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83Y1 - 작업 의자 - Google Patents

작업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83Y1
KR200438783Y1 KR2020070016735U KR20070016735U KR200438783Y1 KR 200438783 Y1 KR200438783 Y1 KR 200438783Y1 KR 2020070016735 U KR2020070016735 U KR 2020070016735U KR 20070016735 U KR20070016735 U KR 20070016735U KR 200438783 Y1 KR200438783 Y1 KR 200438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ain body
ring
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필
Original Assignee
박준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필 filed Critical 박준필
Priority to KR2020070016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간편히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의자의 높낮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있어서, 작업자의 허벅지에 채워지는 밴드를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의자를 이루는 본체의 측면에 걸음고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걸음고리에 걸음밴드의 걸음구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간단히 끼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걸음구에는 직경이 다른 상,하측 걸음홈이 서로 연결되게 하여 걸음고리가 쉽게 끼워지는 한편 끼워진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측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받침판을 접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작업의자, 걸음고리, 걸음홈, 걸음턱, 걸음밴드

Description

작업 의자{Work chair}
본 고안은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간편히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의자의 높낮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에 있어서, 작업자의 허벅지에 채워지는 밴드를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농어촌에서 작업을 할 때 다리가 아프지 않고 작업을 하기 위하여 의자 또는 일정 높이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의 의자나 받침대는 작업자가 이동할 때마다 일일이 손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특히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높이에 따라 의자나 받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불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 출원 20-2007-0010133호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걸음밴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엉덩이에 붙인 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의자'를 출원시킨 바 있으나, 선 출원 된 작업의자의 걸음밴드는 작업의자에 형성된 밴드 결합홈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의자의 걸음밴드가 이탈될 우려가 많고, 이동이나 보관 중에 걸음밴드를 분실할 우려도 많은 것이었다.
그리고 선 출원 실용신안은 걸음밴드가 사타구니 쪽에서 허벅지의 위쪽을 지나 엉덩이 뒤쪽을 지나는 형태로 끼워주어야 하므로, 걸음밴드를 채우기가 쉽지 않고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선 출원 실용신안은 엉덩이가 닿는 부위에 쿠션을 줄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있지 않아, 작업의자에 장시간 앉을 경우 엉덩이가 딱딱함을 느끼게 되어 작업에 힘이 들어가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작업의자를 눕히거나 세워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걸음밴드를 간단히 끼워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걸음밴드의 분실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작업자의 엉덩이에 작업의자를 고정시킬 수 있어 걸음밴드를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작업자의 엉덩이가 닿은 부위에 쿠션 받침대를 고정시켜 딱딱함을 덜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걸음밴드를 채운 상태에서 간단히 본체를 회전시켜 작업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음밴드를 풀었다 다시 채우지 않고 걸음밴드가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본체만을 회전시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의자를 이루는 본체의 측면에 걸음고리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걸음고리에 걸음밴드의 걸음구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간단히 끼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걸음구에는 직경이 다른 상,하측 걸음홈이 서로 연결되게 하여 걸음고리가 쉽게 끼워지는 한편 끼워진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과 측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받침판을 접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농어촌에서 각종 작업을 할 때 깔고 앉아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 의자를 엉덩이에 매달고 다니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의자에 앉은 채로 걸음밴드를 채울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쿠션을 제공하는 받침판을 작업의자에 접착시킴으로써 장시간 앉아도 딱딱함을 덜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걸음밴드를 체결한 상태에서 간단히 본체를 회전시켜 작업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를 사출 또는 브로워 금형으로 제작하게 되고, 대략 장방형의 본체(10)를 갖되 내부는 공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본체(10)에는 일측으로 돌출 받침부(20)를 형성하여 본체(10)를 눕히거나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0)의 상면과 측면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받침판(30)(31)을 끼워 접착 고정시킴으로써 엉덩이에 딱딱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에는 걸음고리(11)를 형성시켜 걸음밴드(50)의 선단에 끼워진 걸음구(51)가 상기 걸음고리(11)에 걸리도록 한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눕혔을 때 받침판(30)이 상부를 향하고, 돌출 받침부(20)가 엉덩이 쪽을 향하도록 앉게 되며, 본체(10)를 세웠을 때 받침판(31)이 상부를 향하게 하여 앉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본체(10)에는 측면으로 강도보강부(12)를 형성시키는 한편 저면으로 강도보강부(13)를 형성하여 본체(10)가 찌그러지지 않고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본체(10)의 일측에는 주입부(16)를 형성하되 마개(15)를 이용하여 막아주도록 한다.
