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02B1 -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802B1
KR102235802B1 KR1020200092332A KR20200092332A KR102235802B1 KR 102235802 B1 KR102235802 B1 KR 102235802B1 KR 1020200092332 A KR1020200092332 A KR 1020200092332A KR 20200092332 A KR20200092332 A KR 20200092332A KR 102235802 B1 KR102235802 B1 KR 10223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ing
seat
ch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경
김성림
Original Assignee
김유경
김성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경, 김성림 filed Critical 김유경
Priority to KR102020009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착용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좌대와 하나의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좌대 양측 및 후미에는 허벅지와 허리에 감아 엉덩이부분에 좌대가 위치하도록 한 착용밴드가 연결되며,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에 있어서, 좌대(1)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다리를 상단에 레버(21)가 구비된 브래킷(22)을 장착한 쇼바(2)로 구성하고, 쇼바(2) 하단에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대(3)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의자는, 신체에 착용하여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하면서 이동해야 하는 농사일을 비롯해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좌대높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시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높이조절과정에서 작업자의 동선이 최소화되어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작업위치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Portable working chair}
본 발명은 밭, 갯바위, 모래밭 같은 작업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다리를 쇼바(shock absorber)로 이용함으로서 작업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좌대의 높이조절이 원터치로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이에 따라 각종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밭을 비롯한 야외에서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선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간이 의자를 이용함으로써 낮은 자세 또는 걸터앉은 자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작업의 편리성과 작업의 효율성이 더 높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낮게 열린 과수는 낮은 자세에서 봉지를 씌우거나 수확하는 등의 작업을 높은 자세에서 작업을 하지만, 높게 열린 과수는 서서 작업하거나 사다리 등의 기구를 작업을 하게 되지만, 딸기나 고추, 가지 등을 비롯한 키가 작은 작물들은 장시간 쪼그려 앉은 자세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자를 차고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작물에 따라 쪼그려 앉아 작업하여야 할 뿐 아니라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위치에 따라 작업의자의 높이조절이 필요할 경우가 매우 많다.
한편 선 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77838호에는 밭 또는 갯바위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 실용신안에 따른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는, 사용자의 둔부와 접하게 되는 좌대; 상단이 상기 좌대의 저부 중심에 연결되며 하단이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상기 다리에 상기 좌대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넘어짐 방지대; 지면과 상기 다리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될 수 있도록 상기 다리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다리가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와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좌대가 사용자의 둔부에 매달릴 수 있도록 상기 좌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묶어 고정하는 고정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 등록고안은 작업의자에 구비된 상기 받침부가, 횡판과, 상기 횡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함으로써 단면이 유(U)자 형태로 이루어진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측판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측판 사이에 끼워지는 다리를 관통하는 힌지축; 상기 횡판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축볼트; 및 상기 축볼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다리가 지면에 수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횡판을 관통한 축볼트에 결합하는 받침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은 판재 형태로서 가장자리가 상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횡판에 고정되는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선등록 고안은 받침판이 지면에 지지되고, 고정 밴드가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부터 일어나서 걸을 경우에는 작업의자도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고안은 작업의자 앉은 자세에서 농사일을 하거나 또는 바닥이나 작업대에서 각종 작업을 할 때 주로 좌대 또는 외다리를 수회전 이상 회전시켜야만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실상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높이조절을 하기는 매우 번거롭고 힘든 문제점이 따랐고, 또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많이 들기 때문에 값이 비싸져서 농가보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따랐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352호(등록일자 2016년11월09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096호(등록일자 2015년03월13일)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8093호(공개일자 2020년03월16일)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특히 농사 또는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앉아 작업 중인 상태에서도 좌대의 높이를 매우 손쉽게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좌대와 하나의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좌대 양측 및 후미에는 허벅지와 허리에 감아 엉덩이부분에 좌대가 위치하도록 한 착용밴드가 연결되며,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에 있어서,
좌대(1) 저면에 설치되는 하나의 다리를 상단에 레버(21)가 구비된 브래킷(22)을 장착한 쇼바(2)로 구성하고, 쇼바(2) 하단에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대(3)를 구비함으로서 좌대(1)의 높이를 원터치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대(3)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길며 양 끝이 상향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사용 중 체중이 뒤로 쏠리더라도 넘어지지 않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대(3) 상부에 구형홈(31)을 형성하고, 쇼바(2) 하단에는 구형볼(23)을 구비하여 이들을 조립하였을 때 쇼바(2)가 소정의 각도만큼 사방팔방으로 유동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의자는 신체에 착용하여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하면서 이동해야 하는 농사일을 비롯해 각종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좌대높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수시로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높이조절과정에서 작업자의 동선이 최소화되어 시간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작업위치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작업의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좌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작업의자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안착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작업의자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예시도.
