듈(2)의 제1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제2 전극단(s2)은 정극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의 정부극 포트를 양측에서 인출되는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 내의 본딩 와이어가 더욱 짧아지게 되어,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비교적 짧은 와이어는 와이어 상의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의 체험이 개선된다. 이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모두 제1 측면에 설치되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과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모두 제2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하우징(H)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이다.
이하 도 20에 도시된 배터리모듈 구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과 외부에 설치된 제어회로 및 부하모듈 사이의 회로 연결 관계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도 20을 결합해보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외부에 설치된 제어회로(1)의 제1 핀(e1)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부하모듈의 일단(h1)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상기 제어회로(1)의 제2핀(e2)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부하모듈의 타단(h2)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회로(1)는 배터리모듈(2)과 부하모듈(3)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제1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하모듈은 제1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모듈은 무화기일 수 있고, 제1 기능은 전자 무화 기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부하모듈은 타이머일 수 있고, 제1 기능은 손목시계 기능일 수 있다. 부하모듈과 제1 기능은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개선된 배터리모듈을 제공하며, 상기 배터리모듈(예를 들어 리튬전지) 내부에 셀 몸체와 연결 관계가 없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내부 배선을 추가함으로써, 내부 배선을 최적화하였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을 응용할 수 있는 경우는 다음 상황을 포함하되,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품의 부피가 작고,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하며, 배터리의 용량(및 제품의 사용시간)에 대한 강한 수요가 있는 경우. 2. 제품의 부피가 작고, 설계 시 배터리의 양측에 모두 소자가 있으며 와이어가 배터리를 관통하여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3. 회로의 부피가 제한적이어서, 직경이 큰 와이어로 본딩할 수 없으나, 실제 사용 시 대전류가 지나는 경우.
이하 예를 드는 방식을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의 구체적인 응용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황 1: 상기 배터리모듈은 전자 무화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그 중,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전자담배와 같이, 담배를 가열하는 무화장치일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흡입형 에너지바, 또는 기타 임의의 가능한 전자 무화장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전자담배 무화장치는 종래의 전자담배 제품일 수 있고(즉, 제어칩이 3가닥의 와이어를 통해 배터리 및 무화기와 연결된다), 개선 후의 전자담배 제품일 수도 있다(즉, 제어칩이 2가닥의 와이어를 통해 배터리 및 무화기와 연결된다).
상황 2: 상기 배터리모듈은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를 예로 들면, 스마트 워치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1) 제품의 부피가 제한적이고,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의 용량이 직접 사용시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 중의 하나이다. (2) 충전기와 심박센서가 통상적으로 시계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와 인터랙션이 시계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손잡이의 제어칩(즉 메인제어기판)이 배터리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지 막론하고, 배터리 측변에서 상응하는 주변 소자까지 통과하는 본딩 와이어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의 설계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 설계를 채택하여, 배터리에 하나(또는 다수)의 배선을 추가할 경우,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출 수 있다. 즉 제품의 배선 배치가 최적화되어 신뢰성과 미관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가능한 배터리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어 대기 및 사용시간이 증가한다.
상황 3: 상기 배터리모듈은 무선 스마트(True Wireless Stereo, TWS) 이어폰에 응용될 수 있다.
TWS 이어폰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 설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TWS 이어폰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1) 제품의 부피가 제한적이고,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하며, 또한 배터리의 용량이 직접 사용시간을 결정한다. (2) 이어폰의 충전과 유도 소자가 하부에 있고, 파워앰프 부분이 상단에 있기 때문에, 이어폰의 제어칩(즉 메인 제어기판)이 배터리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지 막론하고, 모두 배터리 측변에서 상응하는 주변 소자까지 통과하는 본딩 와이어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TWS 이어폰 설계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 설계를 채택하여, 배터리에 하나(또는 다수)의 배선을 추가할 경우,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출 수 있다. 즉 제품의 배선 배치가 최적화되어 신뢰성과 미관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 가능한 배터리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어 대기 및 사용시간이 증가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은 전자 무화장치에 응용되며, 상기 부하모듈(3)은 무화모듈일 수 있고, 제1 기능은 전자 무화 기능이다. 그 중, 제어회로(1)는 검출된 기류 강도 신호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은 기타 전자제품(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TWS 이어폰)에도 응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배터리모듈을 전자 무화장치에 응용한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정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일 수 있다.
