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99B1 -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99B1
KR101855999B1 KR1020160002402A KR20160002402A KR101855999B1 KR 101855999 B1 KR101855999 B1 KR 101855999B1 KR 1020160002402 A KR1020160002402 A KR 1020160002402A KR 20160002402 A KR20160002402 A KR 20160002402A KR 101855999 B1 KR101855999 B1 KR 10185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base
support
seat
cush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223A (ko
Inventor
최종연
Original Assignee
최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연 filed Critical 최종연
Priority to KR102016000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7/342Edge stiff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되어, 착석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하여 작업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용 의자{Chair for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되어, 착석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하여 작업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의 특성상 앉아서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경우 다리와 허리에 가해지는 통증을 완화하고 편한 자세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자의 엉덩이 부분에 작업쿠션을 착용한 상태에서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작업의자는 일정높이를 지닌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몸체에 고리형의 결착밴드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몸체를 깔고 앉은 상태에서 양측 다리의 허벅지 부분에 결착밴드를 감싸 고정하여 작업자의 엉덩이 부분에 작업의자가 매달린 상태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의자는 일정기간 사용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몸체가 쉽게 변형되거나 내려앉아 균형이 틀어져 사용이 어렵다.
또한, 앉은 자세에서 작업자가 움직이는 경우 작업자의 엉덩이 부분이 작업의자의 후방으로 밀려나 이탈되면서 작업 중 수시로 작업의자의 위치를 바로잡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44750호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중앙으로 돌출 받침부가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상부에 발포판재가 접착되는 상판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걸음결박밴드가 끼워지되 상기 걸음결박밴드는 양쪽 허벅지에 끼워지는 한편 몸체와 배꼽부위에 보조결박밴드를 끼워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작업의자가 개시되었다.
이와 같이, 조립형 작업의자를 구성하면, 작업의자를 착용한 상태로 이동함에 있어, 상기 걸음결박밴드와 보조결박밴드가 허벅지와 허리 부위에 걸쳐진 관계로 엉덩이에 작업의자가 붙어 있게 되므로, 작업의자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걸음결박밴드와 보조결박밴드의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 걸음결박밴드에 부가된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작업자가 체형에 맞게 수동으로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판이 고정된 관계로, 작업용 의자에 착석한 작업자가 주변사람과 대화를 하거나, 측면이나 후방 위치한 작업물에 대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선 허리를 비틀어야 하므로 신체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작업용 의자의 위치를 수시로 변경해야 하는 관계로 작업시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작업용 의자의 비사용시 몸체와 쿠션패드는 서로 분리되어 보관되는 관계로, 보관시 부주의로 발포판재를 분실하거나, 쿠션감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발포판재의 특성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면, 작업용 의자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요구에 의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의 좌우 회전을 통해 작업자가 몸을 좌우로 비틀어 본체의 각도를 임의 변경하지 아니하고도 작업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고, 결박밴드를 휴대 과정에서는 본체 내에 수납시켜 향상된 운반성을 확보하면서 착용과정에서는 착용자의 엉덩이 부위에 안정되게 밀착되어 향상된 착용감을 갖도록 하는 한편, 본체의 탄력적인 지지를 통해 본체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향상된 지지성을 갖도록 한 작업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방된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에게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의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에는 하부에 받침편이 형성된 승강 지지축이 체결을 통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 지지축의 높이 조절에 의해 착석부의 지지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벽에는 본체의 외벽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나선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코일 스프링형 탄성 지지대가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베이스의 중심에는 상하 관통된 축공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의 중앙부에는 지지 베이스의 축공관을 관통하는 축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쿠션패드를 적층시킨 좌판은 축공관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쿠션패드에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여 착석한 작업자는 좌판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공관을 관통한 축관의 하단부에는 미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축공관을 관통한 축관은 미늘형 걸림턱을 통해 축공관의 