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750B1 - 조립형 작업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형 작업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750B1
KR101044750B1 KR1020100122472A KR20100122472A KR101044750B1 KR 101044750 B1 KR101044750 B1 KR 101044750B1 KR 1020100122472 A KR1020100122472 A KR 1020100122472A KR 20100122472 A KR20100122472 A KR 20100122472A KR 101044750 B1 KR101044750 B1 KR 101044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hair
fitted
handl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필
Original Assignee
박준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필 filed Critical 박준필
Priority to KR102010012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앉은 채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물류비용을 줄이는 한편 작업 중에 작업의자가 뒤로 밀리거나 틀어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조립형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중앙으로 돌출 받침부가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에 발포판재가 접착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지는 걸음밴드를 구비하되 상기 걸음밴드는 양쪽 허벅지에 끼워지는 한편 몸체와 배꼽부위에 보조밴드를 끼워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형 작업 의자{Assembly type work chair}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앉은 채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물류비용을 줄이는 한편 작업 중에 작업의자가 뒤로 밀리거나 틀어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조립형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다리가 아프지 않고 작업을 하기 위하여 간이 의자 또는 일정 높이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의 의자나 받침대는 작업자가 이동할 때마다 일일이 손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20-0437524호와, 실용신안등록 20-438783호로 걸음밴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엉덩이에 붙인 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를 등록시킨 바 있다.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은 모두 작업의자가 일정한 부피를 갖는 형태로 제작되어 운반이나 보관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작업시 엉덩이가 닿는 부분의 쿠션감이 덜하여 장시간 작업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선 등록 실용신안은 작업의자를 엉덩이에 밀착시킨 채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밴드를 허벅지 부위에 채워주고 있으나,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전진을 하는 경우 작업의자가 자꾸 뒤쪽으로 밀리게 되는 힘을 받게 되어 작업 중에 자주 작업의자의 위치를 바로 잡아 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작업의자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이나 보관시 공간을 적게 점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엉덩이에 닿는 부분의 쿠션감을 높여 작업시 딱딱함을 덜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작업을 한 후 전방으로 이동할 때 작업의자가 뒤쪽으로 밀리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엉덩이에 붙어 있는 채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중앙으로 돌출 받침부가 형성된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에 발포판재가 접착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측면에 끼워지는 걸음밴드를 구비하되 상기 걸음밴드는 양쪽 허벅지에 끼워지는 한편 몸체와 배꼽부위에 보조밴드를 끼워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운반이나 보관시 몸체와 상판을 분리함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작업시는 허벅지와 허리 부위에 걸쳐져 엉덩이에 작업의자가 붙어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자의 뒤틀림 없이 작업 중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각종 작업을 할 때 깔고 앉아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의자를 엉덩이에 매달고 다니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걸음밴드와 보조밴드를 채워 작업 중 움직일 때 작업의자가 뒤틀리거나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고, 작업의자를 몸체와 상판으로 분리하여 운반, 보관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공간을 덜 차지하는 한편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걸음밴드와 보조밴드에 걸음고리를 형성하여 몸체에 형성된 걸음구멍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밴드를 채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을 분리한 후 몸체의 내부에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가 형성된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분해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돌출부와 손잡이가 형성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몸체 적층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작업의자(10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몸체(10)와 상판(20)을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를 사출 또는 브로워 금형으로 제작하게 되고, 대략 장방형 또는 원통형의 몸체(10)를 갖되 내부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돌출 받침부(30)를 형성하는 한편 몸체(10)의 외측에는 상판(20)이 끼워지는 끼움홈(11)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에는 끼움홈(11)에 끼워진 상판(20)을 받치는 한편 몸체(10)의 틀어짐을 방지하는 받침턱(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고, 내측 중앙으로 돌출된 받침부(3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측으로 상판(20)이 끼워지는 끼움홈(11)을 형성하는 한편 상판(20)을 받치게 되는 받침턱(12)을 형성하되 상기 받침턱(12)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몸체(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사방으로 8자 형태를 갖는 걸음구멍(13)을 형성하되 상기 걸음구멍(13)은 연통된 상부 구멍의 직경이 하부 구멍의 직경보다 작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받침턱(12)은 몸체(10)의 측면을 일정 부위씩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형성시키는 것으로, 몸체(10)에서 하부로 밀리는 힘을 받치도록 하는 한편 상판(20)이 받쳐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0)의 상측으로 형성된 끼움홈(11)에는 상판(20)이 끼워지게 하는 것으로, 몸체(10)의 상부에 상판(20)을 놓고, 강하게 힘을 가하여 밀게 되면 몸체(10)의 상부가 약간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판(20)이 끼움홈(11)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몸체(10)의 상부에 경사를 주어 상판(20)이 쉽게 끼움홈(11)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상판(20)에는 상측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발포판재(40)를 접착제(41)로 접착함으로써 작업의자(100)를 이용한 작업을 할 때 발포판재(40)에 의해 딱딱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내부 중앙에 돌출 받침부(30)를 형성하여 상판(20)이 끼움홈(11)에 끼워질 때 상판(20)의 하부가 받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판(20)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부(30)의 상부 높이는 몸체(10)에 형성된 걸림턱(12)의 높이보다 높지 않아야 함은 물론 본 발명의 몸체(10)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부(30)는 필요에 따라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상측으로 손잡이홈(14)을 형성하는 한편 상판(20)에는 상기 손잡이홈(14)에 끼워지고 몸체(1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손잡이(21)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손잡이(21)를 잡고 상판(20)을 상부로 들어 올리기가 용이하고, 위와 같이 손잡이(21)를 들어 올릴 경우 상판(20)이 몸체(10)의 끼움홈(11)에서 분리 이탈되게 된다.
