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01B1 -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01B1
KR102659401B1 KR1020230146530A KR20230146530A KR102659401B1 KR 102659401 B1 KR102659401 B1 KR 102659401B1 KR 1020230146530 A KR1020230146530 A KR 1020230146530A KR 20230146530 A KR20230146530 A KR 20230146530A KR 102659401 B1 KR102659401 B1 KR 10265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urniture
support
adjustment devic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권
Original Assignee
최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권 filed Critical 최성권
Priority to KR102023014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6Leg adjustment with a motor, e.g. an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2Electronically user-adaptable, height-adjustable desk or tabl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수용 공간들을 각각 갖고, 관통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갖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 상기 수용 공간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내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 개구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산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샤프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 및 상기 수용 공간들 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갖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책상, 의자와 같은 가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공장에서 생성된 상기 가구들은 안정성을 위해 기 설정된 설계에 따라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구들은 조립 및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들의 체형, 자세 등의 변화에도 상기 가구들의 형상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구들의 상기 형상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들 각각의 서로 다른 체형에 따라 상기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가구들로부터 잘못된 자세를 강요 받는 경우, 체형의 변화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94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를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수용 공간들을 각각 갖고, 관통 개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갖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 상기 수용 공간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내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 개구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산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샤프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 및 상기 수용 공간들 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갖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 스크류, 샤프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갖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들 내에 구비된 상기 스크류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가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구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는 본인의 체형, 자세 등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들 및 상기 하부 프레임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구동 모터가 상기 스크류의 상기 일측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스크류에 보다 강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가 상기 스크류에 상기 강한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는 상기 하부 프레임들 내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상기 가이드가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는 상기 스크류 상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상부 프레임의 무게를 지지하는 상기 스크류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가구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가 설치된 가구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도 1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2 및 도 3의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구동 모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가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구는 책상(20), 의자(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지면(G)으로부터 지지되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 상기 하부 프레임들(10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00), 스크류(200)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300), 및 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구동 모터(300)를 하부 프레임(1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브라켓(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상기 가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상기 가구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가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상기 사용자들의 체형, 자세 등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구의 높이, 위치 등을 변화실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상기 사용자들에게 상기 가구를 통한 최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책상(20) 상에 설치된 경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지면(G)으로부터 책상 상판(22)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지면(G)으로부터 책상 상판(22)의 상기 높이를 감소시키는 경우, 청소년, 유아, 여성과 같이 비교적 신체가 작은 상기 사용자들은 책상(2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지면(G)으로부터 책상 상판(22)의 상기 높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남성과 같이 비교적 신체가 큰 상기 사용자들은 책상(20)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책상 다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b와 같이,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의자(30) 상에 설치된 경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지면(G)으로부터 의자 좌판(32)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지면(G)으로부터 의자 좌판(32)의 상기 높이를 변화시키는 경우, 지면(G)으로부터 의자 등판(34)의 높이도 함께 변화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지면(G)으로부터 의자 좌판(32)의 상기 높이를 감소시키는 경우, 청소년, 유아, 여성과 같이 비교적 신체가 작은 상기 사용자들은 의자(30)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가 지면(G)으로부터 의자 좌판(32)의 상기 높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남성과 같이 비교적 신체가 큰 상기 사용자들은 의자(30)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의자 다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지면(G)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구가 책상(20)인 경우,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상기 책상 다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구가 의자(30)인 경우,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상기 의자 다리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수용 공간들(S)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수용 공간들(S) 내에 상기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 즉, 스크류(200), 구동 모터(300),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 모터 고정 브라켓(6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상기 장치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들(S)을 제외한 영역 상에서 내부가 채워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상기 내부가 채워진 구조를 통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 각각은, 수평 프레임(110), 및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은 지면(G)과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20)은 지면(G)과 직교하도록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평 프레임(110)이 연장하는 방향(X 방향)을 제1 수평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Y 방향)을 제2 수평 방향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수평 방향 및 상기 제2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Z 방향)을 수직 방향이라 하기로 한다.
