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42A - 농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농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442A
KR20210149442A KR1020200066479A KR20200066479A KR20210149442A KR 20210149442 A KR20210149442 A KR 20210149442A KR 1020200066479 A KR1020200066479 A KR 1020200066479A KR 20200066479 A KR20200066479 A KR 20200066479A KR 20210149442 A KR20210149442 A KR 2021014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user
height
upper plat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현 filed Critical 김주현
Priority to KR102020006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9442A/ko
Publication of KR2021014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을 다단계로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작업지 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신체적인 부담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와;
상기 밴드걸이에 결합하여 의자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와;
상기 하판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수조절자와, 상판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수조절자와 결합되는 암조절자로 구성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하판 또는 상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하여 높이조절수단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의자{AGRICULTURAL CHAIR}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사를 위하여 밭과 같은 작업지에서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시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신체적인 이상초래를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농업용 의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업시에는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많으며 이러한 자세를 오랫동안 취할 경우에는 관절에 무리가 오는 것은 물론, 신체적인 에너지소모가 많아지고 신체적인 손상과 근골격계의 이상을 초래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되고 편안한 작업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체적인 피로도를 경감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농업용 의자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부재(11)는 단면이 "W"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재(11)의 상부 중앙에 마련된 받침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4)에는 쿠션부재(13)가 고정되는 농사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1)에는 그 상단 외주를 따라 단턱(17)이 마련되며, 상기 쿠션부재(13) 상측에는 내부 둘레를 따라 고정끈(15)을 갖는 커버(16)가 씌워지면서, 상기 고정끈(15)은 "W"형 받침부재(11)의 상단 외주를 따라 마련된 단턱(17)에 걸쳐져서 상기 쿠션부재(13)를 상기 받침부(14)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농사용 의자(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농사용 의자(100)는 브로아 성형된 원통형의 동체(1)와, 상기 동체(1) 상부에 안착되는 좌판(2)으로 구성하되,
상기 동체(1)는 상부 양측에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도록 홈(11)과 걸림부(12)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측 외주면전체에 홈(11a)과 걸림부(12a)가 일체로 되게끔 성형하고, 동체(1) 중앙부에는 내부에 걸림돌부(13)가 돌출된 수직의 관통구멍(14)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좌판(2)은 합성수지나 고무로 성형하되, 저면 중앙부에 외주면에 걸림요부(21)가 형성된 삽입축(2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삽입축(22)을 관통구멍(14)에 끼워 조립하였을 때 걸림돌부(13)가 걸림요부(21)에 끼워짐으로서 좌판(2)이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허벅지에 끼워 지는 벨트(10)를 구비하고 슬라이더파스너(20)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30)의 내부에 방석부재(40)를 구비한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로서,
상기 방석부재(40)는 상,하부판(41,42) 사이에 탄성부재(43)를 지지시키고, 상부판(41)의 상면과 하부판(42)의저면에 각각 적정두께를 갖는 매트부재(44)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출원 제 20 - 2018 - 0001658 호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76945 - 0000 호 특허 제 10 - 1021720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은 받침부재의 상면에 쿠션부재를 개재하여 커버로 마감하는 구성이며, 특허문헌 2는 동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판을 동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특허문헌 3은 상,하매트부재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앉았다가 일어설 때 탄성부재가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좌판을 회전 자유롭게하여 작업자가 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쿠션을 가지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작업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을 내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작업을 위하여 의자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체중이 의자의 전방으로 집중되는 현상에 의하여 쿠션부재들이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수축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앉은 자세가 불안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한 번 작업하기 시작하면 몇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의자의 변형이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앉은 자세가 불안하게 되고, 이러한 제사불안을 작업자가 발, 다리 등에 힘을 주어 바르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작업자에게 의자 없이 앉은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보다 더 불현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의자에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에만 치중한 관계로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작업자가 모두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일부 작업자들은 의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부수적으로 패드(쿠션 또는 판자)를 더 개재하여 자신에 신체에 적합하게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들에서 편익성을 주기 위하여 제공된 의자가 신체조건에 대응하지 못하는 구성이어서 무릎과 발, 허리와 같은 신체부위의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작업피로도 경감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목적을 달하기 어려운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과;
상기 상판(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108)와;
상기 밴드걸이(108)에 결합하여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107)와;
상기 하판(101)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수조절자(121)와, 상판(102)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수조절자(121)와 결합되는 암조절자(122)로 구성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과;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하여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판(103)을 포함하여;
높이조절을 다단계로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작업지 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신체적인 부담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를 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다단계로 높이를 조절(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과정에서 이용자들의 허리, 근 골격계, 다리 등과 같은 신체의 특정한 부위로 하중 등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트레스 상승을 배제하여 신체적인 이상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의 높이 조절을 누구나가 쉽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노약자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변형(수축)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사용과정에서 자세 불안정을 해소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2예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2예의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파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높이조절 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농업용 의자(100)는,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에는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을 강구하여 구성한다.
