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715B1 - 작업용 입식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입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715B1
KR102208715B1 KR1020180106312A KR20180106312A KR102208715B1 KR 102208715 B1 KR102208715 B1 KR 102208715B1 KR 1020180106312 A KR1020180106312 A KR 1020180106312A KR 20180106312 A KR20180106312 A KR 20180106312A KR 102208715 B1 KR102208715 B1 KR 102208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unit
inclination
height
pedestal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093A (ko
Inventor
정희성
권영하
김수연
원민정
김현옥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정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정희성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0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7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대의 주변에 배치되어 작업대의 높이에 따라 의자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증가하고,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하며, 구입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작업용 입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와, 상기 경사조절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 및 경사조절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조절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축을 기준으로 좌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높이조절부는 나사식으로 회전하되, 좌대, 경사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외측관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대 및 경사조절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용 입식 의자{Standing chairs for work}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업용 작업대의 주변에 배치되어 작업대의 높이에 따라 의자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증가하고,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하며, 구입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작업용 입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농가에는 수확한 작물들의 분류 작업 또는 포장 작업 등을 포함하는 수확 후 작업을 위한 작업장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장의 내부에는 작업대와 작업용 입식 의자가 배치된다.
상기 작업대 및 작업용 입식 의자는 작업장 내부에서의 빈번한 이동을 감안하여 높이가 높은 하이 스툴(Hihg stool) 형태의 의자 및 상기 의자에 대응되는 높이의 작업대가 배치된다.
상기한 작업용 입식 의자는 다양한 종류가 제시되어 있으나, 크게 분류하면 조절이 불가능한 저가형과, 조절이 가능한 고가형으로 분류된다. 고가형 작업용 입식 의자는 좌대가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좌대가 전면 방향으로 틸트(Tilt) 가능하며, 작업자의 체형에 맞추기 위해 높이조절장치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고, 저가형 작업용 입식 의자는 높이조절 및 틸트가 불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농가에서는 고가의 작업용 입식 의자는 사용이 편리하나 고가의 금액 및 유압식 또는 개스식 조절 장치의 고장이 빈번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저가의 작업용 입식 의자는 구입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높이 및 틸트 조절이 불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0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98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입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하면서 높이 및 틸트 조절장치가 구비된 작업용 입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작업자에게 안정적인 착섬감을 제공하는 작업용 입식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와, 상기 경사조절부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 및 경사조절부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조절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축을 기준으로 좌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높이조절부는 나사식으로 회전하되, 좌대, 경사조절부, 높이조절부의 외측관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대 및 경사조절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는 높이 조절 및 좌대의 경사 조절을 나사식으로 구성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입비 및 유지보수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장치 및 경사 조절장치가 포함되고, 작업자의 착석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하여 농업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의 높이에 따라 의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적절한 작업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허리와 어깨 등에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의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의 높이 조절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의 좌대 각도 조절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 및 높이조절부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의 작용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의 일부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하고, 좌,우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입식 의자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좌대(100)와, 상기 좌대(1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100)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200)와,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100)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300)와,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받침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좌대(100)는 작업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좌면(110)과, 상기 좌면(110)의 후면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등받이(120)를 포함한다. 경사조절부(2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축(230)을 기준으로 좌대(1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손잡이(241)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대(100)의 회전 방향을 조절한다. 높이조절부(300)는 나사식으로 회전하여 좌대(100)를 승강시켜 좌대(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높이조절부(300)는 좌대(100), 경사조절부(200), 높이조절부(300)의 외측관(3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대(100)를 승강시킨다. 하단받침대(400)는 저면이 지면과 접촉하며 높이조절부(300), 경사조절부(200), 좌대(100)가 안정적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사조절부(200), 높이조절부(300)를 상세하게 살펴본다.
