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665A -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665A
KR20210146665A KR1020200063761A KR20200063761A KR20210146665A KR 20210146665 A KR20210146665 A KR 20210146665A KR 1020200063761 A KR1020200063761 A KR 1020200063761A KR 20200063761 A KR20200063761 A KR 20200063761A KR 20210146665 A KR20210146665 A KR 2021014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terminal
arc welding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성
Original Assignee
황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성 filed Critical 황종성
Priority to KR102020006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665A/ko
Publication of KR2021014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12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parts of the process
    • B23K9/1025Means for suppressing or reducing DC components in AC arc welding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23K9/091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characterised by th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43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측 정류부(111)와, 입력측 정류부(111)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부(112)와,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13)와, 인버터(113)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전력을 용접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메인 변압기(114)와, 메인 변압기(114)에서 출력되는 교류를 직류의 정류하는 출력측 정류부(115)와, 출력측 정류부(115)에서 정류된 전류를 안정화하는 리액터(116)와, 피복 아크 용접봉(200)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8a)와, 모재(M)에 연결되는 제2 단자(118b)와, 인버터(113)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컨트롤 PCB(120)로부터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발생 PCB(132)와, 상기 고압발생 PCB(132)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고압 변압기(13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컨트롤 PCB(120)는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는 경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고전압의 시동 전압에 의해서 용접이 잘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TOUCH ARC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복 아크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하여서 모재를 용접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2 개 혹은 그 이상의 모재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여기에 용가재(용접봉, 와이어)를 넣어 접합하는 것, 또는 용가제 없이 제살로 접합하는 것으로, 재료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용접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접 방법으로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과 비접촉식 티그(TIG, Tungsten Inert Gas) 용접이 있다.
상기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은 금속의 심선에 피복제라 불리는 플럭스나 보호재 등을 마련한 피복 아크 용접봉을 전극으로 하고, 모재와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 아크열로 용접봉과 모재를 용융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은 실드 가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접 방식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바람이 강한 옥외 등에서도 용접할 수 있어서, 각종 제조 공장, 빌딩, 선박, 차량 등 거의 모든 금속 재료의 용접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반면, 용접비드가 크고 플럭스가 남아 용접후에 용접 자국이 크게 표시되므로 용접 부위가 작게 형성되어야 하는 정밀한 용접에는 부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티그 용접은 아르곤 용접이라고도 칭하는데, 토치(Torch) 부분의 텅스텐 전극과 모재 사이에 불활성 가스인 아르곤 가스를 흘려 모재 산화의 요인인 공기를 차폐하고 동시에 전기 아크를 발생하여 그 열로 모재를 녹여 용접하는 용접 방식으로서, 비접촉식 용접 방식이다.
이러한 티그 용접은 용접 부위를 실드 가스(아르곤 가스)로 실드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하기 때문에 용접 시작 전과 용접 종료 후에 실드 가스를 공급하고 차단하는 가스밸브 개폐기 조작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용접 방식 중에서 본원발명은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에 관한 것이므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종래 기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는, 상용교류전원(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입력측 정류부(11)와, 상기 입력측 정류부(11)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부(12)와, 상기 평활부(12)에 의해 평활된 직류를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3)와, 상기 인버터(13)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전력을 용접에 필요한 저전압 대전류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메인 변압기(14)와, 상기 메인 변압기(14)에서 출력되는 저전압 대전류의 교류를 직류의 저전압 대전류로 정류하는 출력측 정류부(15)와, 상기 출력측 정류부(15)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의 급상승을 방지하고 평활하기 위한 리액터(16)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캐패시터(17)와, 상기 리액터(17)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에 연결되는 제1 단자(18a)와, 상기 메인 변압기(14)에 출력단에 연결되고 모재(M)에 연결되는 제2 단자(18b)와, 상기 인버터(13)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는 철재의 심선(210)과 이 심선(210)을 피복하여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피복제(220)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는 홀더(H)에 의해서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제1 단자(18a)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모재(M)나 피복 아크 용접봉(200)에 산화된 피막이나, 페인트 등이 있는 경우에는 용접을 위한 통상의 출력 전압(예컨대 70 ~ 90 V)에 의해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아서 용접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피복 아크 용접봉(200)을 모재(M)에 툭툭 치거나 피막을 벗겨내어서 용접을 하곤 했다.