도 22를 결합해보면, 셀 몸체(S)의 부극단(s1)은 제어회로(1)의 무화 핀(AT)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S)의 정극단(s2)은 무화모듈의 일단(h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제어회로(1)의 전원 핀(VDD)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무화모듈의 타단(h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부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일 수 있다.
도 23을 결합해보면, 셀 몸체(S)의 정극단(s1)은 제어회로(1)의 전원 핀(VDD)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S)의 부극단(s2)은 무화모듈의 일단(h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제어회로(1)의 무화 핀(AT)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무화모듈의 타단(h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정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접지 핀(GND)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일 수 있다.
도 24를 결합해보면, 셀 몸체(S)의 부극단(s1)은 제어회로(1)의 접지 핀(GND)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S)의 정극단(s2)은 무화모듈의 일단(h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제어회로(1)의 무화 핀(AT)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무화모듈의 타단(h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부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일 수 있고, 상기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일 수 있다.
도 25를 결합해보면, 셀 몸체(S)의 정극단(s1)은 제어회로(1)의 무화 핀(AT)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셀 몸체(S)의 부극단(s2)은 무화모듈의 일단(h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제어회로(1)의 접지 핀(GND)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무화모듈의 타단(h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 중, 배터리모듈(2)과 제어회로(1)의 회로 연결관계는 상이하고, 제어회로(1)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하다. 이하 하기의 제1 실시방식과 제2 실시방식을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터리모듈(2)과 제어회로(1)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방식
제1 실시방식에서,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의 전원 핀(VDD) 및 무화 핀(AT)을 통해 제어회로(1)와 연결된다. 이하 도 26을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 제어회로(1) 중의 부품 및 그 연결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및 제어칩(13)을 포함하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및 스위치관(K1)을 포함하고, 전원 핀(VDD),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제어칩(13) 중의 핀이다.
그 중,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과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며;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 기류센서(11)의 제2단(a2)과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고;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부극은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은 전원모듈과 무화모듈을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제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전원 핀(VDD),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에서 2선(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으로 감소시켰다.
이하 도 26를 결합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신호가 각 모듈 사이에서 흐르는 방향을 분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는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류 통로가 형성된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방전 방식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가 전류 통로를 형성한 상황에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미리 충전될 필요가 있으며(예를 들어 전원모듈로 충전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3선 연결 와이어를 2선 연결 와이어로 감소시킨 경우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히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 중의 제어칩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에 대한 설계를 다음과 같이 최적화하였다: 제어회로에 별도의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단방향 전도성튜브(예를 들어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단방향 전도성튜브로 부트스트랩(전원공급) 루프를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한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 스위치관(K1) 및 단방향 전도성튜브(D1) 역시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부트스트립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흡연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가 논리 컨트롤러를 향해 정상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보장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의 전기 공급 문제를 해결하였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갖는 기타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방향 전도성 기능을 갖는 기타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튜브(D1)는 다음과 같은 기술 효과를 갖는다: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을 때 회로의 도통을 구현하여, 이 상황에서 배터리모듈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고,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방전 루프를 제한하여, 이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는 전적으로 제어칩(13)에 전기를 공급한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이후 기류센서(11)는 기류 강도를 기류 강도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제1단(a1)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기류센서(11)의 제2단(a2)을 통해 흡연하는 상황에서, 기류센서(11)가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기류센서(11)는 기류의 유무 및 크기를 검출하고,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칩(13)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 중, 기류센서(11)는 마이크 스위치(microphone switch), 공압 스위치 또는 마이크 센서라 칭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6을 참조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상기 온/오프 상태는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를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는 스위치관(K1)이 일정 시간 내에 도통되는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스위치관(K1)의 듀티비란 하나의 펄스 사이클 내에서, 총 시간에 대해 도통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도통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그 중, 상기 사전 설정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MOS)관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관(K1)은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에서, 스위치관(K1)은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온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간단히 말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사용자가 미흡연 시 개방되고, 사용자가 흡연 시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연 신호를 처리를 통해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 중의 무화선(atomization wire)이 열을 받아 담배 액상(E-liquid)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거나, 또는 N형 MOS관일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상이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연결 관계도 상이하며, 이하 각각 설명한다.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폐쇄된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소스극)으로부터 제3단(b3)(드레인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제3단(b3)은 소스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온인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드레인극)으로부터 제3단(b3)(소스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제1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제어칩의 접지 핀(GND)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1)를 바탕으로, 하기의 방식 1과 방식 2를 통해, 핀이 상이한 경우 배터리모듈(2)과 상기 제어회로(1)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관계를 각각 설명한다.