상기 농업용 의자(100)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 또는 블로워성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작동판(103)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상판(102)의 상면에는 이용자의 둔부 편의성을 위하여 패드홀(104)을 형성하여 쿠션패드(105)를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과정에서 이용자와 의자(100)가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연결하기 위한 착용밴드(107)를 연결하기 위한 밴드걸이(108)를 상판(102)에 구비한다.
상기 착용밴드(107)는,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의 밴드걸이(108)를 연결하는 좌측밴드(110)와 우측밴드(111)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밴드(110,111)에는 이용자의 신체(허벅지)에 맞게 길이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버클, 벨크로 등과 같은 통상적인 길이조절수단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착용밴드(107)는 이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압박감은 배제하면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며, 여타의 다른 종류의 밴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좌,우측밴드(110,111)의 전측위치에는 이용자의 허리띠(112)와 연결하여 흘러내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밴드(115)를 더 구비하는 데, 상기 이탈방지밴드(115)는 좌,우측밴드(110,111)와 연결하는 분지밴드(116)와 상기 분지밴드(116)의 상측에서 허리띠(112)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에 걸고리를 가지는 연결밴드(117)로 구성되는 개략 "Y"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하판(101)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수조절자(121)와 상판(102)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수조절자(121)와 결합되는 암조절자(122)로 구성한다.
상기 수조절자(121)는, 하판(101)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 이용자의 하중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큰 직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메인조절기둥(123)과, 메인조절기둥(123)과 함께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조조절기둥(124)으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조절기둥(123)과 보조조절기둥(124)의 높이는 동일하게 하면서 상판(102)의 암조절자(122)와 결합시 최소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보강을 위하여 하판(101)과 일체형의 보강리브 또는 지직경을 크게 형성한 보강부(11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암조절자(122)는, 상판(102)의 저면 중앙위치에 메인조절기둥(123)과 결합되어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나 이상 형성하는 메인조절관체(126)와, 상판(102)의 저면 가장자리 위치에 보조조절기둥(124)과 결합되어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나 이상 형성하는 보조조절관체(127)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조절관체(126)와 보조조절관체(127)의 간격은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수는 본 발명에서는 5단조절이 가능하게 5개를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조절하고자 하는 단 수에 따라 2단에서 여러단으로 할 수 있을 것이므로 5개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하단에는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기둥수용홈(128)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높이는 각각 다르게하여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내경부 또는 그 주변부에는 1,2,3,4,5와 같은 아라비아숫자, A,B,C,D,E와 같은 알파벳, ㄱ,ㄴ,ㄷ,ㄹ,ㅁ과 같은 한글 또는 다은 문자 및 부호와 같은 식별수단을 더 표시하여 수 및 암조절자(121,122)의 높이에 맞게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의 가장자리에는 수 및 암조절자(121,12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수커튼림(129)와 암커튼림(130)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하판(101)에 수조절자(121)를 형성하고 상판(102)에 암조절자(122)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암,수조절자(111,112)의 위치를 변경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한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하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2예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상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2예의 평면 구성도로서 높이조절수단(120)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의 다른 예로서는, 하판(101)의 상면 중앙에 제일 낮은 높이의 메인조절기둥(123)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조절기둥(123)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하판(101)의 가장자리 주변에 보조조절기둥(124)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제일 낮은 높이의 메인조절기둥(123)의 주변에는 순차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또 다른 메인조절기둥(123)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메인조절기둥(123)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순차적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또 다른 보조조절기둥(124)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상판(102)의 저면 중앙에는 메인조절기둥(123)을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기둥수용홈(128)을 형성한 메인조절관체(126)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조절관체(126)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기둥수용홈(128)을 형성한 보조조절관체(127)를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하판(101)에 형성되는 각각의 메인조절기둥(1123)과 보조조절기둥(124) 사이의 간격과 상판(102)에 형성되는 메인조절관체(126)와 보조조절관체(127) 사인의 간격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를 각각의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과 결합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과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배열형태는 기본적인 예시와 다른 예시에서와 같은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의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국한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업용 의자(100)를 구성하는 하판(101)과 상판(102)을 결합하고, 하판(101) 및 상판(102)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120)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지로 이동하여 의자(100)를 놓고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의자(100)에 앉아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판(102)에 형성되는 패드홀(104)이 쿠션패드(105)를 더 결합하여 편안성을 추구하여도 되며, 밴드걸이(108)에 착용밴드(107)를 결합한 후 착용밴드(107)를 이용자의 신체와 결합시켜 의자(100)가 쉽게 분리 또는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착용밴드(107)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판(102)의 밴드걸이(108)에 연결된 좌측밴드(110)와 우측밴드(111)에 이용자의 허박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고, 이탈방지밴드(115)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허리띠(112)와 연결함으로서 농업용 의자(100)가 이용자와 일체화 되어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농업용 