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324B1 -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324B1
KR102501324B1 KR1020217004131A KR20217004131A KR102501324B1 KR 102501324 B1 KR102501324 B1 KR 102501324B1 KR 1020217004131 A KR1020217004131 A KR 1020217004131A KR 20217004131 A KR20217004131 A KR 20217004131A KR 102501324 B1 KR102501324 B1 KR 10250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atomization
pin
logic controll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769A (ko
Inventor
메이팡 마
Original Assignee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964588.3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34529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82619.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58809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962295.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34529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82441.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557475A/zh
Application filed by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항저우 선갓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5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6Arrangements in which a continuous pulse train is transformed into a train having a desired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회로는 기류센서,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제어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은 논리 컨트롤러, 단방향 도전성 튜브 및 스위치관, 전원 핀, 무화 핀과 접지 핀을 포함하며; 논리 컨트롤러는 기류센서의 제1단에 연결되어 스위치관의 제1단에 연결되고; 전원 핀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1단 및 스위치관의 제2단에 연결되며; 및 접지 핀을 통해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정극, 기류센서의 제2단 및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2단에 연결되고;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부극은 무화 핀을 통해 스위치관의 제3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핀과 무화 핀은 외부에 설치된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482619.6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와 제어방법"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20964588.3이고, 고안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10482441.5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와 제어방법"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 및 2020년 5월 30일 중국 특허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020962295.1이고, 고안의 명칭이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구하며, 전체 내용을 인용을 통해 본 출원에 결합시켰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전자 무화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건강과 환경보호 의식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갈수록 많은 사용자들이 전자 무화장치(예를 들어 전자담배를 담배의 대체품으로 사용하는 등)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자 무화장치의 시장 역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치열한 시장 경쟁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제품 품질과 생산 원가는 모두 업체가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현재, 전자 무화장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칩 설계 생산업체는 통상적으로 제어칩과 PCB기판 및 주변 부품 등을 모듈로 조립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실제 전자제품의 생산업체는 상기 모듈을 배터리, 무화선 및 하우징과 조립하고 완전한 전자 무화장치로 제작하여 시중에 판매한다. 도 1은 관련 기술 중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A), 배터리(S0) 및 무화선(R0)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A)는 전압 안정화 커패시터(C0), 기류센서(K0) 및 제어칩(A0)을 포함하며, 생산 중 통상적으로 제어칩(A0)의 3개의 핀(즉 VDD핀, AT핀과 GND핀)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제어회로(A)와 전원(S0) 및 무화선(R0)의 연결을 구현하고, 나아가 전자 무화장치의 전원 공급 및 동작을 구현한다.
그러나, 전자 무화장치는 크기가 제한적이고, 전자 무화장치의 PCB 면적이 비교적 작으며, 또한 본딩 와이어가 비교적 가늘 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수동으로 본딩해야 하기 때문에, 본딩할 와이어가 많을수록, 전자 무화장치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고 제품 품질의 신뢰성은 낮아진다. 이와 같이,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는 생산 과정에서 생산 원가가 높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 중 하나는,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 생산 과정 중, 본딩해야 할 와이어가 많아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와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채택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를 제공하며, 이는 기류센서,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제어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은 논리 컨트롤러, 단방향 전도성 튜브 및 스위치관, 전원 핀, 무화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하며;
그 중, 논리 컨트롤러는 기류센서의 제1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스위치관의 제1단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는 전원 핀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1단 및 스위치관의 제2단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는 접지 핀을 통해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정극, 기류센서의 제2단 및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2단에 연결되고;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부극은 무화 핀을 통해 스위치관의 제3단에 연결되며;
그 중, 제어칩의 전원 핀과 무화 핀은 외부에 설치된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칩은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전원모듈, 무화모듈 및 첫 번째 측면에 따른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그 중, 전원모듈의 정극은 제어칩의 전원 핀에 연결되고, 전원모듈의 부극은 무화모듈을 통해 제어칩의 무화 핀에 연결되고, 또한 전원모듈의 부극은 접지되며;
또는, 전원모듈의 정극은 무화모듈을 통해 제어칩의 전원 핀에 연결되고, 전원모듈의 부극은 제어칩의 무화 핀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모듈의 부극은 접지된다.
세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를 제공하며, 이는 기류센서, 전원공급 커패시터와 제어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칩은 논리 컨트롤러, 단방향 전도성 튜브 및 스위치관, 전원 핀, 무화 핀 및 접지 핀을 포함하며;
그 중, 논리 컨트롤러는 기류센서의 제1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스위치관의 제1단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는 전원 핀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1단 및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부극에 연결되며; 단방향 전도성 튜브의 정극은 무화 핀을 통해 스위치관의 제2단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는 접지 핀을 통해 스위치관의 제3단, 기류센서의 제2단 및 전원공급 커패시터의 제2단에 연결되며;
그 중, 제어칩의 무화 핀과 접지 핀은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칩은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제어회로의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고, 전원모듈과 무화모듈을 연결함으로써,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가닥의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제어칩의 전원 핀(VDD)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논리 컨트롤러, 스위치관, 기류센서, 배터리, 커패시터 및 무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논리 컨트롤러가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며, 온/오프 상태는 차단 상태와 도통상태를 포함하고, 기류 강도 신호는 기류센서가 감지한 기류 강도에 따라 생성되며;
스위치관이 차단 상태에 처한 경우, 배터리가 커패시터로 충전하고, 논리 컨트롤러로 전기를 공급하며;
스위치관이 도통 상태에 처한 경우, 커패시터는 논리 컨트롤러로 방전하고, 무화기가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여섯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운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일곱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여덟 번째 측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장치에서 운행될 때, 단말장치가 상기 세 번째 측면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을 실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의 유익한 효과는, 제어회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고,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데 있다. 3가닥의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제어칩의 접지 핀(GND)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또 다른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의 유익한 효과는, 제어회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고,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데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제어칩의 전원 핀(VDD)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하는 본딩 와이어의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는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며, 아래에 묘사되는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뿐,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들이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관련 기술이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은 내지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연결 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제어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전자 무화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전자 무화장치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 기술되는 내용 중,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하여 여러 특정 시스템 구조, 기술 류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를 철저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분야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본 출원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른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내용이 본 출원의 내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지하는 시스템, 장치 및 회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현재, 관련 기술의 전자 무화장치 생산 과정에서, 본딩해야 할 와이어가 많아 생산 원가가 상승하고 신뢰성이 낮아지는 기술문제로 인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 상기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무화장치 및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며, 제어회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 중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회로, 전자 무화장치 및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제어회로, 전자 무화장치 및 전자 무화장치 제어방법은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하므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서는 일부 실시예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할 가능성이 있음에 유의한다.
