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598A -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598A
KR20210151598A KR1020200068643A KR20200068643A KR20210151598A KR 20210151598 A KR20210151598 A KR 20210151598A KR 1020200068643 A KR1020200068643 A KR 1020200068643A KR 20200068643 A KR20200068643 A KR 20200068643A KR 20210151598 A KR20210151598 A KR 2021015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mattress
cover
cover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식
이현철
이찬용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598A/ko
Publication of KR2021015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05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부가 매트리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커버부 세탁 시 기능성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부를 접어서 고정하되, 상부 원단 부재가 만곡되면서 커버부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MATTRESS WITH REMOVABLE COVER}
본 발명은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부가 매트리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커버부 세탁 시 기능성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부를 접어서 고정하되, 상부 원단 부재가 만곡되면서 커버부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하는 침구의 일종으로, 생활패턴 및 주거환경의 변화가 서구화되면서 침대의 보급률 또한, 꾸준하게 증가되어 현재는 침대문화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침대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에 올려지며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매트리스로 구성되고,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 복수 개의 스프링이 구비되어, 스프링들의 탄성에 의해 사용시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줌은 물론 사용자의 체중을 받쳐 주도록 구성된다. 이때, 매트리스는 표면이 오염에 취약한 원단으로 마감되어 있으면서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세탁 등으로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보호용 커버를 뒤집어 씌워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침대 사용 과정에서 보호용 커버가 오염이 된 경우 커버를 벗겨서 세탁할 수 있으나, 무거운 매트리스 전체를 커버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커버를 벗기고 씌우는 과정이 어려워서 주기적인 위생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다.
특히, 커버의 하부 원단으로는 집먼지 진드기나 유해 세균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공극이 작게 형성되는 고밀도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누빔처리되는 상부 원단과는 달리 하부 원단은 치밀한 고밀도 원단의 섬유조직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면에 대한 누빔처리 없이 둘레만 봉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부의 고밀도 원단의 내구성은 상부 원단보다 떨어질 뿐 아니라 누빔처리가 되지 않아 반복적인 세탁 시 하부 원단의 훼손이 발생하기 쉽다.
다만, 커버에 구비된 지퍼의 선단과 후단이 일부 오버랩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지퍼의 선단과 후단을 상호 결합해서 접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이들을 강제로 결합시키더라도 오버랩된 부분에 지나친 변형이 생기면서 커버가 매끄럽게 접히지 않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커버가 이와 같이 매끄럽게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을 할 경우 세탁 과정에서 이러한 부분이 세탁기 내부에 지속적으로 닿게 되면서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해당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도 있다.
김지웅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40466호에 개시된 지퍼식 침대커버에 의하면 매트리스와 침대커버가 지퍼를 통해 상호 결합되고, 침대커버 세탁을 위해서 상호 분리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침대커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세탁이 가능하나, 분리된 침대커버를 세탁할 때 이러한 침대커버를 어떠한 방식으로 고정해서 세탁하는지에 대한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만일 침대커버를 분리된 상태 그대로 세탁기에 넣고 세탁을 하게 되면 지퍼의 이(teeth)가 세탁기 내부에 닿게 되면서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파손되어 세탁 이후 재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함께 세탁하는 다른 세탁물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퍼가 침대커버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침대커버를 접어서 고정할 수 없게 되어 침대커버의 양면이 모두 노출된 상태로 세탁됨에 따라 기능성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도 있다.
