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429A - 농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농업용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9429A KR20210149429A KR1020200066463A KR20200066463A KR20210149429A KR 20210149429 A KR20210149429 A KR 20210149429A KR 1020200066463 A KR1020200066463 A KR 1020200066463A KR 20200066463 A KR20200066463 A KR 20200066463A KR 20210149429 A KR20210149429 A KR 202101494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chair
- user
- lower plate
- upp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movably mounted on a working-table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신체 또는 작업지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신체적인 피로도와 이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와;
상기 밴드걸이에 결합하여 의자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와;
상기 하판과 상판에 구비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하판 또는 상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와;
상기 밴드걸이에 결합하여 의자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와;
상기 하판과 상판에 구비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하판 또는 상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작동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사를 위하여 밭과 같은 작업지에서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작업시 피로도를 경감하면서 신체적인 이상초래를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농업용 의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업시에는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많으며 이러한 자세를 오랫동안 취할 경우에는 관절에 무리가 오는 것은 물론, 신체적인 에너지소모가 많아지고 신체적인 손상과 근골격계의 이상을 초래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되고 편안한 작업자세를 유지하면서 신체적인 피로도를 경감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농업용 의자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부재(11)는 단면이 "W"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재(11)의 상부 중앙에 마련된 받침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14)에는 쿠션부재(13)가 고정되는 농사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1)에는 그 상단 외주를 따라 단턱(17)이 마련되며, 상기 쿠션부재(13) 상측에는 내부 둘레를 따라 고정끈(15)을 갖는 커버(16)가 씌워지면서, 상기 고정끈(15)은 "W"형 받침부재(11)의 상단 외주를 따라 마련된 단턱(17)에 걸쳐져서 상기 쿠션부재(13)를 상기 받침부(14)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농사용 의자(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농사용 의자(100)는 브로아 성형된 원통형의 동체(1)와, 상기 동체(1) 상부에 안착되는 좌판(2)으로 구성하되,
상기 동체(1)는 상부 양측에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도록 홈(11)과 걸림부(12)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측 외주면전체에 홈(11a)과 걸림부(12a)가 일체로 되게끔 성형하고, 동체(1) 중앙부에는 내부에 걸림돌부(13)가 돌출된 수직의 관통구멍(14)을 형성하여 구성하며, 좌판(2)은 합성수지나 고무로 성형하되, 저면 중앙부에 외주면에 걸림요부(21)가 형성된 삽입축(2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삽입축(22)을 관통구멍(14)에 끼워 조립하였을 때 걸림돌부(13)가 걸림요부(21)에 끼워짐으로서 좌판(2)이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허벅지에 끼워 지는 벨트(10)를 구비하고 슬라이더파스너(20)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30)의 내부에 방석부재(40)를 구비한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로서,
상기 방석부재(40)는 상,하부판(41,42) 사이에 탄성부재(43)를 지지시키고, 상부판(41)의 상면과 하부판(42)의저면에 각각 적정두께를 갖는 매트부재(44)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은 받침부재의 상면에 쿠션부재를 개재하여 커버로 마감하는 구성이며, 특허문헌 2는 동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좌판을 동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며, 특허문헌 3은 상,하매트부재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앉았다가 일어설 때 탄성부재가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 제시된 바와 같이 좌판을 회전 자유롭게하여 작업자가 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쿠션을 가지도록 하여 앉은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작업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을 내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작업을 위하여 의자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체중이 의자의 전방으로 집중되는 현상에 의하여 쿠션부재들이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수축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앉은 자세가 불안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한 번 작업하기 시작하면 몇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의자의 변형이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의 앉은 자세가 불안하게 되고, 이러한 제사불안을 작업자가 발, 다리 등에 힘을 주어 바르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작업자에게 의자 없이 앉은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보다 더 불현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의자에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기능에만 치중한 관계로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작업자가 모두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일부 작업자들은 의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부수적으로 패드(쿠션 또는 판자)를 더 개재하여 자신에 신체에 적합하게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들에서 편익성을 주기 위하여 제공된 의자가 신체조건에 대응하지 못하는 구성이어서 무릎과 발, 허리와 같은 신체부위의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작업피로도 경감 및 작업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목적을 달하기 어려운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과;
상기 상판(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108)와;
상기 밴드걸이(108)에 결합하여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107)와;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에 구비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과;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작동판(103)을 포함하여;
이용자의 신체 또는 작업지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신체적인 피로도와 이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를 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과정에서 이용자들의 신체의 특정한 부위로 스트레스가 가중되거나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배제하여 신체적인 이상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농업용 의자의 높이 조절을 누구나가 쉽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노약자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변형(수축)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자세 불안정을 해소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파절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파절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파절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농업용 의자(100)는,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에는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을 강구하여 구성한다.
