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96B1 - 다목적 작업 의자 - Google Patents
다목적 작업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4096B1 KR101504096B1 KR20140084542A KR20140084542A KR101504096B1 KR 101504096 B1 KR101504096 B1 KR 101504096B1 KR 20140084542 A KR20140084542 A KR 20140084542A KR 20140084542 A KR20140084542 A KR 20140084542A KR 101504096 B1 KR101504096 B1 KR 1015040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seat
- support
- coupled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작업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의자는 후방부에 등받이가 형성된 시트, 이 시트에 앉은 작업자의 몸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방사상으로 전개되어 형성된 다수의 다리, 및 상기 시트의 하부와 상기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시트의 하면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다리의 상면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지지 브래킷과,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면과 상기 하부 지지 브래킷 사이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그 단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된 연결 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쿠션과 신축이 가능한 일체형 조절 벨트 및 코일 스프링형 높낮이 조절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다목적 작업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농업, 어업, 낚시, 식당, 공장 등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회전 및 이송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작업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과 신축이 가능한 일체형 조절 벨트 및 코일 스프링형 높낮이 조절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작업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농업, 어업, 낚시, 식당, 공장 등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회전 및 이송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다목적 작업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이나 어촌 또는 야외에서 앉은 채로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작업자 특히 농업용 시설 하우스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작업 여건상 장시간 동안 쪼그려 앉은 채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무릎관절이 손상되므로 수건을 깔고 앉거나 받침대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자리를 이동할 때마다 상기의 장비들을 함께 옮겨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란 명칭으로 출원하여 등록된(등록번호:제1008492050000호) 작업 의자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된 작업의자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비탈지고 경사진 밭고랑에서는 작업자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과 신축이 가능한 일체형 조절 벨트 및 코일 스프링형 높낮이 조절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작업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농업, 어업, 낚시, 식당, 공장 등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회전 및 이송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다목적 작업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판;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및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단부에 상기 좌판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업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판은,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는, 상기 좌판의 후방에 형성되는 둔부받이; 상기 좌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퇴부받이; 및 상기 좌판의 전방에 형성되는 음부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판에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는, 상기 좌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통풍구; 상기 중앙통풍구를 중심으로 후방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둔부통풍구; 상기 중앙통풍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음부통풍구; 및 상기 한 쌍의 둔부통풍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대퇴부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에 결합되는 안전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전띠는, 'Y'자 형태의 어깨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판은, 상기 둔부받이 및 상기 음부받이에 상기 안전띠의 단부가 결합되는 두 개 및 한 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대퇴부받이에는, 각각 손잡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환형링; 상,하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중앙통풍구와 연통되며, 상기 환형링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환형링을 상기 좌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가 인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그 연결관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관은, 일측이 개방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내주면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외주면 양측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관으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복층을 이루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 중 어느 한 층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면서 상,하 위치조절되는 한편, 그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 사이에 한 쌍을 이루며 복층으로 형성되고, 상,하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그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업의자.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쿠션과 신축이 가능한 일체형 조절 벨트 및 코일 스프링형 높낮이 조절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의 다목적 작업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농업, 어업, 낚시, 식당, 공장 등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회전 및 이송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생한다.