나한식의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2624호에 개시된 매트리스커버가 부착된 침대프레임에 의하면 매트리스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가 매트리스상측커버와 매트리스하측커버로 구성되고, 이러한 각각의 커버가 상호 연결되도록 지퍼나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탈착부가 구비된다. 다만, 매트리스상측커버에는 매트리스 상부를 일부 감싸도록 하향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분으로 인해 매트리스상측커버를 접었을 때 매끄럽게 접히지 않게 되어 세탁 시 이러한 부분이 세탁기 내부에 지속적으로 닿게 되면서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해당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40466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2624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가 매트리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커버부 세탁 시 기능성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부를 접어서 고정하되, 상부 원단 부재가 만곡되면서 커버부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함으로써 누빔처리되지 않고 치밀한 섬유 공극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가 봉합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되, 봉합선이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하부 원단 부재의 기능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를 접었을 때 봉합 부재가 상호 결합하여 제1 지퍼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지퍼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를 접었을 때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손잡이 부재가 하부 원단 부재가 배치되는 커버부의 내측으로 이동 배치됨으로써 손잡이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대향 배치되는 하부 원단 부재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쿠션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둘레에는 제1 지퍼 부재가 구비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퍼 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지퍼 부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된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매트리스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지퍼 부재에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2 지퍼 부재의 선단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과 상기 제2 지퍼 부재의 후단까지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매트리스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원단 부재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접을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중간 부분까지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상부 원단 부재에 만곡된 형상의 변형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이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 원단 부재는 상기 상부 원단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공극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고밀도 원단이고, 상기 상부 원단 부재에는 상기 쿠션 부재의 하면에 부직포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부직포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누빔선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 원단 부재에는 공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누빔선이 형성되지 않는 차단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봉합선이 형성되는 봉합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봉합선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단 부재에 형성되는 공극은 10㎛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봉합 부재에는 상기 커버부를 접을 때 상호 대향 배치되는 상기 봉합 부재가 상호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지퍼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가 매트리스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커버부 세탁 시 기능성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부를 접어서 고정하되, 상부 원단 부재가 만곡되면서 커버부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함으로써 누빔처리되지 않고 치밀한 섬유 공극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가 봉합 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되, 봉합선이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하부 원단 부재의 기능성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를 접었을 때 봉합 부재가 상호 결합하여 제1 지퍼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지퍼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커버부를 접었을 때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손잡이 부재가 하부 원단 부재가 배치되는 커버부의 내측으로 이동 배치됨으로써 손잡이 부재의 내구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하부 원단 부재가 보이도록 배치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는 커버부를 접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커버부를 접은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를 확대한 평면도로서, (a)는 상부 원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하부 원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 부재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하부 원단 부재가 보이도록 배치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사용자를 직접 지지하는 커버부(100)와, 이러한 커버부(100)가 상면에 배치되는 매트리스부(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에는 사용자를 향해 노출되어 사용자를 직접 접촉 지지하는 상부 원단 부재(110)와, 이러한 상부 원단 부재(110)와 대향 배치되어 집먼지 진드기, 유해 세균, 먼지 등 이물질을 차단하는 하부 원단 부재(120)와, 이러한 상부 원단 부재(110)와 하부 원단 부재(120) 사이에 구비되는 쿠션 부재(130)가 구비된다. 