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397B1 - 사무용 무릎 의자 - Google Patents

사무용 무릎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397B1
KR101910397B1 KR1020180036264A KR20180036264A KR101910397B1 KR 101910397 B1 KR101910397 B1 KR 101910397B1 KR 1020180036264 A KR1020180036264 A KR 1020180036264A KR 20180036264 A KR20180036264 A KR 20180036264A KR 101910397 B1 KR101910397 B1 KR 10191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seat plate
slide
support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숙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1020180036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4Prayer-stools; Kneeling stools; Kneelin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자세 교정시에는 무릎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무릎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기 위한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치기 위한 무릎받침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좌판 지지부; 상기 무릎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무릎받침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 지지부; 상기 좌판 지지부와 상기 무릎받침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무릎받침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 상기 좌판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상기 무릎받침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좌판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무용 무릎 의자 {Office knee chair}
본 발명은 사무용 무릎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자세 교정시에는 무릎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무릎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서, 바닥을 지지하는 다리, 사람이 착석하는 좌판,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의자에 앉아서 오래 생활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의자에서의 자세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특히, 의자에서 나쁜 자세로 오래 앉아 있는 경우에는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척추 및 근육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3370호(2003.08.04 등록)는 기능성 사무용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공지의 기능성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부에 좌석 지지판이 장착되고 그 상부에 연결공에 의해 좌석부를 결착 시키고, 좌석 지지판 후방에 수직으로 등받이 후레임이 위치하고 그 상부에 등받이 지지대가 결착 볼트로 고정된다. 양쪽의 등받이가 등받이 연결고무와 결착되어 등받이부를 이루며, 등받이부가 등받이 결착고무와 연결공에 의해 결착되고 등받이 결착고무는 등받이 지지대와 연결공에 볼트로 결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9930호(2000.05.10 등록)는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인체의 히프 부분이 안착되는 좌대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각도 조절홈과 힌지부재가 형성된 경사각 조절판과, 상기 경사각 조절부재에 내삽되어 상기 각도조절구멍을 통하여 상기 경사판 조절판과 고정결합되며 그 하측에 높낮이 조정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경사각 조절판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소정각도로 하여 고정/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내삽함과 아울러 그 하측 저면 일측에는 다수개의 길이 조정용홈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동작을 하며 타측이 고정지지되는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하부프레임을 관통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를 고정/지지함과 아울러 힌지부재 및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무릎지지판 경사각 조절부재와, 상기 무릎지지판 경사각 조절부재의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되며 경사각 조절용 홈이 다수개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내삽되어 슬라이딩 동작을 하며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부재와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되며 다수의 각도조절홈이 형성된 회동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무용 의자는, 사용자의 의식적인 노력만으로 장시간 꼿꼿하게 앉기는 불가능하고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각종 통증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똑바로 펴고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기 위하여 등을 편 상태에서 무릎을 받쳐줄 수 있는 무릎 의자가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무릎 의자는 무릎을 받치지 않고 앉을 수 있는 일반 사무용 의자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337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993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자세 교정시에는 무릎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사무용 무릎 의자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기 위한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치기 위한 무릎받침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좌판 지지부; 상기 무릎받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무릎받침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 지지부; 상기 좌판 지지부와 상기 무릎받침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무릎받침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 상기 좌판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의해 상기 무릎받침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좌판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사무용 무릎 의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무릎받침 지지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부재; 일측이 상기 좌판 지지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 측으로 제1 슬라이드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홀 또는 제2 고정홀에 삽입 또는 이탈하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드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부재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좌판부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무릎받침부의 상부를 타고 오르기 위한 바퀴부재; 상기 무릎받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재가 타고 오를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보조부재; 및 상기 보조부재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재의 하부를 삽입하기 위한 바퀴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부 또는 상기 좌판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받침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받침부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받침부가 좌판부의 하부에 위치되면 사무용 의자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받침부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목, 어깨와 척추가 앞으로 굽어지지 않고 신체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여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를 교정해 줄 수 있으며, 각종 척추 질환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릎받침부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좌판의 각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무릎 의자로 사용하다가 사무용 의자로 사용 전환하는 경우 또는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다가 무릎 의자로 사용 전환하는 경우에 좌판의 각도를 별도로 조절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시에 무릎받침부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무용 무릎 의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있는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무용 무릎 의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무용 무릎 의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무용 무릎 의자는, 좌판부(100), 무릎받침부(200), 좌판 지지부(300), 무릎받침 지지부(400), 슬라이드부(500), 힌지부(600), 조절부(700)를 포함한다.