그리고, 추운 겨울와 같이 주위 온도가 매우 낮아서 모재(M)가 냉각된 경우에도 용접을 위한 통상의 출력 전압에서는 용접이 되지 않았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421935호(공고일: 2014.08.11)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1617419호(공고일: 2016.05.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목적은,
첫째, 용접봉이나 모재에 산화막이나 페인트 등의 피막이 형성된 경우나 또는 매우 낮은 온도 환경에서도 초기에 고전압을 시동 전압을 인가하여서 통전을 시켜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용접이 잘 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피복 아크 용접봉이 모재에 접촉되는 경우, 자동으로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단자에 인가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자동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고 편리하게 시동 전압을 인가하여서 용접 장애 요소를 제거한 후에 용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루프전류의 인가를 통해서 피복 아크 용접봉과 모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자동으로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는,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입력측 정류부와, 상기 입력측 정류부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부와, 상기 평활부에 의해 평활된 직류를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전력을 용접에 필요한 저전압 대전류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메인 변압기와, 상기 메인 변압기에서 출력되는 저전압 대전류의 교류를 직류의 저전압 대전류로 정류하는 출력측 정류부와, 상기 출력측 정류부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의 급상승을 방지하여 전류를 안정화하는 리액터와, 피복 아크 용접봉에 연결되는 제1 단자와, 모재에 연결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PCB로부터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발생 PCB와, 상기 고압발생 PCB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고압 변압기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PCB는 피복 아크 용접봉과 모재가 접촉되는 경우 고압발생 PCB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접봉이나 모재에 산화막이나 페인트 등의 피막이 형성된 경우나 또는 매우 낮은 온도 환경에서도 초기에 고전압을 시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통전시켜서 전류가 흘러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용접이 잘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피복 아크 용접봉이 모재에 접촉되는 경우 자동으로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단자에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자동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쉽고 편리하게 시동 전압을 인가하여서 용접 장애 요소를 제거한 후에 용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루프전류의 인가를 통해서 피복 아크 용접봉과 모재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자동으로 고전압의 시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구성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구성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는, 상용교류전원(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입력측 정류부(111)와, 상기 입력측 정류부(111)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부(112)와, 상기 평활부(112)에 의해 평활된 직류를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13)와, 상기 인버터(113)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전력을 용접에 필요한 저전압 대전류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메인 변압기(114)와, 상기 메인 변압기(114)에서 출력되는 저전압 대전류의 교류를 직류의 저전압 대전류로 정류하는 출력측 정류부(115)와, 상기 출력측 정류부(115)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의 급상승을 방지하여 전류를 안정화 하며 평활하는(리플을 제거하는) 리액터(116)와, 상기 리액터(116)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8a)와, 상기 메인 변압기(114)에 출력단에 연결되고, 용접 대상인 모재(M)에 연결되는 제2 단자(118b)와, 상기 인버터(113)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고압발생 PCB(132)와 고압 변압기(13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발생 PCB(132)는 컨트롤 PCB(120)로부터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고전압을 유도하기 위한 전압인 유도전압(예컨대 90 V)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고압 변압기(131)는 고압발생 PCB(132)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예컨대 90 V)을 고전압(예컨대 1,400 ~ 1,600 V)으로 승압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 PCB(120)는,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는 경우 즉,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short)이 있는 경우,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이 모재(M)에 접촉되는 않는 경우, 즉,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이 되지 않고 개방(open)된 경우에는, 컨트롤 PCB(120)는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피복 아크 용접봉(200)이 철재의 심선(210)과 이 심선(210)을 피복하여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피복제(220)로 형성되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제1 단자(181a)가 홀더(H)에 의해서 연결됨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리액터(116)의 후단에 