제1 실시예: 제어회로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및 제어칩(1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 및 스위치관(K1)을 포함한다. 제어칩(13)은 전원 핀(VDD)(즉 칩의 전원핀), 무화 핀(AT)(즉 칩의 출력핀), 접지 핀(GND)(즉 칩의 접지 핀)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 컨트롤러(M1)는 제어칩(13)의 핀(SW)을 통해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된다.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예를 들어 커패시터의 상부 극판) 및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된다.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예를 들어 커패시터의 하부 극판)에 연결된다.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은 각각 외부 모듈(예를 들어 전원모듈과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이하 전자담배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칩은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제어칩(13)과 외부 모듈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는 아래의 전자 무화장치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자 무화장치의 설계에서, 접지 핀(GND)은 연결 와이어를 본딩하여 배터리(S0)의 부극과 연결해야 하나,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에서는, 접지 핀(GND) 부위에 상기 연결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결합하여, 제어회로 중 신호 흐름이 각 모듈 사이에서 흐르는 방향을 분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는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방전 방식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논리 컨트롤러(M1)가 전류 통로를 형성하는 상황에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미리 충전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외부에 설치된 전원모듈로 충전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논리 컨트롤러(M1)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충전 과정과 방전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 스위치관(K1) 및 단방향 전도성 튜브(D1) 역시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류 통로를 형성한 경우(즉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한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부트스트랩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기타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다이오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방향 도통 기능을 구비한 기타 임의의 소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이하 기술 효과를 갖는다: 사용자가 미흡연 시 회로의 도통을 구현하여, 이 경우 배터리모듈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고,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는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방전 루프를 제한하여, 이 경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전적으로 제어칩(13)에 전기를 공급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도 1에 도시된 관련 기술의 제어회로 중 커패시터(C0)가 전압 안정화 역할을 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제어회로에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흡연 시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제어칩(13)으로 전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구현하며,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3선 본딩 와이어를 2선 본딩 와이어로 변경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전자 무화 기능을 정상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이후 기류센서(11)가 기류 강도를 기류 강도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제1단(a1)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류센서(11)의 제2단(a2)을 통해 흡연하는 상황에서, 기류센서(11)가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흡연하는 과정에서, 기류센서(11)는 기류의 유무 및 크기를 검출하고,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칩(13)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 중, 기류센서(11)는 마이크 스위치(microphone switch), 공압 스위치 또는 마이크 센서라 칭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는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를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는 스위치관(K1)이 일정 시간 내에 도통되는 횟수를 나타낼 수 있다. 스위치관(K1)의 듀티비란 하나의 펄스 사이클 내에서, 총 시간에 대해 도통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 해당),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한다.
그 중, 상기 사전 설정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MOS)관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관(K1)은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에서, 스위치관(K1)이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온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간단히 말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사용자가 미흡연 시 개방되고, 사용자가 흡연 시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연 신호를 처리를 통해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 중의 무화선(atomization wire)이 열을 받아 담배 액상(E-liquid)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거나, 또는 N형 MOS관일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상이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연결 관계도 상이하며, 이하 각각 설명한다.
첫 번째 상황: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도 3은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온인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소스극)으로부터 제3단(b3)(드레인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상황: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도 4는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제3단(b3)은 소스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온인 상태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드레인극)으로부터 제3단(b3)(소스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2를 결합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지시등(L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등(L1)의 정극은 제어칩(13)의 핀(LED)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등(M1)의 부극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 및 기류센서(11)의 제2단(a2)에 연결된다.