방식 1에서,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인 경우, 제1 핀(e1)(도 22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s1)과 정극단(s2)을 통해 무화모듈의 일단(h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22 중 VD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무화모듈의 타단(h2)에 연결된다.
방식 2에서,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이고, 제2 핀(e2)은 무화 핀(AT)인 경우, 제1 핀(e1)(도 23에서 VD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s1)과 부극단(s2)을 통해 무화모듈의 제1단(h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23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무화모듈의 타단(h2)에 연결된다.
제2 실시방식
제2 실시방식에서,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 중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을 통해 제어회로(1)와 연결된다. 이하 도 27을 결합하여, 이러한 경우 제어회로(1) 중의 부품 및 그 연결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와 스위치관(K1)을 포함하며, 전원 핀(VDD),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제어칩(13) 중의 핀이다.
그 중,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과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되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은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 기류센서(11)의 제2단(a2)과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은 전원모듈과 무화모듈을 연결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전원 핀(VDD),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에서 2선(접지 핀(GND)과 무화 핀(AT))으로 감소시켰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제2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와 제1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의 부품은 동일하며, 다른 점은 부품 간의 연결 관계가 상이하다는데 있다. 제2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실시방식 중의 제어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방식에서,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제어칩의 전원 핀(VDD)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딩으로 인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오작동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1)를 바탕으로, 이하 하기의 방식 3과 방식 4를 통해, 핀이 상이한 상황에서, 배터리모듈(2)과 제어회로(1)의 구체적인 회로 연결관계를 각각 설명한다.
방식 3에서, 도 24를 참조하면, 제1 핀(e1)은 접지 핀(GND)이고, 제2 핀(e2)은 무화 핀(AT)인 경우, 제1 핀(e1)(도 24 중 GN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s1)과 정극단(s2)을 통해 무화모듈의 일단(h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24 중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무화모듈의 타단(h2)에 연결된다.
방식 4에서, 도 25를 참조하면,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인 경우, 제1 핀(e1)(도 25에서 AT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s1)과 부극단(s2)을 통해 무화모듈의 일단(h1)에 연결되고; 제2 핀(e2)(도 25 중 GND로 표시)은 순차적으로 제1 와이어(W)의 양단(w1과 w2)을 통해 무화모듈의 타단(h2)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채택한 배터리모듈은 신형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비하며,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가 상기 배터리모듈을 채택한 후 획득되는 유익한 효과를 분석한다.
첫 번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배터리 내부에 배터리를 관통하는(배터리 양측 관통) 하나의 와이어를 추가하여,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제어회로에 연결하고, 타단을 무화기 부하에 연결하며, 또한 상기 와이어를 배터리 셀 부분과 독립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련 기술 중 배터리 측변으로부터 배선하여 배터리 수납 공간이 줄어들게 만들고 배터리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배터리 셀 부분은 관련 기술 중의 설계와 일치할 수 있다.
배터리 내부에 하나의 와이어가 관통하는 이러한 설계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자 무화장치 내의 배선을 감소시켜 안전하고 전기가 절약된다. 그 다음, 내부 배선 방식을 통해 전자 무화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 크기가 커질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이 더욱 길어진다. 또한, 내부 배선 설계를 이용하여 회로의 일부 별도 기능을 구현하기가 더욱 편리하고 더욱 효과적이다(예를 들어 방수 설계 등).
두 번째, 본 출원의 실시예는 원래 배터리의 동일한 측의 정부극 인터페이스를 배터리 양측에서 각각 인출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배터리 설계 방식을 통해 전자 무화장치 내의 본딩 와이어가 더욱 짧아질 수 있어,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짧은 와이어는 와이어 상의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배터리 사용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의 체험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정부극을 분리하면 이송과 보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 과정에서 고온으로 인한 배터리의 변형이 가져오는 단락의 위험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제어회로에서 인출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는 것을 기초로, 더 나아가 배터리 내부에 관통되는 와이어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 중의 회로 배선 설계를 최적화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 내부의 긴 배선을 생략하여,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전자 무화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배터리의 크기가 더욱 커질 수 있어, 배터리 수명이 더욱 연장되며, 이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전자 무화장치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회로(1), 무화모듈(3) 및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배터리모듈(2)을 포함한다.