연결되어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캐패시터(117)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즉,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의 단락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단자(181a) 및 제2 단자(181b)로 루프(loop)전류를 출력하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어서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이 되고, 상기 출력된 루프전류가 궤환되면, 상기 컨트롤 PCB(120)로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루프전류 발생부(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지 않아서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가 개방된 경우, 루프전류가 궤환되지 않으므로 컨트롤 PCB(120)로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상시적으로 루프전압(예컨대 25 V)을 제1,2 단자(181a,181b)에 인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PCB(120)는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로부터 접촉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상시적으로 루프전압(예컨대 25 V)을 제1,2 단자(181a,181b)에 인가하고 있어서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된 경우에는 루프전류가 흐르고,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루프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이러한 루프전류에 의해서 접촉 여부를 판단하여서 시동 전압의 발생 및 인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상기 컨트롤 PCB(120)는 루프전류 발생부(140)로부터 접촉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 변압기(131)는 상기 메인 변압기(114)와 제2 단자(181b) 사이에 결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의 루프전류를 상기 제1,2 단자(181a,181b)에 공급하기 위해서,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상기 제1 단자(181a)의 전단과 제1 노드(n1)에서 제1 전선(S1)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181b)의 전단과 제2 노드(n2)에서 제2 전선(S2)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에서 출력되는 루프전류는 제1 전선(S1)과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와 제2 단자(181b)에 의해서 전류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PCB(120)는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 후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시간(예컨대 0.5 sec) 경과 후에, 고압 출력 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고압발생 PCB(132)는 상기 컨트롤 PCB(120)로부터 수신하는 고압 출력 제어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고전압의 발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동작 스위치(160)의 스위칭 작동에 무관하게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에 고압을 인가하는 자동 동작모드와, 유저가 입력하는 동작 명령에 의해서 즉, 동작 스위치(160)의 온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수동 동작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150)와, 상기 모드 선택부(150)의 동작모드가 수동 동작모드로 선택된 경우,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유저의 동작 명령에 의해서 고전압을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에 인가하기 위한 동작 스위치(16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작업자가 자동으로 고압의 시동 전압을 인가할지 또는 동작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고압의 시동 전압을 인가할지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상시적으로 루프전압(예컨대 25 V)을 제1,2 단자(181a,181b)에 인가하고 있다.
이때, 피복 아크 용접봉(200)이 모재(M)에 접촉되면, 루프전류 발생부(140)에서 출력된 루프전류가 제1 전선(S1) -> 제1 단자(181a) -> 피복 아크 용접봉(200) -> 제2 단자(181b) -> 제2 전선(S2)의 루프를 형성하면서 다시 루프전류 발생부(140)로 궤환하게 된다.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루프전류가 궤환되면 컨트롤 PCB(120)로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고, 루프전류 발생부(140)로부터 접촉감지신호를 수신한 컨트롤 PCB(120)는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 PCB(120)로부터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한 고압발생 PCB(132)는 유도전압을 고압 변압기(131)의 1차측 코일에 인가하고, 고압 변압기(131)가 고압발생 PCB(132)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면, 고전압이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에 걸리게 된다.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에 고전압이 걸리면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 간에는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걸려서 예컨대 피막 등이 있더라도 통전이 되어서 이후 대전류가 흘르고 원활한 용접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 입력측 정류부
112 : 평활부
113 : 인버터
114 : 메인 변압기
115 : 출력측 정류부
116 : 리액터
117 : 캐패시터
118a : 제1 단자
118b : 제2 단자
120 : 컨트롤 PCB
131 : 고압 변압기
132 : 고압발생 PCB
140 : 루프전류 발생부
S1 : 제1 전선
S2 : 제2 전선
150 : 모드 선택부
160 : 동작 스위치
200 : 피복 아크 용접봉
210 : 심선
220 : 피복제
M : 모재

Claims (4)