수평 프레임(11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지면(G)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지면(G)과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0)은 지면(G) 상에서 수직 프레임(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가구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관통 개구(132)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30)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30)를 통해 스크류(200) 및 상부 프레임(4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구의 상기 높이가 제어되는 과정에서, 지지대(130)는 회전하는 스크류(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수용 공간(S)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30)는 수용 공간(S) 내에서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 상에 접합될 수 있다. 지지대(130)는 관통 개구(132)를 통해 스크류(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측면 지지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134)는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을 따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134)는 지지대(130)가 스크류(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프레임(100)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제1 측면 지지부(134)는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전력을 지지대(130)로부터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스크류(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은 구리(Cu), 알루미늄 (Al), 텅스텐(W), 니켈(Ni), 몰리브덴(Mo), 금(Au), 은(Ag), 크롬(Cr), 주석(Sn) 및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크류(200)는 하부 프레임(100) 내에서 지면(G)으로부터 상부 프레임(400)의 상기 높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400)의 상기 높이는 증가할 수 있고, 스크류(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400)의 상기 높이는 감소할 수 있다.
스크류(200)는 수용 공간들(S)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200)는 하부 프레임(100)의 수평 프레임(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200)는 하부 프레임(100)을 따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스크류(200)는 수용 공간(S) 내에서 하부 프레임(100)의 지지대(13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200)는 지지대(130)의 관통 개구(132)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200)는 하부 프레임(100)의 지지대(130)와 접촉하는 플랜지(220)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220)는 지지대(130)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스크류(200)는 플랜지(220)를 통해 지지대(130) 상에서 상부 프레임(400)을 지지할 수 있다. 스크류(200)의 플랜지(220)의 직경은 지지대(130)의 관통 개구(13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스크류(200)는 나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나사산(210)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200)는 제1 나사산(210)을 통해 상부 프레임(4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200)의 제1 나사산(210)은 상부 프레임(400)의 가이드(410)와 결합될 수 있고, 스크류(200)는 제1 나사산(210)을 통해 상기 회전력을 상부 프레임(4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힘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모터(300)는 스크류(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스크류(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상기 회전력을 샤프트(310)를 통해 스크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샤프트(310)는 스크류(20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고, 샤프트(31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200)는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수평 프레임(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수평 프레임(110) 내에 구비되어 샤프트(310)를 상부 프레임(400)을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110) 내에 구비된 구동 모터(300)는 상부 프레임(400) 내에 구비되는 스크류(200)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수평 프레임(110) 내에 구비되기 때문에, 수직 프레임(120)의 공간 활용도, 구조적 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고, 구동 모터(300)는 상부 프레임(400) 내에 구비된 스크류(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모터 고정 브라켓(600)은 수직 프레임(1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모터 고정 브라켓(600)은 구동 모터(300) 상에 구비되어 수직 프레임(120) 내에서 구동 모터(300)를 수평 프레임(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모터 고정 브라켓(600)은 구동 모터(300) 및 스크류(20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모터(300)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회전력이 스크류(200)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모터 고정 브라켓(600)이 수직 프레임(120) 내에서 구동 모터(300)를 수평 프레임(110) 상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샤프트(310)로부터 구동 모터(30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샤프트(310)로부터 구동 모터(300) 사이의 상기 거리가 감소하기 때문에, 구동 모터(300)로부터 스크류(200)로 전달되는 상기 회전력의 손실이 감소되며 상기 회전력의 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하부 프레임들(100)의 수용 공간들(S) 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수용 공간들(S) 내에서 각각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구동 모터(300)로부터 발생하여 스크류(200)를 통해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전환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하부 프레임들(100)의 수용 공간들(S) 내에서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400)의 외측면(402)은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400)의 외측면(402)은 하부 프레임(100)의 내측면(102)과 접촉할 수 있고, 상부 프레임(400) 및 하부 프레임(1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400) 상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부 프레임(400)은 상기 마찰력을 통해 하부 프레임(100)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410)를 통해 스크류(20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구의 상기 높이가 제어되는 과정에서, 가이드(410)는 회전하는 스크류(200)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상부 프레임(400)의 내측면(404)으로부터 연장하는 수평 연장부(411)를 가질 수 있다. 