본 발명은 허리 및 허벅지에 착용하는 밴드(11)가 연결된 좌대(1)를 엉덩이에 착용하고, 상기 좌대(1) 저면에는 외다리를 연결 구성하여 농사일을 비롯해 이동하면서 해야 하는 각종 작업을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된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위치, 작업의 종류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도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1은 작업의자의 사시도이고, 도2는 좌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작업의자의 사시도이며, 도3은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4는 안착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작업의자의 사시도이다.
도1~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좌대(1)의 모양이나 형상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나 모양으로 사출성형하거나 또는 브로아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발포우레탄 스펀지를 비롯하여 가볍고 쿠션이 뛰어난 쿠션재를 이용하여 좌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대(1)의 좌우측부분과 뒷부분에는 밴드(11)를 연결하여 작업의자(100)를 허벅지와 허리에 찰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도 보행이 가능하다.
상기 좌대(1)의 저면에는 하나의 의자다리, 즉 외다리가 연결 설치되고, 다리 하단에는 안착대(3)가 구비되어 있는데, 다리가 하나이면서도 사용이 가능한 이유는 앉았을 때 착용자의 두 다리가 사용자 체중의 중심을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3개의 다리로 작용하게 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좌대(1)의 저면에 외다리를 구비하는 가장 궁극적인 이유는 농사일을 할 때 밭고랑이나 작물과 작물 사이의 공간이 좁기 때문에 이 안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작물을 수확하거나 또는 김매기를 할 때 작업의자에 앉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작업의자의 다리가 하나이기 때문에 좁은 통로에서도 작물을 밟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작물의 키나 종류에 따라 좌대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야 보다 더 원활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종래에는 좌대(1)의 높이 조절이 주로 스크류방식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좌대를 회전시켜 조절하여야만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앞에서도 잠깐 설명한 바와 같이 좁은 통로에서 좌대를 돌려 높이조절을 하려면 대부분의 경우 밴드를 풀어 신체로부터 작업의자를 분리한 다음 조절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작업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 좌대(1)의 높이조절을 승강레버(21)를 당기면서 체중을 이용하여 가압하거나 또는 일어서는 듯한 자세를 취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할 수 있게 함으로서 높이조절에 따른 동선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좁은 공간, 좁은 통로에서도 원활하게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업의자(100)는 허벅지와 허리에 차는 밴드(11)가 구비된 좌대(1)와, 상기 좌대(1) 저면에 연결 구성된 쇼바(2), 그리고 상기 쇼바(2) 하단에 구비된 안착대(3)로 구성된다.
