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340B1 -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 Google Patents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340B1
KR101798340B1 KR1020160154693A KR20160154693A KR101798340B1 KR 101798340 B1 KR101798340 B1 KR 101798340B1 KR 1020160154693 A KR1020160154693 A KR 1020160154693A KR 20160154693 A KR20160154693 A KR 20160154693A KR 101798340 B1 KR101798340 B1 KR 10179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ckrest
shaft
protru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to KR102016015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볼트 등의 분리 없이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등받이 높이 조절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미세한 높낮이 조절까지 가능하게 하며, 또한 등받이의 각도조절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특정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는 물론 대각선 방향까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안정감의 부여 및 편안함을 위한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Desk chair with backrest adjus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책상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간편한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하며, 특히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등 편리하고 편안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일반적으로 책상의자는 책상을 사용함에 있어 편안한 자세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의자다리를 통해 일정한 높이를 이루며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판과, 좌판의 후방에서 좌판과 직각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등받이로 구성되며, 부수적으로 좌판의 양측에는 팔걸이가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책상의자는 그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얼마나 편안한 자세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자세의 교정 및 책상 사용시간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인바, 사용자는 최대한 편안하고 신체 사이즈에 맞는 책상의자를 구비하게 된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의자의 구현을 위해 좌판의 높낮이 조절 및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책상의자의 등받이 높이 구조는 좌판 또는 프레임 등에 등받이가 연결된 지지간이 삽탈 되는 구조를 이루되, 볼트 체결구조에 의해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높낮이 조절시 볼트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절 및 재차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등 그 조절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가 프레임 등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봉에 수평힌지 등으로 연결되어 그 상,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각도 조절상의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45630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195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볼트 등의 분리 없이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등받이 높이 조절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특히 미세한 높낮이 조절까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의 각도조절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특정한 방향으로의 유동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는 물론 대각선 방향까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안정감의 부여 및 편안함을 위한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관과, 좌판 연결대를 통해 지지관에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형 좌판과, 좌판 연결대에 연결되어 높낮이 조절되는 등받이부로 된 책상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는,
지지관의 상단으로부터 그 지지관에 삽탈되어 상,하 승강되는 수직 관체형 등받이 샤프트;
지지관의 상단에서 등받이 샤프트와 간섭되게 형성되어 등받이 샤프트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높이 조절부;
등받이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구;
등받이 지지구에 결합되는 강질의 고무재로 된 탄력 연결구; 및
후면에 탄력 연결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는, 등받이 샤프트에 랙크가 형성되고 높이 조절부에는 레버의 작동되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의 당김과 회전 조절에 의해 랙크와 피니언의 치합에 의한 등받이 샤프트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단한 조작으로 등받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미세한 조절까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등받이 샤프트에 고정되는 등받이 지지구와 등받이가 탄력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등받이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항시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에 기대어진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여 안정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높이 조절부 배면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높이 조절부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상부 배면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조절노브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높낮이 조절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각도 조절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각도 조절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배면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높이 조절부 배면 요부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높이 조절부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상부 배면 요부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1)는, 바닥에 지지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관(20)과, 좌판 연결대(31)를 통해 지지관(20)에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형 좌판(30)과, 좌판 연결대(31)에 연결되어 높낮이 조절되는 등받이부(40)로 된 책상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40)가, 등받이 샤프트(100)와, 높이 조절부(200)와, 등받이 지지구(300)와, 탄력 연결구(400)와, 등받이(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는, 상기 지지관(20)의 상단으로부터 그 지지관(20)에 삽탈되어 상,하 승강 되는 수직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등받이부(40)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 샤프트(100)에는, 먼저 그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랙크(110)가 형성된다.
또한 등받이 샤프트(100)에는, 그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ㄷ" 형 가이드홈(120)이 구성된 것으로, 그 가이드홈(120)에는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의 표시가 가능한 눈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지지관(2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와 간섭되어 그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때 높이 조절부(200)는, 먼저 조절부 기초(210)가 구성된 것으로, 조절부 기초(210)는 관통형 캡 형태로 구성되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관 결합부(211)가 구성되어 그 지지관 결합부(211)를 통해 지지관(2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조절부 기초(210)는, 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가 삽입 및 슬라이딩 되는 샤프트 가이드공(212)이 구성된다.
