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081A -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081A
KR20210151081A KR1020217031243A KR20217031243A KR20210151081A KR 20210151081 A KR20210151081 A KR 20210151081A KR 1020217031243 A KR1020217031243 A KR 1020217031243A KR 20217031243 A KR20217031243 A KR 20217031243A KR 20210151081 A KR20210151081 A KR 2021015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element
receptacle
joint
ball joint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라르만
얀 뒤츠
토마스 크라머
아르놀트 블랑케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5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2Special features of the plug or cover on the blind end of the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7Special 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for wear or play; Wear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57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the socket member being mainly made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60G2204/1162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directly mounted on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30Materi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70Positive connections with complementary interlock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3/00Monitoring condition, e.g. temperature, load,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부품(6)의 배열을 위한 수용부(2, 29)를 구비한, 차량 내의 볼 조인트(16)용 폐쇄 요소(1, 28)에 관한 것이다. 폐쇄 요소와 전자 부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폐쇄 요소(1, 28)는, 수용부(2, 29)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폐쇄 요소(1)의 일 측면(3)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의 배열을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차량 내의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폐쇄 요소 또는 볼 조인트는 DE 10 2016 215 416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폐쇄 요소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수용부는 폐쇄 요소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는 폐쇄 요소 자체의 언더컷 변형부로서 구현된다. 폐쇄 요소의 수용부와, 플러그 형상의 전자 부품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플러그는 스냅 연결 및/또는 래칭 연결에 의해 폐쇄 요소의 수용부에 맞물린다.
이 경우, 수용부의 형성을 위한 금속 폐쇄 요소의 가공이, 이를 위해 요구되는 변형으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게 복잡하고 고비용이라는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과제는, 폐쇄 요소와 전자 부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복잡도가 감소 가능하도록,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폐쇄 요소 및/또는 볼 조인트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대안의 실시예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폐쇄 요소 및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볼 조인트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 설명 내용에 기재되어 있다.
폐쇄 요소는 차량 내의 볼 조인트를 위해 형성된다. 특히, 폐쇄 요소 및/또는 볼 조인트는 자동차 섀시 내의 섀시 부품을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볼 조인트 및/또는 폐쇄 요소는 섀시 및/또는 섀시 부품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차량 제조 시에는 볼 조인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특히 섀시 내에서는 볼 조인트들이, 예를 들어 컨트롤 아암, 휠 캐리어, 타이 로드 등과 같은 섀시 부품들 또는 섀시 구성 요소들을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시키거나, 차체와 또는 차체에 고정된 액슬 캐리어와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폐쇄 요소는 전자 부품의 배열을 위한 수용부를 포함한다. 특히, 전자 부품은 센서 요소, 플러그 또는 플러그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전자 부품은 센서 장치의 형성을 위해 자석 또는 추가 전자 부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또는 추가 전자 부품은 볼 조인트의 조인트 내부 부품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장치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볼 조인트 내의 조인트 내부 부품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응하는 센서 장치가 각도 센서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폐쇄 요소의 일 측면에 사출 성형된다.
이 경우, 전자 부품의 배열을 위한 수용부가, 특히 금속의 폐쇄 요소의 변형을 통해 제조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대신, 수용부는 각각 원하는 형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폐쇄 요소의 일 측면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폐쇄 요소와 전자 부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복잡도 또는 비용이 감소 가능하다. 특히, 수용부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는 폐쇄 요소의 일 측면 및/또는 단일 측면에만 사출 성형된다. 이 경우, 수용부는 폐쇄 요소의 측면의 부분 영역에서만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요소의 측면의 다른 부분 영역은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덮일 수 없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를 구비한 폐쇄 요소의 측면은 외부 측면 및/또는 상부 측면으로서 형성된다.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의 경우, 수용부는, 볼 조인트의 조인트 내부 부품의 반대편에 위치한 폐쇄 요소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측면은 평탄면 또는 평면으로서 형성된다. 이를 통해, 폐쇄 요소의 이러한 측면과 수용부 및/또는 수용부의 플라스틱 재료 사이에 평평하거나 평면인 접촉 영역이 생성된다.