그 중, 상기 지시등(L1)은 제어칩(13)의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가 전자 무화장치를 사용 시의 흡연 상황 또는 상태를 지시할 수도 있고, 전자 무화장치의 전기량 상태를 지시하거나, 또는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상태(예를 들어 흡연 상태)와 전기량 상태를 동시에 지시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지시등(L1)은 논리 컨트롤러(M1)가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 신호의 전압 변화에 따라, 펄스폭 변조(PWM) 방식으로 지시등의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시등의 휘도는 사용자의 흡연하는 힘에 따라 변화할 수 있어, 사용자가 흡연 시 담배의 점화 상태를 실제와 같이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시등의 점멸 방식을 관찰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전기량이 충분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등이 녹색을 표시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현재 전기량이 충분함을 나타내고; 지시등이 적색을 표시하면, 즉 전자 무화장치의 현재 전기량이 부족함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등(L1)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고, 물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발광소자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는, 제어회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제어회로에 원래 배터리 부극에 연결해야 하는 와이어를 인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딩 와이어의 수량을 3선에서 2선(접지 핀(GND) 부위의 와이어 생략)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제2 실시예: 전자 무화장치
도 2를 결합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소개한 제어회로(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는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담배와 같은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고, 흡입형 에너지바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 임의의 가능한 전자 무화장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전자 무화장치는 전자담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모듈(2)은 리튬배터리이거나, 또는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배터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무화모듈(3)(무화기(atomizer)라고도 칭함)은 무화선(부하 전열선이라고도 칭함)과 담배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 시, 무화선이 발열하며,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서로 연결되며, 또한 모두 제어회로(1)와 연결된다. 실제 구현 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즉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이 도통하는 상황에서, 제어회로(1)는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과 전류 통로를 구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의 정극은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에 연결되고, 전원모듈(2)의 부극은 무화모듈(3)을 통해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의 정극은 무화모듈(3)을 통해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에 연결되고,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칩의 접지 핀(GND)과 배터리모듈 사이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는 모두 예시적으로 예를 든 것이며, 실제 구현 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기타 가능한 실시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관의 구체적인 선택에 따라, 실제 생산 중인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2선 본딩 와이어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 및 무화모듈을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 중의 본딩 와이어 수량은 3선에서 2선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된다.
이하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과 흡연하는 상황에 대해, 전자 무화장치에 형성되는 회로 통로를 각각 설명한다.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또는 흡연을 멈춘)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스위치 개방에 해당)에 처하고, 전원모듈(2), 무화모듈(3)과 스위치관(K1)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없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경우, 전원모듈(2), 무화모듈(3),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1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원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한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 논리 컨트롤러(M1)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2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전원모듈(2)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한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스위치 폐쇄에 해당)에 처하고,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으로부터 제3단(b3)을 향해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과 스위치관(K1)은 제3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은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에 따라,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한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논리 컨트롤러(M1)와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제4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를 거쳐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며, 배터리모듈(2)의 전압이 무화모듈(3)의 양단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열을 받아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회로(1) 중 상이한 스위치관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는 다양한 가능한 실시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하기의 제1 실시방식(그 중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다)과 제2 실시방식(그 중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다)을 통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과 상기 제어회로(1)가 연결된 상황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구체적인 연결관계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방식 1: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그 중,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G로 표기)이고, 제2단(b2)은 소스극(S로 표기)이며, 그리고 제3단(b3)은 드레인극(D로 표기)이다.
도 9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회로 중 P형 MOS관을 사용 시, 전자 무화장치의 일종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 및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된다.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전자 무화장치는 하기의 회로 연결관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스위치관(K1)의 소스극은 제어칩(13)의 전원 핀(VDD) 및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고;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이하 도 9를 결합하여,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이 상기 제어회로(1)와 연결된 상황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원리를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1) 사용자가 미흡연 상태에서, 배터리모듈(2)의 정극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부 극판에 연결되고,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하부 극판은 단방향 도전성 튜브(D1)와 무화모듈(3)을 통해 배터리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어, 배터리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한다. 그 중,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압차는 배터리모듈(2)의 전압값과 거의 같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이 경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도선 역할을 하여 담배 액상을 무화시키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센서(11) 상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의 흡연 동작 명령을 대기한다.
(2) 사용자가 흡연 시, 기류센서(11)는 기류를 검출하여, 이를 레벨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칩(13) 내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달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이 발열하기 시작하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무화 효과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논리 컨트롤러(M1)는 사용자가 흡연하는 힘에 따라 PWM 조절 방식을 통해 무화선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비록 이때 배터리모듈(2)은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계속 전기를 공급할 수 없으나, 다이오드(D1)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관(K1)이 폐쇄된 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위차가 여전히 배터리의 전압과 같으며, 이때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배터리모듈(2)을 대신하여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여, 흡연 과정 중 논리 컨트롤러(M1)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스위치관(K1)이 개방되며, 이때 배터리모듈(2)은 다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며, 이러한 충전 과정은 매우 신속하여, 설사 사용자가 두 번 흡연 동작을 하는 시간 간격이 짧더라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충전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즉 제어칩)의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전원 공급 및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방식 2: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그 중,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G)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D)이며, 그리고 제3단(b3)은 소스극(S)이다.
도 10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회로에 N형 MOS관을 사용 시, 전자 무화장치의 일종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을 거치고 무화모듈(3)을 거쳐,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 및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된다.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전자 무화장치는 하기의 회로 연결관계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을 통해 직접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거치고 무화모듈(3)을 거쳐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고;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방식 2에서, 사용자가 미흡연 시, 사용자가 흡연 시 및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과정은 상기 방식 1 중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스위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사용자의 스위치모듈에 대한 조작 명령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가 작동 상태와 사용금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7을 결합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칩(13)의 전원 핀(VDD)과 전원(2)의 정극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모듈(4)을 더 포함한다.