이때 샤프트 가이드공(212)의 양측에는 등받이 샤프트(100)의 가이드홈(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13)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조절부 기초(210)에는, 상부 후방에 승강 조절부(214)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승강 조절부(214)는, 먼저 상기 샤프트 가이드공(212)과 연통되며 상부로 개방되는 피니언 결합홈(215)이 구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피니언 결합홈(215)과 연통되도록 일측으로는 내주면에 스프링 걸림턱(216a)을 이루는 지지노브 결합관(216)이 돌출되고, 타측으로는 지지체 걸림턱(217a)을 이루는 조절노브 삽입관(217)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200)에는,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의 랙크(110)와 치합되는 피니언(220)이 구성된다.
이때 피니언(220)은, 상기 피니언 결합홈(215)에 내입되어 랙크(110)와 치합되게 구성되며, 조절노브 삽입관(217) 측에는 삽탈 지지관(221)이 돌출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삽탈 지지관(221)의 내주면에는 육각홈 형태를 이루는 제1 각홈(222)이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200)에는, 상기 피니언(220)을 관통하여 그 피니언(220)을 축설하는 회전축(23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회전축(230)은, 피니언(22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노브 결합관(216) 및 조절노브 삽입관(217)에 삽입되게 구성되며, 피니언(220)과는 공차를 두고 분리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피니언(22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30)은, 조절노브 삽입관(217) 측에는 삽탈돌기(231)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삽탈돌기(231)는, 먼저 피니언(220) 측으로부터 피니언(220)의 삽탈 지지관(221)에 형성된 제1 각홈(222)에서 슬라이딩 되는 외둘레가 육각면 형태를 이루는 제1 각돌기(232)가 구성되고, 그 제1 각돌기(232)의 외측에는 그 제1 각돌기(232)의 외둘레보다 큰 외둘레를 이루는 육각면 형태의 제2 각돌기(233)가 단차를 이루며 구성된다.
이때 제1 각돌기(232)가 제1 각홈(22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피니언(220)과 회전축(230)이 맞물려 함께 회전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제1 각돌기(232)는 항시 제1 각홈(222) 내에서 슬라이딩되게 구성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200)에는 지지노브(24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지지노브(240)는 상기 지지노브 결합관(216)을 감싸며 회전축(230)의 일측에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200)에는 탄력 스프링(25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탄력 스프링(250)은, 회전축(230)의 지지노브 결합관(216) 측의 외측을 감싸면서 지지노브(240)와 지지노브 결합관(216)의 스프링 걸림턱(216a) 사이에 탄설되게 구성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200)에는 지지체(26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지지체(260)는, 상기 조절노브 삽입관(217)의 내측에 회전 방지 되도록 형합 및 지지체 걸림턱(217a)에 지지 고정되게 구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가 삽탈되는 육각홈 형태의 제2 각홈(261)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탈 지지관(221)의 제1 각홈(222)의 깊이 및 삽탈돌기(231)의 제1 각돌기(232)의 길이는,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의 길이 및 지지체(260)의 제2 각홈(261)의 깊이보다 길게 구성되어 제2 각돌기(233)가 제2 각홈(261)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도 제1 각홈(222)과 제1 각돌기(232)의 맞물림 상태는 유지되게 구성된다.