그 중,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제어회로(1)의 제1 핀(e1)과 연결되고,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무화모듈(3)의 일단(h1)과 연결되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제어회로(1)의 제2 핀(e2)과 연결되고,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무화모듈(3)의 타단(h2)과 연결된다. 제어회로(1)는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전자 무화장치 중 배터리모듈(2)과 제어회로(1) 및 무화모듈(3) 사이의 연결관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실시예 중 배터리모듈과 제어회로 및 무화모듈 간의 연결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는 예를 들어 전자담배와 같은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흡입형 에너지바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 임의의 가능한 전자 무화장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필요에 따라 결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전자 무화장치는 전자담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모듈(3)(카트리지 또는 무화기(atomizer)라고도 칭할 수 있음)은 무화선(부하 전열선이라고도 칭함)과 담배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며,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 사이는 접촉점 자력흡착 방식으로 조립하여, 회로의 완전한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사용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방식으로 조립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현재, 종래의 전자 무화장치는 설계상 각 부분 사이에 가요선(flexible wire)을 사용하여 선을 연결해야 함과 동시에, PCB 부분은 면적이 작기 때문에, 비교적 가는 본딩 와이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2가지 폐단이 수반되는데, 하나는 가늘고 짧은 와이어 본딩은 난이도가 비교적 커서 기기로는 조작을 할 수 없으며, 수동 본딩은 효율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두 번째는 가는 와이어는 등가저항값이 비교적 커,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흡연 시 발생하는 발열량이 크며, 한편으로는 회로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격렬한 발열이 본딩점을 탈락시킬 수 있어, 회로의 작동 이상, 심지어 배터리의 단락을 초래하여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보조기판을 사용하여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즉 PCB에 본딩해야 할 핀에 헤더를 추가하여, 와이어가 본딩된 보조기판에 연결시킨다. 또한, 본 출원은 제어회로에서 바깥으로 인출되는 와이어 수량을 3개에서 2개로 감소시켰으며, 이와 같이 하면 헤더가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시킬 수 있으며, 보조기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제어회로와 배터리를 조립 시의 완전한 기기 생산을 구현할 수 있어, 수동 본딩으로 야기되는 불량을 제거함과 동시에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는 보조기판(F)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기판은 제어회로(1)와 배터리모듈(2)을 함께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기판(F)은 제1 본딩패드(f1) 및 제2 본딩패드(f2)를 포함한다. 그 중, 제1 핀(e1)은 제1 본딩패드(f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본딩패드(f1)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정극단 또는 부극단)에 연결된다. 제2 핀(e2)은 제2 본딩패드(f2)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본딩패드(f2)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제1 와이어(W)의 일단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딩패드(f1)는 제1 핀(e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홀(g1)을 포함하고, 제2 본딩패드(f2)는 제2 핀(e2)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홀(g2)을 포함한다. 그 중, 보조기판(F) 중의 2개의 원형 홀(g1과 g2)은 제어회로(1) 중 인출해야 할 핀(예를 들어 접지핀(GND)과 무화핀(AT))과 대응된다. 제1 본딩패드(f1)와 제2 본딩패드(f2)는 직접 가압본딩 방식을 통해 배터리모듈의 대응되는 측과 함께 연결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가압본딩 면적은 본딩점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본딩점에 수반되는 기생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설계를 통해,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 사이를 단선(short wire)으로 연결할 필요가 전혀 없고, 이와 동시에 완전한 기계 생산을 구현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즉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이 도통하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이하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가능한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가능한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30은 도 22를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드레인극(D)으로부터 소스극(S)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31은 도 23을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소스극(S)으로부터 드레인극(D)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32는 도 24를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드레인극(D)으로부터 소스극(S)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33은 도 25를 결합하여 도시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스위치관(K1)이 도통된 상황에서(이때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소스극(S)으로부터 드레인극(D)으로 흐르도록 허용한다),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할 때, 무화선이 발열하고,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이하 도 33을 결합하여,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이 상기 제어회로(1)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과정을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1) 사용자가 미흡연 상태에서, 배터리모듈(2)의 정극은 무화모듈(3)과 제어회로(1) 중의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를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부 극판에 연결되고,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하부 극판은 배터리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어, 배터리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한다. 그 중,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압차는 배터리모듈(2)의 전압값과 거의 같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이 경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도선 역할을 하여 담배 액상을 무화시키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센서(11) 상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의 흡연 동작 명령을 대기한다.
