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554A - 용광로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554A
KR20210146554A KR1020200063472A KR20200063472A KR20210146554A KR 20210146554 A KR20210146554 A KR 20210146554A KR 1020200063472 A KR1020200063472 A KR 1020200063472A KR 20200063472 A KR20200063472 A KR 20200063472A KR 20210146554 A KR20210146554 A KR 2021014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support
tuyere
contact p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478B1 (ko
Inventor
조대현
함은진
김병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4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21B7/163Blowpipe assembl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광로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대풍구와, 대풍구의 내주면에 후단이 대응 삽입되며, 전단이 용광로의 내부에 위치되는 소풍구 및, 소풍구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투입구의 내주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광로의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TO BLAST FURNACE}
본 발명은 용광로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광로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부착물의 하중에 의해 소풍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광로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의 풍구는 송풍지관 및 블로우 파이프와 밀착성 있는 구조물로 이중구조의 원통형 순동 주조물이며, 내부로 고온에 견딜수 있는 냉각수가 순환되고, 대풍구와 소풍구로 나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4604호(2016.04.15. 등록, 발명의 명칭 : 용광로의 풍구 개공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광로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부착물의 하중에 의해 소풍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풍과 투입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중연화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는 용광로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대풍구와,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후단이 대응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용광로의 내부에 위치되는 소풍구 및, 상기 소풍구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의 내주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소풍구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사이에는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과 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 및, 일측의 결합부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접촉 패드를 상부로 가압하고, 타측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패드의 하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부를 감싸는 부싱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풍구와 상기 소풍구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 용광로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부착물의 하중에 의해 소풍구의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풍과 투입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연화 시험장치는투입물의 외부 유출에 의한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조업 과정에서의 생산량 저하 및 복구에 필요한 비용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에서 접촉 패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에서 접촉 패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는 대풍구(100)와, 소풍구(200)와, 스토퍼부(300) 및,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대풍구(100)는 용광로(1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대풍구(100)는 용광로(10)에 형성된 투입구(11)의 내부에 대응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대풍구(100)는 원통 형상을 갖고, 대풍구(100)의 원주면이 투입구(11)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면 접촉되며, 대풍구(100)의 내부에는 용광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열풍이 이동되도록 제1통로(110)가 형성된다.
제1통로(110)는 용광로(1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며, 제1통로(11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소풍구(200)의 후단이 대응되게 삽입된다.
소풍구(200)는 용광로(1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소풍구(200)의 후단은 대풍구(100)의 제1통로(110)에 후단이 대응되게 삽입되고, 소풍구(200)의 전단은 용광로(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소풍구(200)는 원통 형상을 갖고, 소풍구(200)의 원주면이 제1통로(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면 접촉되며, 소풍구(200)의 내부에는 용광로(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열풍이 이동되도록 제2통로(210)가 형성된다.
또한, 대풍구(100)와 소풍구(200)는 전방(용광로(10)의 내부)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통로(110)와 제2통로(210)도 전방(용광로(10)의 내부)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는 도 1에서처럼 열풍기(30)로부터 나오는 열풍을 용광로(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블로우 파이프(20)가 소풍구(200)의 제2통로(210)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로우 파이프(20)의 내부로 관통되어 소풍구(200)의 제2통로(210)로 연결되어 에어 배관(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 압력으로 용광로(10) 내부로 미분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급배관과 에어 배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금속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공급배관의 내부로 투입하여 에어 압력으로 소풍구(200)의 제2통로(210)를 통해 압송시키는 구슬 투입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부(300)는 대풍구(10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소풍구(200)의 후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제1통로(110)의 내주면에는 스토퍼부(300)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장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부(300)와 장착홈은 전후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스토퍼부(300)가 장착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홈은 제1통로(110)의 내부와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부(300)를 장착홈의 후방을 통해 소풍구(200)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위치까지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스토퍼부(300)와 장착홈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쐬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300)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홈은 후술 될 지지대(40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제1통로(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400)는 소풍구(200)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지지대(400)는 소풍구(200)의 후방측 상단에 일정 넓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400)의 상면은 제1통로(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될 수 있고, 이때 지지대(400)는 전술한 스토퍼부(300)의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00)는 상면이 제1통로(110)의 내주면과 이격 위치되어 간격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대(400)의 상면에는 접촉 패드(500)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 패드(500)는 일정 넓이를 갖는 것으로, 접촉 패드(500)의 하면은 지지대(4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면 접촉되고, 접촉 패드(500)의 상면은 제1통로(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면 접촉된다.
여기서, 접촉 패드(500)는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접촉 패드(500)와 지지대(400)의 형상과 사이즈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0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4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410)에는 접촉 패드(500)를 상방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체결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600)는 체결홀(410)의 하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의 결합부(610)가 체결홀(410)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접촉 패드(500)를 상부로 가압하고, 타측의 머리부(620)가 지지대(4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6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410)의 내부에도 결합부(610)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600)를 체결홀(410)을 통해 결합시키는 경우, 회전 공구(미도시)를 이용해 머리부(620)를 회전시켜 결합부(610)를 체결홀(410)의 하방을 통해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610)의 끝단이 접촉 패드(500)의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가압한다.
이때, 접촉 패드(500)의 상면이 결합부(610)의 가압력에 의해 제1통로(110)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지지대(400)와 접촉 패드(500)의 지지력에 의해 소풍구(200)의 후방측 상단에 일정 지지력이 유지된다.
반면, 체결부재(600)를 체결홀(410)의 하방으로 분리시킨 후, 지지대(400)와 제1통로(110)의 사이 간격으로부터 접촉 패드(500)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패드(5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홀(410)의 내부에는 결합부의 외부를 감싸는 부싱(700)이 더 결합될 수 있는데, 부싱(700)은 체결부재(6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300)는 지지대(400)의 하부에서 소풍구(200)의 후단을 후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므로, 소풍구(200)의 전단에 이물질(A)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스토퍼부(300)는 지지대(400)의 지지력에 의해 소풍구(200)의 전단이 하방으로 쳐지지 않게 된다.
또한, 용광로(10)의 내부에서 낙하하는 부착물(A)에 의해 소풍구(200)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소풍구(200)와 제1통로(110)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고, 이를 통해 열풍과 용광로의 내부 투입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입물의 외부 유출에 의한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조업 과정에서의 생산량 저하 및 복구에 필요한 비용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패드(500)는 도 6에서처럼 하면에 하나 이상의 삽입홈(5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610)의 끝단이 삽입홈(510)에 대응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 패드(500)를 상부로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600)의 결합부(610)가 삽입홈(510)에 삽입되므로, 접촉 패드(500)가 결합부(61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접촉 패드(5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접촉 패드(500)가 정해진 설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공급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광로 11: 투입구
20: 블로우 파이프 30: 열풍기
40: 구슬 투입부 100: 대풍구
110: 제1통로 200: 소풍구
210: 제2통로 300: 스토퍼부
400: 지지대 410: 체결홀
500: 접촉 패드 510: 삽입홈
600: 체결부재 610: 결합부
620: 머리부 700: 부싱
A: 부착물