일 개선예에 따라, 폐쇄 요소의 테두리부가 수용부 너머로 돌출된다. 특히, 폐쇄 요소의 테두리부는 폐쇄 요소의 중심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수용부를 넘어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테두리부는 조인트 하우징 상에 폐쇄 요소를 홀딩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경우, 볼 조인트 및/또는 섀시 부품은 조인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요소의 돌출된 그리고/또는 튀어나온 테두리부는, 수용부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덮이지 않는 폐쇄 요소의 부분 영역 및/또는 폐쇄 요소의 측면이다. 따라서, 폐쇄 요소의 돌출된 그리고/또는 튀어나온 테두리부는, 조인트 하우징과 폐쇄 요소를 연결하기 위하여 조인트 하우징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폐쇄 요소의 테두리부는 조인트 하우징 상에 폐쇄 요소를 홀딩하기 위해 조인트 하우징과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테두리부는 조인트 하우징의 홀딩 그루브 내에 배열 및/또는 클램핑된다. 이 경우, 조인트 하우징의 홀딩 그루브는 변형 및/또는 말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폐쇄 요소의 테두리부는 원형으로 또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폐쇄 요소의 측면과 수용부 사이에는 재료 결합식 연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는 폐쇄 요소의 측면과 재료 결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폐쇄 요소의 측면과 수용부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폐쇄 요소의 측면은, 수용부와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 영역 또는 부분 영역에서 플라즈마 공정에 의해 전처리될 수 있다. 접착제 및/또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특히 금속의 폐쇄 요소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수용부 사이의 재료 결합식 연결이 개선된다. 특히, 이를 통해 재료 결합식 연결부의 강도 및/또는 부하 수용 능력이 최적화된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폐쇄 요소와 수용부 사이에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가 형성된다. 특히, 폐쇄 요소와 수용부 사이의 연결은 재료 결합식으로뿐만 아니라, 형태 결합식으로도 구현된다. 이 경우, 형태 결합식 연결은 폐쇄 요소의 언더컷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형태 결합식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폐쇄 요소의 측면은, 특히 폐쇄 요소의 중심 종축에 대해 중심 배열된, T자형 또는 버섯 머리 형태의 단면을 갖는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융기부에 그리고/또는 이러한 융기부 둘레에 수용부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형태 결합식 연결의 형성을 위하여 폐쇄 요소의 중심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융기부의 그루브에 맞물린다. 특히, 그루브는 환형으로 또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루브는 중심 종축의 둘레를 반경 방향으로 순환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라, 폐쇄 요소 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배열된다. 이러한 관통구를 통해, 수용부의 플라스틱 재료는 형태 결합식 연결의 형성을 위하여 관통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관통구는 수용부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폐쇄 요소와 수용부의 견고한 연결이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는 전자 부품을 수용부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 요소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특히, 홀딩 요소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현된다. 수용부와 홀딩 요소는 래칭 연결 및/또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특히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폐쇄 요소는 폐쇄 커버 또는 폐쇄 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폐쇄 요소는 금속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사출 성형된 수용부와 결합하여, 2개 이상의 상이한 재료들로 제조된 하이브리드 부품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볼 조인트는 조인트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폐쇄 요소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조인트 하우징은 폐쇄 요소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볼 조인트는, 조인트 하우징 내부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인트 내부 부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조인트 하우징과 조인트 내부 부품 사이에는 조인트 셸이 배열될 수 있다. 조인트 내부 부품은 볼 스터드 또는 볼 슬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내부 부품의 스터드 섹션은 조인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하우징은 적어도 일측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볼 조인트는 운동 가능한 볼 조인트 및/또는 조인트 내부 부품의 중심이 되는 조인트 축 및/또는 중심 종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조인트 축 및/또는 중심 종축은 조인트 하우징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볼 조인트 및/또는 조인트 내부 부품은 조인트 축 및/또는 중심 종축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조인트 축 및/또는 중심 종축은 특히 구(ball) 형태 또는 구 형상의 조인트 내부 부품,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내부 부품의 조인트 볼의 중심점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주에서, 용어 "반경 방향"은, 볼 조인트의 축방향에 대해, 조인트 축에 대해 그리고/또는 중심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조인트 내부 부품은 조인트 하우징 및/또는 조인트 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틸팅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조인트 하우징 및/또는 조인트 셸 내에서의 조인트 내부 부품의 가동식 장착 및/또는 관절식 장착은, 선회 운동성, 틸팅 운동성 및/또는 회전 운동성을 의미한다. 조인트 내부 부품의 "틸팅" 또는 "기울어짐"은, 특히 조인트 하우징에 대한 조인트 내부 부품의 운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운동 시에는 조인트 내부 부품 종축과 하우징 종축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조인트 내부 부품의 "회전" 또는 "비틀림"은, 특히 조인트 내부 부품이 조인트 하우징에 대하여 조인트 내부 부품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조인트 내부 부품의 운동을 의미한다.