좌판부(1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부(100)는,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수직 연결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받치기 위한 등받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부(100)는,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치기 위한 팔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팔걸이는 좌판부(100)의 양측에 일체형 또는 탈부착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부(100)는, 힌지부(6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무용 의자로 사용할 경우 수평으로 유지되며, 무릎 의자로 사용할 경우 전방을 향하여 약 10 내지 20°(바람직하게는 14°)의 각도로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무릎받침부(200)는, 좌판부(1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부(200)는, 좌판부(1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좌판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부(200)는, 사용자의 무릎을 받쳐주기 위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부(200)는, 사용자의 무릎이 닿는 위치에 쿠션부재 또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 받침부(200)는, 각도조절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힌지와 고정핀을 이용한 구조일 수 있다.
좌판 지지부(300)는, 좌판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좌판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 지지부(300)는, 좌판부(100)의 하부에 용접을 통해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 지지부(300)는, 일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 지지부(300)는, 사용자가 착석시 좌판부(1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기 위한 보강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 지지부(300)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좌판 높이 조절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판 높이 조절부재는, 외관, 내관 및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관은,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고정홀이 형성된다.
내관은, 외관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측벽에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된다.
고정핀은, 외관에 형성된 고정홀과 내관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여 외관 및 내관 사이를 유지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좌판 지지부(300)는, 하단에 다수 개로 구비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무릎받침 지지부(400)는, 무릎받침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 지지부(400)는, 무릎받침부(200)의 하부에 용접을 통해 연결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 지지부(400)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무릎받침 높이 조절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무릎받침 높이 조절부재는 좌판 높이 조절부재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무릎받침 지지부(400)는, 하단에 다수 개로 구비되어,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500)는, 좌판 지지부(300)와 무릎받침 지지부(400) 사이에 형성되며, 무릎받침 지지부(40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힌지부(600)는, 좌판부(100)와 좌판 지지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좌판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600)는, 고정축,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은, 좌판 지지부(300)의 상단에 고정 형성된다.
걸림홈은, 좌판부(100)의 하부면에 고정 형성되며, 고정축을 삽입하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조절부(700)는, 슬라이드부(500)에 의해 무릎받침부(2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좌판부(100)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700)는, 무릎 의자로 사용하기 위해 무릎받침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힌지부(600)에 의해 좌판부(100)가 전방을 향하여 약 10 내지 20°(바람직하게는 14°)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시키며,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기 위해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좌판부(100)의 전방을 들어 올려 수평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사무용 무릎 의자는, 도 1처럼 무릎받침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처럼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받침부(200)가 좌판부(1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사무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릎받침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무릎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목, 어깨와 척추가 앞으로 굽어지지 않고 신체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여 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세를 교정해 줄 수 있으며, 각종 척추 질환 및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무릎받침부(2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좌판부(100)의 각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무릎 의자로 사용하다가 사무용 의자로 사용 전환하는 경우 또는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다가 무릎 의자로 사용 전환하는 경우에 좌판부(100)의 각도를 별도로 조절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보관시에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500)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 제2 슬라이드부재(520), 손잡이부재(530), 제1 고정홀(540), 제2 고정홀(550), 고정부재(560), 와이어부재(570), 탄성부재(580), 도르래(59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드부재(510)는, 일측이 무릎받침 지지부(40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제2 슬라이드부재(5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부재(520)는, 일측이 좌판 지지부(30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일측으로 제1 슬라이드부재(510)가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슬라이드부재(520)는, 내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슬라이드부재(51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530)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한다.