Claims (8)

  1. 용광로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대풍구;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후단이 대응 삽입되며, 전단이 상기 용광로의 내부에 위치되는 소풍구; 및
    상기 소풍구의 후방측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의 내주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소풍구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에 사이에는 접촉 패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대풍구의 내주면과 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 및,
    일측의 결합부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접촉 패드를 상부로 가압하고, 타측의 머리부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위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의 하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끝단이 상기 삽입홈에 대응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부를 감싸는 부싱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풍구와 상기 소풍구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공급장치.
KR1020200063472A 2020-05-27 2020-05-27 용광로의 공급장치 KR10237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72A KR102372478B1 (ko) 2020-05-27 2020-05-27 용광로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472A KR102372478B1 (ko) 2020-05-27 2020-05-27 용광로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554A true KR20210146554A (ko) 2021-12-06
KR102372478B1 KR102372478B1 (ko) 2022-03-08

Family

ID=7893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472A KR102372478B1 (ko) 2020-05-27 2020-05-27 용광로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4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952U (ja) * 1992-03-16 1993-10-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炉羽口の固定治具
KR100863670B1 (ko) * 2007-07-24 2008-10-15 김성욱 풍구의 교체가 용이한 용광로 및 손상된 기존 풍구를 교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952U (ja) * 1992-03-16 1993-10-0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炉羽口の固定治具
KR100863670B1 (ko) * 2007-07-24 2008-10-15 김성욱 풍구의 교체가 용이한 용광로 및 손상된 기존 풍구를 교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478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6554A (ko) 용광로의 공급장치
US2651549A (en) Air jet for air film tables
CN102313445A (zh) 钢丝用吹风嘴
JP2012219336A (ja) 高炉の微粉炭吹き込みバーナー
CN110280406B (zh) 一种通风喷嘴结构
CN102312864A (zh) 一种插入式高温风机的正压气冷结构
CN211823464U (zh) 一种变速器前箱轴承孔加热密封圈降温装置
US3917243A (en) Supersonic shock wave tuyere
KR20040046812A (ko) 프레스용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844679A (zh) 风机叶轮快速装卸联接机构
JP5810991B2 (ja) 冷媒用閉鎖弁
KR100863670B1 (ko) 풍구의 교체가 용이한 용광로 및 손상된 기존 풍구를 교체하는 방법
CN206925298U (zh) 可变径高密封压射装置
KR970002050Y1 (ko) 용광로의 풍구
CN201264026Y (zh) 芯片分选机台
CN109434752A (zh) 一种气缸盖座圈拆卸方法及工装
CN110561891A (zh) 一种印刷设备用印刷辊冷却装置
CN204061575U (zh) 一种冷渣机轴承座正压送风装置
CN212537436U (zh) 一种用于高温工业窑炉的高温工业电视安装云台
CN211013258U (zh) 一种带激光瞄准器的红外测温仪加强型防护装置
CN213537985U (zh) 一种平板式吹氩自动对接装置
KR20040021202A (ko) 이중 냉각 및 미분의 완전 연소를 위한 미분탄 취입장치
CN209002298U (zh) 一种便于维护的led驱动电源贴片机
KR20110004964A (ko) 원터치 방식의 커플러
CN219494959U (zh) 一种具有节流装置的储能温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