물론, 스위치모듈은 전자 무화장치 중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버튼 스위치일 수도 있고, 터치식 스위치이거나, 또는 입술 감지 스위치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스위치모듈이 터치식 스위치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흡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전자 무화장치 상의 터치식 스위치를 터치하여, 전자 무화 기능의 작동을 트리거한 다음, 전자 무화장치를 통해 흡연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을 경우, 즉 사용자는 전자 무화장치 상의 터치식 스위치를 다시 터치하여, 전자 무화 기능이 차단되도록 트리거한다. 또는, 사용자의 미흡연 동작 유지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보다 긴 상황이 검출되면, 전자 무화장치는 자동으로 꺼진다. 이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하우징과 전기제어기판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제어회로(1)는 전기제어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제어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칩은 배터리의 양극과 동시에 직접 연결될 필요 없으며, 즉 제어칩의 GND핀은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어, 인출해야 할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됨으로써,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 중의 각 첨부도면(예를 들어 도 7, 도 8 등)은 모두 상기 도 2의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실현 시, 각 첨부도면은 기타 임의의 결합 가능한 도면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도 8은 도 5를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를 소개하였으며, 그 중 제어칩은 배터리의 양극과 동시에 직접 연결될 필요 없으며, 즉 제어칩의 GND핀은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어, 인출해야 할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다. 이하 또 다른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를 더 소개하며, 그 중 어떤 제어회로는 배터리의 양극과 동시에 직접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즉 제어칩의 VDD 부위는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어, 이에 따라 인출해야 할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다. 이 두 가지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는 모두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어회로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방식이 제공하는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와 스위치관(K1)을 포함한다. 제어칩(13)은 전원 핀(VDD)(즉 칩의 전원핀), 무화 핀(AT)(즉 칩의 출력핀), 접지 핀(GND)(즉 칩의 접지핀)을 더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 컨트롤러(M1)는 제어칩(13)의 핀(SW)을 통해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된다. 논리 컨트롤러(M1)는 전원 핀(VDD)을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예를 들어 커패시터의 상부 극판) 및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된다.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은 무화 핀(AT)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된다. 논리 컨트롤러(M1)는 접지 핀(GND)을 통해 스위치관(K1)의 제3단(b3),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예를 들어 커패시터의 하부 극판)에 연결된다.
그 중,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각각 외부 모듈(예를 들어 전원모듈과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이하 전자담배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칩은 배터리모듈과 무화모듈이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제어칩(13)과 외부 모듈의 구체적인 연결 관계는 아래의 전자 무화장치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자 무화장치의 설계에서, 전원 핀(VDD)은 연결 와이어를 본딩하여 배터리(S0)의 정극과 연결해야 하나,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에서는, 전원 핀(VDD) 부위에 상기 연결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도 12 중의 제어회로 중의 각 소자(예를 들어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논리 컨트롤러(M1), 스위치관(K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작동 성능, 작용 및 각 소자 간의 신호흐름의 상호작용 원리는 도 2 중 제어회로 중의 각 소자의 작동 성능, 작용 및 각 소자 간의 신호흐름의 상호작용 원리와 유사하므로, 각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관(K1)은 MOS관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관(K1)은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JFE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에서, 스위치관(K1)이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개방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게 되며, 이는 스위치가 폐쇄 상태에 처하는 것에 해당한다. 간단히 말하면,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사용자가 미흡연 시 개방되고, 사용자가 흡연 시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연 신호를 처리를 통해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atomization wire)이 열을 받아 담배 액상(E-liquid)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거나, 또는 N형 MOS관일 수 있다. 스위치관(K1)이 상이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의 연결 관계도 상이하며, 이하 각각 설명한다.
도 13은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 폐쇄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소스극)으로부터 제3단(b3)(드레인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14는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제3단(b3)은 소스극이다. 예시적으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에 처하며(스위치가 폐쇄에 해당),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드레인극)으로부터 제3단(b3)(소스극)으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도 12를 결합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1)는 지시등(L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등(L1)의 정극은 제어칩(13)의 핀(LED)을 통해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등(M1)의 부극은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 및 기류센서(11)의 제2단(a2)에 연결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도 15 중의 지시등(L1)의 작동 특성과 작용은 상기 도 5 중의 지시등(L1)의 작동 특성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지시등(L1)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5 중의 지시등(L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어회로는, 제어회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제어회로가 원래 배터리 정극에 연결해야 하는 와이어를 인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와이어 본딩 수량이 3선에서 2선(접지 핀(GND) 부위의 와이어 생략)으로 감소되어,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제4 실시예: 제어회로
도 12를 결합해보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소개한 제어회로(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는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담배와 같은 가열 무화장치일 수 있고, 흡입형 에너지바일 수도 있으며, 또는 기타 임의의 가능한 전자 무화장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전자 무화장치는 전자담배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모듈(2)은 리튬배터리이거나, 또는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배터리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무화모듈(3)(무화기(atomizer)라고도 칭함)은 무화선(부하 전열선이라고도 칭함)과 담배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구현 시, 무화선에 전류가 통과 시, 무화선이 발열하며, 이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과 무화모듈(3)은 서로 연결되며, 또한 모두 제어회로(1)와 연결된다. 실제 구현 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즉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이 도통하는 상황에서, 제어회로(1)는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과 전류 통로를 구성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의 정극은 무화모듈(3)을 통해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고,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모듈(2)의 정극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고, 전원모듈(2)의 부극은 무화모듈(3)을 통해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에 연결되며,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칩의 접지 핀(GND)과 무화 핀(AT) 부위에 와이어를 본딩하여,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하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칩의 전원 핀(VDD)과 배터리모듈 사이에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는 모두 예시적으로 예를 든 것이며, 실제 구현 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기타 가능한 실시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관의 구체적인 선택에 따라, 실제 생산 중인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2선 본딩 와이어를 통해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회로와 배터리모듈 및 무화모듈을 연결하여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선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 중의 본딩 와이어 수량은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되어, 전자 무화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된다.