하기에,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원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들 또는 요소들과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폐쇄 요소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추가 홀딩 요소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 폐쇄 요소의 추가적인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폐쇄 요소의 측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폐쇄 요소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폐쇄 요소(1)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폐쇄 요소(1)는 폐쇄 커버로서 형성되고, 여기에서 폐쇄 요소(1)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또한, 폐쇄 요소(1)는 수용부(2)를 포함한다. 수용부(2)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수용부(2)는 폐쇄 요소(1)의 일 측면(3)에 사출 성형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이브리드 부품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수용부(2)와 결합된 금속 폐쇄 요소(1)로부터 생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용부(2)는 폐쇄 요소(1)의 측면(3)과 재료 결합식으로 연결된다. 재료 결합식 연결을 개선하기 위해,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거나, 수용부(2)의 사출 성형 이전에 수용부(2)를 위한 플라스틱 재료와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 측면(3)의 부분 영역의 플라즈마 전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폐쇄 요소(1)는 테두리부(4)를 포함한다. 테두리부(4)는 폐쇄 요소(1)의 중심 종축(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수용부(2)를 넘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다. 테두리부(4)는 본 도면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조인트 하우징에 폐쇄 요소(1)를 홀딩하기 위해 형성된다.
수용부(2)는 전자 부품(6)의 배열을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자 부품(6)은 센서 요소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용부(2)는 실질적으로 U자형 에지(7)를 갖는다. 전자 부품(6)은 에지(7)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외부 윤곽 또는 형상을 가지며, 전자 부품(6)은 에지(7) 내에 삽입된다. 에지(7)의 U자형 구성으로 인해, 에지는 3개의 측면들을 갖는다. 에지(7)의 3개의 측면들 각각은 래칭 개구(8)를 포함한다.
도 2는 추가 홀딩 요소(9)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 폐쇄 요소(1)의 추가적인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홀딩 요소(9)는 실질적으로 캡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홀딩 요소(9)는 수용부(2)의 에지(7) 위에 씌워진다.
홀딩 요소(9)는 래칭 연결 및/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수용부(2)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홀딩 요소(9)는 래칭 웨브(10)들을 포함한다. 홀딩 요소(9)의 래칭 웨브(10)들은 수용부(2)의 에지(7)의 래칭 개구(8)들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배열 및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래칭 웨브(10)들 중 하나의 래칭 웨브만 볼 수 있다. 래칭 웨브(10)들은 홀딩 요소(9)의 3개의 측면 영역(11, 12, 13)들 내에 배열된다. 3개의 측면 영역(11, 12, 13)들은 에지(7)에 대응하도록 U자형으로 서로 배열된다.
홀딩 요소(9)는 수용부(2) 또는 폐쇄 요소(1)의 반대편에 위치한 커버 영역(14)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 영역(14)은 전체 측면 영역(11, 12, 13)들을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버 영역(14) 내에는 스프링 웨브(15)가 배열된다. 스프링 웨브(15)는 전자 부품(6) 상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스프링 웨브(15)는 커버 영역(14)의 평면으로부터 전자 부품(6)의 방향으로 만곡된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전자 부품(6)은 추가적으로 수용부(2) 내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홀딩 요소(9)와 수용부(2)의 연결부에 초기 응력이 작용됨으로써, 이러한 연결부는 원하지 않는 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찬가지로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16)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볼 조인트(16)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폐쇄 요소(1)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전자 부품(6)은 추가 홀딩 요소(9)에 의해 수용부(2) 내에 신뢰 가능하게 홀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볼 조인트(16)는 볼 스터드 조인트로서 구현된다. 볼 조인트(16)는, 여기서 볼 스터드로서 구현되는 조인트 내부 부품(17)을 갖는다. 조인트 내부 부품(17)은 조인트 하우징(18) 내부에 관절식으로 운동 가능하게 배열 또는 장착된다. 이 경우, 조인트 하우징(18)은 예를 들어 동시에 섀시 부품(19)의 일체형 구성 요소이다. 섀시 부품(19)과 조인트 하우징(18)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섀시 부품(19)은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자동차의 섀시를 위한 컨트롤 아암이다.