게다가 다수의 다리를 마련함으로써 비탈지고 경사진 밭고랑에서 작업을 진행해도 작업자의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에서 안전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및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에서 안전띠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1)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20) 및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단부에 상기 좌판(1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20)에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10)으로는 상기 다목적 작업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며,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돌출부(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돌출부(1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은 후방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둔부받이(12), 상기 좌판(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퇴부받이(13) 및 상기 좌판(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음부받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에는 통풍을 위한 통풍구(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구(1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통풍구(15a)와, 상기 중앙통풍구(15a)를 중심으로 후방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둔부통풍구(15b)와, 상기 중앙통풍구(15a)의 전방에 위치되는 음부통풍구(15c) 및 상기 한 쌍의 둔부통풍구(15b)의 전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대퇴부통풍구(15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둔부통풍구(11b) 및 상기 한 쌍의 대퇴부통풍구(11d)에는 상기 좌판(10)에 안착되는 사용자의 둔부 및 대퇴부가 위치되고, 상기 음부통풍구(11c)에는 그 사용자의 음부가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음부통풍구(11c)는 상기 둔부통풍구(11b)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둔부통풍구(11b)는 상기 대퇴부통풍구(11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목적 작업의자(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에 결합되는 안전띠(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띠(40)는 허리벨트나, 어깨벨트 등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돌출부(11)에는 상기 안전띠(40)가 결합되는 결합공(11a)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띠(40)는 'Y'자 형태의 어깨벨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둔부받이(12)에는 두 개의 상기 결합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음부받이(14)에는 한 개의 상기 결합공(14a)이 형성되면서 상기 안전띠(40)의 각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전띠(40)에는 사용자의 어깨로의 착용을 위한 암,수버클(41,42)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대퇴부받이(13)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공(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지면이나, 실내 바닥면 등으로부터 상기 좌판(10)을 지지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다목적 작업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 지지부(20)에 착석할 수 있는 일종의 의자 형태를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2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21) 및 상기 플레이트(2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23)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23)는 오각 형태를 이루는 상기 플레이트(2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지지바(23)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횡단면이 'ㄴ'자 형태의 곡면을 이루며, 그 모서리부에 평면 또는 곡면을 강성보강면(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1)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23)는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0)의 하단부는 강성보강을 위해 외측으로 절곡 또는 벤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22)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관(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지지관(25)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21) 및 상기 지지바(23)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브(26)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관(25)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 양단부 사이에 강성보강을 위한 보스(2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위치되는 환형링(31), 상기 환형링(3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32) 및 상기 연결관(32)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환형링(31)을 상기 좌판(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링(33)을 포함한다.
상기 좌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중앙통풍구(15a)와 연통되는 제1환형돌기(16)와, 상기 제1환형돌기(16)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환형돌기(17) 및 상기 제2환형돌기(17)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3환형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링(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환형돌기(16,17) 사이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링(33)은 내경이 상기 환형링(3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3환형돌기(18)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나사 등의 체결구(34a)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34b)에 의해 상기 좌판(10)에 고정되면서 상기 환형링(31)이 상기 좌판(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관(25)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홈(27)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2)은 내주면 양측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7)을 따라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5) 및 한 쌍의 스토퍼(36)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27)을 이루는 둘레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관(25)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35)는 상기 연결부(30) 또는 상기 지지부(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27)에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면서 상기 좌판(10)과 상기 지지부(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연결관(32)은 양측에 각각 통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36)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하단부가 