하단에 견착되어서 상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에 좌판과 쿠션패드를 적층시킨 지지 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단차림과 하부 단차림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하여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상부에 상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착용과정에서는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하부 단차림이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좌판과 쿠션패드를 표면에 노출시켜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확보하고, 휴대 및 보관과정에서는 상기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부 단차림을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적층된 좌판과 쿠션패드를 본체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는, 착용시에는 쿠션패드와 좌판, 및 결박밴드를 외부에 노출시켜 안정된 착석공간을 확보하고, 휴대 보관시에는 본체에 형성된 수납공간 내에 쿠션패드와 좌판, 및 결박밴드를 수납시켜서 간편한 휴대 보관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좌판은 지지 베이스에 회동구조로 조립되어, 작업자가 몸을 좌우로 비틀어 본체의 각도를 임의 변경하지 아니하고도 좌판을 좌우로 회전시켜서 작업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의 하체로부터 작업용 의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박밴드는, 탄성 견인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당겨져 착용시에는 작업자의 하체에 안정되게 밀착되어서 안정된 착용성을 확보하고, 또 휴대 보관시에는 탄성패드에 긴밀히 밀착되어 보다 향상된 휴대 보관성을 확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에 독특한 형태의 탄성 지지대를 부가하여 본체의 직립성을 확보함으로써, 작업과정에 작업자가 측방향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작업용 의자의 단면 분해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1 내지 2 및 도 5에 도시된 작업용 의자의 단면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에 부가되는 탄성 지지대와 이를 통한 본체의 지지상태와, 탄성 지지대의 수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의 분해 및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작업용 의자의 단면 분해 상태도이고, 도 6과 도 7은 상기 도 1 내지 2 및 도 5에 도시된 작업용 의자의 단면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에 부가되는 탄성 지지대와 이를 통한 본체의 지지상태와, 탄성 지지대의 수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작업용 의자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어촌 등지에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착용되어 착석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면에 설정높이로 지지하여서, 작업자가 편안히 않은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용 의자(1)이다.
상기 작업용 의자(1)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개방된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에게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부(20)를 포함하여, 착석한 작업자의 엉덩이 부위를 설정높이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착석부(2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 베이스(21)와, 상기 지지 베이스(21)의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는 좌판(22)과, 상기 좌판(22)의 상부에 적층되는 쿠션패드(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와 착석부(20)를 구성하는 지지 베이스(21)와 좌판(22)을 작업자가 들고다니기 용이하도록 가볍고, 또 작업자의 체중을 안정되게 지지 가능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패드(23)는 장시간 앉은 상태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피로감을 절감하기 위해 스폰지나 우레탄 폼 등의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안정된 착석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쿠션패드(23)에는 커버를 덧씌워 쿠션패드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석부(20)의 좌판(22)에 단부가 고정된 결박밴드(30)를 부가하여서, 쿠션패드(23)에 엉덩이 부위를 안착시킨 착용자의 하체부위를 결박 고정함으로써 항시 안정된 착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판(22)의 가장자리에는 하향 개방된 수용공간(22b-a)을 갖는 원호형의 수용림(22b)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림(22b)에는 결박밴드(30)의 각 단부에 형성된 걸림핀(31)을 관통시켜 견착하는 복수의 견착공(22b-b)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결박밴드(30)의 단부를 좌판(22)에 고정시킨 걸림핀(31)은 수용림(22b)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22b-a) 내에 수용되어, 하부에 배치된 지지 베이스(21)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베이스(21)에 쿠션패드(23)를 안착시킨 좌판(22)을 회동구조로 고정시켜, 상기 쿠션패드(23)에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여 착석한 작업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밀착된 본체(10)를 임의로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하지 아니하고, 앉은 상태로 좌판(22)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 방향, 및 작업반경을 전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베이스(21)의 중심에 축공관(21a)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좌판(22)의 중앙부에는 지지 베이스(21)의 축공관(21a)을 관통하는 축관(22a)을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축공관(21a)을 관통한 축관(22a)의 하단부에는 도 5와 같이 미늘형의 걸림턱(22a-a)이 형성되어, 축공관(21a)을 관통한 축관(22a)은 미늘형 걸림턱(22a-a)을 통해 축공관(21a)의 하단에 견착되어서 상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부에 