상기 농업용 의자(100)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 또는 블로워성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작동판(103)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상판(102)의 상면에는 이용자의 둔부 편의성을 위하여 패드홀(104)을 형성하여 쿠션패드(105)를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과정에서 이용자와 의자(100)가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연결하기 위한 착용밴드(107)를 연결하기 위한 밴드걸이(108)를 상판(102)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한다.
상기 착용밴드(107)는,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의 밴드걸이(108)를 연결하는 좌측밴드(110)와 우측밴드(111)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밴드(110,111)에는 이용자의 신체(허벅지)에 맞게 길이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버클, 벨크로 등과 같은 통상적인 길이조절수단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착용밴드(107)는 이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압박감은 배제하면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타입의 것이 바람직하며, 여타의 다른 종류의 밴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좌,우측밴드(110,111)의 전측위치에는 이용자의 허리띠(112)와 연결하여 흘러내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밴드(115)를 더 구비하는 데, 상기 이탈방지밴드(115)는 좌,우측밴드(110,111)와 연결하는 분지밴드(116)와 상기 분지밴드(116)의 상측에서 허리띠(112)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에 걸고리를 가지는 연결밴드(117)로 구성되는 개략 "Y"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는, 하판(101)의 상면에서 원기둥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되게 수조절관체(121)를 일체로 돌출시키고, 상기 상판(102)의 저면에서 원기둥형태로 하방으로 돌출되게 암조절관체(122)를 돌출시켜 수조절관체(121)가 암조절관체(122)에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수조절관체(121)의 외경면에는 수나사(123)를 형성하고 암조절관체(122)의 내경면에는 암나사(124)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나사 조절에 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나사(123)와 암나사(124)의 피치간격은 크게하여 많은 회전이 아니라도 쉽게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조절관체(121)의 외표면에는 높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숫자 기호 등으로 표시수단을 강구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 수조절관체(121)의 내경부에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하중이 전도될 경우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림(125)을 더 형성하여도 되며, 상기 하판(101)의 저면에는 지면과 연접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마찰돌기 등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의자(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업용 의자(100)를 구성하는 하판(101)과 상판(102)을 결합하고, 하판(101) 및 상판(102)에 구비되는 높이조절수단(120)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작업지로 이동하여 의자(100)를 놓고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의자(100)에 앉아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판(102)에 형성되는 패드홀(104)이 쿠션패드(105)를 더 결합하여 편안성을 추구하여도 되며, 밴드걸이(108)에 착용밴드(107)를 결합한 후 착용밴드(107)를 이용자의 신체와 결합시켜 의자(100)가 쉽게 분리 또는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착용밴드(107)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판(102)의 밴드걸이(108)에 연결된 좌측밴드(110)와 우측밴드(111)에 이용자의 허박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신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고, 이탈방지밴드(115)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허리띠(112)와 연결함으로서 농업용 의자(100)가 이용자와 일체화 되어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농업용 의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밴드(107)에 의하여 분리 및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업 과정에서 움직이거나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행동을 취하더라도 농업용 의자(100)는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이용자들이 편안한 자세로 농업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을 이용한 높이 조절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판(101) 또는 상판(102)의 양측으로 돌출된 작동판(103)을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은 상태에서 양 손으로 하판(101) 또는 상판(10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조절관체(121)에 대하여 암조절관체(122)를 나사 결합시켜 하판(101)과 상판(102)의 거리를 가깝게 또는 멀게 함으로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농업용 의자(100)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용자의 신체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므로 앉은 자세가 바르게 되며 불필요하게 신체가 의자(100)의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전방으로 수그러지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에도 신체에 가하여지는 부담이 적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신체 또는 작업지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신체적인 피로도와 이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농업용 의자