상기 좌대(1)와 쇼바(2)는 레버(21)가 구비된 브래킷(22)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좌대(1)에 앉아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레버(21)를 당기면 하강하고, 레버(21)를 당기면서 신체를 들어 올리듯 하면 좌대(1)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쇼바(2) 하단에는 안착대(3)를 구비하였는데, 상기 안착대(3)는 상부에 쇼바(2) 하단부가 삽입되고 바닥부분은 좌대(1)에 앉았을 때 지면을 파고 들어가지 않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걸리적 거리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대(3)를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게 형성하면 사용자의 체중이 뒤로 쏠리는 경우에도 뒤로 넘어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추를 비롯하여 키가 비교적 작은 각종 밭작물에서 열매나 잎을 수확하거나 김매기를 하는 등 낮은 위치에서 쪼그려 앉아 작업해야 할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수확위치나 작업위치에 따라 좌대(1)의 높이를 조절할 때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랜 시간 작업에도 피로가 적고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안착대(3) 상부에 구형홈(31)을 형성하고, 쇼바(2) 하단에는 구형볼(23)을 구비하여 이들을 조립하였을 때 쇼바(2)가 소정의 각도만큼 사방팔방으로 유동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작업공간의 좁은 지면이 울퉁불퉁하더라도 안정적인 작업을 유도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앉은 상태에서 열매나 잎을 수확할 때 행동반경을 더 크게 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작업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좌대 2 : 쇼바 3 : 안착대
11 : 밴드 21 : 레버 22 : 브래킷
23 : 구형볼 31 : 구형홈 100 : 작업의자

Claims (3)

  1. 허벅지와 허리에 감아 엉덩이부분에 위치하게끔 유도하는 밴드(11)가 구비된 좌대(1)와,
    상기 좌대(1)의 저면 중심에 설치되며 상단에 레버(21)를 가진 브래킷(22)이 구비되고 하단에 구형볼(23)이 구비된 쇼바(2)와,
    상기 쇼바(2) 하단에 설치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유도하며 상부에 상기 구형볼(23)의 작용을 제한하는 구형홈(31)을 가진 안착대(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2332A 2020-07-23 2020-07-23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KR10223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32A KR102235802B1 (ko) 2020-07-23 2020-07-23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32A KR102235802B1 (ko) 2020-07-23 2020-07-23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802B1 true KR102235802B1 (ko) 2021-04-02

Family

ID=7546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32A KR102235802B1 (ko) 2020-07-23 2020-07-23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097B1 (ko) 2021-04-26 2021-12-30 김기문 허리착용형 의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57Y1 (ko) * 2001-11-16 2002-02-19 이병선 의자의 틸팅구조
KR101256328B1 (ko) * 2012-02-08 2013-04-18 박재덕 휴대용 의자
KR200467000Y1 (ko) * 2011-02-24 2013-05-20 김주현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KR101504096B1 (ko) 2013-12-16 2015-03-19 구성득 다목적 작업 의자
KR101676352B1 (ko) 2016-01-25 2016-11-15 이광호 차고 다니는 의자
KR20200028093A (ko) 2018-09-06 2020-03-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업용 입식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57Y1 (ko) * 2001-11-16 2002-02-19 이병선 의자의 틸팅구조
KR200467000Y1 (ko) * 2011-02-24 2013-05-20 김주현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KR101256328B1 (ko) * 2012-02-08 2013-04-18 박재덕 휴대용 의자
KR101504096B1 (ko) 2013-12-16 2015-03-19 구성득 다목적 작업 의자
KR101676352B1 (ko) 2016-01-25 2016-11-15 이광호 차고 다니는 의자
KR20200028093A (ko) 2018-09-06 2020-03-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업용 입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097B1 (ko) 2021-04-26 2021-12-30 김기문 허리착용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802B1 (ko)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US9003979B2 (en) Workstation
KR101234976B1 (ko) 비닐하우스 설치용 작물 상방 이동식 작업장치
US20160081478A1 (en) Kinematic mechanisms for furniture
US6860840B2 (en) Exercise machine for exercising upper body portions
US20040242389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for inverted abdominal exercises
US6017089A (en) Arrangement in a chair, especially for regulating the level of the seat, etc.
US7178868B2 (en) Gardening chair
CN217308394U (zh) 一种玉米去雄穗装置
KR101690422B1 (ko) 좌식 작업용 보조기구
KR101256328B1 (ko) 휴대용 의자
CN206963359U (zh) 一种可平衡负重的割灌机背负架
US11310967B2 (en) Device for growing mushrooms
CN215533047U (zh) 一种便于穿戴的护膝跪凳
KR101676352B1 (ko) 차고 다니는 의자
CN216797078U (zh) 穿戴式座椅
KR102208715B1 (ko) 작업용 입식 의자
KR200467000Y1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KR102588678B1 (ko) 작업용 의자
KR0133168Y1 (ko) 농작물 재배용 이동체
KR102344097B1 (ko) 허리착용형 의자
KR102247272B1 (ko) 농사용 레일 이동형 작업의자
CN218218177U (zh) 一种园林工程用园林铲
KR200477838Y1 (ko) 간이의자
JPS5929452Y2 (ja) 腰掛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