(2) 사용자가 흡연 시, 기류센서(11)는 기류를 검출하여, 이를 레벨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칩(13) 내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달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폐쇄(on)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이 발열하기 시작하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무화 효과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논리 컨트롤러(M1)는 사용자가 흡연하는 힘에 따라 PWM 조절 방식을 통해 무화선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비록 이때 배터리모듈(2)이 계속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없으나, 다이오드(D1)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관(K1)이 폐쇄된 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위차가 여전히 배터리의 전압과 같으며, 이때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배터리모듈(2)을 대신하여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여, 흡연 과정 중 논리 컨트롤러(M1)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스위치관(K1)이 개방되며, 이때 배터리모듈(2)은 다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며, 이러한 충전 과정은 매우 신속하여, 설사 사용자가 두 번 흡연 동작을 하는 시간 간격이 짧더라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충전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칩의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전원 공급 및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계가 개선된 배터리(즉 배터리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한다)에 대해, 전자 무화장치 중의 회로배선의 최적화 설계를 구현하는 방식을 통해, 전자 무화장치 내부의 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와이어가 배터리 측변을 관통하여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무화장치 내부에 용량이 비교적 큰 배터리를 수납할 수도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더욱 연장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배터리 구조는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계가 개선된 배터리(즉 배터리 내부에 와이어를 설치한다)에 대해, 전자 무화장치 중의 회로배선의 최적화 설계를 구현하는 방식을 통해, 전자 무화장치 내부의 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와이어가 배터리 측변을 관통하여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무화장치 내부에 용량이 비교적 큰 배터리를 수납할 수도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더욱 연장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배터리 구조는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라면, 본문에 공개된 실시예를 결합하여 기재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든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되든,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의 구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게시된 장치/전자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전자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도식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의 구분에 불과하여, 실제 구현 시에는 별도의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 가능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생략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토론된 상호 간의 결합은 직접 결합이거나 또는 통신 연결은 약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로써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인 분리가 이날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 역시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 시, "포함"이라는 용어는 설명하는 특징, 전체, 단계, 조작, 요소 및/또는 어셈블리의 존재를 나타내나, 단 하나 또는 다수의 기타 특징, 전체, 단계, 조작, 요소, 어셈블리 및/또는 이들의 집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되어 열거되는 항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이면서 이러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만약"이라는 용어는 상하 문장을 근거로"~인 경우" 또는 "일단" 또는 "결정에 응하여" 또는 "검출에 응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이] "만약 결정되었다면" 또는 "만약 검출되었다면"이라는 단문은 상하 문장을 근거로 "일단 결정되면" 또는 "결정에 응하여" 또는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이] 일단 검출되면"또는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의 검출에 응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의 묘사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구분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 묘사된 "일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 등은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결합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 중의 각기 다른 곳에 출현하는 "일 실시예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등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참조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방식으로 별도로 특별히 강조하지 않는 한,"하나 또는 다수이되, 단 전부는 아닌 실시예"를 의미한다. "포함", "갖는다" 및 이들의 변형은 모두 기타 방식으로 별도로 특별히 강조하지 않는 한, "포함하되, 단 한정되지 않는다"를 의미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비록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는 여전히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는 상응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제어 어셈블리(100)로서,