본 고안의 본체(10)에 형성된 걸음고리(11)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하고, 상기 걸음고리(11)는 걸음구(51)의 상,하측 걸음홈(52a)(52b)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걸음구(51)에는 걸음밴드(50)가 결합되게 한다.
여기서 걸음구(51)에 형성된 상,하측 걸음홈(52a)(52b)은 마치 8자 형태와 같이 형성하되 중간으로 걸음턱(53)이 돌출되게 하는 한편 상측 걸음홈(52a)의 직경이 하측 걸음홈(52b)의 직경보다는 크도록 하며, 상기 상측 걸음홈(52a)은 걸음고리(11)가 쉽게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하고, 하측 걸음홈(52b)은 걸음고리(11)가 외측으로 빠지지 않는 직경을 갖도록 하며, 걸음턱(53) 사이 공간으로 걸음고리(11)가 이동할 때 걸음턱(53)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걸음고리(11)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의 직경이 크고 내측의 직경이 작게 돌출되게 형성된 걸음고리(11)는 걸음구(51)의 상측 걸음홈(52a)으로 끼워진 후 걸음밴드(50)를 당기면 걸음고리(11)는 걸음턱(53) 사이를 지나 하측 걸음홈(52b)에 끼워지게 되고, 하측 걸음홈(52b)에 끼워진 걸음고리(11)는 상기와 역으로 빼내지 않는 한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걸음구(51)가 걸음고리(11)에 끼워진 채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걸음구(51)는 걸음고리(11)에서 빼내지 않고 끼워진 상태에서 본체(10)를 회전시킬 경우 자연스럽게 걸음구(51)는 걸음고리(11)에서 회전되며 걸음밴드(5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본체(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10)를 눕히거나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받침판(30)(31)이 상부를 향하게 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며, 본체(10)를 눕히면 높이가 낮아지고, 본체(10)를 세우면 높이가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작 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높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본체(10)를 깔고 앉는데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입부(16)를 마개(15)로 막아준 후, 사용하게 되며,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강도보강부(12)(13)는 본체(10)가 작업자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받쳐주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본체(10)를 눕히거나 세운 후 작업자가 받침판(30)(31)에 앉은 상태에서 걸음밴드(50)의 양쪽에 결합된 걸음구(51)를 본체(10)의 측면에 돌출시킨 걸음고리(11)에 끼워주면 작업 준비가 완료되고, 이때 걸음밴드(50)는 작업자의 허벅지 상부에 닿으면서 걸음고리(11)에 끼워지도록 한다.
걸음구(51)를 걸음고리(11)에 끼울 때는 걸음구(51)의 상측 걸음홈(52a)이 걸음고리(11)의 직경보다 넓으므로, 걸음구(51)의 상측 걸음홈(52a)에 쉽게 걸음고리(11)가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걸음구(51)를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걸음고리(11)가 걸음구(51)에 형성된 걸음턱(53)을 지나 하측 걸음홈(52b)에 끼워지게 되며, 이때 하측 걸음홈(52b)은 걸음고리(11)의 직경보다 적어서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로 회동만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10)에 앉은 채로 양쪽의 걸음고리(11)에 걸음밴드(50)의 걸음구(51)를 끼워주어 걸음밴드(50)를 채울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본체(10)에서 일어나 밴드를 끼워주어야 하는 불편 없이 앉은 채로 걸음밴드(50)를 채워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걸음밴드(50)는 본체(10)에 앉아있는 작업자의 허벅지 상측을 누르면서 채워지게 되므로, 작업자가 일어나면 본체(10)는 걸음밴드(50)에 의해 작업자의 엉 덩이에 붙어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10)를 깔고 앉은 채로 작업을 하다가, 작업장소를 옮길 경우 그대로 이동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고, 만약 걸음밴드(50)를 분리시킨 경우도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본체(10)에 앉은 채로 걸음밴드(50)를 간단히 채울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업의자의 본체(10)를 회전시켜 높낮이를 변경시켜 사용하는 경우 걸음밴드(5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본체(10)를 회전시키면 가능한 것으로, 이때 걸음구(51)의 하측 걸음홈(52b)이 걸음고리(11)에 끼워진 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걸음밴드(5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본체(10)를 눕히거나 세워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걸음밴드(5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걸음구(51)를 밑으로 밀어 걸음고리(11)가 하측 걸음홈(52b)에서 상측 걸음홈(52a)으로 이동되게 한 후 상측 걸음홈(52a)을 통하여 걸음구(51)를 걸음고리(11)에서 빼내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걸음밴드가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본체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 측면도
도 5및 도 6은 본 고안의 받침판을 분리한 상태의 본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본체와 걸음밴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본체와 걸음밴드 결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끼운 상태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끼워 상부로 당긴 상태의 정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끼우기 전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끼운 상태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걸음구를 걸음고리에 끼워 상부로 당긴 상태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상측 걸음홈에 걸음고리가 끼워진 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의 걸음고리가 걸음구의 걸음턱을 밀어준 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의 걸음턱이 밀린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고안의 하측 걸음홈에 걸음고리가 끼워진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걸음고리
15 : 마개 20 : 돌출 받침부
30,31 : 받침판 50 : 걸음밴드
51 : 걸음구 52a : 상측 걸음홈
52b : 하측 걸음홈 53 : 걸음턱