이에, 제2 각돌기(233)가 제2 각홈(261)에 삽탈됨에 있어, 제2 각돌기(233)가 제2 각홈(2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삽탈돌기(231)의 회전이 방지되게 되고, 제2 각돌기(233)가 제2 각홈(261)으로부터 이탈시에는 삽탈돌기(231)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높이 조절부(200)에는 조절노브(27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조절노브(270)는 그 선단이 상기 조절노브 삽입관(217)에 내입 및 회전축(230)의 타측에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부 기초(210)에는, 가이드롤러(219)가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가이드롤러(219)는 샤프트 가이드공(212)의 전방 상부에 축설되어 등받이 샤프트(100)가 상,하 승강시 그 전방이 구름 가이드 되게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 지지구(300)는,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먼저 그 후방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310)가 구성되어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등받이 지지구(300)에는, 그 전방에 연장부(320)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연장부(320)는 그 전방과 하부로 개방되는 하프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탄력 연결구(400)는, 강질의 고무재로 구성되어 상기 등받이 지지구(300)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탄력 연결구(400)는, 먼저 지지부(410)가 구성된 것으로, 지지부(410)는 상기 등받이 지지구(300)의 연결구 수용홈(321)에 내입되는 한편 연장부(320)와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체결되게 구성되며, 그 선단에는 상기 등받이 샤프트(100)의 후방 외형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결착 지지홈(411)이 구성되어 등받이 샤프트(100)의 후방을 감싸며 긴밀하게 결합 지지되게 구성된다.
또한 탄력 연결구(400)에는, 상기 지지부(410)의 후단에 그 지지부(410)의 직경 보다 확장 형성되는 플랜지부(420)가 구성된 것으로, 탄력 연결구(400)가 그 플랜지부(420)를 통해 하기하는 등받이(500)의 배면에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체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플랜지부(420)의 후단에는, 브라켓 수용홈(421)이 더 형성된 것으로, 그 브라켓 수용홈(421)에는 금속재 지지 브라켓(422)이 내입되어 플랜지부(420)가 등받이(500) 체결시 함께 체결되어 고무재 탄력 연결구(400)의 등받이(500)와의 연결부 보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420)에는, 그 전방에 만곡한 곡률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유동부(425)가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500)는, 전면에는 쿠션재(도면중 미도시함)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댈시 쿠션감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후면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판(도면중 미도시함)이 구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탄력 연결구(400)가 결합되는 결합홈(5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탄력 연결구(400)는 플랜지부(420)를 통해 결합홈(510)에 내입 및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체결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1)는, 먼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등받이(5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높이 조절부(200)의 조작에 의해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하 승강에 의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높이 조절부(200)는, 지지노브(240)가 탄력 스프링(250)을 통해 탄설된 것인바, 그 지지노브(240)의 탄설에 의해 항시 회전축(230)이 지지노브(240) 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이때 피니언(220)의 제1 각홈(222)에는 삽탈돌기(231)의 제1 각돌기(232)가 결합되고,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는 지지체(260)의 제2 각홈(261)에 내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인바,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가 지지체(26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며, 이에 제1 각돌기(232)를 통해 회전축(230)과 연결된 피니언(220) 또한 그 회전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이에, 도 6의 도시와 같이 높이 조절을 위해 조절노브(270)를 당기게 되면 회전축(230)이 함께 당겨지게 되는 것인바, 이때 지지노브(240)는 탄력 스프링(250)의 탄력을 이기며 함께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지지체(260)의 제2 각홈(261)에 내입된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가 지지체(260)로부터 이탈되게 조절노브(270)의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가 지지체(260)의 제2 각홈(261)으로부터 이탈 되더라도 그 삽탈돌기(231)의 제1 각돌기(232)는 피니언(220)의 삽탈 지지관(221)에 형성된 제1 각홈(222)으로부터는 슬라이딩은 이루어지나 그 이탈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인바, 도 7의 도시와 같이 조절노브(27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230)이 회전하고, 이에 제1 각홈(222)과 제1 각돌기(232)에 의해 맞물려진 피니언(2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그 피니언(220)과 치합된 랙크(110)의 작동에 의해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하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등받이 샤프트(100)가 상,하 승강하는 과정에서 등받이 샤프트(10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0)에는 조절부 기초(210)의 가이드돌기(213)가 결합된 것인바, 등받이 샤프트(100)가 상,하 승강하는 과정에서 안정된 승강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조절부 기초(210)의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롤러(219)에 의해 가이드 되게 된다.