    제어회로(1), 배터리모듈(2) 및 어셈블리(100)와 외부에 설치된 무화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d1) 및 제2 인터페이스(d2)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모듈(2) 내부에 제1 와이어(W)가 관통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d1)와 상기 제어회로(1) 중의 제1 핀(e1)은 각각 상기 배터리모듈(2)의 전극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d2)와 상기 제어회로(1) 중의 제2 핀(e2)은 각각 상기 제1 와이어(W)의 양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전원 핀(VDD)이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2 핀(e2)은 무화 핀(AT)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접지 핀(G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2)의 2개의 전극단(s1, s2)은 각각 상기 배터리모듈(2)의 제1측과 제2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와이어(W)의 양단은 각각 배터리모듈(2)의 상기 제1측과 제2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1측과 제2측은 상기 배터리모듈(2)의 반대되는 양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어셈블리(100)는 보조기판(F)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기판(F)은 제1 본딩패드(f1) 및 제2 본딩패드(f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제1 본딩패드(f1)에 연결되고, 상기 상기 제1 본딩패드(f1)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상기 배터리모듈(2)의 전극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제2 본딩패드(f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본딩패드(f2)는 가압본딩 방식으로 상기 제1 와이어(W)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패드(f1)는 상기 제1 핀(e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홀(g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딩패드(f2)는 상기 제2 핀(e2)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홀(g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스위치관(K1), 상기 전원 핀(VDD), 상기 무화 핀(AT) 및 상기 접지 핀(GND)을 포함하되;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부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전원 핀(VDD)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전원 핀(VD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전원 핀(VDD)인 경우, 상기 제1핀(e1)은 순차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과 정극단을 통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전원 핀(VD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인 경우, 상기 제1핀(e1)은 순차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과 부극단을 통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스위치관(K1), 상기 전원 핀(VDD), 상기 무화 핀(AT) 및 상기 접지 핀(GND)을 포함하되;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접지 핀(G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인 경우, 상기 제1핀(e1)은 순차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2)의 부극단과 정극단을 통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접지 핀(GND)인 경우, 상기 제1핀(e1)은 순차적으로 상기 배터리모듈(2)의 정극단과 부극단을 통해 상기 제1 인터페이스(d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9. 제5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은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소스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상기 제어칩(13)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제1단(a1)을 통해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로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상기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도통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어셈블리.
  11. 전자 무화장치로서,
    무화모듈(3)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어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어셈블리(100)는 제1 인터페이스(d1)를 통해 상기 무화모듈(3)의 일단(h1)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어 어셈블리(100)는 제2 인터페이스(d2)를 통해 상기 무화모듈(3)의 타단(h2)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2. 배터리모듈(2)로서,
    상기 배터리모듈(2)은 하우징(H), 셀 몸체(S)와 제1 와이어(W)를 포함하되; 상기 셀 몸체(S)와 상기 제1 와이어(W)는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독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과 제2단(w2)는 각각 상기 하우징(H)의 상이한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외부에 설치된 제어회로(1)의 제1 핀(e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외부에 설치된 부하모듈(3)의 일단(h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상기 제어회로(1)의 제2핀(e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상기 부하모듈(3)의 타단(h2)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어회로(1)는 상기 배터리모듈(2)과 상기 부하모듈(3)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제1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과 제2단(w2)이 각각 상기 하우징(H)의 마주보는 2개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제2 전극단(s2)이 각각 상기 하우징(H)의 상이한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과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모두 제1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과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모두 제2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하우징(H)의 마주보는 2개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모듈(3)은 무화모듈이고, 상기 제1 기능은 전자 무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정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전원 핀(VDD)이며;
    또는,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부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전원 핀(VD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이며;
    또는,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부극단이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정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이며;
    또는,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정극단이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부극단인 경우,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접지 핀(G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전원 핀(VDD)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전원 핀(VD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스위치관(K1), 상기 전원 핀(VDD), 상기 무화 핀(AT) 및 상기 접지 핀(GND)을 포함하되;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부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e1)은 상기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무화 핀(AT)이거나; 또는, 상기 제1 핀(e1)은 상기 무화 핀(AT)이고, 상기 제2 핀(e2)은 상기 접지 핀(GND)이고;