이하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과 흡연하는 상황에 대해, 전자 무화장치에 형성된 회로 통로를 각각 설명한다.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또는 흡연 중지)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차단 상태(스위치 개방에 해당)에 처하고, 전원모듈(2), 무화모듈(3)과 스위치관(K1)은 전류 통로를 형성할 수 없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경우, 전원모듈(2), 무화모듈(3),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1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원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한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 논리 컨트롤러(M1)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2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전원모듈(2)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한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스위치관(K1)은 도통 상태(스위치 폐쇄에 해당)에 처하고, 스위치관(K1)은 비교적 큰 전류가 제2단(b2)으로부터 제3단(b3)을 향해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과 스위치관(K1)은 제3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은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에 따라,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한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논리 컨트롤러(M1)와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제4 전류 통로를 형성하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가 전달하는 흡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를 거쳐 변조한 후 스위치관(K1)을 구동시켜, 스위치관(K1)을 도통시키며, 배터리모듈(2)의 전압이 무화모듈(3)의 양단에 인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열을 받아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어회로(1) 중 상이한 스위치관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회로(1)와 전원모듈(2) 및 무화모듈(3)의 연결 관계는 다양한 가능한 실시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하기의 제1 실시방식(그 중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다)과 제2 실시방식(그 중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다)을 통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과 상기 제어회로(1)가 연결된 상황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구체적인 연결관계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제1 방식: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그 중,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G로 표기)이고, 제2단(b2)은 소스극(S로 표기)이며, 그리고 제3단(b3)은 드레인극(D로 표기)이다.
도 19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회로 중 P형 MOS관을 사용 시, 전자 무화장치의 일종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된다.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 전자 무화장치는 하기의 회로 연결관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스위치관(K1)의 소스극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직접 연결되며;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은 제어칩(13)의 접지 핀(GND)과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고;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이하 도 19를 결합하여, 스위치관(K1)이 P형 MOS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배터리모듈(2), 무화모듈(3)이 상기 제어회로(1)와 연결된 상황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원리를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1) 사용자가 미흡연 상태에서, 배터리모듈(2)의 정극은 무화모듈(3) 및 제어회로(1) 중의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를 통해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부 극판에 연결되고,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하부 극판은 배터리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어, 배터리모듈(2)이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한다. 그 중,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압차는 배터리모듈(2)의 전압값과 거의 같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이 경우 무화모듈(3) 중의 무화선은 도선 역할을 하여 담배 액상을 무화시키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배터리모듈(2)은 제어회로(1)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센서(11) 상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사용자의 흡연 동작 명령을 대기한다.
(2) 사용자가 흡연 시, 기류센서(11)는 기류를 검출하여, 이를 레벨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칩(13) 내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달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스위치관(K1)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배터리모듈(2)과 무화모듈(3)은 전류 루프를 형성하며, 무화모듈(3)이 발열하기 시작하면서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무화 효과를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논리 컨트롤러(M1)는 사용자가 흡연하는 힘에 따라 PWM 조절 방식을 통해 무화선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비록 이때 배터리모듈(2)은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계속 전기를 공급할 수 없으나, 다이오드(D1)가 있기 때문에, 스위치관(K1)이 폐쇄된 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상하 극판 사이의 전위차가 여전히 배터리의 전압과 같으며, 이때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배터리모듈(2)을 대신하여 제어칩(13) 중의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여, 흡연 과정 중 논리 컨트롤러(M1)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스위치관(K1)이 개방되며, 이때 배터리모듈(2)은 다시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전원공급 커패시터(12)를 충전하며, 이러한 충전 과정은 매우 신속하여, 설사 사용자가 두 번 흡연 동작을 하는 시간 간격이 짧더라도,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충전 완료를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회로(즉 제어칩)의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전원 공급 및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방식: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제어회로(1) 중의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그 중,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G)이고, 제2단(b2)은 드레인극(D)이며, 그리고 제3단(b3)은 소스극(S)이다.
도 20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어회로에 N형 MOS관을 사용 시, 전자 무화장치의 일종의 회로 연결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직접 연결된다.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접지 핀(GND) 및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된다.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또한, 스위치관(K1)이 N형 MOS관인 경우, 전자 무화장치는 하기의 회로 연결관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관(K1)의 게이트극(G)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스위치관(K1)의 드레인극(D)은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무화모듈(3)을 통해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스위치관(K1)의 소스극(S)은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을 통해 전원모듈(2)의 부극에 직접 연결되고; 또한,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된다.
제2 방식에서, 사용자가 미흡연 시, 사용자가 흡연 시 및 사용자가 흡연 동작을 종료한 후,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 과정은 상기 방식 1 중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일종의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스위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모듈은 사용자의 스위치모듈에 대한 조작 명령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가 작동 상태와 사용금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17을 결합해보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는 제어칩(13)의 접지 핀(GND)과 전원(2)의 부극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모듈(4)을 더 포함한다.
물론, 스위치모듈은 전자 무화장치 중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버튼 스위치일 수도 있고, 터치식 스위치이거나, 또는 입술 감지 스위치일 수도 있고,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스위치모듈이 터치식 스위치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흡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전자 무화장치 상의 터치식 스위치를 터치하여, 전자 무화 기능의 작동을 트리거한 다음, 전자 무화장치를 통해 흡연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을 경우, 즉 사용자는 전자 무화장치 상의 터치식 스위치를 다시 터치하여, 전자 무화 기능이 차단되도록 트리거한다. 또는, 사용자의 미흡연 동작 유지 시간이 사전 설정 시간보다 긴 상황이 검출되면, 전자 무화장치는 자동으로 꺼진다. 이와 같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종의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는 하우징과 전기제어기판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제어회로(1)는 전기제어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제어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자 무화장치의 정상적인 작동과 제어를 보장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칩은 배터리의 양극과 동시에 직접 연결될 필요가 없으며, 즉 제어칩의 전원 핀(VDD)은 와이어를 본딩할 필요가 없어, 인출해야 할 본딩 와이어 수량이 3선에서 2선으로 감소됨으로써, PCB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으로 인한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동 조작으로 인한 실효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 중의 각 첨부도면(예를 들어 도 17, 도 18 등)은 모두 상기 도 12의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실현 시, 각 첨부도면은 기타 임의의 결합 가능한 도면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과 도 18은 도 15를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소속 분야의 기술자라면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이상의 각 기능 유닛, 모듈의 구분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 실제 응용 시, 필요에 따라 상기 기능의 분배는 상이한 기능 유닛, 모듈에 의해 완성할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 구조를 상이한 기능 유닛 또는 모듈로 구분하여 위에서 설명한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완수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중의 각 기능유닛, 모듈은 하나의 처리유닛에 집적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은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기능유닛, 모듈의 구체적인 명식 역시 단지 서로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제5 실시예: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소개한 전자 무화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논리 컨트롤러, 스위치관, 기류센서, 배터리, 커패시터와 무화기를 포함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의 실행 주체는 상기 전자 무화장치일 수도 있고, 상기 전자 무화장치 중 상기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모듈 및/또는 기능 실체(예를 들어 논리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논리 컨트롤러를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S101-S103을 포함한다.