제1 고정홀(540)은, 제2 슬라이드부재(5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20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즉, 무릎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고정부재(56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홀(54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좌판부(100)와 무릎받침부(200) 사이의 간격을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홀(540)은, 홀로 설명하고 있지만, 홈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고정홀(550)은, 제2 슬라이드부재(52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즉,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에 고정부재(56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정홀(550)은, 홀로 설명하고 있지만, 홈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560)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의 후방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20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제1 고정홀(540)에 삽입 고정되며, 무릎받침부(20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제2 고정홀(550)에 삽입 고정된다.
와이어부재(570)는, 일측이 손잡이부재(530)에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고정부재(560)에 연결 형성되어, 손잡이부재(530)와 고정부재(560) 사이를 연결시킨다.
탄성부재(580)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와 고정부재(560)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부재(56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도 3처럼 평상시 탄성부재(580)에 의해 고정부재(560)가 제1 고정홀(540) 또는 제2 고정홀(550)에 삽입되어 제1 슬라이드부재(510)와 제2 슬라이드부재(520) 사이를 고정시키고 있으며, 도 4처럼 사용자가 손잡이부재(530)를 잡아당겨 회동시키면 와이어부재(570)에 의해 탄성부재(580)가 압축되면서 고정부재(560)를 제1 고정홀(540) 또는 제2 고정홀(550)로부터 이탈되어 제1 슬라이드부재(5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도르래(590)는, 고정부재(560)의 상부 방향에 해당하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부재(570)의 방향을 바꾸어줌으로써, 고정부재(56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르래(590)는, 와이어부재(57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 슬라이드부재(510)의 내부 전방 및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슬라이드부(500)는, 표시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재는, 제1 슬라이드부재(510) 또는 제2 슬라이드부재(5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일반적인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기준점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는, 잉크를 사용하여 마킹하거나, 글자를 새겨 넣어 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있는 조절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절부(700)는, 바퀴부재(710), 보조부재(720), 바퀴삽입홈(730)을 포함한다.
바퀴부재(710)는, 좌판부(100)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며,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무릎받침부(200)의 상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무릎받침부(200)의 상부를 타고 오른다.
일 실시 예에서, 바퀴부재(710)는, 도 5처럼 무릎받침부(20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무릎받침부(200)의 상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무릎받침부(200)의 상부를 타고 올라가며, 좌판부(100)가 수평이 되는 경우 도 6처럼 바퀴삽입홈(73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퀴부재(7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보조부재(720)는, 무릎받침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바퀴부재(710)가 타고 오를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에 따라, 바퀴부재(710)가 무릎받침부(200)에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바퀴부재(710)와 무릎받침부(200)의 마찰에 의해 무릎받침부(200)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퀴부재(710)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부재(720)는, 무릎받침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바퀴부재(710)를 받쳐 좌판부(1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의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바퀴삽입홈(730)은, 보조부재(72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바퀴부재(710)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바퀴삽입홈(730)은, 바퀴부재(710)의 삽입 또는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양단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사무용 무릎 의자는, 받침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800)는, 힌지부(600) 또는 좌판 지지부(300)에 연장 형성되며, 좌판부(100)가 전방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좌판부(300)의 하부를 받쳐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800)는, 힌지부(600)의 고정축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800)의 전단이 좌판부(100)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800)는, 좌판 지지부(300)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사무용 무릎 의자는, 무릎 의자로 사용시 좌판부(100)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지부(900)는, 좌판부(100)의 후방 하부와 좌판 지지부(300) 사이에 형성되어, 좌판부(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가더라도 좌판부(1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부(900)는, 방지부재(910), 체결부재(9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부재(910)는, 좌판부(100)의 후방 하부에 ‘∩’자 형상으로 고정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 좌판 지지부(300)의 상부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체결부재(920)는, 방지부재(9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체결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920)는, 좌판부(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방지부재(910)의 하단을 관통하여 좌판 지지부(300)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어, 좌판부(1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920)는, 좌판부(100)가 수평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방지부재(910)의 일단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좌판부