폐쇄 요소(1)에 의해서는 조인트 하우징(18)의 개구(20)가 폐쇄된다. 또한, 볼 조인트(16)는 일반적인 밀봉 벨로우즈(21)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볼 조인트(16)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폐쇄 요소(1)를 조인트 하우징(18)에 고정시키기 위해, 폐쇄 요소(1)는 개구(20) 내에 삽입되고, 조인트 하우징(18)의 하우징 테두리부(22)가 홀딩 그루브(23)의 형성을 위하여 폐쇄 요소(1)의 테두리부(4)를 둘러싸도록 변형 또는 플랜징된다.
조인트 내부 부품(17)은 조인트 볼(24)을 포함한다. 조인트 볼(24)로부터 시작하여, 조인트 내부 부품(17)의 조인트 스터드(25)가 조인트 하우징(18)으로부터 나오도록 연장된다. 폐쇄 요소(1)에 의해 폐쇄된 개구(20)는 조인트 스터드(25) 반대편의 조인트 하우징(18)의 측면에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인트 스터드(25) 반대편의 조인트 볼(24)의 단부면에서는 자석(26)이 조인트 볼(24)에 일체된다. 자석(26)은 센서 장치의 형성을 위해 전자 부품(6)과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인트 하우징(18)과 조인트 볼(24) 사이에는 조인트 셸(27)이 배열된다. 조인트 셸(27)은 마찰에 있어 최적화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폐쇄 요소(28)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폐쇄 요소(28)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폐쇄 요소(1)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도 참조된다.
폐쇄 요소(28)는 수용부(29)를 포함한다. 수용부(29)는 본 도면에서 단지 예시적으로 또는 자리 표시의 의미로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수용부(29)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수용부(2)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수용부(29)는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폐쇄 요소(28)의 측면(3)에 사출 성형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가 폐쇄 요소(28)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폐쇄 요소(1)와는 달리, 본 도면에 도시된 폐쇄 요소(28)는 측면(3)에 융기부(30)를 포함한다.
융기부(30)는 자신의 단면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T자형 또는 버섯 머리 형태로 형성된다. 융기부(30)는 폐쇄 요소(28)와 수용부(29) 사이의 특히 추가적인 형태 결합식 연결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융기부(30)는 측면(3)과 함께 그루브(31) 또는 언더컷을 형성한다. 그루브(31)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폐쇄 요소(1)의 중심 종축(5)의 둘레를 반경 방향으로 순환한다. 수용부(29) 또는 수용부(29)의 플라스틱 재료는 중심 종축(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그루브(31)에 맞물린다. 따라서, 수용부(29)와 폐쇄 요소(28) 사이의 신뢰 가능한 형태 결합이 보장된다.
1 폐쇄 요소
2 수용부
3 측면
4 테두리부
5 중심 종축
6 전자 부품
7 에지
8 래칭 개구
9 홀딩 요소
10 래칭 웨브
11 측면 영역
12 측면 영역
13 측면 영역
14 커버 영역
15 스프링 웨브
16 볼 조인트
17 조인트 내부 부품
18 조인트 하우징
19 섀시 부품
20 개구
21 밀봉 벨로우즈
22 하우징 테두리부
23 홀딩 그루브
24 조인트 볼
25 조인트 스터드
26 자석
27 조인트 셸
28 폐쇄 요소
29 수용부
30 융기부
31 그루브

Claims (10)

  1. 전자 부품(6)의 배열을 위한 수용부(2, 29)를 구비한, 차량 내의 볼 조인트(16)용 폐쇄 요소에 있어서,
    수용부(2, 29)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폐쇄 요소(1)의 일 측면(3)에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2, 29)를 구비한 폐쇄 요소(1, 28)의 측면(3)은 외부 측면 및/또는 상부 측면으로서 형성되고, 특히 측면(3)은 평탄면 또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1, 28)의 테두리부(4)가 특히 폐쇄 요소(1, 28)의 중심 종축(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수용부(2, 29)를 넘어 돌출되고, 바람직하게, 테두리부(5)는 조인트 하우징(18) 상에 폐쇄 요소(1, 28)를 홀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1, 28)의 측면(3)과 수용부(2, 29) 사이에는 재료 결합식 연결부가 형성되고, 특히, 폐쇄 요소(1, 28)의 측면(3)과 수용부(2, 29) 사이에는 접착제가 배열되며 그리고/또는 폐쇄 요소(1, 28)의 측면(3)은, 수용부(2, 29)와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 영역에서 플라즈마 공정에 의해 전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28)와 수용부(29) 사이에는 형태 결합식 연결부가 형성되고, 특히, 형태 결합식 연결은 폐쇄 요소(28)의 언더컷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28)의 측면(3)은, 특히 폐쇄 요소(1)의 중심 종축(5)에 대해 중심 배열된, T자형 또는 버섯 머리 형태의 단면을 갖는 융기부(3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수용부(29)는 형태 결합식 연결의 형성을 위하여 폐쇄 요소(28)의 중심 종축(5)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융기부(30)의 그루브(3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1, 28) 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배열되고, 관통구를 통해, 수용부(2, 29)의 플라스틱 재료는 형태 결합식 연결의 형성을 위하여 관통 연장되며 그리고/또는 관통구는 수용부(2, 29)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부(2)는 전자 부품(6)을 수용부(2)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딩 요소(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형성되고, 특히, 수용부(2)와 홀딩 요소(9)는 래칭 연결 및/또는 스냅 연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서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요소는 폐쇄 커버 또는 폐쇄 링으로서 형성되고, 특히, 금속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쇄 요소(1, 28)와, 조인트 하우징(18)과, 조인트 하우징(18) 내부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인트 내부 부품(17)을 구비한 볼 조인트로서, 폐쇄 요소(1, 28)는 조인트 하우징(18) 내에 고정되고, 수용부(2, 29)를 구비한 폐쇄 요소(1, 28)의 측면(3)은 조인트 내부 부품(17)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KR1020217031243A 2019-04-02 2020-03-04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KR20210151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4658.4A DE102019204658A1 (de) 2019-04-02 2019-04-02 Verschlusselement für ein Kugelgelenk und Kugelgelenk mit einem solchen Verschlusselement