S101: 논리 컨트롤러가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 중의 스위치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그 중, 상기 온/오프 상태는 차단 상태와 도통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강도 신호는 논리 컨트롤러가 기류센서가 감지한 기류 강도에 따라 생성하는 것이다.
S102: 스위치관이 차단 상태에 처한 상황에서, 배터리가 커패시터로 충전하고, 논리 컨트롤러로 전기를 공급하는 단계.
S103: 스위치관이 도통 상태에 처한 상황에서, 커패시터가 논리 컨트롤러로 방전하고, 무화기가 담배 액상을 무화시키는 단계.
그 중,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S102와 S103 중 하나를 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관은 P형 MOS관이거나, 또는 N형 MOS관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스위치관은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트랜지스터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요구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위치관이 차단 상태에 처한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또는 흡연을 멈춘) 상황에서, 전자 무화장치 중의 배터리는 커패시터로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 컨트롤러로 전기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논리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흡연하는 동작의 명령을 주기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관이 도통 상태에 처한 경우, 즉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황에서, 커패시터는 논리 컨트롤러로 방전할 수 있고, 또한 이때 전자 무화장치 중의 무화기가 담배 액상을 무화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개선 후의 전자 무화장치(즉 2가닥의 본딩 와이어 채택)에 응용하여 사용자가 미흡연 상태에서 배터리가 전원공급 커패시터로 충전하고, 사용자가 흡연하는 상태에서 전원공급 커패시터가 전자 무화장치로 전기를 공급하여, 담배 액상의 무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3가닥 본딩 와이어를 채택하고 배터리로 논리 컨트롤러에 전기를 공급하는 종래 기술의 방안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생산원가를 낮추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 중의 스위치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상기 S101)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S101A와 S101B를 포함할 수 있다.
S101A: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논리 컨트롤러가 스위치관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으면, 즉 사용자가 흡연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이때 스위치관은 차단 상태에 처하고, 또한, 전자 무화장치 중의 배터리가 커패시터로 충전한다.
S101B: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논리 컨트롤러가 스위치관이 도통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즉 사용자가 흡연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때, 제어 스위치관은 도통 상태에 처하고, 또한, 전자 무화장치 중의 커패시터는 논리 컨트롤러로 전기를 공급하며, 전자 무화장치 중의 무화기가 열을 받은 후 담배 액상을 무화시켜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S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4: 논리 컨트롤러가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스위치관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를 제어하여, 무화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
그 중, 스위치관의 스위칭 주파수는 스위치관이 일정 시간 내에 도통되는 횟수를 나타낼 수 있고, 스위치관의 듀티비란 하나의 펄스 사이클 내에서, 총 시간에 대해 도통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흡연하는 힘에 따라 PWM 조절 방식을 통해, 무화기 중 무화선의 온/오프 시간을 제어하여 무화기의 출력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전자 무화장치의 담배 액상 무화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S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5: 논리 컨트롤러가 기류 강도 신호의 전압 변화에 따라, PWM 방식으로 전자 무화장치 중의 지시등의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을 조절하는 단계.