상부 원단 부재(110)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직물 또는 편물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쿠션 부재(130)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 폴리에스테르 또는 혼합 소재의 솜이나, 천연 소재의 솜으로 구성되거나, 폴리우레탄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로 구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부(200)에는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스프링이 구비된 스프링 매트리스(220)와 이러한 스프링 매트리스(220)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자를 지지하는 탑퍼 매트리스(210)가 구비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의 둘레에는 제1 지퍼 부재(140)가 구비되고, 매트리스부(200)의 둘레에는 커버부(100)가 착탈 가능하도록 제1 지퍼 부재(140)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지퍼 부재(211)가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가 매트리스부(200)에 장착될 때 제1 지퍼 부재(140)에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150)는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제2 지퍼 부재(211)의 선단(211a)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퍼 부재(140)의 후단(142)과 제2 지퍼 부재(211)의 후단(211b)까지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매트리스부(200)에 구비된 탑퍼 매트리스(210)와 스프링 매트리스(220)도 상호 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탑퍼 매트리스(210)의 하부에는 제3 지퍼 부재(212)가 구비되고, 스프링 매트리스(220)의 상부에는 제4 지퍼 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지퍼 부재(212)나 제4 지퍼 부재(221) 중 어느 하나의 지퍼 부재에는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프링 매트리스(220) 상면에 탑퍼 매트리스(210)를 배치하고,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를 이용해서 제3 지퍼 부재(212)와 제4 지퍼 부재(221)의 선단부터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스프링 매트리스(220)에 탑퍼 매트리스(210)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3 지퍼 부재(212)는 탑퍼 매트리스(210) 하부에 구비된 탑퍼 봉합 부재(212a)의 외곽면의 하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지퍼 부재(221)는 스프링 매트리스(220) 상부에 구비된 베이스 봉합 부재(221a)의 외곽면 상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탑퍼 봉합 부재(212a)와 베이스 봉합 부재(221a)가 구비됨으로써 제3 지퍼 부재(212)와 제4 지퍼 부재(2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100)를 매트리스부(200)로부터 탈착하는 과정은 장착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지퍼 부재(140)의 후단(142)과 제2 지퍼 부재(211)의 후단(211b)을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부재(150)를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제2 지퍼 부재(211)의 선단(211a)으로 이동시키면서 제1 지퍼 부재(140)와 제2 지퍼 부재(211)를 상호 분리해서 매트리스부(200)로부터 커버부(100)를 탈착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접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는 커버부를 접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커버부를 접은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커버부(100)를 세탁하기 위해서는 커버부(100)를 매트리스부(200)로부터 탈착해야 하며, 전술한 과정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가 탈착되면 세탁 과정에서 커버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를 접고 제1 지퍼 부재(140)를 이용해서 커버부(100)의 접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고정하게 된다. 커버부(100)를 접을 때 하부 원단 부재(120)가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부 원단 부재(110)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접게 된다. 이는 하부 원단 부재(120)는 상부 원단 부재(110)보다 상대적으로 공극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도록 조밀하게 직조되는 고밀도 원단으로서, 통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집먼지 진드기, 유해 세균, 먼지 등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부 원단 부재(120)가 노출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될 경우 하부 원단 부재(120)의 공극이 커지게 되면서 전술한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130)의 하면에는 부직포 부재(16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원단 부재(110)와 쿠션 부재(130)와 부직포 부재(16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누빔선(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부직포 부재(160)는 상부 원단 부재(110)와 쿠션 부재(130)를 누빔 처리할 때 쿠션 부재(130)가 말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누빔 처리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부직포 부재(160)로서는 마이크로텍스 재질의 부직포나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원단 부재(110)와 쿠션 부재(130)와 부직포 부재(16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누빔선(112)이 형성되면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의 경우 사용자가 반복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매트리스의 눌림 정도가 어느 정도 이상 형성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일 예로 매트리스에 약 8만 회 정도의 반복 하중을 인가한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눌림 정도가 바람직하게는 4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매트리스에 충분한 지지력이 구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트리스부(200) 상면에 커버부(100)가 구비된 상태로 매트리스의 눌림 정도를 시험하기 때문에 눌림 정도가 전술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커버부(100)도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00)에 구비된 상부 원단 부재(110)와 쿠션 부재(130)와 부직포 부재(160)를 누빔 처리하게 되면 이와 같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부(100)의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서 상호 인접하게 형성되는 누빔선(112) 사이의 간격이 7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원단 부재(120)에는 공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전술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차단면(121)이 형성되도록 누빔선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하부 원단 부재(120)는 별도로 누빔 처리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봉합 부재(170)에 의해 상부 원단 부재(110)에 둘레만 고정되고, 이러한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별도로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충분한 기능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면(121)은 사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100)의 세탁을 위해서는 매트리스부(200)로부터 탈착된 커버부(100)를 하부 원단 부재(120)가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부 원단 부재(110)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접고, 이와 같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 지퍼 부재(140)를 이용해서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를 접기 위해서 슬라이드 부재(150)는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제1 지퍼 부재(140)의 후단(142)을 먼저 상호 결합(도 7 참조)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퍼 부재(140)의 중간 부분(143)까지 상호 결합(도 8 참조)시킴으로써 커버부(100)의 접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제1 지퍼 부재(140)의 중간 부분(143)은 제1 지퍼 부재(14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2 길이에 해당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때, 