DE102019204658.4 2019-04-02
PCT/EP2020/055717 WO2020200614A1 (de) 2019-04-02 2020-03-04 Verschlusselement für ein kugelgelenk und kugelgelenk mit einem solchen verschluss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081A true KR20210151081A (ko) 2021-12-13

Family

ID=6977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243A KR20210151081A (ko) 2019-04-02 2020-03-04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9087A1 (ko)
EP (1) EP3947991A1 (ko)
KR (1) KR20210151081A (ko)
CN (1) CN113646550A (ko)
DE (1) DE102019204658A1 (ko)
WO (1) WO2020200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7193A1 (de) 2020-06-09 2021-12-09 Zf Friedrichshafen Ag Verschlusselement für ein Kugelgelenk in einem Fahrzeug und Kugelgelenk mit einem solchen Verschlusselement
DE102022207345A1 (de) 2022-07-19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wobei ein Sensorelement an einem Befestigungsabschnitt des Fahrwerkbauteils angeordnet is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DE102022207346A1 (de) 2022-07-19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wobei ein Sensorelement an einem Befestigungsabschnitt des Fahrwerkbauteils angeordnet ist, sowie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DE102022207343A1 (de) 2022-07-19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Sensoranbindung zum Befestigen eines Sensorelement an einem Fahrzeugbauteil sowie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Sensoranbindung
DE102022207342A1 (de) 2022-07-19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305A (ja) * 1984-07-19 1986-02-06 Musashi Seimitsu Kogyo Kk 摩耗表示ボ−ルジヨイント
US4679957A (en) * 1986-06-10 1987-07-14 Bauer John K Ball joint safety system
US4986689A (en) * 1988-01-11 1991-01-22 Trw Inc. Ball joint
US5676485A (en) * 1996-03-28 1997-10-14 Central Corporation Ball joint used for steering arrangement or joint of suspension system of automobile
DE19918911A1 (de) * 1999-04-26 2000-11-09 Fico Cables Sa Verbindungselement
DE10110738C5 (de) * 2001-03-01 2008-06-05 ZF Lemförder GmbH Kugelgelenk, Vorrichtung zum Steuern von Betriebsparametern eines Kraftfahrzeuges, Lenkgestänge, Spurstang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gelgelenks
DE10161671A1 (de) * 2001-12-14 2003-06-2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22A1 (de) * 2002-01-11 2003-07-24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US7048461B2 (en) * 2002-09-20 2006-05-23 Trw Inc. Ball joint assembly with wear indication
DE10338833B4 (de) * 2003-08-21 2005-12-22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Schwenkwinkelsensor
DE10339126B4 (de) * 2003-08-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Winkelsensor
DE10341466B4 (de) * 2003-09-05 2009-12-03 Zf Friedrichshafen Ag Kugelzapfen
US20060029461A1 (en) * 2004-08-05 2006-02-09 Trw Automotive U.S. Llc Ball joint assembly with wear indicating electrical circuit
DE102004039781B4 (de) * 2004-08-16 2007-03-29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GB0510990D0 (en) * 2005-05-28 2005-07-06 Agco Gmbh Steering systems
DE102005027826B3 (de) * 2005-06-15 2007-01-18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schleißmessung
DE102005027825A1 (de) * 2005-06-15 2007-01-04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Senso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Dichtigkeitserkennung
US7476050B2 (en) * 2005-06-30 2009-01-13 Deere & Company Grease actuated ball and socket joint