경사조절부(200)는 상단부가 좌대(100)의 저면과 결합되며 내부에 조절몸체(220) 및 경사조절나사(2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되 수평면(221)의 전면부는 경사조절나사(240)와 관통 결합되고, 수평면(221)의 후면 단부는 높이조절부(300)의 높이조절나사(311)와 결합 고정되는 조절몸체(220)와, 상기 케이스(210) 및 조절몸체(22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평축(230)과, 상기 케이스(210)와 조절몸체(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배치되되, 경사조절나사(240)의 상부는 조절몸체(220)와 관통 결합되고 경사조절나사(240)의 하부는 케이스(210)의 경사조절너트(211)와 체결되는 경사조절나사(240)를 포함한다.
케이스(2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서, 바닥면의 안쪽에 고정되어 경사조절나사(240)와 체결되는 경사조절너트(211)와, 바닥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높이조절부결합공(21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단부가 좌대(100)의 저면과 결합된다. 즉 경사조절나사(240)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210)가 수평축(23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좌대(100) 또한 수평축(23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면(110)이 기울어진다.
조절몸체(220)는 상부에 수평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221)의 좌,우 양측으로 수직면(223)이 형성되며, 수평면(221)에는 경사조절나사(240)가 관통되는 경사조절나사결합공(222)이 형성되며, 양측 수직면(223)에는 수평축(230)이 관통된다. 상기 수평면(221)의 후면 단부는 높이조절부(300)의 높이조절나사(311)와 용접 등의 기계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전면부는 경사조절나사결합공(222)으로 관통되는 경사조절나사(240)와 연결되며, 경사조절나사결합공(222)은 경사조절나사(24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수평축(230)은 케이스(210) 및 조절몸체(22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며 배치되고, 수평축(230)의 양측 단부에는 수평축고정구(231)가 배치된다. 상기 수평축(23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케이스(210) 또는 조절몸체(220)에 관통 결합되는 수평축부시(232) 포함할 수 있다.
경사조절나사(240)는 숫나사 형상으로서, 케이스(210)의 바닥면 및 조절몸체(220)의 수평면(221)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배치된다. 경사조절나사(240)는 케이스(210)의 경사조절너트(211)와 체결되고, 조절몸체(220)와는 경사조절나사결합공(222)을 통해 결합된다. 경사조절나사(240)는 하단부에 형성된 손잡이(241)와, 경사조절나사(240)와 접속 결합되되 조절몸체(220) 수평면(221)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경사조절와셔(244)와, 경사조절나사(24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조절몸체고정너트(243)와, 경사조절나사(24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저면은 케이스(210)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상단부는 조절몸체(220)의 수평면(221)과 접촉하는 탄성체(242)를 포함한다.
경사조절나사(240)는 케이스(210)와 조절몸체(220)를 관통하여 배치되되, 케이스(210)의 경사조절너트(211)와는 체결된 상태이고, 조절몸체(220)와는 단순히 관통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경사조절나사(240)의 회전은 케이스(210)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나, 조절몸체(220)를 움직이게 할 수는 없다.
도 5를 참조하여 경사조절부(200)의 작용을 살펴보면, 경사조절나사(24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체결된 경사조절너트(211)의 작용에 의해 케이스(210)는 수평축(230)을 중심으로 전면부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만약, 경사조절나사(24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스는 수평축(230)을 중심으로 전면부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경사조절나사(240)의 손잡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좌면(110)의 기울어짐을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300)는 상단부가 조절몸체(220)와 결합 고정되고 좌대(100) 및 경사조절부(200)와 함께 회전하며 승강하는 외측관(310)과, 상부는 외측관(310) 내부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하단받침대(400)와 결합되되 외측관(310)의 높이조절나사(311)와 체결되는 내측관(320)을 포함한다.