상기 통공(32a)을 이루는 하부면에 연결되고, 상단부 외측에 단턱(36a)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6)는 외부의 가압에 따라 상단부가 양단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단턱(36a)이 상기 지지부(20)와 접하면서 그 지지부(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연결관(32)은 내측으로 그 연결관(32)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강리브(3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다목적 작업의자(1)가 안착되는 지면 등의 상태에 따라 상기 연결부(30)로부터 분리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1)가 안착되도록 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바(23)가 안착되도록 재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다목적 작업의자(1)는 그 다목적 작업의자(1)가 안착되는 지면 등의 상태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21)가 안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의 지지바(23)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지지부(20)가 위치조절된 상기 연결부(30)의 일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작업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다목적 작업의자 10 : 좌판
11 : 곡면돌출부 12 : 둔부받이
13 : 대퇴부받이 14 : 음부받이
15 : 통풍구 15a : 중앙통풍구
15b : 둔부통풍구 15c : 음부통풍구
15d : 대퇴부통풍구 16 : 제1환형돌기
17 : 제2환형돌기 18 : 제3환형돌기
20 : 지지부 21 : 플레이트
22 : 중공 23 : 지지바
24 : 강성보강면 25 : 지지관
26 : 리브 27 : 가이드홈
30 : 연결부 31 : 환형링
32 : 연결관 33 : 고정링
34 : 체결구 35 : 가이드돌기
36 : 스토퍼 36a : 단턱
40 : 안전띠
11 : 곡면돌출부 12 : 둔부받이
13 : 대퇴부받이 14 : 음부받이
15 : 통풍구 15a : 중앙통풍구
15b : 둔부통풍구 15c : 음부통풍구
15d : 대퇴부통풍구 16 : 제1환형돌기
17 : 제2환형돌기 18 : 제3환형돌기
20 : 지지부 21 : 플레이트
22 : 중공 23 : 지지바
24 : 강성보강면 25 : 지지관
26 : 리브 27 : 가이드홈
30 : 연결부 31 : 환형링
32 : 연결관 33 : 고정링
34 : 체결구 35 : 가이드돌기
36 : 스토퍼 36a : 단턱
40 : 안전띠
Claims (9)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돌출부는, 후방에 형성되는 둔부받이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대퇴부받이 및 전방에 형성되는 음부받이를 포함하며,
통풍을 위한 통풍구가 형성되되,
상기 통풍구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통풍구와,
상기 중앙통풍구를 중심으로 후방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둔부통풍구와,
상기 중앙통풍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음부통풍구 및
상기 한 쌍의 둔부통풍구의 전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대퇴부통풍구를 포함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는 환형링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중앙통풍구와 연통되며, 상기 환형링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환형링을 상기 좌판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가 인입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중공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편, 그 연결관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복수의 지지바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관은,
일측이 개방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내주면을 따라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외주면 양측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층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관으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복층을 이루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 중 어느 한 층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면서 상,하 위치조절되는 한편,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업의자.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 사이에 한 쌍을 이루며 복층으로 형성되고, 상,하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그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6476 | 2013-12-16 | ||
KR1020130156476 | 2013-12-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4096B1 true KR101504096B1 (ko) | 2015-03-19 |
Family
ID=5302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84542A KR101504096B1 (ko) | 2013-12-16 | 2014-07-07 | 다목적 작업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40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802B1 (ko) | 2020-07-23 | 2021-04-02 | 김유경 |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270Y1 (ko) * | 2005-07-16 | 2005-10-12 | 이정웅 | 휴대용 작업의자 |
KR101256328B1 (ko) * | 2012-02-08 | 2013-04-18 | 박재덕 | 휴대용 의자 |
-
2014
- 2014-07-07 KR KR20140084542A patent/KR1015040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8270Y1 (ko) * | 2005-07-16 | 2005-10-12 | 이정웅 | 휴대용 작업의자 |
KR101256328B1 (ko) * | 2012-02-08 | 2013-04-18 | 박재덕 | 휴대용 의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802B1 (ko) | 2020-07-23 | 2021-04-02 | 김유경 |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52278A1 (en) | Portable child seat | |
US9420893B1 (en) | Kneeler | |
US20120074182A1 (en) | Mother's helper baby sling | |
KR101504096B1 (ko) | 다목적 작업 의자 | |
WO2017185805A1 (zh) | 趴式支撑椅以及包含该支撑椅的办公套件 | |
KR101963879B1 (ko) |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 |
US20060071532A1 (en) | Seat device for a chair | |
KR200461464Y1 (ko) | 이동형 아동용 의자 | |
JP2017170135A (ja) | 農作業用椅子 | |
US10130187B1 (en) | Kneeler | |
KR101256328B1 (ko) | 휴대용 의자 | |
KR102545943B1 (ko) |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간이 회전의자 | |
CN108814136A (zh) | 一种新型婴儿腰凳 | |
KR101855999B1 (ko) | 작업용 의자 | |
KR200473715Y1 (ko) | 등받이 방석 | |
KR20160054182A (ko) | 다용도 수유 쿠션 | |
US20200170863A1 (en) | Pneumatically Actuated Lifting Cushion | |
US20160316918A1 (en) | Drum seat and methods of use | |
KR200437524Y1 (ko) | 작업의자 | |
AU2016204413A1 (en) | A transport sling for patients | |
JP3195827U (ja) | 作業用腰掛 | |
KR200366071Y1 (ko) |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 | |
KR20210149429A (ko) | 농업용 의자 | |
JP3166773U (ja) | 車椅子用クッション | |
KR200205718Y1 (ko) | 착용벨트가 구비된 깔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