전자 무화장치 중 지시등의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을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어회로의 실시예 중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무화장치가 기류 강도를 감지하기(S101) 전,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전자 무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하기의 S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106: 사용자가 전자 무화장치 중의 스위치 제어부재에 대한 작동 명령에 응답하여, 스위치밸브를 폐쇄함으로써, 전자 무화장치가 작동 상태에 처하도록 하는 단계.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을 트리거한 후, 전자 무화장치가 비로소 기류를 감지할 수 있어, 전자 무화장치의 사용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 중, 스위치밸브는 버튼 스위치일 수도 있고, 터치식 스위치이거나, 또는 실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키는 기타 임의의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제 사용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전자 무화장치를 어떻게 작동시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전자 무화장치 실시예에서 스위치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무화장치의 작동을 트리거하는데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 중 각 단계의 번호 크기는 결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 논리로 결정하여야 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을 구성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실행 과정 등 내용은,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상을 바탕으로 하고, 그 구체적인 기능 및 수반되는 기술 효과는 구체적으로 장치 실시예 부분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 메모리(61) 및 상기 메모리(61)에 저장되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에서 운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62)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60)가 컴퓨터 프로그램(62)을 실행 시 상기 임의의 각 방법의 실시예 중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 중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전자장치에서 운행될 때, 전자장치가 실행 시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 중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집적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법 중의 전부 또는 일부 플로우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함으로써 완료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가독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각 방법의 실시예의 단게를 구현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형식, 오브젝트 코드 형식, 실행 가능한 문서(executable documentation) 또는 일부 중간 형식 등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가독 매체는 적어도,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촬영장치/단말장치로 가져갈 수 있는 어떠한 실체 또는 장치, 기록매체, 컴퓨터 메모리, 와이어온리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전기 반송파 신호, 전기통신 신호 및 소프트웨어 배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디스크, 이동 하드디스크, 자기 또는 광디스크 등이며, 일부 사법 관할 구역에서는 입법 및 특허 실천에 따라, 컴퓨터 가독 매체가 전기 반송파 신호와 전기통신 신호여서는 안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각자 치중하는 점이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 또는 기재하지 않은 부분은 기타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라면, 본문에 공개된 실시예를 결합하여 기재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되는지를 막론하고,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의 구속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게시된 장치/전자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장치/전자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도식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의 구분에 불과하여, 실제 구현 시에는 별도의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 가능하거나 또는 별도의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생략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토론된 상호 간의 결합은 직접 결합이거나 또는 통신 연결은 약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로써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인 분리가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 역시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체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 시, "포함"이라는 용어는 설명하는 특징, 전체, 단계, 조작, 요소 및/또는 어셈블리의 존재를 나타내나, 단 하나 또는 다수의 기타 특징, 전체, 단계, 조작, 요소, 어셈블리 및/또는 이들의 집합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되어 열거되는 항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가능한 조합이면서 이러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만약"이라는 용어는 상하 문장을 근거로"~인 경우" 또는 "일단" 또는 "결정에 응하여" 또는 "검출에 응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이] "만약 결정되었다면" 또는 "만약 검출되었다면"이라는 단문은 상하 문장을 근거로 "일단 결정되면" 또는 "결정에 응하여" 또는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이] 일단 검출되면"또는 "[기술된 조건 또는 사건]의 검출에 응하여"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의 묘사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구분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 묘사된 "일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 등은 본 출원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결합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포함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 중의 각기 다른 곳에 출현하는 "일 실시예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등은 필연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참조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방식으로 별도로 특별히 강조하지 않는 한,"하나 또는 다수이되, 단 전부는 아닌 실시예"를 의미한다. "포함", "갖는다" 및 이들의 변형은 모두 기타 방식으로 별도로 특별히 강조하지 않는 한, "포함하되, 단 한정되지 않는다"를 의미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비록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는 여전히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는 상응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제어회로(1)로서,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및 제어칩(13)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 및 스위치관(K1), 전원 핀(VDD), 무화 핀(AT) 및 접지 핀(GND)을 포함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고;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칩(13)의 상기 전원 핀(VDD)과 상기 무화 핀(AT)은 각각 외부에 설치된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상기 제어칩(13)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제1단(a1)을 통해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로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상기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되;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도통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은 N형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소스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는 지시등(L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등(L1)은 사용 상태 및/또는 전기량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되;
    상기 지시등(L1)의 정극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등(L1)의 부극은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L1)은 상기 논리 컨트롤러(M1)가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압 변화에 따라, 펄스 변조(PWM) 방식으로 상기 지시등(L1)의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6. 전자 무화장치로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회로(1)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은 상기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은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 중의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소스극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2단(b2)은 상기 제어칩(13)의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3단(b3)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은 상기 제어칩(13)의 전원 핀(VDD)과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3단(b3)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 전원공급 커패시터(12) 및 단방향 전도성 튜브(D1)가 제1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모듈(2)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하고;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 상기 논리 컨트롤러(M1)와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가 제2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전원모듈(2)이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과 상기 스위치관(K1)이 제3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무화모듈(3)이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에 따라,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와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제4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스위치모듈(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모듈(4)은 사용자의 상기 스위치모듈(4)에 대한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무화장치가 작동 상태와 사용금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하우징과 전기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회로(1)는 상기 전기제어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제어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1. 제어회로(1)로서,
    기류센서(11),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제어칩(13)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칩(13)은 논리 컨트롤러(M1), 단방향 전도성 튜브(D1), 스위치관(K1), 전원 핀(VDD), 무화 핀(AT) 및 접지 핀(GND)을 포함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기류센서(11)의 제1단(a1)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전원 핀(VDD)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1단(c1) 및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부극에 연결되며;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의 정극은 상기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에 연결되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스위치관(K1)의 제3단(b3), 상기 기류센서(11)의 제2단(a2) 및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 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접지 핀(GND)은 전원모듈 및 무화모듈과 연결되어 전자 무화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상기 제어칩(13)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류센서(11)는 제2단(a2)을 통해 기류 강도를 감지하고, 제1단(a1)을 통해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로 기류 강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기류센서(11)의 제1단(a1)이 출력한 상기 기류 강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on-duty ratio)를 제어하여 상기 무화모듈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되;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차단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상기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는 상기 스위치관(K1)이 도통 상태에 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은 N형 금속산화물반도체(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소스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는 지시등(L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시등(L1)은 사용 상태 및/또는 전기량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되;
    상기 지시등(L1)의 정극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등(L1)의 부극은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의 제2단(c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등(L1)은 상기 논리 컨트롤러(M1)가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전압 변화에 따라, 펄스 변조(PWM) 방식으로 상기 지시등(L1)의 휘도 및/또는 점멸 방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회로.