외측관(3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부에 배치되어 상단부가 조절몸체(220)와 결합고정되는 높이조절나사(311)와, 높이조절나사(311)를 외측관(310)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나사고정체(313)와, 높이조절나사(311)의 하부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링(314)과, 상기 높이조절나사(31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링고정구(316)를 포함한다. 가이드링고정구(316)은 가이드링(314) 저면과 접촉하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고정하는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나사(311)는 숫나사 형상이고, 나사고정체(313)는 외측관 내부에 삼입되는 링 형상이며, 하단부에 형성되어 가이드링(314)의 키가 접속되는 키홈(312)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고정체(313)는 나사체결 또는 용접 등의 기계적 결합 방식으로 외측관(310) 및 높이조절나사(311)와 고정되어 높이조절나사(311)의 상부가 외측관(31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이드링(314)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소정 두께와 길이의 관체로서, 내경은 높이조절나사(311)의 외경과 동일하고, 외경은 아래에서 설명될 내측관(320)의 내경과 동일하다. 가이드링(314)은 내주연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나사(311)의 키홈(312)에 접속되는 키(315)와, 외주연에 형성되어 윤활제를 수용하는 윤활홈(317)을 포함한다. 가이드링(314)은 높이조절나사(311)의 하단부가 내측관(32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나사(311)는 가이드링(314)과 관통 결합되고, 가이드링(314)의 키(315)는 높이조절나사(311)의 키홈(312)과 접속되며, 가이드링고정구(316)는 높이조절나사(31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가이드링(314)과 높이조절나사(311)에 고정되도록 한다.
내측관(320)은 상부 일부가 외측관(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내주연 상단부에 고정 결합된 높이조절너트(321)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321)에는 외측관(310)의 높이조절나사(311)가 체결된다. 내측관(320)의 외주연은 외측관(310)의 내주연과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관(3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높이조절나사(311) 또한 회전하고, 높이조절나사(311)와 높이조절너트(321)의 작용에 의해 내측관(320)은 고정되고, 외측관(310)은 승강한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높이조절부(300)의 작용을 살펴본다. 높이조절나사(311)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외측관(310)이 상승할 때에는 키홈(312)과 키(315)의 작용에 의해 높이조절나사(311)와 가이드링(314)이 동시에 회전하고, 가이드링고정구(316)는 가이드링(314)의 저면을 받쳐 높이조절나사(311)와 가이드링(314)이 동시에 상승하도록 한다. 반대로 높이조절나사(311)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외측관(310)이 하강할 때에는 키홈(312)과 키(315)의 작용에 의해 높이조절나사(311)와 가이드링(314)이 동시에 회전하고, 키홈(312)의 내면 상단턱이 키(315)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높이조절나사(311)와 가이드링(314)이 동시에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한 외측관(310)의 승강 및 승강이 완료되어 높이 조절을 마친 상태에서 나사고정체(313)는 높이조절나사(311)의 상부가 외측관(31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작용하고, 가이드링(314)은 높이조절나사(311)의 하부가 내측관(320) 내부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작업자가 좌대(100)에 앉았을 때 외측관(310)은 흔들림없이 좌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링(314)의 윤활홈(317)은 내부에 윤활제를 수용하여 가이드링(314)과 내측관(320)의 내주연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하고 외측관(310) 및 경사조절부(200)와 좌대(100)의 승강이 부드럽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좌대 110:좌면 120:등받이
200:경사조절부 210:케이스 211:경사조절너트
212:높이조절부결합공 220:조절몸체 221:수평면
222:경사조절나사결합공 223:수직면 230:수평축
231:수평축고정구 240:경사조절나사 241:손잡이
242:탄성체 243:조절몸체고정너트 244:경사조절와셔
300:높이조절부 310:외측관 311:높이조절나사
312:키홈 313:나사고정체 314:가이드링
315:키 316:가이드링고정구 317:윤활홈
320:내측관 321:높이조절너트 400:하단받침대

Claims (2)

  1. 상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엉덩이가 접촉되는 좌대(100)와,
    상기 좌대(1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100)의 기울어짐을 조절하는 경사조절부(200)와,
