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390B1 -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 Google Patents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390B1
KR101674390B1 KR1020120156482A KR20120156482A KR101674390B1 KR 101674390 B1 KR101674390 B1 KR 101674390B1 KR 1020120156482 A KR1020120156482 A KR 1020120156482A KR 20120156482 A KR20120156482 A KR 20120156482A KR 101674390 B1 KR101674390 B1 KR 10167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user
guide rail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227A (ko
Inventor
권현욱
권영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47C1/03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in combination with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2/00Step-stool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부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또는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고정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발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간에 장착되는 유선형의 가이드레일;과, 일정범위를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홀;과, 상기 발판에 일측이 힌지부재로 연결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전단부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 및 상기 발판과 상기 작동바간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바를 상기 고정홀에서 해체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착석하는 발판 또는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Chair for adjustable type of foot resting and leg angle }
본 발명은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는 발받침판이 없거나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발받침판(7)이 있더라도 단순히 고정형이어서, 사용자가 양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여러 각도로 위치를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장시간 의자(1)에 앉아 있는 경우에 대부분 다리가 저리거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주 의자(1)에서 일어나 스트레칭, 기지개 등의 운동을 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업무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즉 종래의 의자(1)는 사용자가 앉거나 기댄 상태에서 다양한 자세 변경이 불가하여 편안함을 유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의자(1)는 등받이(2)를 뒤로 기울여 몸을 기대고자 할 때, 등받이(2)와 지지판(3)으로 연결된 시트(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의 상체가 뒤로 기울임에 따라 사용자의 하체가 앞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의자(1)에 편안한 자세로 착석하지 못하게 되고, 시트(4)의 전면부에 사용자의 하중이 집중되게 되어 의자의 파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발판 또는 시트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시트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부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또는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고정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발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간에 장착되는 유선형의 가이드레일;과, 일정범위를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회동암;과,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홀;과, 상기 발판에 일측이 힌지부재로 연결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전단부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 및 상기 발판과 상기 작동바간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바를 상기 고정홀에서 해체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를 제공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고정홀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바가 끼워지는 키홈 및 상기 작동바의 전단부가 일정범위를 회동하여 상기 고정바가 상기 키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작동바와 상기 전단부 사이에 장착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거리를 조절토록, 상기 시트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이동레일 및 상기 시트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레일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에 따라 상기 시트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시트부간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하단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나사봉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나사봉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나사봉을 승강토록 제공되는 회전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의 일 실시예는 의자의 발판 또는 시트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를 적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도 잠시 몸을 풀 수 있고 다른 착석 자세로도 바꿀 수 있어, 업무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판 및 시트 위치 고정형 의자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발받침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발판 또는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의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명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발받침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의 일 실시예는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시트부(30)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부(30)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20)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또는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고정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발받침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시트부(30)를 지지하는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각 모서리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는 4개의 지지빔(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이동성이 부여되도록 상기 4개의 지지빔(23) 하단부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바퀴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시트부(30)에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는 상기 시트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시트부(3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시트부(30)의 상부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부재(31)로 이뤄질 수 있으며, 하부는 상기 쿠션부재(31)가 설치되는 하판(33)으로 이뤄질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시트부(30)의 일측에 샤프트(91)에 의해 일정 범위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대는 등의 각도에 따라 일정 범위내에서 각도 변경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 또한 사용자의 등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상부는 쿠션부재(41)로 이뤄질 수 있으며, 하부는 상기 쿠션부재(41)를 지지하는 