또한 등받이 샤프트(100)의 가이드홈(120)에는 그 높이의 표시가 가능한 눈금(121)이 형성된 것인바, 그 눈금(121)과 조절부 기초(210)의 상단의 교차에 의해 등받이(500)의 조절된 높이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1)는, 사용자가 의자(1)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움직일 시 그 안정된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탄력 연결구(400)에 의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탄력 연결구(400)는, 플랜지부(420)를 통해 등받이(500)에 결합되게 구성되고, 그 플랜지부(420)에는 유동부(425)가 구성된 것인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움직이게 되면 그 유동부(425)의 탄력에 의해 등받이(50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등받이(500)의 각도 조절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하,좌,우 및 대각선 방향 등 어느 방향으로나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는,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별도의 볼트 등의 분리 없이 간편하게 조절노브의 회전 조절로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미세한 높낮이 조절까지 가능하여 항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상체를 유동시 자유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인바, 항시 안정감 있는 의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 기초부 20 : 지지관
30 : 좌판 31 : 좌판 연결대
40 : 등받이부
100 : 등받이 샤프트 110 : 랙크
120 : 가이드홈 121 : 눈금
200 : 높이 조절부 210 : 조절부 기초
211 : 지지관 결합부 212 : 샤프트 가이드공
213 : 가이드돌기 214 : 승강 조절부
215 : 피니언 결합홈 216 : 지지노브 결합관
216a : 스프링 걸림턱 217 : 조절노브 삽입관
217a : 지지체 걸림턱 219 : 가이드롤러
220 : 피니언 221 : 삽탈 지지관
222 : 제1 각홈 230 : 회전축
231 : 삽탈돌기 232 : 제1 각돌기
233 : 제2 각돌기 240 : 지지노브
250 : 탄력 스프링 260 : 지지체
261 : 제2 각홈 270 : 조절노브
300 : 등받이 지지구 310 : 결합부
320 : 연장부 321 : 연결구 수용홈
400 : 탄력 연결구 410 : 지지부
411 : 결착 지지홈 420 : 플랜지부
421 : 브라켓 수용홈 422 : 지지 브라켓
425 : 유동부 500 : 등받이
510 : 결합홈

Claims (4)

  1. 바닥에 지지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로부터 상부로 절곡 연장되는 지지관(20)과, 좌판 연결대(31)를 통해 지지관(20)에 연결되는 높낮이 조절형 좌판(30)과, 좌판 연결대(31)에 연결되어 높낮이 조절되는 등받이부(40)로 된 책상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40)는,
    지지관(20)의 상단으로부터 그 지지관(20)에 삽탈되어 상,하 승강되는 수직 관체형 등받이 샤프트(100);
    지지관(20)의 상단에서 등받이 샤프트(100)와 간섭되게 형성되어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하 승강을 단속하는 높이 조절부(200);
    등받이 샤프트(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등받이 지지구(300);
    등받이 지지구(300)에 결합되는 강질의 고무재로 된 탄력 연결구(400); 및
    후면에 탄력 연결구(400)가 결합되는 결합홈(510)이 형성된 등받이(5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등받이 샤프트(100)는,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랙크(110)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눈금(121)을 갖는 가이드홈(120)이 형성되게 구성하며,
    높이 조절부(200)는,
    하부에는 지지관(2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관 결합부(211)가 하방 돌출되고, 중앙에는 내부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1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13)가 형성되어 등받이 샤프트(100)가 관통되는 샤프트 가이드공(212)이 형성되며, 상부 후방에는 샤프트 가이드공(212)과 연통되는 상부 개방형 피니언 결합홈(215)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내주면에 스프링 걸림턱(216a)을 갖는 지지노브 결합관(216)과 내주면에 지지체 걸림턱(217a)을 갖는 조절노브 삽입관(217)이 돌출 형성된 승강 조절부(214)로 된 조절부 기초(210);
    피니언 결합홈(215)에 내입되어 등받이 샤프트(100)의 랙크(110)와 치합되며, 조절노브 삽입관(217) 측에는 조절노브 삽입관(217)에 내입되며 내주면에는 제1 각홈(222)을 갖는 삽탈 지지관(221)이 형성된 피니언(220);
    피니언(220)을 관통 및 양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노브 결합관(216)과 조절노브 삽입관(217)으로 삽입되며, 조절노브 삽입관(217) 측에는 삽탈 지지관(221)의 제1 각홈(222)에 내입 및 슬라이딩 되는 제1 각돌기(232)와 그 제1 각돌기(232)보다 큰 외둘레를 이루는 제2 각돌기(233)가 단차를 두고 형성된 삽탈돌기(231)가 형성된 회전축(230);