상판(20)이 몸체(10)에서 분리되면 몸체(10)의 내부에 담배나 라이터 또는 식수를 넣고 뺄 수 있으며,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도 간단한 물품의 휴대가 가능하며, 작업의자(100)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판(20)을 끼움홈(11)에 끼워 사용하되 손잡이(21)가 손잡이홈(14)에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의 걸음밴드(50)에는 선단에 걸음고리(51)가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고리(52)가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고리(52)에 끼워진 걸음밴드(5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걸음고리(51)는 몸체(10)에 형성된 걸음구멍(13)에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걸음고리(51)는 걸음구멍(13)의 하부 구멍으로 끼워진 후 상부 구멍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구멍에 끼워진 걸음고리(51)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걸음구멍(13)의 상부구멍과 하부구멍이 서로 연통되는 곳의 직경은 걸음고리(51)의 직경과 일치되게 함으로써 힘을 가하여 연통되는 곳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밴드(60)를 이용하여 걸음밴드(50)의 중앙과 몸체(10)의 걸음구멍(13)을 연결하되 상기 보조밴드(60)는 작업자의 전방 중앙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을 하며 전방으로 이동할 때 보조밴드(60)에 의해 작업의자(100)가 뒤쪽으로 밀리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운반이나 보관을 할 때 몸체(10)와 상판(20)이 분리되고, 몸체(10)는 도 8와 같이 겹쳐진 상태로 운반이나 보관을 하게 되어 물류 비용을 줄이는 한편 보관면적을 줄이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몸체(10)가 상판(20)과 결합되지 않은 채로 운반이나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의자(100)로 사용할 때 상판(20)을 몸체(10)의 끼움홈(11)에 끼워 결합되게 한 후 걸음밴드(50)와 보조밴드(60)를 끼우고 착용을 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상판(20)은 끼움홈(11)에 끼운 채로 강하게 몸체(10)쪽으로 누르게 되면, 몸체(10)의 상부가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상판(20)이 끼움홈(11)에 끼워지게 되고, 상판(20)에 손잡이(2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홈(14)에 손잡이(21)가 끼워지는 형태로 상판(20)을 몸체(10)의 끼움홈(11)에 끼워준다.
상판(20)에 손잡이(21)가 형성된 경우는 몸체(10)에서 쉽게 상판(20)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21)를 잡고 상판(10)을 몸체(10)에서 쉽게 이탈시킨 후 몸체(10)의 내부에 간단한 물품을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10)에 상판(20)이 결합된 후에는 걸음밴드(50)의 결합고리(52)에 형성된 걸음고리(51)를 걸음구멍(13)에 끼워준 후 걸음밴드(50)의 중앙에 연결된 보조밴드(60)의 걸음고리도 몸체(10)의 걸음구멍(13)에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보조밴드(60)는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걸음밴드(50)와 보조밴드(60)가 끼워진 상태에서 허벅지를 걸음밴드(50)에 끼워줄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작업의자(100)에 앉은 채로 걸음밴드(50)와 보조밴드(60)를 채워 작업의자(100)가 엉덩이에 붙어 있게 할 수 있다.
걸음밴드(50)가 허벅지를 두르게 되고, 작업자의 전방으로 보조밴드(60)가 끼워지게 되면, 작업자가 작업의자(100)에 앉은 채로 작업을 하며 전진을 할 때 작업의자(100)가 엉덩이 쪽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것을 보조밴드(60)가 잡아주게 되므로, 작업을 할 때 작업의자(100)가 틀어지는 것을 보조밴드(60)로 잡아줄 수 있다.