의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밴드(107)에 의하여 분리 및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업 과정에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행동을 취하더라도 농업용 의자(100)는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이용자들이 편안한 자세로 농업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을 이용한 높이 조절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판(101) 또는 상판(102)의 양측으로 돌출된 작동판(103)을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은 상태에서 양 손으로 하판(101) 또는 상판(102)에 대하여 상판(102) 또는 하판(101)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의 신체 조건 또는 작업지의 여건에 맞는 높이에 조절하여 결합한 후 착석하여 사용하면 되는 데, 수조절자(121)를 구성하는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를 암조절자(122)를 구성하는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에 결합함으로서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는 높이를 달리하면서 여러 단계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고자 하는 높이의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와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를 기둥수용홈(128)에 결합함으로서 높이조절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에는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 끼리 식별가능하게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을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에 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잘못 결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자(100)의 사용불능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조절자(121)와 암조절자(122)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높이로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절된 후에는 수,암커튼림(119,120)에 의하여 수 및 암조절자(121,12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해치는 현상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을 다단계로 신속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작업지 조건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신체적인 부담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100; 농업용 의자 101; 하판
102; 상판 103; 작동판
107; 착용밴드 110; 좌측밴드
111; 우측밴드 115; 이탈방지밴드
116; 분지밴드 117; 연결밴드
120; 높이조절수단 121; 수조절자
122; 암조절자 123; 메인조절기둥
124; 보조조절기둥 126; 메인조절관체
127; 보조조절관체 128; 기둥수용홈
129; 수커튼림 130; 암커튼림

Claims (3)

  1.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과;
    상기 상판(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108)와;
    상기 밴드걸이(108)에 결합하여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107)와;
    상기 하판(101)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수조절자(121)와, 상판(102)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수조절자(121)와 결합되는 암조절자(122)로 구성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과;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하여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판(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절자(121)는, 하판(101)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 이용자의 하중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큰 직경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메인조절기둥(123)과;
    상기 메인조절기둥(123)과 함께 이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메인조절기둥(123)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보조조절기둥(124)을 포함하고;
    상기 암조절자(122)는, 상판(102)의 저면 중앙위치에 메인조절기둥(123)과 결합되어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나 이상 형성하는 메인조절관체(126)와;
    상판(102)의 저면 가장자리 위치에 보조조절기둥(124)과 결합되어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가능하게 하나 이상 형성하는 보조조절관체(127)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조절관체(126)와 보조조절관체(127)의 간격은 메인 및 보조조절기둥(123,124)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및 보조조절관체(126,127)의 높이는 각각 다르게하여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의 가장자리에는 수 및 암조절자(121,12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과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수커튼림(129)와 암커튼림(130)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KR1020200066479A 2020-06-02 2020-06-02 농업용 의자 KR2021014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79A KR20210149442A (ko) 2020-06-02 2020-06-02 농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79A KR20210149442A (ko) 2020-06-02 2020-06-02 농업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442A true KR20210149442A (ko) 2021-12-09

Family

ID=7886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479A KR20210149442A (ko) 2020-06-02 2020-06-02 농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944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720B1 (ko) 2009-03-27 2011-03-17 김성규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KR200476945Y1 (ko) 2014-01-14 2015-04-17 이상걸 농사용 의자
KR20180001658U (ko) 2016-11-25 2018-06-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720B1 (ko) 2009-03-27 2011-03-17 김성규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KR200476945Y1 (ko) 2014-01-14 2015-04-17 이상걸 농사용 의자
KR20180001658U (ko) 2016-11-25 2018-06-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499E1 (en) Ball chair
JPH08507935A (ja) 事務用椅子
US20170332802A1 (en) Support system
TWI617301B (zh) Spinal correction aid
US10278508B2 (en) Spinal alignment method for seated posture and associated apparatus
CA2314476C (en) Anti-fatigue platform
US20170165093A1 (en) Leg Brace
KR20210149442A (ko) 농업용 의자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KR200393967Y1 (ko) 휴대용 체중 분산 기구
KR20210156043A (ko) 농업용 의자
US11452905B2 (en) Exercise equipment and method of use
KR20210149429A (ko) 농업용 의자
CN101099700B (zh) 一种撑背护腰装置
CN108210144B (zh) 颈柱支撑辅助装置
KR200243682Y1 (ko) 발판이 구비된 의자용 다리
KR100958267B1 (ko) 의자 부착형 자세 교정기
CN206414057U (zh) 一种电脑椅
KR101437781B1 (ko) 책상에 부설된 발받침대
KR101504096B1 (ko) 다목적 작업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214230661U (zh) 一种矫姿椅
CN220150812U (zh) 一种建筑用跪姿作业辅助装置
CN212546096U (zh) 升降桌
KR101674390B1 (ko)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