Claims (2)

  1.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본체(10)에 양측으로 걸음고리(11)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걸음고리(11)에는 작업자의 허벅지 상면에 닿게 되는 걸음밴드(50)의 양쪽에 결합시킨 걸음구(51)를 끼우되 상기 걸음구(51)에는 직경이 다른 상측 걸음홈(52a)과 하측 걸음홈(52b)이 걸음턱(53)을 경계로 하여 관통되게 하며, 상기 걸음고리(11)보다 직경이 큰 상측 걸음홈(52a)에 걸음고리(11)가 끼워진 후 걸음턱(53)을 지나 걸음고리(11)보다 직경이 적은 하측 걸음홈(52b)으로 이동하여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를 눕힌 상태에서 상측으로 쿠션재인 받침판(30)이 접착되게 하고, 상기 본체(10)를 세운 상태에서는 돌출 받침부(20)를 포함하여 상측으로 쿠션재인 받침판(31)이 접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의자.
KR2020070016735U 2007-10-16 2007-10-16 작업 의자 KR200438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735U KR200438783Y1 (ko) 2007-10-16 2007-10-16 작업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735U KR200438783Y1 (ko) 2007-10-16 2007-10-16 작업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83Y1 true KR200438783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735U KR200438783Y1 (ko) 2007-10-16 2007-10-16 작업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7B1 (ko) * 2008-12-31 2011-07-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 가변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67B1 (ko) * 2008-12-31 2011-07-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 가변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750B1 (ko) 조립형 작업 의자
KR20110000415U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JP3163091U (ja) 背もたれクッション板の構造
KR200438783Y1 (ko) 작업 의자
KR101338273B1 (ko) 작업 의자
CN203815370U (zh) 便携式坐便器
KR20190094840A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CN201253015Y (zh) 多功能椅子
KR200421461Y1 (ko) 작업용 의자
CN107095509A (zh) 新型储物沙发
KR200437524Y1 (ko) 작업의자
CN205885365U (zh) 靠背式马桶
CN207355747U (zh) 单人课椅
KR20160149121A (ko) 수면 쿠션
CN206182793U (zh) 一种舒适结构的儿童沙发
KR20210008612A (ko) 작업용 의자
CN202875204U (zh) 一种儿童软座便器
KR200422534Y1 (ko) 높낮이 조절용 작업 의자
CN203182448U (zh) 用于休憩的搭腿架
CN208610736U (zh) 一种儿童坐便器
CN215738656U (zh) 一种铁质便器椅
CN214595178U (zh) 一种多功能垫
JP2010154896A (ja) 脱靴台
CN203828446U (zh) 一种竹竿圆桶凳
CN212213192U (zh) 一种律动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