쿠션패드(23)를 적층시킨 좌판(22)은 축공관(21a)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착석부(20)에 앉은 상태로 좌판(22)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작업방향이나 반경에 제약 없이 안정된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에 좌판(22)과 쿠션패드(23)를 적층시킨 지지 베이스(21)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단차림(21b)과 하부 단차림(21c)을 각각 상하 대칭되게 형성하여,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본체(10)의 상부에 상하 양방향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과정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21)는 본체(10)의 가장자리에 하부 단차림(21c)을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본체에 상향 조립되어서, 좌판(22)과 쿠션패드(23)를 표면에 노출시켜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휴대 및 보관과정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22)는 본체(10)의 가장자리에 상부 단차림(21b)을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본체(10)의 상부에 하향 조립되어서, 적층된 좌판(22)과 쿠션패드(23), 및 결박밴드(30)를 본체(10)의 수납공간(11) 내에 수납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의자(1)는 휴대 보관시에는 쿠션패드(23)와 좌판(22) 및 결박밴드(30)가 본체(10)에 형성된 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외부 노출에 따른 쿠션패드와 좌판 및 결박밴드의 노후화나 오염 발생이 예방되고, 또 이들의 수납을 통한 부피의 축소를 통해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착석부(20)의 지지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높이 조절구조를 통한 상하 위상 조절에 의해 착석부(20)의 지지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높이 조절구조는, 본체(10)의 바닥면(12)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관(13)과; 상기 체결관(13)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승강 지지대(14); 및 상기 승강 지지대(14)의 하단에 설치되는 받침편(15)을 포함하여, 승강 지지대(14)의 높이 조절에 따라 착석부(20)의 지지높이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받침편(15)을 수용하는 받침편 수용홈부(12a)가 상향 요입되게 형성되어 휴대 및 운반과정에서는 본체(10)의 바닥면(12)에 받침편(15)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의 체형에 따라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 지지대(14)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받침편(15)과 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착석부(20)의 지지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편(15)은 그 특성상 접지 면적이 좁고 또 받침편(15)을 지지하는 지반이 무른 경우, 받침편(15)을 통해 지면에 지지된 본체(10)가 좌우, 또는 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의 편안한 착석상태를 담보하기 어렵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에 본체의 직립성을 보조하는 탄성 지지대(40)를 부가하여서, 착석부(20)에 앉은 상태로 작업하는 작업자가 작업과정에 좌우 측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현장의 지면 상태를 고려하여 본체(10)에 분리 제작된 탄성 지지대(40)를 조립하여서, 안정된 착석조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지지대(40)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벽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지지대(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과의 안정된 접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탄성 지지대(40)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탄성 지지대(40)는 본체(10)의 외벽에 형성된 나선 가이드홈(16)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탄성 지지대(40)를 통한 본체(10)의 탄지력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본체(10)에는 승강 지지대(14)와 받침편(15)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구조를 마련한 관계로, 작업자는 상기 높이 조절구조를 통한 본체(10)의 높이 증감에 따라 탄성 지지대(40)의 높이를 유기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작업자는 승강 지지대(14)를 통해 본체(10)의 지지높이를 높게 설정하면 탄성 지지대(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탄성 지지대(40)의 고정높이를 하강시키고, 또 역으로 승강 지지대(14)를 통해 본체(10)의 지지높이를 낮게 설정하면 탄성 지지대(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탄성 지지대(40)의 고정높이를 상승시켜서, 본체의 안정된 직립성을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용 의자는 높이 조절구조와 상기 높이 조절구조에 따라 탄지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 지지대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안정된 착석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벽에 고정되는 밴드(51)에, 복수의 탄지암(52)들을 힌지핀(53)을 통해 힌지구조로 배치한 절첩형의 탄성 지지대(50)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절첩형 탄성 지지대(50)는, 탄지암(52)들이 힌지핀(53)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회하므로, 사용과정에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지암(52)들이 외측으로 전개되어 본체(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본체(10)의 직립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휴대 및 보관시에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탄지암(52)들은 힌지핀(53)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선회하여 부피를 축소시켜서, 본체(10) 내에 형성된 수납공간(11) 내에 수납되어서, 용이한 휴대 및 보관성을 확보하게 된다.