커버부(100)가 자연스럽게 접히기 위해서는 커버부(100)가 접히면서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후단(142)이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에 만곡된 형상의 변형면(111)이 형성되도록 커버부(100)가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에 만곡된 형상의 변형면(111)이 형성되면 상부 원단 부재(110)가 매끄럽게 접힘으로서 커버부(100) 전체가 매끄럽게 접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커버부(100)가 매끄럽게 접힌 상태에서 세탁을 하게 되면 세탁 과정에서 이러한 변형면(111)이 세탁기 내부에 닿게 되면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면(111)이 일부 탄성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커버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변형면(111)이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함께 세탁하는 다른 세탁물이 훼손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에 변형면(111)이 형성되면서 커버부(100)가 자연스럽게 접힐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제1 지퍼 부재(140)의 후단(142)은 일정 거리(d) 상호 이격 배치되면서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후단(142)이 상호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제1 지퍼 부재(140)를 이용해서 커버부(100)의 접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후단(142) 사이를 접고 슬라이드 부재(150)를 이용해서 이들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종래와 같이, 지퍼의 선단과 후단이 일부 오버랩(overlap) 배치되거나, 지퍼의 선단과 후단이 연속적으로 붙어있게 되면 지퍼의 선단과 후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이러한 부분에 절곡선이 형성되는 등의 지나친 변형이 생기면서 세탁 시 커버가 파손될 수 있게 되나,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후단(142)이 일정 거리(d) 상호 이격 배치되면 커버부(100)를 접는 과정에서 이러한 이격 부분이 변형되면서 만곡된 형상의 변형면(111)이 형성되어 세탁 과정에서 커버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지퍼 부재(140)의 선단(141)과 후단(142)이 상호 이격되는 거리(d)는 대략 10mm ~ 20mm 정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와 하부 원단 부재(12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봉합선(171)이 형성되는 봉합 부재(170)가 구비되되, 이러한 봉합선(17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와 하부 원단 부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원단 부재(120)는 통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집먼지 진드기, 유해 세균, 먼지 등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누빔 처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봉합선(171)이 하부 원단 부재(120)의 둘레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이 인가되는 부분인 차단면(121)에 형성된 공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충분한 기능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원단 부재와 하부 원단 부재를 확대한 평면도로서, (a)는 상부 원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하부 원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 부재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는 상부 직경(L1)을 갖는 원사를 직조해서 상부 공극(a1)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원단 부재(120)는 하부 직경(L2)을 갖는 원사를 직조해서 하부 공극(a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부 원단 부재(110)에 형성된 상부 공극(a1)은 직물 또는 편물 원단에 형성되는 일반적인 공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부 원단 부재(120)에 형성된 하부 공극(a2)의 경우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집먼지 진드기, 유해 세균, 먼지 등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대략 10㎛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공극(a2)이 작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상부 원단 부재(110)보다 하부 원단 부재(120)를 치밀하게 직조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부 원단 부재(110)의 원사가 갖는 상부 직경(L1)보다 작은 크기의 하부 직경(L2)을 갖는 원사를 사용해서 하부 원단 부재(120)를 치밀하게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 부재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합 부재(170)에는 커버부(100)를 접을 때 상호 대향 배치되는 봉합 부재(170)가 상호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결합 부재(180)가 구비되면 커버부(100)를 접었을 때 제1 지퍼 부재(14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탁 시 제1 지퍼 부재(14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 부재(180)는 벨크로나 자석과 같이 봉합 부재(17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퍼 부재(140)의 경우 선단(141)과 후단(142)이 일정 거리(d) 이격 배치되므로 커버부(100)를 매트리스부(200)에 장착하게 되면 이와 같이 이격된 부분에는 제1 지퍼 부재(140)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커버부(100)와 매트리스부(200)가 상호 장착되지 않으며,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인가하는 하중에 의해 이와 같이 이격된 부분에서 커버부(100)와 매트리스부(200)가 상호 이격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이 이격된 부분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봉합 부재(170)에 결합 부재(180)가 구비되면 커버부(100)에 구비된 봉합 부재(170)와 매트리스부(200)에 구비된 봉합 부재가 상호 결합하면서 이와 같이 이격된 부분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부재(150)의 외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가 제1 지퍼 부재(140)를 따라 이동하도록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 부재(190)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부재(150)를 쉽게 이동시키면서 커버부(100)의 접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부재(150)에는 손잡이 부재(190)가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1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150)의 외측은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향해 노출된 부분을 의미하고,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측은 사용자를 향해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커버부(100)를 매트리스부(200)에 장착할 때에는 커버부(100)의 하부 원단 부재(120)와 매트리스부(200) 상면이 배치되는 공간을 의미하고, 세탁을 위해 커버부(100)를 접을 때에는 절반으로 접힌 하부 원단 부재(1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50)에 레일(151)이 구비되면 커버부(100)를 접은 이후 손잡이 부재(190)를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서 세탁 시 손잡이 부재(19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레일(151)이 구비되면 필요에 따라 손잡이 부재(150)를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양방향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단 부재(110)에 변형면(111)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지퍼 부재(140)의 중간 부분(143)에도 이동 공간(s)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이동 공간(s)을 이용해서 손잡이 부재(190)를 슬라이드 부재(15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이러한 이동 공간(s)이 형성되지 않도록 슬라이드 부재(1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커버부(100)가 매트리스부(2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커버부(100) 세탁 시 기능성을 갖는 하부 원단 부재(120)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커버부(100)를 접어서 고정하되, 상부 원단 부재(110)가 만곡되면서 커버부(100)가 자연스럽게 접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원단 부재(110)와 하부 원단 부재(12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커버부 110 : 상부 원단 부재