DE102005032145A1 (de) * 2005-07-07 2007-01-11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34150B4 (de) * 2005-07-19 2008-04-17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US7570047B2 (en) * 2007-06-18 2009-08-04 Key Safety Systems, Inc. Hall effect based angular position sensor
US8008910B2 (en) * 2008-02-19 2011-08-30 Strattec Power Access Llc Strut position sensor including a magnet mounted on an idler gear contained in a stator portion, which is movable relative to a rotor portion connected to the strut, and a galvanomagnetic sensor in the stator portion for detecting angular position of the strut
JP4687739B2 (ja) * 2008-03-28 2011-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荷重センサ
DE102008040212A1 (de) * 2008-07-07 2010-01-14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9027036A1 (de) * 2009-06-19 2010-12-23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schloss für eine Anhängerkupplung
ES2462500T3 (es) * 2009-06-30 2014-05-23 Trw Automotive Gmbh Articulación esférica
US8753032B2 (en) * 2009-10-28 2014-06-17 Honda Motor Co., Ltd. Friction controlled ball joint
DE102010005134A1 (de) * 2010-01-19 2011-07-21 TRW Automotive GmbH, 73553 Kugelgelenk
JP5721774B2 (ja) * 2013-05-29 2015-05-20 Thk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
FR3036751B1 (fr) * 2015-05-27 2017-06-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articulation et procede d'assemblage de l'agencement, vehicule automobile avec une boite de vitesses comprenant un tel agencement
US10119894B2 (en) * 2016-02-25 2018-11-06 Zf Friedrichshafen A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verloading, wear and/or failure of a ball joint
DE102016206864A1 (de) * 2016-04-22 2017-10-26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insbesondere für ein Fahrwerk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olchen Kugelgelenks
DE102016210406A1 (de) * 2016-06-13 2017-12-14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relativen Lage von zwei beweglich miteinander verbundenen Gelenkteilen eines Gelenks
DE102016215416A1 (de) * 2016-08-17 2018-02-22 Zf Friedrichshafen Ag Sensorvorrichtung für ein Kugelgele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46550A (zh) 2021-11-12
DE102019204658A1 (de) 2020-10-08
US20220169087A1 (en) 2022-06-02
EP3947991A1 (de) 2022-02-09
WO2020200614A1 (de)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1081A (ko)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및 이러한 폐쇄 요소를 구비한 볼 조인트
CN102575705B (zh) 球节
US6042294A (en) Ball joint hav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5318373A (en) Ball joint for motor vehicles
US20120141192A1 (en)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1172610A (ja) ポ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77902A (ko) 볼 조인트
US6287040B1 (en) Ball-and-socket joint
JPH09112537A (ja) ジョイントアッセンブリ
KR20230022863A (ko) 차량 섀시용 볼 조인트 및 이러한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KR20190119137A (ko) 볼 조인트
US20130183080A1 (en) Ball joint
KR20230042462A (ko) 볼 조인트용 폐쇄 요소, 차량 섀시용 볼 조인트, 그리고 폐쇄 요소 및/또는 볼 조인트 제조 방법
US20180073565A1 (en) Fitting structure and stee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1896728B (zh) 游隙有限的球铰链
US6685377B2 (en) Arrangement of bearing and box for ball joint
US11448256B2 (en) Slide bea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713782B2 (en) Insert for a ball joint in a motor vehicle, ball joint or link having an insert of this typ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ert of this type, a ball joint of this type or a link of this type
KR20210145750A (ko) 차량 섀시용 볼 조인트 및 이러한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KR102522852B1 (ko)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의 제조 방법
CN111868396A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JP2005515366A (ja) 玉継ぎ手
US11584189B2 (en) Bush for vehicle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201907835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251769A (ja) 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