지지판(43)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받침부(70)는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움직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 상기 시트부(30)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발받침부(70)는 가이드레일(74), 회동암(72) 및 발판(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이드레일(74)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에서 소정 거리가 이격되며 지면에 고정된 지지대(71)간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무릎 관절을 회전축으로 하는 사용자의 발이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유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동암(72)은 상기 지지대(71)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된 연결암(71a)의 단부에 샤프트(92)로 일정 범위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73)은 상기 회동암(72)의 하단부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판(73)은 상기 가이드레일(74)상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유선형 운동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부(30)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으로 놓여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발을 상기 발판(73)에 안착시킨 후 무릎 관절을 중심으로 발을 운동시키게 되면, 상기 발판(73)이 상기 유선형의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게 되고, 장시간 착석시에 발에 느껴지는 피로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받침부(70)는 사용자가 자신의 발이 편안함을 느끼는 특정 위치에서 상기 발판(73)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받침부(70)는 고정홀(74a), 작동바(76), 고정바(75) 및 탄성체(7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정홀(74a)은 상기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74a)은 상기 가이드레일(74)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바(75)가 삽입되므로 상기 고정바(75)에 대응하는 동일한 단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바(76)는 일측이 상기 발판(73)의 상단에 힌지부재(79)에 의해 일정 범위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바(76)의 타측 하단에는 상기 고정바(75)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77)는 상기 작동바(76)의 하단 일부와 상기 발판(73)의 상단간에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서 해제할 때 사용자가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77)는 코일스프링, 디스크 스프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단순히 상기 작동바(76)를 밟고 누르면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가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되면서 상기 발판(73)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레일(74)상에서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75)가 상기 고정홀(74a)에 보다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는 상기 고정홀(74a)의 직경보다는 약간 큰 볼록한 형태의 탄성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가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되면 직경 차이로 인해 끼워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는 탄성재질로 구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작동바(76)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가 신축되며 상기 고정홀(74a)에서 해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체(77)가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보다 수월하게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홀(74a)과 상기 작동바(76)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바(76)는 2단 판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작동바(76)의 1단 판(76a)을 발로 누르고,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서 해제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작동바(76)의 2단 판(76b)을 발로 들어올리면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홀(74a)과 상기 작동바(76)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74)상에서 고정홀(74a)의 일측으로 직선형의 키홈(74b)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76)의 전단부(76c)는 회동축(76d)에 의해 일정 범위를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작동바(76)를 밟아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한 후에, 상기 작동바(76)의 전단부(76c)를 살짝 옆으로 밀어 상기 고정홀(74a)에 삽입된 상기 고정바(75)를 상기 키홈(74b)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75)의 선단부(75a)는 볼록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상기 키홈(74b)과의 직경 차이로 인해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그 위치에서 발판(73)이 고정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작동바(76), 상기 탄성체(77), 상기 고정바(75) 및 상기 고정홀(74a)의 상호작동을 통해 자신의 발이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에 상기 발판(73)을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착석시에도 발의 피로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받침부(70)는 제1,2 링크암(78a,78b) 및 발판(78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링크암(78a)의 일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측에 힌지부재(97)에 의해 일정 범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97)의 고정축(96)과 상기 제1 링크암(78a)간에는 코일스프링(95)이 감겨 용접접합되어 상기 제1 링크암(78a)이 하방향으로 내려갔을 때 다시 상방향으로 원위치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암(78b)의 일측은 상기 제1 링크암(78a)의 타측에 샤프트(93)에 의해 연결되어 역시 일정 범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샤프트(93)에도 코일스프링(94)이 감기며 상기 제1,2 링크암(78a,78b)에 각각 용접접합됨으로써, 상기 제2 링크암(78b)에도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암(78b)의 타측에는 상기 발판(78c)이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발판(78c)에 발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자신의 발이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로 상기 제1,2 링크암(78a,78b)을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받침부(70)는 베이스(87) 및 복수개의 발 거치 블록(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베이스(87)는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발 거치 블록(80)을 지지하도록 평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발 거치 블록(80)은 다단식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발 거치 위치 또는 다리 각도에 대응하는 각기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일 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발 거치 블록(80)이 각기 다른 높이를 가지는 6 개의 블록으로 구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상기 발 거치 블록(80)이 배치된 일 예일 뿐이므로, 도면에 도시된 블록의 개수 및 위치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사용자(M)의 각 신체부위에 대한 도면부호는 머리(M3), 등(M4), 엉덩이(M5), 허벅지(M1), 무릎(M0), 종아리(M2) 및 발(M6)에 해당한다.
사용자(M)가 오랜 시간 각도(θ3)에 해당하는 상기 발 거치 블록(84) 위치에 발(M6)을 거치하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가, 장시간 일정 위치에 발이 놓여짐에 의해 발에 피로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M)가 다리를 오므림으로써 피로를 풀고 싶으면, 사용자(M)는 각도(θ1)에 해당하는 상기 발 거치 블록(86) 또는 각도(θ2)에 해당하는 발 거치 블록(85)에 발(M6)을 위치시키면 된다.