111 : 변형면 112 : 누빔선
120 : 하부 원단 부재 121 : 차단면
130 : 쿠션 부재 140 : 제1 지퍼 부재
141 : 제1 지퍼 부재의 선단 142 : 제1 지퍼 부재의 후단
143 : 중간 부분 150 : 슬라이드 부재
151 : 레일 160 : 부직포 부재
170 : 봉합 부재 171 : 봉합선
180 : 결합 부재 190 : 손잡이 부재
200 : 매트리스부 210 : 탑퍼 매트리스
211 : 제2 지퍼 부재 211a : 제2 지퍼 부재의 선단
211b : 제2 지퍼 부재의 후단 212 : 제3 지퍼 부재
212a : 탑퍼 봉합 부재 220 : 스프링 매트리스
221 : 제4 지퍼 부재 221a : 베이스 봉합 부재
a1 : 상부 공극 a2 : 하부 공극
d : 이격 거리 s : 이동 공간
L1 : 상부 직경 L2 : 하부 직경

Claims (5)

  1.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대향 배치되는 하부 원단 부재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쿠션 부재가 적층 배치되되, 둘레에는 제1 지퍼 부재가 구비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퍼 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2 지퍼 부재가 둘레를 따라 구비된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매트리스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지퍼 부재에 구비된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2 지퍼 부재의 선단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과 상기 제2 지퍼 부재의 후단까지 상호 결합시키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매트리스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원단 부재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원단 부재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접을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중간 부분까지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커버부가 접히면서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될 때 상기 상부 원단 부재에 만곡된 형상의 변형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선단과 상기 제1 지퍼 부재의 후단이 일정 거리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하부 원단 부재는 상기 상부 원단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공극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고밀도 원단이고,
    상기 상부 원단 부재에는 상기 쿠션 부재의 하면에 부직포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쿠션 부재와 상기 부직포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누빔선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 원단 부재에는 공극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누빔선이 형성되지 않는 차단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봉합선이 형성되는 봉합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봉합선은 상기 상부 원단 부재와 상기 하부 원단 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단 부재에 형성되는 공극은 10㎛ 이하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부재에는 상기 커버부를 접을 때 상호 대향 배치되는 상기 봉합 부재가 상호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지퍼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손잡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손잡이 부재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0200068643A 2020-06-05 2020-06-05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21015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43A KR20210151598A (ko) 2020-06-05 2020-06-05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643A KR20210151598A (ko) 2020-06-05 2020-06-05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598A true KR20210151598A (ko) 2021-12-14

Family

ID=7890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643A KR20210151598A (ko) 2020-06-05 2020-06-05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159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24A (ko) 2015-04-30 2018-01-08 아란세오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가황성 혼합물 및 가황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저온 특성 및 우수한 내오일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용도
KR20180040466A (ko) 2016-10-12 2018-04-20 김지웅 지퍼식 침대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24A (ko) 2015-04-30 2018-01-08 아란세오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가황성 혼합물 및 가황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저온 특성 및 우수한 내오일성을 갖는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용도
KR20180040466A (ko) 2016-10-12 2018-04-20 김지웅 지퍼식 침대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333Y1 (ko) 알레르겐을 차단하는 침구 커버
US20100139002A1 (en) Pillow and cover for a pillow
US20170042348A1 (en) Mattress cover and bed skirt system
CA2754270C (en) Cover for a mattress
KR20210151598A (ko)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매트리스
US7043786B1 (en) Pillow and pillow cover
JP3227229U (ja) 再利用可能マスク、およびマスク
KR20190058665A (ko) 침대 리넨, 및 관련 침대 어셈블리 및 방법.
KR200476410Y1 (ko) 분리형 매트리스
WO2017214142A1 (en) Bed sheets
CN208080965U (zh) 一种负离子鹅绒床垫
CN204971995U (zh) 医用尿垫
JP3201356U (ja) ベッド用シーツ
KR200453276Y1 (ko) 착탈식 방수 커버를 구비한 매트 커버
JP2006230705A (ja) 敷布団カバー
EP1114599A2 (en) Quilted-top featherbed cover
JP3205179U (ja) 組み合わせ布団
CN219109086U (zh) 一种便于清洗的纺织品床垫
JP3224620U (ja) ベッドシーツ
JP2019103731A (ja) 寝具
KR200495008Y1 (ko) 침대 매트리스 커버
CN204970441U (zh) 一种床垫套
GB2038175A (en) Mattress
JP3750116B2 (ja) 二重側地袋型クッション
JP3122713U (ja) 敷布団カバー及び敷布団カバー固定用のバン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