  16. 전자 무화장치로서,
    전원모듈(2), 무화모듈(3)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회로(1)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은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상기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되거나;
    또는,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 중의 상기 스위치관(K1)은 P형 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소스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드레인극이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은 N형 MOS관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제1단(b1)은 게이트극이고, 상기 제2단(b2)은 드레인극이며, 그리고 상기 제3단(b3)은 소스극이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2단(b2)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과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3단(b3)은 상기 제어칩(13)의 접지 핀(GND)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1단(b1)은 논리 컨트롤러(M1)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관(K1)의 제2단(b2)은 상기 제어칩(13)의 무화 핀(AT)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정극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관(K1)의 상기 제3단(b3)은 상기 제어칩(13)의 접지 핀(GND)과 상기 무화모듈(3)을 통해 상기 전원모듈(2)의 부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기류 강도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 전원공급 커패시터(12)와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1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모듈(2)이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로 충전하고;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 상기 논리 컨트롤러(M1)와 상기 단방향 전도성 튜브(D1)는 제2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모듈(2)이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로 전기를 공급하며;
    기류 강도 신호의 신호 강도가 사전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전원모듈(2), 상기 무화모듈(3) 및 상기 스위치관(K1)은 제3 전류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무화모듈(3)은 상기 스위치관(K1)의 스위칭 주파수 및/또는 듀티비에 따라 담배 액상의 무화량을 조절하며; 및 상기 논리 컨트롤러(M1)와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는 제4 전류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공급 커패시터(12)가 상기 논리 컨트롤러(M1)를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스위치모듈(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모듈(4)은 사용자의 상기 스위치모듈(4)에 대한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전자 무화장치가 작동 상태 및 사용금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무화장치는 하우징과 전기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회로(1)는 상기 전기제어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제어기판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무화장치.
KR1020217004131A 2020-05-30 2020-10-30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KR102501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964588.3 2020-05-30
CN202020964588.3U CN212345293U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
CN202010482441.5 2020-05-30
CN202020962295.1 2020-05-30
CN202010482619.6A CN111588094A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202010482619.6 2020-05-30
CN202020962295.1U CN212345292U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
CN202010482441.5A CN111557475A (zh) 2020-05-30 2020-05-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PCT/CN2020/125344 WO2021243944A1 (zh) 2020-05-30 2020-10-30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769A KR20210151769A (ko) 2021-12-14
KR102501324B1 true KR102501324B1 (ko) 2023-02-17

Family

ID=7883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131A KR102501324B1 (ko) 2020-05-30 2020-10-30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18048B2 (ko)
EP (1) EP4162821A1 (ko)
JP (1) JP7154383B2 (ko)
KR (1) KR102501324B1 (ko)
WO (1) WO2021243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3036B (zh) * 2022-07-08 2023-03-28 富满微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烟控制电路及芯片
KR20240027929A (ko) * 2022-08-23 2024-03-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분말 흡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52417U (zh) 2012-06-04 2014-11-26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电路
US20150136157A1 (en) 2013-11-19 2015-05-21 Tuanfang Liu Electronic cigarette
CN209284325U (zh) 2018-11-20 2019-08-23 杭州拓尔微电子有限公司 新型电子烟控制系统
CN209284326U (zh) 2018-11-20 2019-08-23 杭州拓尔微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电子烟控制系统
CN111557475A (zh) 2020-05-30 2020-08-21 杭州尚格半导体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0313B (zh) * 2012-11-13 2015-04-01 卓尔悦(常州)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烟的智能控制器及方法
CN203341005U (zh) 2013-05-15 2013-12-18 杭州联声电子有限公司 可充电电子烟控制器
CN104116139A (zh) 2014-06-26 2014-10-29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烟
WO2016000141A1 (zh) * 2014-06-30 2016-01-07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电路、电子烟及电子烟的控制方法
CN107404107B (zh) * 2017-08-15 2020-02-14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防干烧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588094A (zh) * 2020-05-30 2020-08-28 杭州尚格半导体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52417U (zh) 2012-06-04 2014-11-26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电路
US20150136157A1 (en) 2013-11-19 2015-05-21 Tuanfang Liu Electronic cigarette
CN209284325U (zh) 2018-11-20 2019-08-23 杭州拓尔微电子有限公司 新型电子烟控制系统
CN209284326U (zh) 2018-11-20 2019-08-23 杭州拓尔微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电子烟控制系统
CN111557475A (zh) 2020-05-30 2020-08-21 杭州尚格半导体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769A (ko) 2021-12-14
JP7154383B2 (ja) 2022-10-17
US20230070749A1 (en) 2023-03-09
JP2022539624A (ja) 2022-09-13
EP4162821A1 (en) 2023-04-12
WO2021243944A1 (zh) 2021-12-09
US11918048B2 (en)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324B1 (ko)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회로
JP4260226B2 (ja) 回路装置及びこの回路装置を具備する信号灯
CN111588094A (zh)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111557475A (zh)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103561527B (zh) 一种双功能led驱动电路
CN101977271A (zh) 一种节省手机电池消耗的方法及其手机
US11197505B2 (en) Load and sterilization combination control circuit
CN212345293U (zh)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
CN206283690U (zh) 一种基于蓝牙控制的室内照明灯
CN218678488U (zh) 充电电路以及电子雾化装置
CN208837115U (zh) 电压输出电路以及电子烟
CN212345292U (zh) 电子雾化装置及其控制电路
CN204836730U (zh) 一种应急灯
CN202455617U (zh) 一种led照明的延时电路及led照明装置
CN111987689A (zh) 智能保险丝盒和用于对负载进行监控的方法
CN109729613A (zh) 一种恒流驱动保护电路、保护装置和电视机
CN104768297A (zh) 感应灯
KR102501323B1 (ko) 전자 무화장치 및 그의 제어 어셈블리 및 배터리 모듈
CN103841711B (zh) 一种led应急照明灯具及其驱动电路
CN102868795B (zh) 一种具有控制按键背光功能的移动终端
CN108685187A (zh) 手持式滤烟器
US11765808B1 (en) Wake-up desk lamp
CN210629934U (zh) 一种光源控制电路
CN218635310U (zh) 电子雾化装置
CN218273144U (zh) 发热控制电路以及电子雾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