    상기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튜브(D1), 스위치관(K1), 상기 전원 핀(VDD), 상기 무화 핀(AT) 및 상기 접지 핀(GND)을 포함하되;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어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전도성튜브(D1)의 정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20. 전자 무화장치로서,
    제어회로(1), 무화모듈(3) 및 제12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배터리모듈(2)을 포함하되;
    상기 셀 몸체(S)의 제1 전극단(s1)은 제어회로(1)의 제1 핀(e1)과 연결되고, 상기 셀 몸체(S)의 제2 전극단(s2)은 무화모듈(3)의 일단(h1)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1단(w1)은 상기 제어회로(1)의 제2핀(e2)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W)의 제2단(w2)은 상기 무화모듈(3)의 타단(h2)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회로(1)는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제1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KR1020217004130A 2020-05-30 2020-10-30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KR102501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964930.XU CN212366869U (zh) 2020-05-30 2020-05-30 电池模块及电子雾化装置
CN202010482443.4A CN111528527B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组件
CN202010482555.X 2020-05-30
CN202020964930.X 2020-05-30
CN202020964381.6U CN213587426U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组件
CN202010482443.4 2020-05-30
CN202010482555.XA CN111614142A (zh) 2020-05-30 2020-05-30 电池模块及电子雾化装置
CN202020964381.6 2020-05-30
PCT/CN2020/125343 WO2021243943A1 (zh) 2020-05-30 2020-10-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组件和电池模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768A true KR20210151768A (ko) 2021-12-14
KR102501323B1 KR102501323B1 (ko) 2023-02-17

Family

ID=7883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30A KR102501323B1 (ko) 2020-05-30 2020-10-30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0240A1 (ko)
EP (1) EP4104692A4 (ko)
JP (1) JP7209807B2 (ko)
KR (1) KR102501323B1 (ko)
WO (1) WO202124394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18789U (zh) * 2014-01-26 2014-06-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及一种电子烟
CN206453240U (zh) * 2016-12-09 2017-09-01 深圳市基克纳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电池盒
JP2019071363A (ja) * 2017-10-10 2019-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0544B2 (ja) * 2011-11-23 2015-05-2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JP2015500647A (ja) * 2011-12-18 2015-01-08 エスアイエス・リソーシズ・リミテッド 充電式電子タバコ
US9060388B2 (en) * 2012-06-04 2015-06-16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circuit
US9538788B2 (en) * 2013-03-15 2017-01-10 Vapor Corp. Electronic cigarette
RU2620951C1 (ru) * 2013-06-07 2017-05-30 КИМРИ ХАЙ-ТЕК ИНК., Британские Виргинские Острова Электронная сигарета
US11901747B2 (en) * 2013-07-23 2024-02-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Charger for an electronic cigarette
WO2015190810A1 (ko) * 2014-06-09 2015-12-17 황일영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CN104116139A (zh) * 2014-06-26 2014-10-29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CN209882115U (zh) * 2018-12-04 2019-12-31 歌尔股份有限公司 电子烟电路和电子烟
CN111528527B (zh) * 2020-05-30 2021-07-02 杭州尚格半导体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组件
CN111614142A (zh) * 2020-05-30 2020-09-01 杭州尚格半导体有限公司 电池模块及电子雾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18789U (zh) * 2014-01-26 2014-06-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及一种电子烟
CN206453240U (zh) * 2016-12-09 2017-09-01 深圳市基克纳科技有限公司 电子烟及电池盒
JP2019071363A (ja) * 2017-10-10 2019-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323B1 (ko) 2023-02-17
WO2021243943A1 (zh) 2021-12-09
EP4104692A1 (en) 2022-12-21
US20230070240A1 (en) 2023-03-09
JP7209807B2 (ja) 2023-01-20
JP2022539484A (ja) 2022-09-12
EP4104692A4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324B1 (ko)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CN206349421U (zh) 电池仓及电子烟
CN209028159U (zh) 电池接入状态检测电路及连接器
KR102501323B1 (ko)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CN109586396A (zh) 一种支持双电源供电的电源管理供电装置
CN201369706Y (zh) 网络滤波器
CN208078224U (zh) 玻璃绝缘子连接器及电子设备
CN111614142A (zh) 电池模块及电子雾化装置
CN111528527B (zh)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组件
CN205985538U (zh) 一种模块化智能插座
CN109449360A (zh) 软包装锂离子蓄电池串联连接的电池同向排列组装方法
JP2012504845A (ja) セル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の電圧センシングのための接触パッド及びセル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CN207010975U (zh) 一种助听器
CN208674951U (zh) 一种低压差电池切换电路
US20060292419A1 (en) Secondary cell device having connection interface
CN205865982U (zh) 供电装置及具有该供电装置的电子烟
CN203913389U (zh) 用于电子烟的灯罩模块以及供电组件
CN213522535U (zh) 电池保护板结构
CN216387777U (zh) 一种互动墙控制电路
CN213365708U (zh) 消防火灾报警联动电源系统
CN109792032A (zh) 二次电池
CN201131042Y (zh) 麦克风导电连接板
CN220858438U (zh) 一种加热组件及电热杯
CN203733865U (zh) 用于电子香烟的电池组件以及电子香烟
CN220401451U (zh) 具备内部pcb堆叠式结构的紧凑型充电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