200 : 무릎받침부
300 : 좌판 지지부
400 : 무릎받침 지지부
500 : 슬라이드부
510 : 제1 슬라이드부재
520 : 제2 슬라이드부재
530 : 손잡이부재
540 : 제1 고정홀
550 : 제2 고정홀
560 : 고정부재
570 : 와이어부재
580 : 탄성부재
590 : 도르래
600 : 힌지부
700 : 조절부
710 : 바퀴부재
720 : 보조부재
730 : 바퀴삽입홈
800 : 받침부
900 : 방지부
910 : 방지부재
920 : 체결부재

Claims (4)

  1. 좌판부와, 좌판부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받치기 위한 무릎받침부와, 좌판부 하부에 형성되어 좌판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좌판 지지부와, 무릎받침부 하부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무릎받침 지지부와, 좌판 지지부와 무릎받침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무릎받침 지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부와, 좌판부와 좌판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좌판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부와, 슬라이드부에 의해 무릎받침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시 좌판부의 각도를 변경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절부로 구성되는 사무용 무릎 의자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좌판부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어 무릎받침부의 상부를 타고 오르기 위한 바퀴부재;
    무릎받침부 상부에 형성되어 바퀴부재가 타고 오를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보조부재; 및
    보조부재 상부면에 형성되어 바퀴부재의 하부를 삽입하기 위한 바퀴삽입홈;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무릎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무릎받침 지지부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 슬라이드부재;
    일측이 좌판 지지부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측으로 제1 슬라이드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슬라이드부재;
    제1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재;
    제2 슬라이드부재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홀;
    제2 슬라이드부재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고정홀;
    제1 슬라이드부재의 후방 하부에 형성되어 제1 고정홀 또는 제2 고정홀에 삽입 또는 이탈하면서 제1 슬라이드부재와 제2 슬라이드부재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손잡이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손잡이부재와 고정부재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부재;
    제1 슬라이드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제1 슬라이드부재 내부에 형성되어 와이어부재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도르래;
    를 포함하는 사무용 무릎 의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 또는 상기 좌판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하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무릎 의자.
KR1020180036264A 2018-03-29 2018-03-29 사무용 무릎 의자 KR10191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64A KR101910397B1 (ko) 2018-03-29 2018-03-29 사무용 무릎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64A KR101910397B1 (ko) 2018-03-29 2018-03-29 사무용 무릎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397B1 true KR101910397B1 (ko) 2018-10-24

Family

ID=6413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64A KR101910397B1 (ko) 2018-03-29 2018-03-29 사무용 무릎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846A (zh) * 2021-06-29 2021-09-14 清华大学 一种可调节坐式滑雪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30Y1 (ko) * 2000-02-29 2000-07-15 이관로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930Y1 (ko) * 2000-02-29 2000-07-15 이관로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6846A (zh) * 2021-06-29 2021-09-14 清华大学 一种可调节坐式滑雪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65B2 (en) Chair
EP0788323B1 (en) Arrangement in an adjustable chair
JP3162325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US8662586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US10383445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US9364091B2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US7611202B2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TWI717715B (zh) 提升機構及椅
EP2100539A1 (en) Back rest device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CN219742239U (zh) 无需紧固件即可组装的模块化人体工学座椅
JPH10179315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KR101910397B1 (ko) 사무용 무릎 의자
WO2004021834A1 (en) Adjustable chair arrangement
KR100708303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210037237A (ko) 기립보조의자
JP4857146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CN213820632U (zh) 座椅
KR20100002894U (ko) 척추라인 보정의자
GB2332141A (en) Rocking chair
KR101384102B1 (ko) 의자
JP5373342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4021162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椅子
JP3160826B2 (ja) 体格適合型回転椅子
KR100676208B1 (ko) 척추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