즉 발(M6)이 안착되는 블록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발(M6)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가 바뀌게 되어 다리에 움직임을 부여하게 되므로, 오랜 시간 일정한 자세로 유지됨에 따라 다리에 인가된 피로를 풀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M)가 다리를 펴며 피로를 풀고 싶으면, 각도(θ4)에 해당하는 상기 발 거치 블록(83), 각도(θ5)에 해당하는 상기 발 거치 블록(82) 또는 각도(θ6)에 해당하는 상기 발 거치 블록(81)으로 발(M6)의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M)는 다리를 스트레칭한 효과를 얻으면서 다리의 위치를 바꿔주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다리의 피로를 풀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상기 6개의 블록에 대한 사용자(M)의 무릎(M0)이 이루는 각도는 각각 각도(θ1)=30°, 각도(θ2)=60°, 각도(θ3)=90°, 각도(θ4)=120°, 각도(θ5)=150°및 각도(θ6)=180°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무릎(M0) 각도에 대응하여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6개의 블록 이외에 더 많은 수의 다른 높이를 가지는 블록을 장착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발이 거취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시트부(30)와 상기 발받침부(70)의 거리를 조절토록, 상기 시트부(3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이동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후이동수단(60)은 이동레일(63), 고정홈(63a), 고정핀(65) 및 이동프레임(6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이동레일(63)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에서 상기 발받침부(70)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63)상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홈(63a)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63)상에는 상기 이동프레임(61)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61)의 상부에는 상기 시트부(30)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61)의 일측에는 고정핀(65)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65)은 상기 고정홈(63a)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프레임(6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65)과 상기 이동프레임(61)의 내부홈(61a)에는 코일스프링(67)이 내장되어 상기 고정핀(65)을 상기 고정홈(63a)에서 분리할 때 상기 고정핀(65)을 상기 고정홈(63a)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키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30)를 상기 발받침부(70)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하여 상기 발받침부(70)를 사용하는 것이고, 사용자의 키가 큰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30)를 상기 발받침부(70) 방향에서 멀어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발받침부(70)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후이동수단(6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상기 발받침부(7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는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에 따라 상기 시트부(30)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시트부(30)간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수단(50)은 나사봉(51) 및 회전블록(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나사봉(51)은 상기 시트부(30)의 하단 일측, 자세하게는 상기 시트부(30)의 전면측 하단에서 수나사선을 가지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53)은 상기 나사봉(51)과 결합되는 암나사선을 가지며 상기 이동프레임(61)의 상단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나사봉(51)을 풀거나 감으며 상기 시트부(30)의 각도를 조절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블록(53)은 상기 이동프레임(61)의 상단에 배치된 힌지블록(55)에 끼워지며, 상기 시트부(30)의 각도 변경에 따라 발생되는 미세한 위치 변화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50)은 사용자의 다리가 길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시트부(30)에서의 착석 자세를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시트부(30)의 상하위치를 조정하여 편안함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고정프레임 30...시트부
40...등받이부 50...각도조절수단
51...나사봉 53...회전블록
55...힌지블록 60...전후이동수단
61...이동프레임 63...이동레일
63a...고정홈 65...고정핀
70...발받침부 71...지지대
72...회동암 73...발판
74...가이드레일 74a...고정홀
75...고정바 75a...신축부
76...작동바 77...탄성체
78a...제1 링크암 78b...제2 링크암
78c...발판 80...발 거치 블록
87...베이스

Claims (8)

  1.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시트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시트부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또는 다리 각도에 대응하여 고정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공되는 발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대간에 장착되는 유선형의 가이드레일;
    일정범위를 회동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고정홀;
    상기 발판에 일측이 힌지부재로 연결된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전단부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 및
    상기 발판과 상기 작동바간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바를 상기 고정홀에서 해체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상에서 상기 고정홀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바가 끼워지는 키홈; 및
    상기 작동바의 전단부가 일정범위를 회동하여 상기 고정바가 상기 키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작동바와 상기 전단부 사이에 장착되는 회동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받침부의 거리를 조절토록, 상기 시트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후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후이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홈이 구비된 이동레일; 및
    상기 시트부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레일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이동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에 따라 상기 시트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시트부간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시트부의 하단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나사봉; 및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단에서 상기 나사봉과 결합되어 설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나사봉을 승강토록 제공되는 회전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KR1020120156482A 2012-12-28 2012-12-28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KR10167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82A KR101674390B1 (ko) 2012-12-28 2012-12-28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482A KR101674390B1 (ko) 2012-12-28 2012-12-28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227A KR20140087227A (ko) 2014-07-09
KR101674390B1 true KR101674390B1 (ko) 2016-11-09

Family

ID=5173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482A KR101674390B1 (ko) 2012-12-28 2012-12-28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15B1 (ko) * 2018-10-25 2021-05-07 양근영 무브 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5856B2 (ja) * 1996-08-30 1999-07-05 コクヨ株式会社 椅 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71A (en) * 1894-09-18 Dental chair
US5582464A (en) * 1995-01-17 1996-12-10 Maymon; Herzel Chair primarily for use by persons with spinal chord injury
US6089652A (en) * 1995-03-07 2000-07-18 Miller, Sr.; Daniel C. Fish figh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5856B2 (ja) * 1996-08-30 1999-07-05 コクヨ株式会社 椅 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227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10226129B2 (en) Ergonomic seating assemblies and methods
US9968195B2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KR100334315B1 (ko) 사무용의자의경사제어장치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JP5425886B2 (ja) 人間工学に基づく、調節可能な椅子
JP2008062015A (ja) 椅子
JP2008188055A (ja) マッサージ椅子
JP6542809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機構、調節可能な座席アセンブリ及び方法
KR20190041205A (ko) 팔걸이를 구비한 의료용 침대
US10918211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1674390B1 (ko) 발 거치 위치 및 다리 각도 조절형 의자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101539018B1 (ko) 다기능 휠체어 및 그 구성 방법
KR20090002049U (ko) 전동 승강 의자
KR20160122927A (ko) 전신 운동의자
WO2014058376A1 (en) Chair with tiltable and lockable seat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CN207532169U (zh) 人体工程坐姿椅
KR101798340B1 (ko)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JP2014217545A (ja) 作業用椅子
JPWO2020208771A1 (ja) 介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