할 수 있다. 가이드(410)의 수평 연장부(411)는 상부 프레임(400)의 내측면(404) 상에 접합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스크류(200)와 결합되기 위한 관통 홀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410)는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스크류(200)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상기 관통 홀 상에서 상기 나선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나사산(413)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410)는 제2 나사선(413)을 통해 스크류(200)의 제1 나사산(2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상부 프레임(400)의 내측면(404)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측면 지지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412)는 상부 프레임(400)의 내측면(404)을 따라 수직 방향(Z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412)는 가이드(410)가 상부 프레임(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400)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부(412)는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전력을 수평 연장부(411)로부터 상부 프레임(400)의 내측면(404)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상부 프레임(40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410)는 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가이드(410)는 스크류(200) 상에서 상승할 수 있고, 스크류(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410)는 스크류(200) 상에서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은 구리(Cu), 알루미늄 (Al), 텅스텐(W), 니켈(Ni), 몰리브덴(Mo), 금(Au), 은(Ag), 크롬(Cr), 주석(Sn) 및 티타늄(Ti)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플레이트(500)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500)는 스크류(200)가 회전함에 따라 지면(G)과 평행을 유지하며 상하 이동하는 상부면(50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구가 책상(20)인 경우, 플레이트(500)는 책상 상판(22)일 수 있다. 상기 가구가 의자(30)인 경우, 플레이트(500)는 의자 좌판(32)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부재(700)는 스크류(200)의 일측(202)과 반대하는 타측(204)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는 스크류(20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스크류(200)가 상기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지지 부재(700)는 스크류(2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200)의 일측(202)은 하부 프레임(100)의 지지대(130)를 통해 지지될 수 있고, 스크류(200)의 타측(204)은 지지 부재(70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700)가 스크류(200)의 타측(204)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력에 의한 스크류(200)의 일탈이 방지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플랜지(220) 및 지지대(130)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이링(thrust bearing)(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800)은 스크류(200)의 플랜지(220)로부터 전달되는 상부 프레임(4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800)이 플랜지(220) 및 지지대(130)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스러스트 베어링(800)은 지지대(130) 및 플랜지(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800)이 지지대(130) 및 플랜지(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기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스크류(200)의 반복적인 회전에도 지지대(130)는 스크류(200)의 플랜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0)는 부싱 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싱 부재(900)는 수평 프레임(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부싱 부재(900)는 하부 프레임(100) 및 상부 프레임(400)이 만나는 부분 상에서 하부 프레임(100) 및 상부 프레임(4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싱 부재(900)는 하부 프레임(1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부싱 부재(900)는 하부 프레임(100)의 수용 공간(S)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200)가 상부 프레임(400)을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구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는 본인의 체형, 자세 등에 따라 상부 프레임들(400) 및 하부 프레임들(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300)가 스크류(200)의 일측(202)과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구동 모터(300)는 스크류(200)에 보다 강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스크류(200)에 상기 강한 힘을 전달하기 때문에, 스크류(200)는 하부 프레임들(100) 내에서 상부 프레임(400)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410)가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을 지지하기 때문에, 가이드(410)는 스크류(200) 상에서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410)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크류(200)는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410)를 통해 상부 프레임(400)의 상기 무게를 지지하는 스크류(200)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가구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구동 모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에서 상부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는 구동 모터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12)는 지면(G)으로부터 지지되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 상기 하부 프레임들(100) 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200), 스크류(200)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300), 및 스크류(2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 모터(300)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수평 프레임(110)의 하부면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구동 모터(300)는 수평 프레임(110)의 측면, 상부면 등으로부터 다양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100)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구동 모터(300)의 샤프트(310)는 스크류(200)의 일측(202)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수평 프레임(110) 상에 결합되어 샤프트(310)를 하부 프레임(100)을 향하여 연장시킬 수 있다. 