즉, 작업을 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작업의자(100)가 자꾸 뒤쪽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나, 본 발명은 보조밴드(60)를 끼워줌으로써 작업을 할 때 작업의자(100)가 뒤로 밀리지 않고 보조밴드(60)에 결합된 채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 시 작업의자(10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몸체(10)의 끼움홈(11)에 끼워진 상판(20)은 걸림턱(12)과 돌출부(30)에 받쳐지게 되므로, 상판(20)에 작업자가 앉더라도 상판(20)이 밀리게 되지 않으며, 상기 상판(20)에는 발포판재(40)가 접착되어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딱딱함을 느끼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와 상판(20)을 분리하여 물류 비용과 보관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작업 이동시 작업의자(100)가 후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보조밴드(60)로 잡아줄 수 있으며, 걸음고리(51)를 간단히 끼움으로써 걸음밴드(50)와 보조밴드(60)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 몸체 11 : 끼움홈
12 : 받침턱 13 : 걸음구멍
14 : 손잡이홈 20 : 상판
21 : 손잡이 30 : 받침부
40 : 발포판재 50 : 걸음밴드
51 : 걸음고리 60 : 보조밴드

Claims (3)

  1.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의 몸체(10)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적게하여 몸체(10) 끼리 끼워져 적층되게 하고,
    상기 몸체(10)의 상측에는 끼움홈(11)을 형성하는 한편 몸체(10)의 측면으로는 끼움홈(11)에 끼워지는 상판(20)을 받치는 걸림턱(12)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0)의 내부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받침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된 끼움홈(11)에는 상측으로 발포판재(40)가 접착된 상판(20)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상판(20)은 걸림턱(12)과 받침부(30)에 받쳐지게 하며,
    상기 몸체(10)의 사방으로는 걸음구멍(13)을 형성하여 걸음밴드(50)에 형성된 걸음고리(51)가 끼워지게 하는 한편 작업자의 전방으로 보조밴드(60)를 위치시키되 상기 보조밴드(60)는 몸체(10)의 걸음구멍(13)과 걸음밴드(50)에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작업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판(20)의 일측에는 손잡이(21)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1)가 끼워지는 손잡이홈(14)을 몸체(10)의 상측으로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21)가 손잡이홈(14)에 끼워지게 상판(20)을 몸체(10)의 끼움홈(11)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작업의자.
  3. 삭제
KR1020100122472A 2010-12-03 2010-12-03 조립형 작업 의자 KR10104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72A KR101044750B1 (ko) 2010-12-03 2010-12-03 조립형 작업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472A KR101044750B1 (ko) 2010-12-03 2010-12-03 조립형 작업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750B1 true KR101044750B1 (ko) 2011-06-29

Family

ID=4440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472A KR101044750B1 (ko) 2010-12-03 2010-12-03 조립형 작업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7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73B1 (ko) * 2013-05-15 2013-12-09 박준필 작업 의자
KR200472499Y1 (ko) 2013-10-31 2014-04-30 이주환 이동용 방석
KR200477789Y1 (ko) * 2015-02-12 2015-07-23 김경구 수납식 작업의자
KR20180000130U (ko) * 2016-07-01 2018-01-10 난징 순룬 홈 텍스타일 컴퍼니 리미티드 물건 수납 스툴
KR101855999B1 (ko) * 2016-01-08 2018-05-09 최종연 작업용 의자
KR102565166B1 (ko) * 2022-05-20 2023-08-09 박성빈 작업용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95B1 (ko) * 2008-08-27 2010-09-14 유승곤 휴대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395B1 (ko) * 2008-08-27 2010-09-14 유승곤 휴대용 의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73B1 (ko) * 2013-05-15 2013-12-09 박준필 작업 의자
KR200472499Y1 (ko) 2013-10-31 2014-04-30 이주환 이동용 방석
KR200477789Y1 (ko) * 2015-02-12 2015-07-23 김경구 수납식 작업의자
KR101855999B1 (ko) * 2016-01-08 2018-05-09 최종연 작업용 의자
KR20180000130U (ko) * 2016-07-01 2018-01-10 난징 순룬 홈 텍스타일 컴퍼니 리미티드 물건 수납 스툴
KR200488493Y1 (ko) * 2016-07-01 2019-02-11 난징 순룬 홈 텍스타일 컴퍼니 리미티드 물건 수납 스툴
KR102565166B1 (ko) * 2022-05-20 2023-08-09 박성빈 작업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750B1 (ko) 조립형 작업 의자
USD898430S1 (en) Double leg elevator pillow
USD655090S1 (en) Beverage container carry strap
USD648586S1 (en) Saddle type pelvis adjustment seat cushion
USD689703S1 (en) Rocking cradle chair
JP2016534831A (ja) 自動充電式エアチューブが内蔵された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作方法
KR101651922B1 (ko)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USD961243S1 (en) Bed rail cane
CA167113S (en) Set of seat cushions
KR20110000415U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KR101338273B1 (ko) 작업 의자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USD611265S1 (en) Chair seat
KR102329104B1 (ko) 편안한 안착감을 가지는 작업용 방석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USD651717S1 (en) Pelvic and spinal support device
USD659446S1 (en) Seat plate with a foldable leg rest
CN205682830U (zh) 靠椅
KR20190094840A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USD594239S1 (en) Frame for a rocking chair
KR200438783Y1 (ko) 작업 의자
KR20210008612A (ko) 작업용 의자
CN203153099U (zh) 多功能座椅
KR20170083746A (ko) 작업의자
CN206714507U (zh) 一种拆装式组合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