  1. 상용교류전원(AC)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입력측 정류부(111)와, 상기 입력측 정류부(111)의 출력을 평활하는 평활부(112)와, 상기 평활부(112)에 의해 평활된 직류를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113)와, 상기 인버터(113)에서 출력된 고주파 교류전력을 용접에 필요한 저전압 대전류의 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메인 변압기(114)와, 상기 메인 변압기(114)에서 출력되는 저전압 대전류의 교류를 직류의 저전압 대전류로 정류하는 출력측 정류부(115)와, 상기 출력측 정류부(115)에서 정류된 직류 전류의 급상승을 방지하여 전류를 안정화하는 리액터(116)와, 피복 아크 용접봉(200)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8a)와, 모재(M)에 연결되는 제2 단자(118b)와, 상기 인버터(113)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PCB(120)로부터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고전압을 유도하기 위한 전압인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발생 PCB(132)와,
    상기 고압발생 PCB(132)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고압 변압기(13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PCB(120)는,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 아크 용접봉(200)과 모재(M)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단자(181a) 및 제2 단자(181b)로 루프(loop)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 간에 단락이 되어서 루프전류가 궤환되면, 상기 컨트롤 PCB(120)로 접촉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루프전류 발생부(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 PCB(120)는,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로부터 접촉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압 변압기(131)는 상기 메인 변압기(114)와 제2 단자(181b) 사이에 결선되고,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의 루프전류를 상기 제1,2 단자(181a,181b)에 공급하기 위해서, 루프전류 발생부(140)는 상기 제1 단자(181a)의 전단과 제1 전선(S1)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181b)의 전단과 제2 전선(S2)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루프전류 발생부(140)에서 출력되는 루프전류는 제1 전선(S1)과 제1 단자(181a)와 제2 단자(181b)와 제2 단자(181b)에 의해서 전류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PCB(120)는 상기 고압발생 PCB(132)로 고압 출력 제어신호를 출력 후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고압 출력 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고압발생 PCB(132)는 상기 컨트롤 PCB(120)로부터 수신하는 고압 출력 제어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 고전압 전압의 발생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KR1020200063761A 2020-05-27 2020-05-27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KR20210146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61A KR20210146665A (ko) 2020-05-27 2020-05-27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61A KR20210146665A (ko) 2020-05-27 2020-05-27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65A true KR20210146665A (ko) 2021-12-06

Family

ID=7893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61A KR20210146665A (ko) 2020-05-27 2020-05-27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66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35B1 (ko) 2012-08-06 2014-08-11 손보승 피복 아크 용접기의 용접 전류 제어 장치
KR101617419B1 (ko) 2014-10-30 2016-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피복아크 용접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935B1 (ko) 2012-08-06 2014-08-11 손보승 피복 아크 용접기의 용접 전류 제어 장치
KR101617419B1 (ko) 2014-10-30 2016-05-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피복아크 용접전원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315B1 (ko) 용접용 전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226671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welding arc
US6750427B1 (en) Controlled welding output with fused electrode detection
US4973815A (en) Resistance welder using an inverter
US6570131B1 (en) Electric arc welder with arc starter
US5643475A (en) Power supply apparatus
EP0819494B1 (en) Welding power supply
KR20210146665A (ko) 접촉식 피복 아크 용접장치
US5760372A (en) Arc welder
US7288741B2 (en) Arc welder
JP3312713B2 (ja) 交流プラズマアーク溶接機
JP4558227B2 (ja) 溶接電源装置
JPH10146068A (ja) 直流アークスタート補助回路
JP2001334369A (ja) 抵抗溶接電源装置
US8664566B2 (en) Arc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US3502897A (en) Method of and power supply for electric arc welding
KR100352410B1 (ko) 전자식 티.아이.지 용접 보조 장치
JP2006281257A (ja) インバータ制御による消耗電極式のアーク溶接電源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890095B2 (ja) 溶接装置及び溶接モード切替方法
WO2023228089A1 (en) Welding power source, welding system with such welding power source, dc-ac selector st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welding power source
US20230283200A1 (en) Variable pwm frequency responsive to power increase event in welding system
CN113825581B (zh) 逆变器焊接机
JP3618434B2 (ja) プラズマアーク加工装置
KR19980082883A (ko) 티아이지(tig) 용접장치
JP3607648B2 (ja) 溶接用電源装置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