샤프트(310)는 구동 모터(300)와 결합 또는 분리되기 위해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수직 프레임(1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110) 상에 결합된 구동 모터(300)는 하부 프레임(100) 내에 구비되는 스크류(200)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하부 프레임(100)의 공간 활용도, 구조적 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고, 구동 모터(300)는 스크류(2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가구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동 모터(300)를 통해 복수 개의 스크류들(200)을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300)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단가가 감소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가 수평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스크류(200)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이 미숙한 사용자의 임의적인 높이 제어가 방지될 수 있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12: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20: 책상
22: 책상 상판 30: 의자
32: 의자 좌판 34: 의자 등판
100: 하부 프레임들 110: 수평 프레임
120: 수직 프레임 130: 지지대
132: 관통 개구 134: 제1 측면 지지부
200: 스크류 210: 제1 나사산
220: 플랜지 300: 구동 모터
310: 샤프트 400: 상부 프레임
410: 가이드 411: 수평 연장부
412: 제2 측면 지지부 413: 제2 나사산
500: 플레이트 502: 상부면
600: 모터 고정 브라켓 700: 지지부재
800: 스러스트 베어링 900: 부싱 부재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수용 공간들을 각각 갖고, 관통 개구를 가지며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갖는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
    상기 수용 공간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내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 개구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나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사산을 갖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샤프트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 및
    상기 수용 공간들 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갖는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 및
    상기 스크류의 일측과 반대하는 타측 상에서 상기 스크류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프레임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서 상기 내측면과 접촉 또는 이격되며 상기 스크류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들 상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상하 이동하는 상부면을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상기 일측과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모터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지면과 직교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연장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수평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수직 프레임 내에서 상기 구동 모터 상에 구비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스크류의 일측과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하부 프레임들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기 내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측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이링을 더 포함하는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KR1020230146530A 2023-10-30 2023-10-30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KR10265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530A KR102659401B1 (ko) 2023-10-30 2023-10-30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6530A KR102659401B1 (ko) 2023-10-30 2023-10-30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401B1 true KR102659401B1 (ko) 2024-04-22

Family

ID=9088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6530A KR102659401B1 (ko) 2023-10-30 2023-10-30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4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440A (ko) * 2008-12-08 2010-06-17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KR20100067768A (ko) * 2008-12-12 2010-06-22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KR101799435B1 (ko) 2016-11-07 2017-11-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홀센서를 구비한 모션데스크 및 이의 칼럼위치 밸런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440A (ko) * 2008-12-08 2010-06-17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KR20100067768A (ko) * 2008-12-12 2010-06-22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KR101799435B1 (ko) 2016-11-07 2017-11-21 계양전기 주식회사 홀센서를 구비한 모션데스크 및 이의 칼럼위치 밸런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3372B1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JPH0793898B2 (ja) 椅子装置
US4709894A (en) Slip connector for weight actuated height adjustors
US4818019A (en) Tilt control mechanism, particularly for knee-tilt chair
US5918935A (en) Reclining chair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US11432649B2 (en) Adjustable desk chair
US20170071345A1 (en) Omnidirectional Adjustment-oriented Positioning Device of Office Chair Armrest
KR20100001413A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KR20130040226A (ko) 시트
WO2002096240A1 (en) Seating unit for supporting a body or part of a body
KR102659401B1 (ko) 가구용 높이 조절 장치
KR20100111389A (ko) 책상
CN215382615U (zh) 一种家具的升降结构及家具
CN109717652B (zh) 一种坐垫倾斜角度可调节办公座椅结构
KR200390797Y1 (ko)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CN113080643B (zh) 一种休闲椅
DE10200846B4 (de) Verschwenkbare Sitzanordnung
KR20039080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US20160113399A1 (en) Synchronizing mechanism
KR102376153B1 (ko) 좌판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의자용 브라켓 어셈블리
KR20200028093A (ko) 작업용 입식 의자
KR102611651B1 (ko) 차량용 컨트롤 암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