101; 하판
102; 상판 103; 작동판
107; 착용밴드 110; 좌측밴드
111; 우측밴드 115; 이탈방지밴드
116; 분지밴드 117; 연결밴드
120; 높이조절수단 121; 수조절관체
122; 암조절관체 123; 수나사
124; 암나사
102; 상판 103; 작동판
107; 착용밴드 110; 좌측밴드
111; 우측밴드 115; 이탈방지밴드
116; 분지밴드 117; 연결밴드
120; 높이조절수단 121; 수조절관체
122; 암조절관체 123; 수나사
124; 암나사
Claims (3)
- 작업지의 지면과 연접되는 하판(101)과;
상기 하판(101)과 결합되어 이용자의 둔부와 연접되는 상판(102)과;
상기 상판(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에 구비하는 밴드걸이(108)와;
상기 밴드걸이(108)에 결합하여 의자(100)와 이용자의 신체를 결속시키는 착용밴드(107)와;
상기 하판(101)과 상판(102)에 구비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지의 여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20)과;
상기 하판(101) 또는 상판(102)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는 높이조절수단(120) 작동시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용자가 발로 밟아서 유지하거나 손으로 잡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작동판(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107)는, 전방 중앙과 후방 양측의 밴드걸이(108)를 연결하는 좌측밴드(110) 및 우측밴드(111)와;
상기 좌,우측밴드(110,111)의 전측위치에는 이용자의 허리띠(112)와 연결하여 흘러내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이탈방지밴드(115)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밴드(115)는 좌,우측밴드(110,111)와 연결하는 분지밴드(116)와;
상기 분지밴드(116)의 상측에서 허리띠(112)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에 걸고리를 가지는 연결밴드(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20)는, 하판(101)의 상면에서 원기둥형태로 상방으로 일체로 돌출시키는 수조절관체(121)와;
상기 상판(102)의 저면에서 원기둥형태로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시켜 수조절관체(121)를 수용하는 암조절관체(122)와;
상기 수조절관체(121)의 외경면에 형성하는 수나사(123)와;
상기 암조절관체(122)의 내경면에 암나사(124)를 형성하여 수나사(123)와 나사 결합에 의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463A KR20210149429A (ko) | 2020-06-02 | 2020-06-02 | 농업용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463A KR20210149429A (ko) | 2020-06-02 | 2020-06-02 | 농업용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9429A true KR20210149429A (ko) | 2021-12-09 |
Family
ID=7886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463A KR20210149429A (ko) | 2020-06-02 | 2020-06-02 | 농업용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9429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720B1 (ko) | 2009-03-27 | 2011-03-17 | 김성규 |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
KR200476945Y1 (ko) | 2014-01-14 | 2015-04-17 | 이상걸 | 농사용 의자 |
KR20180001658U (ko) | 2016-11-25 | 2018-06-05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화장품 용기 |
-
2020
- 2020-06-02 KR KR1020200066463A patent/KR202101494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720B1 (ko) | 2009-03-27 | 2011-03-17 | 김성규 |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
KR200476945Y1 (ko) | 2014-01-14 | 2015-04-17 | 이상걸 | 농사용 의자 |
KR20180001658U (ko) | 2016-11-25 | 2018-06-05 | 코스맥스 주식회사 | 화장품 용기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없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09867B (zh) | 基于重力支撑的下肢助力外骨骼 | |
US5658242A (en) | Walking aid | |
JPH08507935A (ja) | 事務用椅子 | |
US8282171B1 (en) | Seat assembly | |
US7931339B1 (en) | Seat assembly | |
US20130169016A1 (en) | Natural balance active chair | |
US11382775B2 (en) | Modular prosthetic devices and prosthesis systems | |
KR101963879B1 (ko) |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 |
KR101045052B1 (ko) | 자세교정용 발받침대 | |
JP6307728B1 (ja) | 下肢装具用部品、下肢装具用靴、及び下肢装具 | |
KR20210149429A (ko) | 농업용 의자 | |
AU672358B2 (en) | Walking aid | |
KR20230160161A (ko) | 척추 이완용 의료기구 | |
KR101256328B1 (ko) | 휴대용 의자 | |
KR20180077119A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 |
CN212879693U (zh) | 一种膝关节下部康复辅助假肢 | |
KR20220163594A (ko) | 마사지 겸용 발 받침대 | |
KR20210149442A (ko) | 농업용 의자 | |
KR100958267B1 (ko) | 의자 부착형 자세 교정기 | |
KR200366071Y1 (ko) | 인체 착용형 작업 의자 | |
CN211163927U (zh) | 行走支撑装置 | |
KR20210156043A (ko) | 농업용 의자 | |
CN211409977U (zh) | 可调式康复座椅 | |
CN211163926U (zh) | 行走装置的臀部支撑结构 | |
US20240341482A1 (en) | A postur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