    상기 경사조절부(200)의 하부에 구성되어 좌대(100) 및 경사조절부(200)를 승강시키는 높이조절부(300)와,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는 하단받침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조절부(2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축(230)을 기준으로 좌대(100)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높이조절부(300)는 나사식으로 회전하되, 좌대(100), 경사조절부(200), 높이조절부(300)의 외측관(3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대(100) 및 경사조절부(200)를 승강시키게 하고,
    상기 경사조절부(200)는 상단부가 좌대(100)의 저면과 결합되며 내부에 조절몸체(220) 및 경사조절나사(2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되 수평면(221)의 전면부는 경사조절나사(240)와 관통 결합되고, 수평면(221)의 후면 단부는 높이조절부(300)의 높이조절나사(311)와 결합 고정되는 조절몸체(220)와,
    상기 케이스(210) 및 조절몸체(220)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평축(230)과,
    상기 케이스(210)와 조절몸체(2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배치되되, 경사조절나사(240)의 상부는 조절몸체(220)와 관통 결합되고 경사조절나사(240)의 하부는 케이스(210)의 경사조절너트(211)와 체결되는 경사조절나사(240)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상단부가 조절몸체(220)와 결합 고정되고 좌대(100) 및 경사조절부(200)와 함께 회전하며 승강하되 내부의 높이조절나사(311)를 포함하는 외측관(310)과,
    상부는 외측관(310) 내부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하단받침대(400)와 결합되되 외측관(310)의 높이조절나사(311)와 체결되는 내측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입식 의자.
  2. 삭제
KR1020180106312A 2018-09-06 2018-09-06 작업용 입식 의자 KR102208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12A KR102208715B1 (ko) 2018-09-06 2018-09-06 작업용 입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12A KR102208715B1 (ko) 2018-09-06 2018-09-06 작업용 입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93A KR20200028093A (ko) 2020-03-16
KR102208715B1 true KR102208715B1 (ko) 2021-01-28

Family

ID=6994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12A KR102208715B1 (ko) 2018-09-06 2018-09-06 작업용 입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802B1 (ko) 2020-07-23 2021-04-02 김유경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271A (ja) * 1999-03-30 2000-10-10 Shigekatsu Nishiyama 立ち作業及び小休憩のための補助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9557A (en) * 1996-05-23 1998-05-12 Huang Ching-Feng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chair
KR101367001B1 (ko) 2011-11-29 2014-02-25 박영호 의자 좌판 경사장치
KR101559889B1 (ko) 2015-03-20 2015-10-1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271A (ja) * 1999-03-30 2000-10-10 Shigekatsu Nishiyama 立ち作業及び小休憩のための補助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93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728A (en) Ergonomic multi-position work stand
US10045627B2 (en) Worksurface assembly, body support member having a worksurface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4720068A (en) Seat support column
US10362874B2 (en) Seating device
US9757852B2 (en) Work stool
US4709894A (en) Slip connector for weight actuated height adjustors
JPH02295515A (ja) 人間工学的椅子
KR102208715B1 (ko) 작업용 입식 의자
US2877830A (en) Hassock
US3520506A (en) Work stool
CN107455970B (zh) 一种分体式折叠家具支撑装置
US937625A (en) Attachment for barbers' chairs.
ES2887631T3 (es) Silla de equilibrio
US975374A (en) Convertible chair.
KR102235802B1 (ko) 신체 착용용 작업의자
US11166555B2 (en) Anti-wobbling adjustable height stool
US961093A (en) Securing device for chairs.
KR10186527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보조 테이블
US38718A (en) Improved foot-rest
US11160377B2 (en) Synchronous chair mechanism and chair having same
US464046A (en) Stool
US2533363A (en) Horizontally swingable stool
KR102224201B1 (ko)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JP4411413B2 (ja) 椅子
US111494A (en) Improvement in chai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