    지지노브 결합관(216)을 감싸며 회전축(230)에 볼트 결합되는 지지노브(240);
    회전축(230)의 지지노브 결합관(216) 측을 감싸면서 지지노브(240)와 지지노브 결합관(216)의 스프링 걸림턱(216a) 사이에 탄설되는 탄력 스프링(250);
    조절노브 삽입관(217)에 형합 및 지지체 걸림턱(217a)에 걸림 고정되며, 내주면에는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가 삽탈되는 제2 각홈(261)을 이루는 링형 지지체(260); 및
    선단이 조절노브 삽입관(217)에 내입 및 회전축(230)의 타측에 볼트 결합되는 조절노브(27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삽탈 지지관(221)의 제1 각홈(222)의 깊이 및 삽탈돌기(231)의 제1 각돌기(232)의 길이는, 삽탈돌기(231)의 제2 각돌기(233)의 길이 및 지지체(260)의 제2 각홈(261)의 깊이보다 길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 기초(210)의 전방 상부에서 샤프트 가이드공(212)의 전방에는,
    등받이 샤프트(100)의 전방이 가이드 되는 가이드롤러(219)가 더 축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등받이 지지구(300)는,
    후방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등받이 샤프트(100)에 결합 및 볼트 고정되는 결합부(310)와,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방과 하부로 개방되는 연결구 수용홈(321)을 갖는 연장부(320)로 구성하며,
    탄력 연결구(400)는,
    등받이 지지구(300)의 연결구 수용홈(321)에 내입 및 연장부(320)에 볼트 체결되며 선단에는 등받이 샤프트(100)의 후방을 감싸는 결착 지지홈(411)이 형성된 지지부(410)와, 지지부(410)의 후단에서 확장 형성되어 등받이(500)에 볼트 결합되며 후단에는 금속재 지지 브라켓(422)이 결합되는 브라켓 수용홈(421)이 형성된 플랜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플랜지부(42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돌출되는 유동부(425)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KR1020160154693A 2016-11-21 2016-11-21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KR10179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93A KR101798340B1 (ko) 2016-11-21 2016-11-21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93A KR101798340B1 (ko) 2016-11-21 2016-11-21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340B1 true KR101798340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693A KR101798340B1 (ko) 2016-11-21 2016-11-21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3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443B2 (ja) * 1992-08-03 2001-05-28 三井化学株式会社 金属薄膜の被覆方法
KR200319577Y1 (ko) * 2003-04-14 2003-07-12 지-순 리아오 의자 등받이의 높이 및 위치조절구조
CN2671428Y (zh) * 2003-12-24 2005-01-19 泰桦家具股份有限公司 座椅的调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443B2 (ja) * 1992-08-03 2001-05-28 三井化学株式会社 金属薄膜の被覆方法
KR200319577Y1 (ko) * 2003-04-14 2003-07-12 지-순 리아오 의자 등받이의 높이 및 위치조절구조
CN2671428Y (zh) * 2003-12-24 2005-01-19 泰桦家具股份有限公司 座椅的调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65B2 (en) Chair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EP2204153B1 (en) A tattoo chair
US20060103221A1 (en) Ergonomic chair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CN210810091U (zh) 一种高中生用辅助坐姿矫正的椅子
CA2734571A1 (en) Chair with tiltable seat
KR100872907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US10918211B2 (en)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KR101798340B1 (ko) 개선된 등받이 조절 구조를 갖는 책상의자
KR102505888B1 (ko) 요추지지대가 구비된 등받이 및 그가 적용된 의자
KR20150060230A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KR20210037237A (ko) 기립보조의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CN205126450U (zh) 新型医师椅
CN213820632U (zh) 座椅
KR101910397B1 (ko) 사무용 무릎 의자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CN210158371U (zh) 一种儿童座椅
CN108514259B (zh) 一种坐具
CN220236457U (zh) 一种人体工学椅的t支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