1. 작업용 의자
10. 본체 11. 수납공간
12. 바닥면 12a. 받침편 수납홈부
13. 체결관 14. 승강 지지대
15. 받침편 16. 나선 가이드홈
20. 착석부 21. 지지 베이스
21a. 축공관 21b. 상부 단차림
21c. 하부 단차림 22. 좌판
22a. 축관 22a-a. 미늘형 걸림턱
21b. 상부 단차림 21c. 하부 단차림
22b. 수용림 22b-a. 수용공간
23. 쿠션패드
30. 결박밴드 31. 결박핀
40. 코일 스프링형 탄성 지지대
50. 절첩형 탄성 지지대
51. 밴드 52. 탄지암
53. 힌지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방된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에게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 베이스와, 상기 지지 베이스의 상부에 적층되게 배치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하 관통된 체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에는 하부에 받침편이 형성된 승강 지지축이 체결을 통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 지지축의 높이 조절에 의해 착석부의 지지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벽에는 본체의 외벽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나선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코일 스프링형 탄성 지지대가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베이스의 중심에는 상하 관통된 축공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판의 중앙부에는 지지 베이스의 축공관을 관통하는 축관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쿠션패드를 적층시킨 좌판은 축공관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쿠션패드에 엉덩이 부위를 지지하여 착석한 작업자는 좌판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공관을 관통한 축관의 하단부에는 미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축공관을 관통한 축관은 미늘형 걸림턱을 통해 축공관의 하단에 견착되어서 상하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에 좌판과 쿠션패드를 적층시킨 지지 베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단차림과 하부 단차림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하여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상부에 상하 양방향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서,
    착용과정에서는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하부 단차림이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좌판과 쿠션패드를 표면에 노출시켜 작업자의 착석공간을 확보하고,
    휴대 및 보관과정에서는 상기 지지 베이스는 본체의 가장자리에 상부 단차림을 단차구조로 지지시켜, 적층된 좌판과 쿠션패드를 본체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의자.
  4. 삭제
KR1020160002402A 2016-01-08 2016-01-08 작업용 의자 KR10185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02A KR101855999B1 (ko) 2016-01-08 2016-01-08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402A KR101855999B1 (ko) 2016-01-08 2016-01-08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23A KR20170083223A (ko) 2017-07-18
KR101855999B1 true KR101855999B1 (ko) 2018-05-09

Family

ID=5943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402A KR101855999B1 (ko) 2016-01-08 2016-01-08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40Y1 (ko) * 2019-05-20 2020-10-14 김성대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97Y1 (ko) * 2003-01-15 2003-04-08 전명구 농사 작업용 의자
KR101044750B1 (ko) * 2010-12-03 2011-06-29 박준필 조립형 작업 의자
CN203000073U (zh) * 2012-12-14 2013-06-19 浙江工业大学 翻转式收纳脚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597Y1 (ko) * 2003-01-15 2003-04-08 전명구 농사 작업용 의자
KR101044750B1 (ko) * 2010-12-03 2011-06-29 박준필 조립형 작업 의자
CN203000073U (zh) * 2012-12-14 2013-06-19 浙江工业大学 翻转式收纳脚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40Y1 (ko) * 2019-05-20 2020-10-14 김성대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23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45405B2 (en) Leg strap assembly and safety harness including the same
JP2023115052A (ja) 姿勢保持具
US11147381B2 (en) Adjustable chair support system
JP2013233426A (ja) 運動補助具
CA2506715A1 (en) Lumbar support device
US10080700B1 (en) Walker harness
US20150089706A1 (en) Self-Adhering Knee Pad
US20120084925A1 (en) Adjustable Support For A Residual Limb Of An Amputee
US11491065B2 (en) Standing aid for helping a person stand up
KR101855999B1 (ko) 작업용 의자
WO2012032505A4 (en) Natural balance active chair
KR102017988B1 (ko) 둔부에 착용하는 자기체중을 이용한 요추지지 및 조절가능한 착석자세 자동 교정장치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KR102127376B1 (ko) 힙 시트형 유아 체중 지지 장치
CN110236320A (zh) 一种座椅
EP2389915A1 (en) Dynamic head support
EP2592971B1 (en) A sitting arrangement
KR20190120647A (ko) 쿠션을 위한 장치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KR20210025178A (ko) 의자용 착탈식 요추지지장치
KR200486055Y1 (ko) 농업용 착좌기구
US11484123B2 (en) Dynamic postural device
KR101875270B1 (ko) 멀티발걸이 장치
KR101742700B1 (ko) 신발 부착식 작업의자
KR200473715Y1 (ko) 등받이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